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956Y1 - 편향요오크 구조체 고정구 - Google Patents

편향요오크 구조체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956Y1
KR910007956Y1 KR2019890013717U KR890013717U KR910007956Y1 KR 910007956 Y1 KR910007956 Y1 KR 910007956Y1 KR 2019890013717 U KR2019890013717 U KR 2019890013717U KR 890013717 U KR890013717 U KR 890013717U KR 910007956 Y1 KR910007956 Y1 KR 9100079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lection yoke
bolt
yoke structure
fixing apparatus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37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6398U (ko
Inventor
안인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filed Critical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137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7956Y1/ko
Publication of KR9100063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3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9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9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82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electron-optical or ion-optical arrangements
    • H01J29/823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electron-optical or ion-optical arrangements around the neck of the tube
    • H01J29/826Deflec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편향요오크 구조체 고정구
제1도는 종래의 편향요오크 구조체 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편향요오크 구조체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종래 고정구의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정면도.
재4도는 제3도에 도시된 볼트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 10b : 고정구 11a, 11b : 죔링
12b : 볼트결합부 12b' : 암나사부
12b" : 공회전부 13a, 13b : 볼트
14b : 절개부 14b : 테이퍼
D : 편향요오크 구조체
본 고안은 음극선관용 편향요오크 구조체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체결용 볼트의 이완에 따른 편향요오크 구조체의 위치변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체결용 볼트를 개량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음극선관의 편향요오크 구조체(D)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후단부에 결합된 고정구(10a)에 의해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체결고정되는데, 이 고정구(10a)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판재의 죔링(11a)과 볼트(13a)로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고정구(10a)에 있어서 상기한 볼트(13a)에 의한 죔링(11a)의 체결상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점차 이완되게 되는데, 이는 강한 체결력에 의한 반력이 볼트(13a)와 죔링(11a)과의 치합 부위에 가해지기 때문인 것이다.
이와 같이 체결상태가 이완되면 자연히 편향요오크 구조체의 위치가 변동되게 되는데, 결과적으로 화면에 이상이 발생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발생시키는 체결부위의 이완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량된 편향요오크 구조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편향요오크 구조체를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죔링과, 볼트를 갖춘 편향요오크 구조체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볼트의 성단부에 Y형의 절개단부를 절개 및 절곡 형성하여서, 상기 죔링의 암나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절개단부가 상기 암나부의 직경보다 큰 간격으로 벌어지려고 하는 탄력을 부여하도록 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링(11b)의 개방축 양단부에 나란한 볼트결합부(12b) (12b)가 마련되는데, 볼트(13b)의 단부측의 상기 볼트결합부(12b)에는 암나사부(12b')가, 머리측에는 공회전부(12b")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에 결합되는 볼트(13b)의 단부에는 끄트머리가 뾰족한 테이퍼(15b)가 형성된 Y형 절개부(14b)가 마련되는데, 이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부를 정상적으로 가공하고 그 선단부는 뾰족하게 가공한 상태에서 길이 방향으로 절개하여 Y형으로 절곡하여 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Y형의 절개부(14b)를 볼트를 제조할때 Y형으로 변형시키지 않고 편향요오크를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장착 고정한 후에 변형시킬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단부를 뽀족하게 테이핑 처리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볼트단부에 죔링(11b)의 암나사부(12b)에 대하여 볼트(13b)의 치합상태를 어긋나게 하여 볼트(13b)가 풀리는 쪽으로의 이완을 방지하는 것인바,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죔링(11b)의 암나사부(12b')에 볼트(13b)가 체결되었을때 Y형의 전개부(14b)가 탄력을 가진 채 암나사부(12b')에 밀착되고, 이에 의해 치합부위의 정상적인 물림이 어긋나게 되어서 볼트(13b)의 자연적인 이완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고정구에 있어서 볼트(13b) 선단부 즉 절개부(14b)의 테이퍼(15b)는 절개부(14b)가 Y형으로 벌어진 상태에서도 죔링(11b)의 암나사부(12b')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함인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자연적인 충격이나 기타 요인에 의해 볼트와 암나사부와의 이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바, 이로써 음극선관 네크부에 대한 편향요오크 구조체의 고정상태의 안정화를 기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죔링과 볼트를 갖춘 편향요오크 구조체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볼트(13b) 의 선단부에 Y형의 절개부(14b)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오크 구조체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14b)의 단부에 뾰족한 테이퍼(15b)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오크 구조체 고정구.
KR2019890013717U 1989-09-20 1989-09-20 편향요오크 구조체 고정구 KR9100079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3717U KR910007956Y1 (ko) 1989-09-20 1989-09-20 편향요오크 구조체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3717U KR910007956Y1 (ko) 1989-09-20 1989-09-20 편향요오크 구조체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6398U KR910006398U (ko) 1991-04-25
KR910007956Y1 true KR910007956Y1 (ko) 1991-10-10

Family

ID=19290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3717U KR910007956Y1 (ko) 1989-09-20 1989-09-20 편향요오크 구조체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795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6398U (ko) 1991-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22164B2 (en) Fixing-piece with guide-collar
US6896460B2 (en) Fastener
CA2183287A1 (en) Concrete form spacing fixture
MX9800576A (es) Sujetador antitrasroscable.
JPS5936128B2 (ja) 締付装置
ATE137312T1 (de) Selbstdichtende blindbefestigung
US4972044A (en) Junction box including cable clamps
CA2214357A1 (en) Sheet with integral fastener
KR910007956Y1 (ko) 편향요오크 구조체 고정구
GB1501509A (en) Nut assembly
JP2001027217A (ja) ストッパー付ナット
US4886280A (en) Dart with flight lock
KR940009649B1 (ko) 신속 부착 가능한 단추
JP3489762B2 (ja) ナットの抜止型ボルト
US4775158A (en) Dart with flight lock
US5370485A (en) Coupling apparatus
KR960003779Y1 (ko) 자동차의 체결용 보조구(retainer)
KR0140314Y1 (ko) 자동차의 트림고정용 클립
JPH11280781A (ja) ヨークのクリップ
JPS6339443Y2 (ko)
KR870001240Y1 (ko) 잠금장치를 가진 2중 너트
KR870003393Y1 (ko) 텔레비젼의 루우프 안테나 고정장치
JPH0526564Y2 (ko)
KR0128021Y1 (ko) 클립
KR920000821Y1 (ko) 전선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9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