KR200243192Y1 - 열풍기 - Google Patents

열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192Y1
KR200243192Y1 KR2020010011124U KR20010011124U KR200243192Y1 KR 200243192 Y1 KR200243192 Y1 KR 200243192Y1 KR 2020010011124 U KR2020010011124 U KR 2020010011124U KR 20010011124 U KR20010011124 U KR 20010011124U KR 200243192 Y1 KR200243192 Y1 KR 2002431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heat
blower
chamber
high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11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덕
Original Assignee
박창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덕 filed Critical 박창덕
Priority to KR20200100111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1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1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192Y1/ko

Links

Landscapes

  • Air Supp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적은 연료로 많은양의 고온의 열풍을 만들 수 있도록 한 열풍기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 사용되는 열풍기들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순간적으로 고온의 열풍을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열풍기이다.
구조적 특징은 연소로 통을 길게 하여 방출되어지는 매연가스가 연소되도록 하였으며, 연소로 내에 발생한 고온의 열이 배출과정에서 간접되는 연소로 외부열기를 최대한 흡수할 수 있도록 공기 차단장치 판을 부착하여 공기가 좌우로 방향을 바꾸어 이동되면서 예열된 열기를 최대한으로 체류되게 하여 점점 고온으로 만들 수 있도록 하였으며, 배출되어지는 패 가스 부위에 열교환 파이프를 설치하여 파이프 열기를 흡수하여 배출되어지는 매연가스의 최소화로 연료비를 대폭 절감하면서 발생된 고온의 열풍을 각종 건조열이나 난방열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열풍기{omitted}
본 고안은 고온의 열풍을 만들 수 있는 열풍기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열풍기들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여 고온의 열풍을 만들 수 있도록 한 열풍기이다.
고안의 특징은 연소로 통을 길게하여 방출되어지는 매연가스가 오래도록 체류하게 됨으로 미 연소된 매연을 더 태우도록 하였으며,
그로 인하여 연소로 외부의 열기를 더 가열되게 하여 고온의 열풍을 만들 수 있도록 하였으며,
배출되어지는 패열 부위에 열교환 파이프를 설치하여 그 열기를 흡수함으로 효율을 높혔고 연소로 통 외부에 열풍방향 유도판을 부착하여 체류시간을 길게하여 가열되어진 열기로 최대한 흡수하여 고온의 열풍을 만들 수 있도록 한 열풍기이다.
종래까지 많은 열풍량을 얻기위한 기본 방법은 온수나 스팀 보일러를 가동하여 열을 얻거나 전기를 이용한 히타식 열풍 공기를 사용하였다.
물로 사용하여 열을 얻고자 할 때는 물을 끓여서 그 간접열을 사용하기 때문에 오랜시간 동안 기다려야 했고 그로 인하여 연료 소모도 많았다.
또한 물로 인하여 가동되기 때문에 스팀 화되어 방출되거나 배관의 손실 등으로 물 소모량이 많았으며 온수나 스팀 보일러의 한계로 인하여 원하는 온도만큼 이용될 수 없었다.
전기히타 이용시 전기 용량이 높아지므로 설비비도 많이 들뿐더러 많은 용량으로 높은 온도 사용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고안된 열풍 보일러는 다른 기계설비 없이 직접 고온의 열풍을 잠시의 시간으로 만들어짐으로 연료 절감 및 환경오염 등으로 해결할 수 있다. 또 전달되는 온도가 고온의 열풍이기에 일반 공기와 혼합하여 사용하면 많은 열풍량을 만들 수 있다.
물이 아닌 공기이기에 겨울의 동파나 고장시 손실이 되어도 문제가 없이 사용할 수 있고 가동 중에도 수리할 수 있다.
높은 압력에 사용될 수 있기에 위치와 거리에 관계없이 빠른 시간에 먼 거리를 이송 시킬 수 있으며 기존의 보일러에 비하여 연료절감 또한 절반 이하에서 같은 Kcal를 얻을 수 있다.
연료로는 OIL, GAS 등을 사용하나 본 고안의 목적은 적은 연료로써 높은 효율을 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열풍기의 상세도
도 2는 열풍기의 단면도
도 3은 열풍기의 평면도
도 4는 열풍기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열풍기 12: 열풍 집수실
2: 버너 13: 토출덕트
3: 화상 점검구 14: 보일러몸체
4: 송풍기 15: 연소실
5: 열교환 파이프 16: 패 가스 모음통
6: 매연가스 집수실 17: 연통
7: 송풍통로 18: 송풍실
8: 공기 유도판 19: 모터
10: 칸막이판 20: 벨트
11: 공간 21: 구멍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열풍기(1)를 처음 가동할 때 버너(2)에 불을 붙이고 화상 점검구(3)로 버너(2)의 불을 확인한 후 열풍을 하기 위한 송풍기(4)를 가동시킨다.
이때 연소실(15) 통속의 점화된 불길은 완전 연소되어 1차 패 가스 모음통(16)에 모아저 열교환 파이프(5)로 분산되어 배출되면서 PIPE내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패 가스 모음통(16)으로 모아져 토출닥트(13)로 배출된다.
이때 가동되어진 AIR공급 장치인 송풍기(4)는 연소로 통 외부의 열기를 흡수하고 공기 유도판(8)에 부딪혀 좌.우로 송풍통로(7)를 따라 이동될 때에 점점 고온의 열풍으로 만들어지기 위하여 패 가스 열교환 파이프(5)장치의 열기를 흡수하고 배풍되게 된다. 이때 열풍된 AIR를 더 고온으로 만들기 위하여 열풍방향 전환장치를 열풍이 한쪽으로 모아지도록 하여 좁혀진 공간(11)에서 유속을 빨리 함으로 열교환 파이프(5)내의 표면적 열을 흡수하여 더 고온으로 만들어지도록 상.하로 방향 전환 공기 유도 칸막이판(10)을 설치하여 체류시간을 길게 하므로, 원하는 온도를 만들어져서 토출덕트(13)쪽으로 모아져 토출덕트(13)를 배풍 하게된다.
현재까지의 열풍을 얻기위한 기본 방식은 온풍기를 사용 실내온도를 높이거나 보일러를 이용한 공조기계에 스팀이나 온수를 만들어 AEROFIN TUBE (에로핀 튜브)나 CONVECTOR TUBE (콘벡트 튜브)에 주입하여 간접되는 열을 송풍기로 송풍시켜 열풍을 얻기 때문에 한정된 온도 이외에는 구할 수 없었고, 물을 스팀화 되기까지 오랜시간 끓여야했으나 본 고안된 열풍기는 공기를 사용하여 열풍을 얻기 때문에 빠른 시간에 고온의 열풍을 얻을 수 있으므로 연로절감이 확실하다.
그리고 일반 보일러는 이중의 구조로 열풍을 얻기 때문에 또 다른 기계설비 투자로 인하여서 기계 비용이 추가되었으며 물을 사용 온풍 화시킴으로 많은 문제가 발생되었다.
그러나, 본 열풍기는 다른 기계설비 없이 직접 고온의 열풍을 만들 수 있도록 고안되어진 열풍기로써 최고온도 700℃ 까지 가능하다.
빠른시간에 열풍이 만들어지므로 적은 연료로써 많은 열풍을 만들 수 있고고온의 열풍이기에 이송되어지는 덕트관도 면적을 줄일 수 있을뿐더러 기계실 면적도 최대한 줄일 수 있으며 위험 또한 없다. 열풍기 내부 안에 충분한 압력과 풍량으로 표면적 열을 최대한 흡수하여 고온의 열풍을 만들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연료로는 경유, B . C유, 석유, GAS 등을 버너로 사용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여러개의 열교환 파이프(5)를 설치한 연소실(15)과 매연가스 집수실(6)의 사이에다 한쪽 방향으로 구멍(21)이 뚫리고 같은 칸막이판(10)을 반대 방향쪽에 교호로 고정하였으므로 상승되는 송풍은 지그재그로 오래동안 체류하게 하여 온도가 상승하면서 열교환 파이프(5)의 열을 최대로 흡수하게 됨으로 높은 고온의 열풍으로 가열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연료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보일러몸체(14)의 하부에 형성한 연소실(15)에는 화상 점검구(3)과 버너(2)를 설치하고 전기의 연소실(15)자 연통(17)을 고정한 매연가스 집수실(6)을 여러개의 열교환파이프(5)로 연결하여 열교환파이프(5)를 통하여 연소열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보일러몸체(14)의 하부에 형성한 송풍실(18)의 입구에는 모터(19)와 벨트(20)로 연결되어 송풍기(4)를 가동시키면 송풍기(4)는 회전하면서 송풍을 일으켜 송풍통로(7)를 통하여 이송되면서 열교환 파이프(5)의 방열을 최대한 흡수하여 뜨거운 열풍으로 가열된 후 열풍 집수실(12)에 모여 배출닥트(12)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연소실(15)과 송풍실(18)의 사이에는 송풍통로(7)를 형성하는 한편, 연소실(15)의 가열된 공기를 공기 유도판(8) 한쪽 방향으로 구멍(21)을 뚫은 열 차단실을 형성하여 구멍(21)으로 순환되는 공기에 의하여 연소실(15)과 열교환 파이프(5)의 높은 연소열로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연소실(15)과 매연가스 집수실(6)의 사이에는 열풍 칸막이판(10)을 한쪽 방향으로 구멍(21)이 뚫리게하고 또 반대 방향에 같은 구멍이 뚫리게한 칸막이판(10)을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교호로 고정하여 송풍을 오랜동안 지그재그로 상승되도록하여 가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한 열풍보일러.
KR2020010011124U 2001-04-13 2001-04-13 열풍기 KR2002431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124U KR200243192Y1 (ko) 2001-04-13 2001-04-13 열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124U KR200243192Y1 (ko) 2001-04-13 2001-04-13 열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3192Y1 true KR200243192Y1 (ko) 2001-10-11

Family

ID=73081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1124U KR200243192Y1 (ko) 2001-04-13 2001-04-13 열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1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5623B1 (ko) 2017-02-17 2018-12-06 (주)창화에너지 열풍기의 열교환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5623B1 (ko) 2017-02-17 2018-12-06 (주)창화에너지 열풍기의 열교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63438A (ko) 콘덴싱 보일러
RU2007145651A (ru) Водогрейный котел с двойным теплообменом, состоящий из различных частей
KR101780170B1 (ko) 배기가스 폐열을 이용한 온풍장치
KR200243192Y1 (ko) 열풍기
CN214665245U (zh) 燃气采暖热水炉
KR20020001465A (ko) 가스보일러의 콘덴싱 방식 열교환기
KR200247505Y1 (ko) 열풍보일러
KR20010079051A (ko) 고압력 스팀보일러
KR200265150Y1 (ko) 스팀보일러
KR100426378B1 (ko) 열풍 보일러
KR100393276B1 (ko) 열풍보일러
KR20010107891A (ko) 가정용 보일러
KR200276368Y1 (ko) 가정용 보일러
CN220582478U (zh) 一种节能型双锅筒纵置式锅炉
CN212457409U (zh) 一种新型燃气热风炉
KR200238403Y1 (ko) 고압력 열풍기 보일러
CN216282586U (zh) 天然气间接加热烘干机
KR100479868B1 (ko) 콘덴싱 가스보일러의 연소기 연도구조
KR100297376B1 (ko) 콘덴싱가스보일러용연도
CN210861720U (zh) 一种新型低氮节能热水机组系统
KR200148486Y1 (ko) 공기조절장치의 열교환기
KR100515636B1 (ko) 가스보일러의 열교환기 구조
KR20000026728A (ko) 콘덴싱 가스보일러용 연도
KR200202937Y1 (ko) 다중경로를 갖는 열교환기
CN1963336A (zh) 加热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