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056B1 - 타이어가황기의 금형중심맞춤겸 클램프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가황기의 금형중심맞춤겸 클램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056B1
KR910008056B1 KR1019890016358A KR890016358A KR910008056B1 KR 910008056 B1 KR910008056 B1 KR 910008056B1 KR 1019890016358 A KR1019890016358 A KR 1019890016358A KR 890016358 A KR890016358 A KR 890016358A KR 910008056 B1 KR910008056 B1 KR 910008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entering
clamp
vulcanizer
clamp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6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7585A (ko
Inventor
히데아끼 카타야마
토시후미 무라카미
코오지 소에다
요시야 쿠보타
쇼오지 오까모도
아끼노리 쿠보타
미찌히또 코바야시
마사아끼 이지리
스스무 오자와
키요시 토모사다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우에다 쇼오지
스미토모고무코오교 카부시키가이샤
카쯔라다 시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우에다 쇼오지, 스미토모고무코오교 카부시키가이샤, 카쯔라다 시즈오 filed Critical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7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24Drums
    • B29D30/26Accessories or details, e.g. membranes, transfe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62Accessories, details or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8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positioning only
    • B23Q3/183Cent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0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 B29C33/303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centering mould parts or halves, e.g. during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0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 B29C33/305Mounting of moulds or mould support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타이어가황기의 금형중심맞춤겸 클램프장치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요부의 측면도.
제1도는 가황기내에 반입된 금형에 대하여 센터링을 개시하는 상태.
제2도는 제1도의 금형에 대한 센터링종료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3도는 제2도의 III-III사시도.
제4도는 제1도의 IV-IV단면도.
제5도는 제2도의 V-V단면도.
제6도는 금형 및 제1도, 제2도에 도시한 중심맞춤겸 클램프장치의 평면도.
제7도는 타이어가황기의 전체정면도.
제8도는 종래의 타이어가황기의 금형클램프기구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9도는 제8도의 IX-IX선을 따른 평면도.
제10도는 클램프봉의 축심을 따른 종단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XI-XI선을 따른 단면도.
제12도는 제11도에 대해서, 클램프발톱이 90°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26 : 하부금형
27 : 상부금형 51 : 유체압실린더
52 : 피스톤로드 53 : 무지향성 베어링
56 : 평행링크 58 : 링크
57 : 센터링부재 63, 65 : 중심맞춤면
64 : 클램프발톱 70 : 압력유체급배라인
본 발명은, 타이어가황기에 있어서, 가황해야 할 타이어의 치수, 종류의 변경시에 금형을 교환하는데 있어서, 가황기내에 반입된 금형의 센터링과 하부금형의 클램프작업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가황기에 있어서, 가황용금형은 타이어의 종류마다, 치수마다 각각 다른 형상이며, 타이어 생산계획에 따라서, 금형의 교환작업을 빈번히 행할 필요가 있다.
종래, 상하부금형은 각각 상하부열판에 볼트조임으로 고정되고 있었으나, 금형교환작업에 불편하고 장시간을 소요하기 때문에, 최근, 그 개량이 제안되고 있다.
그 하나가 일본국 특원소 60-37704호에 개시된 발명이며, 이것을 제8도∼제12도에 의해서 설명한다.
제8도∼제12도에 있어서, 타이어가황기내부의 금형장착부분은, 하부금형에 대해서는 가황기프레임(1)의 위에 단열재(2), 하부열판(3)을 볼트(4)에 의해서 프레임(1)에 꽉조여 고정되어있다.
상부금형에 대해서는, 보울스터플레이트(5)의 하면에 단열재(6), 상부열판(7)을 볼트(8)로 미리 일체적으로 꽉조여 고정되어있다. 보울스터플레이트(5)는 도시생략의 승강장치와 가이드장치에 의해, 프레임내를 정확하게 승강한다.
클램프봉(9)는, 보울스터플레이트(5), 단열재(6), 상부열판(7)의 구멍을 관통해서 미리 짜넣어져있다. 클램프봉(9)의 하단은 클램프발톱(10)을 형성하고, 상단은 회전용레버(13)을 키이(14)를 개재해서 끼워맞춘다. 클램프봉(9)의 축중간에 스프로켓휘일(11)과 키이(12)를 장착한다. 또 클램프봉(9)의 중간부에 숫나사(15)를 형성하고, 이 숫나사(15)는 볼트(30)에 의해서 보울스터블레이트(5)에 고정된 너트(16)과 나사맞춤한다. 베어링(17), (18)은 클램프봉(9)를 지지한다.
클림프봉(9)는 보울스터플레이트(5)의 평면상에 등간격으로 4개소 짜넣어지고, 각각의 스프로켓휘일(11)은 로울러체인(19)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으며, 클램프봉(9)의 회전이 4개소에 동시에 전달된다.
스프로켓휘일(20)은 로울러체인(19)의 이완방지용이 어들러이다.
실린더(21)의 작동은 레버(13), 키이(14)를 개재해서 클램프봉(9)에 회전을 부여한다. 클램프철물(22), 링크(23), 레버(24), 실린더(25)는 하부금형(26)과 하부열판(3)의 클램프에 사용된다.
상부금형(27)의 상면에 미리 클램프보조판(28)을 볼트(29)로 꽉조여두고, 상부금형(27), 클림프보조판(28)은 일체적인 상태에서 가황기내에 반입한다.
금형을 가황기내에 반입할때는, 먼저 보울스터플레이트(5), 단열판(6), 상부열판(7)을 일체로 해서 상승 한도까지 끌어올리고, 금형의 반입스페이스를 넓혀둔다. 다음에 상, 하금형(27), (26), 클램프보조판(28)을 포오크리프트 등의 운반기기에 의해서, 가황기내 하부열판(3)위의 정규위치에 착좌시킨다.
다음에 보울스터플레이트(5)를 하강시켜 상부열판(7)과 클램프보조판(28)을 밀착시킨다. 이때 클램프발톱(10)은 제11도에 도시한 위치에 클램프보조판(28)의 구멍에 수납되어있지 않으면 안된다. 다음에 실린더(25)를 구동시켜 클램프철물(22)가 하부금형(26)의 홈(31)에 맞물려 하부열판(3)과, 홈(31)은 클램프된다.
다음에 실린더(21)을 작동하여, 클램프봉(9)를 회전시키고,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발톱(10)이 약 90。C회전해서, 상부열판(7)과 클램프보조판(28)을 클램프한다. 클램프봉(9)가 회전할 때 나사(15)에 의해 클램프봉(9)가 끌어올려지고, 상부열판(7)과 클램프보조판(28)은 강고하게 밀착한다.
상기한 종래 장치에서는, 교환용의 상하부금형을 가황기내에 반입한 후의 센터링기구가 없고, 금형의 중심맞춤작업을 손작업으로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장시간을 소요하고, 또한 위험하기도 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결점을 배제하고, 금형교환시 센터링작업과 하부금형의 클램프작업을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상부에 무지향성베어링을 장착한 피스톤로드를 가진 유체압실린더를 금형외주에 근접해서 가황기프레임상에 세워 설치한다. 바깥쪽 부분을 평행링크기구에 의해 가황기프레임에 연결된 센터링부재의 하단부를 링크를 개재해서 피스톤로드에 연결한다. 센터링부재의 안쪽면 및 하부금형의 외주면에 각각 중심맞춤면을 형성한다. 또 센터링부재의 안쪽면상부에 하부금형의 가장자리와 걸어맞추는 클램프발톱을 형성한다.
무지향성베어링을 장착한 피스톤로드의 위에 상하부금형을 얹어놓으면, 그 중량에 의해 피스톤로드가 하강하고, 동 피스톤로드에 링크를 개재해서 연결된 센터링부재가, 평행링크기구의 운동에 의해, 가황기중심 방향으로 이동해서 금형의 측면을 밀어, 센터링을 행한다. 따라서, 금형이 하부열판면에 착좌한 시점에서 금형의 센터링작업이 저절로 종료된다.
또, 이 상태에서 센터링부재에 배설한, 글램프발톱이 하부금형의 가장자리에 당접하므로, 유체압실린더에 클램프용압력유체를 공급하면, 하부금형의 클램프가 행하여진다.
제7도에 본 발명을 적용한 타이어가황기의 전체구성을 도시한다.
설치대 A에 문형식의 프레임(1)이 설치되고, 동 프레임에 2기의 동일형상의 가황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가황장치는 상하부금형(27), (26)을 가지고, 하부금형(26)은 하부열판(3)을 개재해서 프레임(1)에, 또, 상부금형(27)은 상부열판(7)을 개재해서 보울스터플레이트(5)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보울스터플레이트(5)는 승강실린더(100)에 연결되고, 상부금형을 타이어가황작업의 전후에 위쪽으로 퇴피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하 제2도∼제6도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중, (50)은 프레임(1)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지지판으로서, 하부금형(26)의 주변 3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51)은 동 지지판(50)의 하면에 대략수직으로 고정된 유체압실린더로서, 그 피스톤로드(52)가, 동 지지판(50)을 관통해서 위쪽으로 뻗어있다.
(53)은, 동 피스톤로드(52) 선단의 브래킷(54)에 착설된 무지향성베어링이며, 상기 액체압실린더(51)과 더불어, 금형지지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55)는, 상기 지지판(50)에 수직으로 고정된 브래킷으로서, 이것에 2개의 평행링크(56)을 개재해서 센터링부재(57)이 연결되고, 센터링부재(57)의 하단은 링크(58)을 개재해서, 상기 피스톤로드(52)의 브래킷(54)에 연결되어 있다. (59), (60), (61), (62)는 각각, 상기 링크(56), (58)과 센터링부재(57) 및 브래킷(54)를 피봇장착하는 핀이다. 또한, 상기 센터링부재(57)의 안쪽면(하부금형(26)에 대향하는 면)에는, 수평단면이 V형을 한 중심맞춤면(63)과, 하부금형고정용의 하부의 클램프발톱(64)가 형성되어 있다.
(65)는, 상기 센터링부재(57)에 대응하는 하부금형(26)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평단면이 V형을 한 중심맞춤면이다.
또한, 상기 유체압실린더(51)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66)에 의해서 상하부압력실(67), (68)로 구획되어 있으며, 이들 압력실에 절환밸브(69)를 개재해서 압력유체급배라인(70), (71)이 접속되어 있다. (72)는 아래쪽 압력실(68)과 절환밸브(69)사이의 압력유체라인(71)에서부터 분기된 배출라인으로서, 이것에 릴리이프밸브(73)이 배설되고, 규정압이상의 압력유체는 여기서부터 실린더밖으로 배출된다.
이상의 장치에 있어서, 금형교환시에 포오크리프트 등의 운반수단에 의해서 세금형(상하부금형이 짝으로 되어 있다)을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형지지부재(54)의 무지향성베어링(53)위에 얹어놓으면, 금형의 중량에 의해서, 유체압실린더(51)의 하부압력실(68)내의 압력이 규정치이상으로 상승하고, 릴리이프밸브(73)으로부터 배출된다. 그 때문에 금형 및 그 지지부재(베어링(53), 브래킷(54), 피스톤로드(52))는 하강한다. 이때 피스톤로드(52)에 링크(58)에 의해서 연결된 센터링부재(57)이 아래쪽으로 끌어당겨져서, 링크(56)의 지점핀(59)를 중심으로 가황기중심방향으로 평행이동하고, 베어링(53)위의 금형을 가황기중심방향으로 민다. 또 최종단계에서 센터링부재(57)의 안쪽면에 형성된 V형단면의 중심맞추기면(63)이 금형쪽에 형성된 중심맞추기면(65)에 끼워맞추어져서, 금형의 원주방향의 센터링도 행하여진다.(제2도의 상태). 이 상태에서부터 절환밸브(69)를 조작해서 상부압력실(67)에 클램프용 압력유체를 공급하면, 클램프발톱(64)에 의해, 하부금형(26)은 하부열판(3)면에 압착고정된다.
또한 제6도에 있어서, a, c는 센터링부재(57)이 상승위치(제1도)에 있는 상태, b는 센터링부재(57)이 하강위치(제2도)에 있는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정상부에 무지향성베어링을 장착한 피스톤로드를 가지고 금형외주에 근접해서 가황기프레임에 세워설치된 복수의 유체압실린더와, 바깥쪽부분을 평행링크기구에 의해 가황기프레임에 연결되고 하단부를 링크를 개재해서 피스톤로드에 연결된 센터링부재와, 센터링부재의 안쪽면 및 하부금형의 외주면에 각각 대향해서 형성된 중심맞춤면과, 센터링부재 안쪽면의 상부에 형성된 하부금형의 가장자리와 걸어맞추어지는 클램프발톱을 구비하므로서, 다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① 금형교환시의 센터링작업이 자동적으로 행하여져서, 전혀 사람손을 필요로 하지않기 때문에, 금형교환작업을 격단으로 능률화할 수 있다.
② 센터링후의 하부금형의 클램프도, 유체압실린더용 절환밸브의 원격조작에 의해 원터치로 행할 수 있으므로 안전하고 대폭적인 생략화가 가능하다.

Claims (3)

  1. 정상부에 무지향성베어링을 장착한 피스톤로드를 가지고 금형외주에 근접해서 가황기프레임에 세워설치된 복수의 유체압실린더와, 바깥쪽부분을 평행링크기구에 의해 가황기프레임에 연결되고 하단부를 링크를 개재해서 상기 피스톤로드에 연결된 센터링부재와, 센터링부재의 안쪽면 및 하부금형의 외주면에 각각 대향해서 형성된 중심맞춤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가황기의 금형중심맞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센터링부재 안쪽면에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금형의 가장자리와 걸어맞추게 되는 클램프발톱과 유체압실린더에의 클램프용 압력공급라인을 구비한 타이어가황기의 금형중심맞춤겸 클램프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유체압실린더의 금형을 지지하는 압력실과 연락된 배출라인에 릴리이프 밸브가 배설된 타이어가황기의 금형중심맞춤겸 클램프장치.
KR1019890016358A 1988-11-11 1989-11-11 타이어가황기의 금형중심맞춤겸 클램프장치 KR9100080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83801A JPH0637057B2 (ja) 1988-11-11 1988-11-11 タイヤ加硫機の金型芯合せ兼クランプ装置
JP63-283801 1988-1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585A KR900007585A (ko) 1990-06-01
KR910008056B1 true KR910008056B1 (ko) 1991-10-07

Family

ID=17670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6358A KR910008056B1 (ko) 1988-11-11 1989-11-11 타이어가황기의 금형중심맞춤겸 클램프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955799A (ko)
EP (1) EP0368286B1 (ko)
JP (1) JPH0637057B2 (ko)
KR (1) KR910008056B1 (ko)
DE (1) DE6891822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8269A (en) * 1990-10-09 1992-06-02 Cooper Tire & Rubber Company Mold clamps for a vulcanization press
DE4120657A1 (de) * 1991-06-22 1992-12-24 Krupp Maschinentechnik Reifenheizpresse mit wechselbaren reifenformteilen
US5773041A (en) * 1997-06-11 1998-06-30 Mcneil & Nrm, Inc. Mold clamping system
EP2289687A1 (de) 2007-05-16 2011-03-02 Entex Rust & Mitschke GmbH Verfahren zur Verarbeitung von zu entgasenden Produkte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64090A (en) * 1967-09-26 1969-09-02 Nrm Corp Tire curing press
US3545050A (en) * 1969-01-30 1970-12-08 I S I Mfg Inc Power clamp with pull-back action
US3833323A (en) * 1973-02-26 1974-09-03 Uniroyal Ag Segmental mold
DE2529901A1 (de) * 1975-07-04 1977-06-02 Zemme Franz Vulkanisiermaschine zur herstellung oder erneuerung von reifen mit einspannvorrichtungen zwecks verspannung scheibenfoermiger elemente eines druckstockes
AT339757B (de) * 1975-10-03 1977-11-10 Polyair Maschinenbau Gmbh Vorrichtung zum giessen oder spritzen von fahrzeugreifen
DE3444688C2 (de) * 1984-12-07 1995-12-07 Krupp Ag Hoesch Krupp Reifenheizpresse
US4601648A (en) * 1985-09-09 1986-07-22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Mold clamp mechanism for tire press
DE3631533A1 (de) * 1986-09-17 1988-03-24 Herbert Maschbau Kg Reifenvulkanisierform
JPH01197207A (ja) * 1988-01-29 1989-08-08 Hitachi Ltd 入出庫棚決定運用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68286B1 (en) 1994-09-14
EP0368286A2 (en) 1990-05-16
DE68918224T2 (de) 1995-03-09
EP0368286A3 (en) 1991-12-27
KR900007585A (ko) 1990-06-01
US4955799A (en) 1990-09-11
JPH0637057B2 (ja) 1994-05-18
JPH02130110A (ja) 1990-05-18
DE68918224D1 (de) 1994-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61011B1 (en) Hydraulic tire press
EP0115431A1 (en) Mold clamping mechanism for a tire curing press
EP0444718B1 (en) Tyre vulcanizer
KR910008056B1 (ko) 타이어가황기의 금형중심맞춤겸 클램프장치
KR910005209B1 (ko) 타이어가황기의 중심기구
KR850001466B1 (ko) 타이어 가황프레스
KR920000184B1 (ko) 타이어 가황기의 상부금형 클램프장치
US3336635A (en) Press for shaping and curing pneumatic tires
US2879545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clamping mold sections in rotational casting machines
KR0149977B1 (ko) 블래더리스타이어가류기에의 생타이어장착방법 및 그 장치
KR910005132B1 (ko) 타이어가황기의 그리인타이어 삽입장치
US4834636A (en) Tire centering and removal device for a tire vulcanizing press
CN86100360A (zh) 装配于硫化压机中用来对拟取下之轮胎进行定心的装置
US3015130A (en) Retreading equipment
JP3762092B2 (ja) タイヤ加硫機の型締装置
US5082434A (en) Tire vulcanizing machine
US2348403A (en) Method of making press structures
JP3806247B2 (ja) タイヤ加硫機及びタイヤプレス方法
EP0385477B1 (en) Drain ejector in a tire vulcanizing machine
CN217319141U (zh) 一种注塑产品加热成型用夹持稳定机构
KR0135653B1 (ko) 타이어 제조용 가류기의 모울드 클램핑장치
JP2647820B2 (ja) タイヤの加硫成形方法
JP2750189B2 (ja) タイヤ加硫機の中心機構
JPH05228938A (ja) タイヤ加硫機
JPS615716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5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