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851B1 -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p.) TSC-66의 새로운 특성, 용도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p.) TSC-66의 새로운 특성, 용도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851B1
KR910007851B1 KR1019890011660A KR890011660A KR910007851B1 KR 910007851 B1 KR910007851 B1 KR 910007851B1 KR 1019890011660 A KR1019890011660 A KR 1019890011660A KR 890011660 A KR890011660 A KR 890011660A KR 910007851 B1 KR910007851 B1 KR 910007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sc
lactobacillus spp
lactobacillus
acid
resis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1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4797A (ko
Inventor
고영희
오태광
박용하
김용석
유대용
조기행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박원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박원희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19890011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7851B1/ko
Publication of KR910004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p.) TSC-66의 새로운 특성, 용도 및 그의 제조방법
첨부도면은 본 발명 실시에 있어 위액의 내성실험을 위한 장치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리섬유여과기 2 : 용기
3 : 고무마개 4 : 자석식 교반기
5 : 온수 6 : 항온 온수 순환기
7 : 온도조절기 8 : 시료 채취기
9 : 순환펌프 10 : 시험관
11 : 돼지위액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p.) TSC-66(KCTC 8447P)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에 대한 새로운 특성, 용도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를 비롯한 돼지, 소, 닭등의 가축에 생균형태로 투여되어 장관내에서 대장균, 살모넬라 및 포도상구균등의 유해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기 위하여 내산, 내담즙산성을 가진 미생물을 이용하는 것은 동물의 사료뿐만 아니라 동물약품, 인체약품 및 축산물 가공분야에서 크게 요구되는 문제이다. 특히, 인체, 동물의 생체 및 축산물에 잔류하는 여러 가지 항생제에 내성을 갖고, 인체, 동물의 위장에 존재하는 미지의 분해효소등에도 견디어 내며, 배양기간중 상당량의 유기산을 생산해 낼 수 있는 젖산균의 개발은 동물사료 산업, 동물 및 인체약품사업 및 유가공산업 분야로부터 강력히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국민건강증진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자연계에 존재하는 젖산균으로는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p.) 스트렙토코커스 속(Streptococcus spp.) 및 비피도박테리움 속(Bifidobacterium spp.)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이 기존의 젖산균에 대해 여러 가지 조사를 해본 결과, 내산성, 내담즙산성이 크게 부족할 뿐만 아니라, 항생제 내성 및 동물의 위액에 대한 내성등이 크게 부족하고, 유리산 생성능력이 크게 떨어져 실제 생체에 사용하기에는 불가능하며, 더욱이 우유에 잔류하고 있는 항생제 성분에 의해 발효유등의 제조에도 커다란 손실을 입고 있음이 판명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이에 대한 여러 가지 실험을 실시하여,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p.) TSC-66이 기존의 젖산균이 갖고 있지 않은 새로운 우수한 특성을 보유함을 발견하였고, 이러한 새로운 특성을 이용한 여러 가지의 제품을 제조하였으며, 또한 기존의 제법(선 특허출원 89-5172호)을 보완하여 보다 경제적인 제조방법을 찾아내었다. 즉, 포도당, 과당, 설탕, 전분, 당밀 및 유청등의 저렴한 탄소원과 황산암모늄, 아질산 소다, 아황산암모늄, 염화암모늄, 효모, 효모추출물, 육추출물 및 옥수수의 아황산침지액등의 질소원에 초산소다, 인산일칼륨, 소금, 염화망간, 황산마그네슘, 황산제일철등을 일정량 첨가하고 알기닌, 엽산, 판토텐산, 피리독살 및 리보플라빈등을 각각 혹은 2-3가지 혼합하여 미량 첨가된 배지에 미리 30。C에서 6-24시간 배양한 락토바실러스 속 TSC-66의 종배약을 접종하여 30。C- 40。C에서 정치, 또는 60-250rpm으로 교반하여 주면서 질소 또는 공기를 0.3-0.5vvm으로 공급하여 10-48시간 배양한 후 원심분리 또는 한외여과를 통하여 기존의 제법보다 높은 수율을 얻을 수 있었다. 특히, 배양중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암모니아수 및 탄산칼슘등의 알칼리성물질을 첨가하여 pH 5-7을 유지시켰을 때 기존의 제법보다 5-20배의 높은 수율을 얻을 수 있는 새로운 제조방법을 찾아내어 본 발명을 하였으며, 이와 같은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p.) TSC-66의 새로운 우수한 특성, 용도 및 제법을 제공코자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p.) TSC-66의 새로운 특성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항생제 내성]
별도로 멸균된 각종 항생제를 농도별로 함유한 로고사(Rogosa) 한천 평판배지에서 37。C, 2일간배양했을 때의 생육상태
1. 린코마이신(Lincomycin) : 내성
2. 타이로신(Tylosin) : 내성
3. 테라마이신(Tetracycline) : 내성
4. 에리트로마이신(Erythromycin) : 내성
5. 클로람페니콜(Chloramphenicol) : 내성
6. 페니실린(Penicillin G) : 내성
7. 세팔로스포린씨(Cephalosporin C) : 내성
8. 바시트라신(Bacitracin) : 내성
9. 네오마이신(Neomycin) : 내성
10. 가나마이신(Kanamycin) : 내성
11. 겐타마이신(Gentamycin) : 내성
12. 스펙티로마이신(Spectinomycin) : 내성
13. 셀파메타진(Sulfamethazine) : 내성
14. 티오펩틴(Thiopeptin) : 내성
[위액에 대한 내성시험]
첨부된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닥이 평판한 용기(2)속에 시험관(10)을 마개(3)로 고정시키고, 시험관(10)속에 pH 2.0으로 조절된 돼지위액(11)에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p.) TSC-66을 2.0×109/ml로 접종시킨 것을 충전하고, 상기한 시험관(10)에는 외부로부터 질소(N)를 유리섬유 여과기(1)를 통해 순환공급시키도록 했고, 용기(2)속에는 항온 온수순환기(6)로부터 37℃로 되는 온수(5)를 순환토록하여 시료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토록 했다. 도면중 4는 자석식 교반기로 시험관(10)내의 시료를 교반하도록 된 것이며, 7은 온도조절기, 8은 시료채취기, 9는 순환펌프를 의미한다.
따라서, 시험관(10)내의 시료를 경시적으로 시료채취기(8)에 의해 채취하여 본석한 바 100분이 지난후에도 2.5×107/ml의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p.) TSC-66이 생존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유기산 생성능력]
엠 아르 에스(MRS)배양액에서 37。C, 2일간 배양후, 배양액중 유기산의 농도를 기체크로마토그라피법에 의하여 분석한 결과, 초산, 프로피온산, 이소낙산, 낙산, 이소길초산, 길초산 및 젖산등을 상당량 생산해냄이 판명되었다.
이상과 같은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p.) TSC-66의 새로운 성질을 이용하여, 동물약품, 항생제가 첨가되는 배합사료의 원료, 인체약품, 특히 항생제 치료를 받고 있는 정장제 뿐만 아니라, 발효유 및 치즈제조용 스타터(Starter), 유아용 이유식 첨가제 및 돼지고기, 닭고기, 쇠고기등의 정육 및 식품보존재등에 본 균을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자들이 여라가지의 배양실험을 해본 결과, 본균은 포도당, 과당, 설탕, 전분 뿐만 아니라 당밀, 유청등의 저렴한 탄소원도 잘 이용하여 중식하며, 질소원으로는 황산암모늄, 아질산소다, 아황산암모늄, 염화암모늄외에도 효모, 효모추출물, 옥수수의 아황산 첨지액등에서도 생육이 왕성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이들 성분외에 칼륨, 망간, 인등의 무기물과 알기닌, 엽산, 판토텐산, 피리독살 및 리보플라빈등을 각각 또는 2-3가지씩 혼합하여 미량 첨가했을 때, 균체의 급증식을 관찰할 수 있었다.
온도는 30-40。C에서 고루 잘 배양되었으며, 특히 33-37。C에서 좋은 증식을 나타냈다. 배양중 공기를 공급하거나, 질소를 공급하여도 모두 좋은 증식을 보였으며, 특히 0.3-0.5vvm의 공기공급에서 가장 좋은 증식을 보였고, 정치하여 배양하거나 교반을 하거나 모두 높은 증식속도를 나타내었으나, 60-250rpm정도의 교반으로 가장 높은 균체의 증식을 관찰하였다. 배양중 pH의 영향은 크지는 않으나 pH 4-7.5 사이에서 가장 좋은 증식을 보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에서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p.) TSC-66의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이 가능하며, 그의 생균체자체, 농축물, 배양액 및 건조물을 식품, 의약품, 동물사료, 동물약품 및 축산분야에 광범위하게 이용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해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항생제 내성]
별도로 멸균한 타일로신 주석산염(Tyiosin tartarate, Sigma Co.)을 각각 100, 50, 25, 12, 5, 6, 25, 3.125, 1.56, 0.78㎍/ml이 되게 첨가한 로고사(Rogosa) 한천 평판배지에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p.) TSC-66을 백금이를 이용하여 접종한 후, 37℃에서 2일간 배양하여 생육상태를 관찰한 결과, 본 균은 타일로신 주석산염이 100㎍/ml로 함유된 배지에서도 생육함을 볼 수 있었다.
동일한 방법으로 여러 가지 항생제에 대한 실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린코마이신(Lincomycin) : 100㎍/ml 이상에서 내성
2. 테라마이신(Tetracycline) : 200㎍/ml 이상에서 내성
3. 에리트로마이신(Erythromycin) : 100㎍/ml 이상에서 내성
4. 클로람페니콜(Chloramphenicol) : 100㎍/ml 이상에서 내성
5. 페니실린(Penicillin G) : 400㎍/ml 이상에서 내성
6. 세팔로스포린(Cephallosporin) : 100㎍/ml 이상에서 내성
7. 바시트라신(Bacitracin) : 100㎍/ml 이상에서 내성
8. 네오마이신(Neomycin) : 100㎍/ml 이상에서 내성
9. 가나마이신(Kanamycin) : 2,500㎍/ml 이상에서 내성
10. 겐타마이신(Gentamycin) : 100㎍/ml 이상에서 내성
11. 스펙티노마이신(Spectinomycin) : 100㎍/ml 이상에서 내성
12. 셀파메타진(Sulfamethazine) : 100㎍/ml 이상에서 내성
13. 티오펩틴(Thiopeptin) : 100㎍/ml 이상에서 내성
14. 하이그로마이신(Hygromycin) : 100㎍/ml 이상에서 내성
[실시예 2]
[위액에 대한 내성]
사료급여 3-4시간 후 도살한 돼지에서 즉시 채취한 위 내용물을 여과하여 고형분을 제거한 후 1N 염산으로 pH 2.0으로 조절하였다.
제균막을 통과하여 멸균한 후 별첨도면과 같은 장치에서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p.) TSC-66을 2.0×10(9)/ml이 되도록 접종한 후 경시적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1
[실시예 3]
[유기산 생성능력]
엠 아르 에스(MRS) 배양액에서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p.) TSC-66을 1백금이 접종하고 37℃에서 2일간 배양한 후,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제거하였다. 배양액 일정량과 50% 인산용액을 혼합하여 다시 원심분리한 후 침전물을 제거하고 일정비율을 희석하여 기체크로마토그라프로 생성된 유기산을 분석하였다(시료의 분석 크로마토그람).
분석조건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석조건]
1)기기 : 기체크로마토 그라피(Varian Vista 3300)
2)분석관 : GP 10%, SP-1200/1%, H3PO4on 80/100 Chromosorb W AW, 6″×2mm i.d. SUS
3)검출기 : 불꽃 이온 검출기
4)이송기체 : 질소, 40ml/분
5)연료기체 : 수소 및 공기
6)온도 : (1)분석관 : 120℃, (2)시료주입구 : 200℃, (3)검출기 : 200℃
[분석결과]
Figure kpo00002
[실시예 4]
[제조방법 1]
포도당 10g, 초산나트륨 6g, 인산 2칼륨 2g, 인산 1칼륨 0.75g, 식염0.01g과 염화망간, 황산마그네슘, 황산철 소량 및 효모추출물 25g에 증류수를 가하여 11로 만든 후, 121℃에서 60분간 멸균하여 별도로 멸균한 알기닌을 1-20mg 정도 첨가하였다. 동일배지에서 미리 24간 후에 시료를 채취하여 건조중량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Figure kpo00003
[실시예 5]
[제조방법 2]
락토바실러서 속(Lactobacillus spp.) TSC-66의 제조과정중 온도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포도당 10g, 초산나트륨 6g, 인산 2칼륨 2g, 인산 1칼륨 0.75g, 소금 0.01g과 염화망간, 황산마그네슘, 황산철 미량 및 우육추출물 5g 알기닌, 엽산, 판토텐산, 피리독살 및 리보플라빈을 각각 0.1mg씩 함유한 11의 배지에 종배양액 150ml을 접종한 후, pH를 6.0으로 조절하고 0.3vvm, 200rpm에서 배양온도를 25℃, 30℃, 33℃, 35℃, 37℃, 40℃, 43℃로 배양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Figure kpo00004
[실시예 6]
[제조방법 3]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p.) TSC-66의 제조과정중 산소요구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에 5의 배양액에 종배양액을 접종한 후, 37℃, pH 6.0에서 여러 가지 통기조건으로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Figure kpo00005
[실시예 7]
[제조방법 4]
실시예 5, 6과 동일한 배지에 락토바실러스속 TSC-66의 종배양액 150ml을 접종한 후 1.0vvm, 35℃, 60rpm 하에서 배양을 시작하여 3시간 후부터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등의 알칼리를 계속 공급하면서 pH를 6.0으로 조절하였다. 24시간 후에 배양을 종료하였고, 이때 첨가된 알칼리성 물질에 따른 생균수의 측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6
[실시예 8]
[사일레지의 제조]
옥수수짚을 5-7cm 크기로 절단한 후, 중량의 4%에 해당하는 가성소다를 고르게 분무하고 비닐로 엎어 2-3일간 방치하였다. 옥수수짚 건조중량의 5-10%에 해당하는 당밀을 첨가하고, 사일레지 1g당 10(3)-10(5)의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p.) TSC-66을 첨가하고 잘 혼합한 후, 비닐봉투에 넣어 2중으로 포장하였다. 봉투를 잘 눌러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고 실온에서 30일 정도 발효시켜 양질의 사일레지를 얻었다.
[실시예 9]
[발효유의 제조]
전유, 탈지유, 탈지분유등의 배합원료 일정량을 지방이 1.0-1.7% 되도록 조정한 후, 분무 건조된 탈지분유를 첨가하여 유고형분이 12-15% 되도록 조정하였다. 배합된 원료를 85℃에서 30분간 열처리한 후 냉각하여 15분간 보존하였다. 스트렙토코커스 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와 균일하게 혼합된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p.) TSC-66을 일정량을 접종한 후, 시판향료를 추천량 첨가하였다. 접종된 적온의 원료를 충전기를 이용하여 230g들이 용기의 거의 상부까지 충전한 후 밀전, 40℃에서 5-8시간 배양하였다.
주기적으로 pH와 산도를 측정하여 pH 4.5, 산도가 0.9%일 때 냉각하여 조직이 잘 형성된 발효유를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10]
[치즈의 제조]
71.7℃에서 16초간 살균한 우유를 치즈뱃트(Vat)내에서 잘 저으면서 31.1℃로 냉각 후 활성이 좋은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p.) TSC-66을 1% 첨가하였다. 15-30분 후 렌넷(rennet)을 일정량 첨가하고 교반기로 진탕 후 벨트의 뚜껑을 닫고 약 25분 정도 방치하여 우유를 응고시켰다. 커드의 굳기를 확인한 후 커드(curd)를 1/4인치 칼로 절단하고 5분간 천천히 교반하였다. 계속 일정하게 저어주면서 치즈벨트 자케트(jacket)내의 증기로 천천히 가열을 시작하여 5분에 1.1℃씩 올려 30분 후에 37.8℃까지 올렸다. 이 온도에서 증기밸브(valve)를 조절하여 주면서 45분 이상 유지시켜 주었다.
교반을 멈춘 뒤 커드갈퀴(rake)로 커드들을 밸브의 반대편 벽으로 밀어부치고 여과기를 밸브쪽으로 세워놓은 다음 밸브를 열어 유청을 뺐다. 커드가 유청의 약 2.5cm정도 및에 보일 때 뱃트 밑바닥 중간에 세로로 흠을 만들어 15분간 방치하여 유청을 완전제거했다. 칼로 뱃트의 중간을 세트로 자른 다음 약 25cm 간격으로 가로로 절단하였다. 이들 절단된 토막을 두 개 또는 세 개씩 포개넣고 흘러나오는 유청의 산도가 0.5-0.6%가 될 때까지 뒤집고 포개는 작업을 계속하였고, 다음에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한 후, 각각의 커드조각을 넓게 펼쳤다. 이에 소금을 약 2% 정도 3회에 걸쳐 살포하였다.
치즈틀의 옆 안쪽벽에 가벼운 천을 대고, 바닥에는 따뜻한 소금물에 적신 무명천을 깔아 놓은 후, 그위에 건조된 철망을 올려놓고, 분쇄한 치즈조각들을 다져 놓았다. 맨위에 소금물에 적신 무명천을 덮고, 철판을 올려놓은 다음 조금씩 압력을 가했다. 30분후 압착을 풀고 다시 정형한 후 다시 2.5kg/cm2의 압력을 걸어 하룻밤을 지냈다.
온도 12.7℃ 상대습도 70%인 건조실내에서 매일 뒤집어주며 2-3일 건조시키고 118.3℃에서 6초동안 파라핀을 입혀, 4.4℃ 상대습도85%에서 60일 숙성시켜 좋은 풍미의 체다치즈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김치의 제조]
속이든 배추를 3% 식염수에 절인 후, 물로 씻고 통이 너무 큰 것은 세로로 절단한 다음 파, 마늘, 생강, 및 고춧가루 등을 절단, 혼합한 것을 배추의 속에 넣은 다음,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p.) TSC-66의 생리 식염수 현탁액을 배추의 무게 g당 5×105정도로 접종하였다.
이것을 플라스틱 필름으로 밀폐 포장하여 혐기상태를 유지시켜 주면서, 5-10℃로 60일 정도 숙성시켜 양질의 김치를 조제하였으며, 김치의 속성중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p.) TSC-66의 경시적분포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7
[실시예 12]
[발효크림의 제조]
신선한 크림을 지방이 19% 되도록 조절하고, 구연산 0.5%와 아스코르브산 0.5%를 첨가했다. 71.1℃로 예비가열하고 210kg/cm2의 고압에서 균질화시킨 후 73.9℃에서 30분간 살균한 후에 30℃로 냉각하였다.
한편, 본균의 농축물을 10배의 탈지유에 희석시킨 용액을 30℃로 유지하여 상기의 크림에 접종하고, 응유효소를 소량첨가한 후 잘 혼합하고 30℃에서 7-8시간 배양하여 pH 4.5가 될 때까지 발효하였다.
pH 4.5에서 4℃로 급냉시키고, 진탕기를 서서히 돌리면서 2일정도 유지하여 점성 및 향취가 좋은 발효크림을 얻었다.

Claims (3)

  1. 초산소다, 인산일칼륨, 인산이칼륨, 소금, 염화망간, 황산마그네슘, 황산제일철에 포도당, 과당, 설탕, 전분, 당밀, 유청등의 탄소원과 황산암모늄, 아질산소다, 아황산암모늄, 염화암모늄, 효모, 효모추출물, 육추출물, 옥수수의 아황산 침지액등의 질소원을 함유하고 알기닌, 엽산, 판토텐산, 피리독살 및 리보플리빈등을 각각 혹은 2-3가지 혼합하여 미량첨가된 배지에 미리 30℃에서 6-24시간 배양한 락토바실러스 속 TSC-66의 종배양액을 접종하여 30-40℃에서 정치, 또는 60-250rpm으로 교반하면서, 질소 또는 공기를 0.3-0.5vvm으로 공급하여 10-48시간 배양하고, 원심분리 또는 한외여과를 통하여 집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토바실러스속(Lactobacillusspp.) TSC-66 (KCTC 8447P) 젖산균의 대량 제조방법.
  2. 젖산균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s spp.) TSC-66 자체 및 그의 농축물, 배양물, 건조물이 치즈, 발효유, 발효크림, 김치제조에 이용되는 발효제로써의 용도.
  3. 젖산균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p.) TSC-66 자체 및 그의 농축물, 배양물, 건조물이 사일례지 가축사료 제조에 이용되는 첨가제로써의 용도.
KR1019890011660A 1989-08-16 1989-08-16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p.) TSC-66의 새로운 특성, 용도 및 그의 제조방법 KR910007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1660A KR910007851B1 (ko) 1989-08-16 1989-08-16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p.) TSC-66의 새로운 특성, 용도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1660A KR910007851B1 (ko) 1989-08-16 1989-08-16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p.) TSC-66의 새로운 특성, 용도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797A KR910004797A (ko) 1991-03-29
KR910007851B1 true KR910007851B1 (ko) 1991-10-02

Family

ID=19288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1660A KR910007851B1 (ko) 1989-08-16 1989-08-16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p.) TSC-66의 새로운 특성, 용도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78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324B1 (ko) * 2011-10-07 2012-04-13 나윤경 미생물 대량 생산을 위한 분말 배지
CN111705086A (zh) * 2020-07-03 2020-09-25 兰州大学 一种抗消化系统肿瘤的浆水无细胞培养液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1506A (ko) * 2002-04-12 2004-12-31 메이지 데어리스 코포레이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를 살균하는 치즈 첨가물
KR101106302B1 (ko) * 2011-04-19 2012-01-18 충청북도 청원군(청원군농업기술센터장)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배양 방법 및 그를 이용한 가축음용수 생균제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324B1 (ko) * 2011-10-07 2012-04-13 나윤경 미생물 대량 생산을 위한 분말 배지
CN111705086A (zh) * 2020-07-03 2020-09-25 兰州大学 一种抗消化系统肿瘤的浆水无细胞培养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797A (ko) 1991-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87321A (en) Method for producing foods and drinks containing bifidobacteria
US8158403B2 (en) Enhancer of proliferation of lactic acid bacterium, and agent for improvement in survivability of lactic acid bacterium
Solomon et al. Substantiation of the technology for fermented sour-milk desserts with bifidogenic properties
CN112143680A (zh) 具有抗氧化功效副干酪乳杆菌zjuids05及其应用
CN107312732A (zh) 一种益生菌饲料添加剂
JPH0779684B2 (ja) ビフィズス菌増殖促進組成物
KR910007851B1 (ko)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p.) TSC-66의 새로운 특성, 용도 및 그의 제조방법
RU2261909C1 (ru) КОНСОРЦИУМ БИФИДОБАКТЕРИЙ Bifidobacterium bifidum 791-МБ, Bifidobacterium longum В 379М-МБ, Bifidobacterium adolescentis Г-7513- МБ, Bifidobacterium infantis 73-15-МБ, Bifidobacterium breve 79-119-МБ, ИСПОЛЬЗУЕМЫЙ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КИСЛО-МОЛОЧНЫХ, НЕФЕРМЕНТИРОВАННЫХ ПРОДУКТОВ,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ЫХ ДОБАВОК, БИФИДОСОДЕРЖАЩИХ ПРЕПАРАТОВ, КОСМЕТИЧЕСКИХ И ГИГИЕНИЧЕСКИХ СРЕДСТВ
RU2646109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нсерванта продуктов питания
RU2261904C1 (ru) ШТАММ БИФИДОБАКТЕРИЙ Bifidobacterium adolescentis Г 7513-МБ, ИСПОЛЬЗУЕМЫЙ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КИСЛО-МОЛОЧНЫХ, НЕФЕРМЕНТИРОВАННЫХ ПРОДУКТОВ,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ЫХ ДОБАВОК, БИФИДОСОДЕРЖАЩИХ ПРЕПАРАТОВ, КОСМЕТИЧЕСКИХ И ГИГИЕНИЧЕСКИХ СРЕДСТВ
Yurliasni et al. Initial Characterization of Bifidus Milk Quality with Different Starter Levels of Bifidobacterium longum
Achinewhu et al. Microbiology of naturally fermented fish (Sardinella sp.)
JP2660908B2 (ja) ビフィズス菌増殖促進性及び生残性が良好なヨーグルト
CN105925645A (zh) 一种活性乳酸菌素的制备方法及其在生物饲料中的应用
KR101932935B1 (ko) 유산균 발효라드의 제조방법
RU2261907C1 (ru) ШТАММ БИФИДОБАКТЕРИЙ Bifidobacterium longum B 379М-МБ, ИСПОЛЬЗУЕМЫЙ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КИСЛО-МОЛОЧНЫХ, НЕФЕРМЕНТИРОВАННЫХ ПРОДУКТОВ,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ЫХ ДОБАВОК, БИФИДОСОДЕРЖАЩИХ ПРЕПАРАТОВ, КОСМЕТИЧЕСКИХ И ГИГИЕНИЧЕСКИХ СРЕДСТВ
RU2097990C1 (ru) Диетическая биодобавка для молочных и мясных продуктов целевого назначения
Kannan et al. Single cell protein (scp) production from Marine Lactobacillus spp.
Djilali et al. Z. Jujuba and Spirulina Extracts as Prebiotic to Improve Milk Clotting and Develop Functional Yoghurt
Orlova et al. Perspective of using propionic acid bacteria to produce functional foods based on milk whey
Tzugkiev et al. The Characteristic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in North Ossetia-Alania
RU2812281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белковой добавки из вторичного молочного сырья
RU2154105C1 (ru) Способ количественной оценки содержания бифидобактерий в смешанных культурах микроорганизмов
RU2694256C2 (ru) Кормовая добавка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бактерионосительства микроорганизмов рода Salmonella у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ой птицы и способ ее применения
RU2261905C1 (ru) ШТАММ БИФИДОБАКТЕРИЙ Bifidobacterium breve 79-119-МБ, ИСПОЛЬЗУЕМЫЙ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КИСЛО-МОЛОЧНЫХ, НЕФЕРМЕНТИРОВАННЫХ ПРОДУКТОВ,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ЫХ ДОБАВОК, БИФИДОСОДЕРЖАЩИХ ПРЕПАРАТОВ, КОСМЕТИЧЕСКИХ И ГИГИЕНИЧЕСКИХ СРЕДСТ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9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