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021Y1 - 클립 - Google Patents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021Y1
KR0128021Y1 KR2019950047785U KR19950047785U KR0128021Y1 KR 0128021 Y1 KR0128021 Y1 KR 0128021Y1 KR 2019950047785 U KR2019950047785 U KR 2019950047785U KR 19950047785 U KR19950047785 U KR 19950047785U KR 0128021 Y1 KR0128021 Y1 KR 01280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elastic leg
attachment hole
clip
hea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77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2062U (ko
Inventor
조경환
Original Assignee
노정웅
주식회사키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정웅, 주식회사키프코 filed Critical 노정웅
Priority to KR20199500477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8021Y1/ko
Publication of KR9700420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20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0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0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8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the shank of the stud, pin or spigot having elevations, ribs, fins or prongs intended for deformation or tilting predominantl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inse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탄성다리의 반복사용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는 한편, 탄성변형되어 형태가 찌그러지거나 걸림능력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한 클립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클립은, 부착구멍(2)이 뚫어진 패널(1)과 맞닿는 머리부(10)와, 상기 머리부(10)의 하면에 원추대 형상으로 부착구멍(2)에 끼워 걸려지며, 슬릿(21)이 그 사이로 절취되어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성형되는 탄성다리(20)들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탄성다리(20)의 분활위치로 상기 탄성다리(20)가 부착구멍(2)으로 삽입될 때 내측을 향해 신축되는 변위한도를 결정하기 위한 가이드부재(3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클립
제1도는 본 실시예에 관한 클립의 사시도.
제2도는 본 실시예에 관한 클립의 반단면도.
제3도는 본 실시예에 관한 클립의 저면도.
제4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패널 2 : 부착구멍
10 : 머리부 20 : 탄성다리
30 : 가이드부재
본 고안은 부착판에 형성된 부착구멍에 끼워걸어서 부착판에 트림(trim)등의 피부착재를 부착하는 클립에 관한 것이다.
트림을 자동차의 보디페널에 부착할 경우, 통상 클립이 이용된다.
상기 클립은 보디페널에 형성된 부착구멍에 끼워져서 걸리는 다리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다리부는 중심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선단에서 일체가 되어 원추대 형상의 삽입부를 형성하는 탄성다리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다리부는 외측면이 원의 궤적상에 위치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류의 클립은 트림의 교체 등을 위하여, 삽입과 뽑아냄이 반복되어 행해진다.
따라서, 삽입할 때는 저항력이 작고, 한편으로는 인출력에 대한 저항이 크고 또한 내구성이 있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인출력에 대한 저항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부착되는 구멍의 둘레벽에 넓게 맞닿도록 탄성다리부의 외측 둘레방향의 폭을 넓게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크립은 구멍에 끼워진 상태에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걸림력이 크게 작용되도록 탄성다리가 가능한 크게 성형하게 되는 결과로, 자유상태에서 탄성다리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의 구멍에 끼울 때 탄성다리의 변형정도가 심한 경우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탄성다리의 한도를 벗어나는 정도로 그 형상이 변형될 경우 복귀되지 않고 직경축소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결과로, 걸림상태가 약하거나 심하게는 걸림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도 발생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크립을 패널의 구멍에 삽이할 때 그 형상이 찌그러지며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크립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반복하여 사용하더라도 그 걸림상태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크립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부착구멍(2)이 뚫어진 패널(1)과 맞닿는 머리부(10)와; 상기 머리부(10)의 하면에 원추대 형상으로 부착구멍(2)에 끼워 걸려지며, 슬릿(21)이 그 사이로 절취되어 탄성변형이 가능하다록 성형되는 탄성다리(20)들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탄성다리(20)의 분할위치로 상기 탄성다리(20)가 부착구멍(2)으로 삽입될 때 내측을 향해 신축되는 변위한도를 결정하기 위한 가이드부재(3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 가이드부재(30)의 위치 이상으로 탄성다리(20)의 직경이 축소되지 않는 것에 의해 탄성한도 이상으로 변형되어 헐거워지거나 형태가 찌그러지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클립은 머리부(10)와, 상기 머리부(10)에서 길게 돌출형성되며 패널(1)에 형성된 부착구멍(2)에 끼워져서 걸리는 탄성다리(20)를 구비하고 있다.
머리부(10)는 심재 상단에 형성된 원판(11)과, 상기 원판(11)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상측 플랜지(12)와, 하측 플랜지(13)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하측 플랜지(13)하부에는 슬릿(21)의 좌우 대칭으로 1쌍의 탄성다리(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다리(20)는 원추대 형상으로, 선단측을 향하여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중심을 향하여 탄성변형가능하게 전단력 및 압축력에 대하여 큰 저항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성형된다.
한편, 탄성다리(20)의 상단에는 하측 플랜지(13)의 바롱 아래에 잘록한 형상의 걸림부(14)가 형성되어 착구멍(2)에 끼워져서 하측 플랜지(13)가 패널(1)과 맞닿았을 때, 부착구멍(2)의 둘레벽에 맞닿아 걸리도록 되어 구성되는 바 이는 종래와 동일하다.
본 고안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상의 특징은 이 슬릿(21) 양측으로 성형되는 한쌍의 탄성다리(20)의 사이에 그 탄성변형한도를 결정하기 위한 가이드부재(30)를 형성하는데 있다.
이 가이드부재(30)는 그 최대 직경이 탄성다리(20)가 부착구멍(2)으로 삽입될 때 허용될 수 있는 탄성한도를 감안하여, 이 허용탄성한도범위를 결정하는 크기로 성형되는데, 그 크기는 부착구멍(2)보다 다소 작은 직경으로 결정될 것이다.
그리고, 이 가이드부재(30)는 탄성다리(20)의 사이 슬릿(21)에 -형상으로만 성형될 수도 있으나, 제4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다리(20)의 중간에 파여진 공간부(22)의 위치로도 성형되어 전체적으로 + 형상을 갖도록 탄성다리(20)를 분할하는 것과 같이, 슬릿(21)과 공간부(22)에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성형토록 하는 것이 그 가이드효과가 좋다.
따라서, 이 가이드부재(30)가 형성된 상태로 크립을 패널(1)의 부착구멍(2)에 끼울 때 가이드부재(30)가 위치된 범위 이상으로는 한쌍의 탄성다리(20)가 수축되며 형태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반복되는 삽입과 인출로 인하여 탄성다리(20)의 탄성력을 상실하는 것에 의해 헐거워지거나, 걸림능력이 없어지는 등의 폐단을 없앨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부착구멍(2)이 뚫어진 패널(1)과 맞닿는 머리부(10)와, 상기 머리부(10)의 하면에 원추대 형상으로 부착구멍(2)에 끼워 걸려지며, 슬릿(21)이 그 사이로 절취되어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성형되는 탄성다리(20)들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탄성다리(20)의 분할위치로 상기 탄성다리(20)가 부착구멍(2)으로 삽입될때 내측을 향해 신축되는 변위한도를 결정하기 위한 가이드부재(3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30)는 탄성다리(20)를 분리하는 슬릿(21)과, 탄성다리(20) 중앙측에 형성된 공간부(22)에 각각 +형으로 직각되게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립.
KR2019950047785U 1995-12-26 1995-12-26 클립 KR01280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7785U KR0128021Y1 (ko) 1995-12-26 1995-12-26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7785U KR0128021Y1 (ko) 1995-12-26 1995-12-26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062U KR970042062U (ko) 1997-07-29
KR0128021Y1 true KR0128021Y1 (ko) 1998-12-01

Family

ID=19438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7785U KR0128021Y1 (ko) 1995-12-26 1995-12-26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802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062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3492B1 (ko) 클립
JP2719006B2 (ja) プッシュインファスナ
KR950005836B1 (ko) 플라스틱제 구동파스너
US4122583A (en) Fastening clips for trim panels particularly for motor vehicles
EP0735285B1 (en) Clip
US6364586B1 (en) Multiple locking position clip with grommet and pin
US4195807A (en) Retaining clip for elongated members
US3233503A (en) Fasteners
US3319918A (en) Shock mounting groummet
US3678797A (en) Fastener
US4404709A (en) Fastening device for handles, arms rests etc. on the wall of a vehicle, or the like
US3869958A (en) Screw grommet
US3262168A (en) Plastic molding fastener
GB2340876A (en) A fastening clip
US20030118420A1 (en) Anchor device
KR890012587A (ko) 신발 체결 장치 및 그 판상부재
KR960031817A (ko) 판체의 연결구
EP0682186A1 (en) Member mounting clip
KR0181621B1 (ko) 고정구
US3704486A (en) Fastener
US4070945A (en) Screw grommet
KR0128021Y1 (ko) 클립
US3007725A (en) Fastening device
CA1203067A (en) Tube connector
US4493580A (en) Retaining pro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