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397Y1 - 증발기용 배수판구조 - Google Patents

증발기용 배수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397Y1
KR910008397Y1 KR2019890020310U KR890020310U KR910008397Y1 KR 910008397 Y1 KR910008397 Y1 KR 910008397Y1 KR 2019890020310 U KR2019890020310 U KR 2019890020310U KR 890020310 U KR890020310 U KR 890020310U KR 910008397 Y1 KR910008397 Y1 KR 9100083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drain
drain plate
plate
ri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203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2099U (ko
Inventor
서정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203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8397Y1/ko
Publication of KR9100120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20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3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3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2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condensate, e.g. for enhanced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증발기용 배수판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을 코일형 증발기에 적용한 예시도.
제2도는 본 고안 배수판의 일부 확대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배수판에 코일형 증발기가 얹혀진 부분 확대 단면도.
제4도는 종래 배수판에 코일형 증발기가 개재된 부분 확대 단면도.
제5a도, 제5b도는 종래 배수판에 핀형 증발기와 코일형 증발기를 적용한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수판 2 : 경사면
4 : 리브 4-1 : 골진부위
본 고안은 증발기용 배수판 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모세관 현상을 응용하는 제습기나 에어컨디셔너의 증발기에 응축되어 흘러내리는 제습수가 원활히 배수판을 통하여 배수될 수 있게 하고 증발기의 자제 진동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고안한 것이다.
종래의 증발기용 배수판은 제4도 또는 제5a도, 제5b도에서와 같이 제습수가 배수판(11)의 경사내면(12)을 타고 배수공(13)으로 흘러 내릴 수 있는 구조로만 되어 있어 핀형 증발기(14) 또는 코일형 증발기(15)를 배수판(11)에 얹혀 놓게 되면 증발기(14), (15)의 대부분이 배수판과 떨어져 있게 되고 배수판의 경사면 외측에 위치되는 증발기의 일부만이 국부적으로 접촉되어져 있는 상태에서 증발기(14), (15)에서 응축 생성되어진 제습수는 증발기를 타고 흘러 내려와 배수판(11)에 모여 경사내면(12)을 타고 배수공(13)으로 배수되어지고져 하나 증발기와 접촉되어 있는 배수판에 흘러 내려가는 제습수는 증발기의 간섭으로 즉시 배수되어 지지 못하고 정체하게 되며 증발기의 자제의 진동에 의한 소음뿐만 아니라 배수판과 국부적으로 접촉된 부위에서도 소음이 발생하게 되었다.
그리고 증발기(14), (15)와 배수판(11) 사이에 일정간격을 떨어지게 한 경우에는 제4도에서와 같이 배수판(11)위로 흘러내린 물방울(16)이 최소한의 표면적을 유지하려는 물방울의 표면 장력현상에 의하여 즉시 배수공(13)으로 배수되지 못하고 일정한 중량에 도달할 때까지 배수판위에 정체하여 있게 되는 것이다.
현재와 같은 배수판에서는 정체되어 있는 물방울이 즉시 배수되어 지지 못하고 재증발하여 공기중에 분산되므로 제습효과가 떨어지게 되는 것으로 열교환기 부근에는 흡입팬에 의하여 공기의 흐름이 항상 빠르게 일어나고 있어 정체된 물방울의 재증발 현상이 더욱 커져 제습 효율을 감소시키는 직접적인 영향을 주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같은 제반 문제점에 착안하여 열교환기에 의하여 생성된 제습수가 증발기를 타고 흘러내려와 배수판의 경사면을 타고 즉시 배수되어질 수 있게 하고, 증발기가 자체 진동하지 못하도록 지지하여 주는 리브를 배수관에 형성시킨 것으로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코일형 증발기(5)를 본 고안의 배수판(1)에 적용한 것으로, 내향 경사면(2)의 중앙에 배수공(3) 관통된 배수관(1)의 내면에 코일형 증발기(5)가 얹혀지는 골진부위 (4-1)를 일정간격으로 파도지게 형성한 리브(4)를 형성하여 주되, 리브(4)의 상면 요철부는 수평을 유지하게 하여 증발기가 안정적으로 안치되어지게 하였으며, 리브(4)의 바닥면은 배수판(1)의 내향 경사면(2)과 같은 경사면으로 하여 증발기를 타고 흘러내리는 제습수가 증발기(5)에서 리브(4)를 거쳐 원활히 배수공(3)으로 흘러 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제2도는 코일형 증발기를 얹어 놓을 수 있도록 한 배수판(1) 일부확대 사시도로써 중앙의 배수공(3)으로 제습수가 원활히 흘러 배수되어질 수 있도록 내향으로 경사면(2)을 이룬 배수판(1)의 내면에 서로 대향지고 평행을 이루는 두줄의 리브(4)를 양쪽으로구비시키되, 코일형 증발기(5)가 얹혀져 유동하지 못하도록 요형(凹形)과 철형(凸形)을 일정하게 형성시켜 놓아 증발기(5)가 요형부위에 안정적으로 얹어져 있게 한 것이다.
제3도는 배수관(1)에 상향돌설된 두줄리브(4)에 코일형 증발기(5)가 얹혀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배수관(1)의 내향 경사면(2)에는 두줄의 리브(4) 평행으로 형성되어 져 이에 얹어지는 코일형 증발기(5)가 리브(4)의 요형 부위에 안정적으로 얹어지게 되므로 증발기의 자체 진동을 억제 흡수하는 역할을 하여줌과 동시에 증발기를 통하여 흘러 내리는 제습수는 증발기에서 직접 리브(4)로 연결되어 배수판(1)의 경사내면을 타고 내향 경사면으로 흘러 내려가게 되는 것으로 그 원리는 제습수가 배수판에 흘러 내릴 때 물방울이 되려고 하는 표면 장력을 깨어 뜨리도록 물 안내 역할을 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된 본 고안은 제습기나 에어컨디셔너와 같이 냉동싸이클을 운전하여 증발기에서 응축되어 증발기를 타고 흘러 내리는 제습수가 리브를 타고 연속적으로 흘러내려 가게 하여 제습수의 재증발을 최대한 억제하여 제습효과를 높혀 주었고, 증발기의 하부를 리브가 밀착 상태로 지지하여 증발기의 자체 진동으로 인한 소음을 없게 함과 동시에 증발기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보강효과도 얻게 하여 준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제1도와 같이 코일형 증발기에는 굴곡진 파도형상의 요철을 형성하여 골진 부위에 코일형 증발기를 얹혀 지지하여 주므로써 유동을 억제하고 증발기와의 접촉면을 넓혀 사용할 수도 있으며, 핀형 증발기에 본 고안의 배수판을 적용할 때에는 파도형상이나 요철형상은 물론이고 톱니형상을 갖는 리브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리브 방법 이외에 소형의 돌기부를 열을 지어 형성시켜 놓고 이를 이용토록 하므로써 본 고안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도 있게 한 것이다.

Claims (1)

  1. 제습기 또는 에어컨디셔너와 같이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증발기에서 응축된 제습수를 배수하는 장치에 있어서, 골진부위(4-1)에서 증발기(5)가 얹어지고 제습수 흐름안내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상면에 굴곡진 파도형상의 요철면을 갖춘 리브(4)형 부재를 배소공(3)을 중심으로 병행이며 대향지게 배수판(1)의 내향 경사면(2)에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한 증발기용 배수판 구조.
KR2019890020310U 1989-12-29 1989-12-29 증발기용 배수판구조 KR9100083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20310U KR910008397Y1 (ko) 1989-12-29 1989-12-29 증발기용 배수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20310U KR910008397Y1 (ko) 1989-12-29 1989-12-29 증발기용 배수판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2099U KR910012099U (ko) 1991-07-30
KR910008397Y1 true KR910008397Y1 (ko) 1991-10-18

Family

ID=19294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20310U KR910008397Y1 (ko) 1989-12-29 1989-12-29 증발기용 배수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839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2099U (ko) 199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89895A (en) Cooling tower fill bar
US5271241A (en) Drain water evaporating device for use in a refrigerator
KR910008397Y1 (ko) 증발기용 배수판구조
CA1133824A (en) U-bar fill
US4328176A (en) Apparatus for damping the noise in cooling towers
US5934086A (en) Absorption refrigerator
JP4495006B2 (ja) 空気調和機
KR20070027309A (ko) 냉장고용 제상수 증발장치
JP3924902B2 (ja) 車両用空調装置の冷却ユニット
JPH0541303Y2 (ko)
KR840002511Y1 (ko) 에어콘의 응축수를 이용한 방열장치
CN217031548U (zh) 一种散热支架及除湿机
KR900008192Y1 (ko) 냉장고의 제상수 배수장치
JP2014018393A (ja) 衣類処理装置
JPH09210406A (ja) 局所冷房機のドレン水滴下装置
JP2019142360A (ja) 車両用空調装置
RU202795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воздуха
KR100752329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하는 배수형 제습장치
JPS5818592Y2 (ja) 通水式冷房機
JPS5848525Y2 (ja) 空気調和機の熱交換器
RU2184331C2 (ru) Блок водоуловителя градирни
KR200184053Y1 (ko) 냉각기의 냉각탑 엘리미네이트
JPH0849873A (ja) 局所冷房機
JPS6130096Y2 (ko)
CN114087751A (zh) 一种散热支架及除湿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