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007Y1 - 차량조립용 다용도 리프터 - Google Patents

차량조립용 다용도 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007Y1
KR910008007Y1 KR2019890008816U KR890008816U KR910008007Y1 KR 910008007 Y1 KR910008007 Y1 KR 910008007Y1 KR 2019890008816 U KR2019890008816 U KR 2019890008816U KR 890008816 U KR890008816 U KR 890008816U KR 910008007 Y1 KR910008007 Y1 KR 9100080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er
slide plate
double
support plat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88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0418U (ko
Inventor
손경목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이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이양섭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088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8007Y1/ko
Publication of KR9100004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4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0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0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one or more hydraulic or pneumatic jacks
    • B66F7/2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one or more hydraulic or pneumatic jacks by several jacks with means for maintaining the platforms horizontal dur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조립용 다용도 리프터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조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X-X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적용된 승강용 공압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복동실린더 3 : 지지판
4 : 피스톤로드 7 : 고압컨트롤부
8, 9 : 페달 11 : 슬라이드판
12 : 볼 베어링 13 : 스톱피
14 : 방향제어밸브 15, 16 : 파일러트밸브
본 고안은 차량조립용 다용도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조립공정을 요약하면 바디에 도어 및 내부 액서사리를 부착한 다음, 엔진과 변속기를 장착하고 다음에 후착축을 부착하는 순서로 행해진다.
상기 고정에서 바디는 전 공정을 순환하는 행거에 의해 현수되어 단계별로 끊임없이 반송되면서 차례로 각각의 어셈브리 조립이 행해지는 것이다.
여기서 엔진, 변속기, 연료탱크등의 중량물은 작업자가 인력으로 취급하기 곤란한 까닭에 적당한 리프팅설비를 필요로 하게 된다.
종래에 조립단계별로 전용의 정치식 유압리프터를 배치하여 놓고 각각의 어셈브리를 조립할 수 있게 하고 있으나, 이렇게 하면 장비의 설비비도 비쌀 뿐더러, 각 장비의 용도가 일정분야로 제한되어 비경제적이고, 더구나 각 단계별 장비의 부품을 상호 대체 내지는 표준화하기가 곤란해져서 설비유지에도 값비싼 대가를 치루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려면 각 단계별로 전용의 리프팅설비를 배치하기 보다는 상호 공용될 수 있는 리프터의 개발이 훨씬 경제적인 수 있다.
한편, 상급 정비업소에서 엔진의 해체 정비에 사용하고 있는 호이스트, 크레인, 스탠드등을 조립라인에 활용하는 것도 검토하여 볼 수 있으나, 이들도 엔진수리용 또는 변속기해체용 등으로 구분되어서 공용화가 어렵고, 차체로 부터 어셈브리를 들어 올리는 작업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이므로, 차량조립라인에서는 바디가 현수된 상태에서 어셈브리를 리프팅하여 조립하기에는 많은 무리가 뒤따른다.
단일 구조의 조립용 리프터를 모든 단계의 부품 조립에 사용 가능케 하기 위하여 다용도성을 갖추게 하려면, 다음 몇가지 기능이 필수적 요건으로 된다.
작업대는 부품 어셈브리를 종류에 관계없이 안정된 상태로 리프팅시킬 수 있어야 한다.
또, 작업대는 리프팅된 부품 어셈브리를 부착위치에 정확히 일치시킬 수 있도록 전방향 수평이동이 가능해야 하고, 이에 덧붙여서 작업대의 리프팅조작이 간편해야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 조립용 리프터에 요구되는 상기의 요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차량조립용 다용도 리프터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복동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의해 승강되는 지지판 상에 슬라이드판을 전방향 수평이동 가능하 재치하고, 1쌍의 페달로써 공압컨트롤부를 제어하여 상기한 복동실린더가 지지판을 임의 높이로 승강구동함과 동시에 임의 높이로 정지 보전할 수 있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지지판은 밑면 중앙부가 복동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고정부착되고, 또 상면에는 다수의 볼 베어링이 소정위치로 배치되어 상기한 슬라이드판을 전방향 이동가능하게 지지시켜 준다.
그리고 슬라이드판은 밑면 중앙에 무한고리상으로 돌출형성되는 스톱퍼를 보유하며, 이 스톱퍼에 의해 슬라이드판의 전압향 수평이동이 일정범위 내로 제한된다.
스톱퍼의 무한고리 형태는 4각형, 6각형, 8각형, 원형중의 어느 한 형태로 할 수 있으며, 4각형태가 제작이 용이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공압컨트롤부는 상기한 페달에 의햄 방향제어밸브가 파일러트되어 상기한 복동실린더의 포트중 어느 한쪽으로 공압을 선택 인가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공갑은 통상의 캠프레서에서 감압밸브를 경유하여 상기한 방향 제어밸브로 공급되게 결선되어 있다.
상술한 공압컨트롤부에 있어서, 방향제어밸브의 파일러트는 컴프레서로 부터 공급되는 공압을 일부분지하여 놓고, 상기한 페달의 조작에 따라 파일러트밸브가 개폐되어, 분지된 공압을 상기한 방향제어밸브로 가해지게 함으로써 행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의 도시와 같이 내부에 복동실린더(1)이 수직설치된 함체(2)의 상방에 지지판(3)을 설치하고, 그 밑면 중심부를 상기한 복동실린더(1)의 피스톤로드(4)에 고정부착한다.
지지판(3)은 피스톤로드(4)의 진퇴에 수반하여 승강되는 것으로서, 승강시의 안정화를 위하여 지지판(3)의 밑면 외주측에 상기한 피스톤로드(4)와 나란하게 다수의 가이드포스트(5)를 연장시켜서, 함체(2)의 가이드관(6)을 통하여 진퇴되게 함이 좋다.
함체(2)의 내부에는 공압라인을 경유하여 복동실린더(1)의 양 포트로 공압을 공급하여 주는 공압컨트롤부(7)을 설치하여 놓고, 이 공압컨트롤부(7)과 연계되는 1쌍의 페달(8)(9)를 함체(2)의 하측방에서 적당한 위치로 비치하여 둔다.
공압컨트롤부(7)로 공급되는 공압은 별도 설치되는 통상의 컴프레서(도시 생략)에 의해 발생되고, 함체(2)에 부착된 커넷터(10)을 경유하여 공급되어진다.
지지판(3)의 상측방으로는 슬라이드판(11)을 재치한다.
이 슬라이드판(11)은 지지판(3)의 상방에 고정배치된 다수의 볼 베어링(12)에 의해 지지되어 전방향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볼 베어링(12)는 레이스의 상하면으로 볼이 노출된 구조로 되어 있어서, 볼이 지지판(3)과 슬라이드판(11) 사이에서 전동함에 따라 슬라이드판(11)의 미끄럼운동이 부드럽게 된다.
한편, 슬라이드판(11)은 밑면 중심부에 무한고리상으로 돌출형성된 스톱퍼(130을 보유하고 있어서, 일정하게 제한된 범위 내에서의 수평이동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2도는 지지판(3)의 상면에 배치되는 볼 베어링(12)와, 슬라이드판(11)이 보유한 무한고리상 스톱퍼(13)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스톱퍼(13)의 무한고리형태는 정4각형으로 되어 있다.
다수의 볼 베어링(12)는 슬라이드판(11)의 하중을 균일하게 분산지지할 수 있도록 중앙부와 외주 사방에 배치되며, 특히 중앙부에 밀집된 볼 베어링(12)는 스톱퍼(13)의 내측으로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판(11)은 다수의 볼 베어링(12)를 타고 임의 방향으로 수평이동될 수는 있으나, 그 이동범위는 스톱퍼(13)의 내측벽면이 중앙측 볼 베어링(12)의 외측단에 닿는 위치로 제한되어지는 것이다.
제3도는 본 고안에 적용된 공압회로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공압컨트롤부(7)은 커넥터(10)을 통해 공급되는 공압을 균일화시키는 감압밸브(13)과 여기를 통해 공급되는 공압을 복동실린더의 양 포트로 선택 공급하는 방향제어 밸브(14), 그리고 양 페달(8)(9)에 의해 개폐되어 상기한 감압밸브(13)을 거쳐 공급되는 공압의 일부를 방향제어 밸브(14)로 인가하여 연동시키는 1쌍의 상폐형 파일러트 밸브 (15)(16)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방향제어밸브(14)는 복동실린더(2)의 양 포트를 상반된 위상으로의 개폐와 양 포트의 동시폐쇄를 행할 수 있어야 하므로, 예시한 바와 같은 파일러트식 4포트 3방향밸브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서 방향제어밸브(14)의 출력포트(P1), (P2)는 각각 복동실린더(2)의 양 포트에 접속되고, 입력포트(P3)는 감압밸브(13)의 방출단으로 접속되며, 또 배출포트(P4)는 대기중으로 열려지게 된다.
한편, 복동실린더(2)의 양 포트와 방향제어밸브(14)의 출력포트(P1)(P2) 사이에는 각각 속도제어밸브(17)(18)이 개재되어서 라인을 통해 공압이 누출되는 사태가 발생하면 복동실린더(2)에 충전된 공압의 누출을 지연시켜 안전사고를 박아주게 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은 슬라이드판(11) 상에 부품어셈브리를 적재하여 놓고, 양 페달(8)(9)중의 하나를 조작하면 상기한 부품어셈브리를 승강시켜 바디의 부착 위치로 옮겨준다.
즉, 페달(8)을 조작하면 파일러트밸브(15)가 개방되어 방향제어밸브(14)를 제3도의 우측으로 파일러트하게되고, 이로 말미암아 출력포트(P1)은 입력포트(P3)와 연통되는 한편, 출려포트(P2)는 배출포트(P4)로 연통되므로 피스톤 로드(4)는 지지판(3)을 상승시키고, 반대로 페달(9)를 조작하면 복동실린더(2)의 양 포트는 상기와는 역위상으로 개폐되어 피스톤로드(4)는 지지판(3)을 하강시켜주는 것이다.
이와 같이 지지판(3)을 승강시켜서 부품어셈브리를 바디의 장착위치로 이송한 후, 작업자는 위치를 일치시키면서 조립을 행한다.
이 과정에서 부품어셈블리가 장착위치에서 어긋나 있으면, 슬라이드판(11)을 지지판(3)에 대해 수평이동 시키면서 부품어셈브리의 자세를 수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부품어셈브리를 적재하기 위한 슬라이드판이 모든 종류의 부품에 적용될 수 있는 평판상으로 되고, 전방향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조립시의 자세수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서 조립작업에 구조적인 장애를 일으키지 않는다.
그러므로 차량의 전체 조립공정에 본 고안의 리프터를 시설할 경우, 간단한 구조에 따르는 저렴한 제조비와 함께 리프터의 부품을 표준화 및 규격화할 수 있어서 보수유지비도 저렴해지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복동실린더(2)의 피스톤로드(4)에 의해 승강되고, 상면에 다수의 볼 베어링(12)가 다수 고정배치된 지지판(3)과, 상기한 볼 베어링(12) 상에 전방향 수평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한 지지판(3)의 중앙측 볼 베어링(12)를 내부에 수용하는 무한고리상의 스톱퍼(13)이 밑면에 돌출형성된 슬라이드판(11)과, 1쌍의 페달(8)(9)에 연계된 1쌍의 파일러트되어 상기한 복동실린더(2)의 양 포트중 어느 한쪽으로 공압을 선택 인가하는 공압컨트롤부(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조립용 다용도 리프터.
  2. 제1항에 있어서, 슬라이드판(11)의 무한고리상 스톱퍼(13)이 4각형, 6각형, 8각형 또는 원형중의 어느 한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조립용 다용도 리프터.
KR2019890008816U 1989-06-26 1989-06-26 차량조립용 다용도 리프터 KR9100080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8816U KR910008007Y1 (ko) 1989-06-26 1989-06-26 차량조립용 다용도 리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8816U KR910008007Y1 (ko) 1989-06-26 1989-06-26 차량조립용 다용도 리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418U KR910000418U (ko) 1991-01-22
KR910008007Y1 true KR910008007Y1 (ko) 1991-10-10

Family

ID=19287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8816U KR910008007Y1 (ko) 1989-06-26 1989-06-26 차량조립용 다용도 리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800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077B1 (ko) * 2000-12-27 2004-02-25 한전기공주식회사 차단기 적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418U (ko) 1991-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9143893A (ja) 可変作動範囲を有するクレーンジブ装置
US3524556A (en) Ordnance lift
US2821264A (en) Ram construction for lift truck
US4741412A (en) Elevating device for a work vehicle
CN106347196B (zh) 汽车尾板
KR910008007Y1 (ko) 차량조립용 다용도 리프터
CN104817042B (zh) 一种液压叉车
US4449614A (en) Lift device
US2755939A (en) Hydraulic crane
US3446366A (en) Maintenance lift
CN110977899A (zh) 一种阀门装配平台
US2088260A (en) Hydraulic load handling system for industrial trucks
CN211417062U (zh) 一种移动式道路自适应增材制造方舱
SE1850478A1 (en) Material handling vehicle
CN211681975U (zh) 一种阀门装配平台
JPH0638080Y2 (ja) 荷役用油圧装置
JPS6144798B2 (ko)
KR100441450B1 (ko) 특수 다용도 크레인 및 그것을 적재한 차량
CN219452551U (zh) 一种多油缸液压系统及起重机
CN219194224U (zh) 一种起吊装置
KR200331404Y1 (ko) 3단 마스트 전동지게차
KR100757266B1 (ko) 에어 밸런스 대차
GB2107281A (en) A lifting mechanism
KR0122877B1 (ko) 다단식 실린더형 마스트를 갖춘 지게차
KR20050006599A (ko) 3단 마스트 전동지게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08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