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656B1 - 안개등 겸용 차량용 헤드램프 - Google Patents

안개등 겸용 차량용 헤드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656B1
KR910007656B1 KR1019870000993A KR870000993A KR910007656B1 KR 910007656 B1 KR910007656 B1 KR 910007656B1 KR 1019870000993 A KR1019870000993 A KR 1019870000993A KR 870000993 A KR870000993 A KR 870000993A KR 910007656 B1 KR910007656 B1 KR 910007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ulb
headlamp
color
fila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0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9823A (ko
Inventor
클레먼트 카스보스케 죠지
Original Assignee
퀸테크 코포레이션
클레먼트 카스보스케 죠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퀸테크 코포레이션, 클레먼트 카스보스케 죠지 filed Critical 퀸테크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19870000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7656B1/ko
Publication of KR880009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9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안개등 겸용 차량용 헤드램프
제1도는 본원 발명에 의한 전구를 갖춘 종래의 헤드램프 하우징에 대한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헤드램프에 부착된 전구의 일부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3-3선에 의한 헤드램프의 일부 단면도.
제4도는 본원 발명에 의한 다른 형태의 전구 구성을 갖춘 제3도와 같은 헤드램프의 일부 단면도.
제5도는 본원 발명에 의한 변경된 헤드램프 구조를 갖춘 제3도 및 제4도와 같은 헤드램프의 일부 단면도.
본원 발명은 주행차량을 위한 헤드램프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선택적으로 몇 가지 컬러의 빛을 투사할 수 있는 고강도 램프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고속 및 일반도로를 달리는 차량 등에 사용하는 종래의 밀폐된 빔헤드램프(beam headlamp)는 필라멘트를 사용하여 주로 유리 또는 플라스틱제의 투명한 광확산 요소를 통해서 백색광을 투사하였다. 종래, 헤드램프의 설계에 있어서 여러 가지가 제안되었다. 주행차량 앞에 멀리 펼쳐지는 고속도로를 선명하게 조명해 주는 고강도 램프는 통상 운전조건하에서는 앞에 달려오는 다른 차량을 눈부시게 한다. 안개, 먼지, 눈, 비 및/또는 연기가 존재할 때, 헤드램프에서 투사되는 광선이 반사되어, 고속주행에 안전할 만큼 차량앞을 충분히 조명하지 못하므로 운전자의 시야가 불충분하다. 안개, 먼지, 눈, 비 및/또는 연기에 대하여 양호한 침투력을 가지며, 황색광을 투사하는 안개등은 통상적으로 고속에서 시야가 충분하게 도로를 만족하게 조명해 줄 수 있는 강도를 갖추고 있지 않았다.
종래, 동일 차량에 밀폐된 빔백색광램프와 안개등을 각각 설치했었다. 이것은 최소한 4개의 헤드램프를 장착해야 하며, 제조비가 높았다. 그리고, 이 비용은 결국 소비자에게 돌아간다. 또, 소비자는 램프가 나갔을 때, 헤드램프를 2배로 교환하는 부담을 안게 된다.
별개의 안개등 및 백색광 헤드램프를 설치하는 수단으로서 콤비네이션 황색 및 백색 광램프에 대하여 본 발명자의 미합중국 출원번호 제653,437호, "개량된 차량용 헤드램프"에 기술되어 있다. 특수한 램프의 구성은 통상 및 악조건 하에서 모두 충분한 조명을 제공하며, 운전자는 조건에 따라서 백색 또는 황색램프만을 선택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목적은 신규 및 간단한 방법으로 상기 폐단을 해소하는데 있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단일의 헤드램프가 제1 또는 제2색광 또는 이의 혼합 색광을 선택적으로 투사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두 가지 색 이외에 어떠한 다른색도 제공할 수 있지만 라이트색은 백색 및 황색이 바람직하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원 발명의 한 실시예는 별개의 필라멘트를 갖춘 전구로 구성되며, 하나의 필라멘트는 전구의 투명부를 통해서 빛을 투사하며, 또 하나의 필라멘트는 전구의 착색부분을 통해서 빛을 투사한다. 이 착색부분은 황색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안개, 연기, 눈, 비 및/또는 먼지의 상황하에서 황색파장이 우수한 빛의 침투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특수한 운전조건에 가장 적합하도록 제어회로에 의하여 필라멘트가 선택적으로 작동되어 백색이나 황색광을 투사한다.
또, 별개의 전구를 헤드램프에 배설할 수 있으며, 이들 각 전구는 다른 색광을 투광한다. 각 전구에 결합된 필라멘트는 상기와 같이 동일 제어회로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고, 조광기를 배설함으로써 백색 및 황색광이 요구되는 혼합색광을 상기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선택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은 고속도로 운전에 대해 승인된 종래의 램프 구조물에 설치할 수 있다. 표준 전구는 상향 및 하향 빔필라멘트의 위치 또는 백색광을 투사하는 전구의 성능에 영향을 주지않고, 착색부분과 결합된 별개의 필라멘트를 배설할 수 있도록 크게 만들 수 있다.
본원 발명의 램프는 주행차량의 앞쪽을 조명하는 램프 이외에 다른 램프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이 전구는 손전등이나 기타 조명 구조물에도 적용할 수 있다.
밀폐된 빔헤드램프는 제1도에 (10)으로 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의한 헤드램프(10)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 광확산요소(16)에 의해 앞을 향하여 포물선모양의 반사면(14)을 갖춘 성형 플라스틱하우징(12)으로 구성된다. 이 반사면(14)은 알루미늄의 얇은 코팅(17) 또는 진공 증착에 의하여 반사가 잘되게 만들어져 있다. 하우징(12)의 뒤쪽에는 일체로 형성된 보스(18)(제2도)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보스는 다음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전원과 전구사이에 전기접속이 이루어지도록 접촉용 지지체로서 사용된다.
종래의 기술에 의한 전구(20)는 제2도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작동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전구는 내부에 실(24)을 형성하고 있는 원통체(22)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이 전구는 상향 빔필라멘트(26)와 하향 빔필라멘트(28)를 갖추고 있다. 전형적으로 필라멘트는 텅스텐으로 만들며, 필라멘트(26),(28)에 각각 도시된 코일부분(30),(32)을 통해서 빛을 투사한다. 전구(34)의 후면부는 필라멘트 리드 주의를 밀봉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조명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상기 실을 불활성가스로 채울 수 있다.
상향 및 하향 빔필라멘트에 대한 급전리드(36),(38)는 보스(18)를 통해서 돌출되며, 헤드램프가 부착된 차량과 결합된 종래기술에 의한 전기소켓에 압력끼워 맞춤을 위한 블레이드형 접점(40),(42)에 납땜된다. 상향 및 하향 빔필라멘트용 접지와 이어(44),(46)는 부가 블레이드 연결기(도시되지 않음)와 전기접촉되어 있다. 와이어(44),(46)는 제2도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접지되어 있다.
종래의 전구의 상향 및 하향 빔필라멘트는 종래의 스위치제어부(48)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작동되며, 이 스위치제어부는 하나의 필라멘트 또는 다른 팔라멘트로 하여금 빛을 투사케 한다. 상향 빔필라멘트를 갖추고 있는 코일은 포물선모양의 반사면(14)에 대한 초점과 일치한다. 이 상향 빔필라멘트에서 나오는 광선은 빛의 범위가 강도를 최대로 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평행 및 집중되도록 앞쪽으로 투사된다. 하향 빔필라멘트의 코일은 상향 빔필라멘트의 코일보다 약간 앞쪽에 위치하며, 또 헤드램프의 초점의 앞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광선이 많이 분산되도록 반사시키며, 램프의 유효범위를 감소시킨다. 필라멘트 앞쪽으로 투사되는 광선의 방향을 조정하기 위하여 전구의 앞면(50)이 볼록하게 되어 있고 은도금등으로 반사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광선이 분산되도록 하우징(12)위의 주반사면(14)을 향해서 반사된다.
1950년대 이래, 차량 제조업자들은 조명을 개선하기 위해 4개의 헤드램프를 차량에 설치해 왔다. 외부램프는 상기와 같이 더블필라멘트형으로 되어 있다. 내부 램프는 조사등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높은 와트의 단일의 필라멘트 상향 빔을 갖추고 있다. 두 개의 외부램프의 하향 빔은 모두 우측을 향해서 집중되며, 정면의 다른 차량과 마주칠 때 또는 차량을 추월할 때 사용된다. 이와같이, 근접하는 차량에 영향을 주지 않고 4개의 상향 빔램프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한 실시예에 대하여 제1도 및 제3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 2색 컬러전구(52)는 원통형 투광체(54)를 갖추고 있으며, 이 투광체의 축은 하우징(12)의 반사면(14)의 앞쪽으로 뻗어있다. 전구의 전면부(56)는 황색으로 착색된 것이 바람직하며, 전구의 후면부(58)는 투명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구의 전면부 (56)의 착색은 컬러로 몰드하며, 투명전구를 침지하여 착색된 투광 슬리브를 부착하거나 기타 종래의 공지방법에 의하여 달성할 수 있다. 전구컬러로서는 백색과 황색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의 컬러의 혼합색도 본원 발명의 범위내에 들어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전구(52)는 상향 빔필라멘트(26)와 하향 빔필라멘트(28)가 전구의 투명한 후면부의 범위내에서 축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 및 착색되어 있다. 상향 및 하향 빔필라멘트는 제2도에 도시된 종래의 전구(20)와 같이 위치시킬 수 있다. 제3필라멘트 (60)는 상향 및 하향 빔필라멘트(26),(28)의 앞쪽에 있고 전구에 대해 축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전면의 착색부분(56)을 축방향으로 차단하는 코일부(62)를 가지고 있다. 필라멘트(60)는 하우징의 (66)에 납땜된 리드(64)를 가지며, 블레이드형 접점(68)과 전기접속을 이룬다. 필라멘트(60)는 통상적으로 리드(69)에 의하여 상향 및 하향 빔필라멘트의 접지리드(44),(46)로서 접지된다.
전기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게 공지되어 있는 스위치제어부(70)에 의하여 운전자는 상향 빔필라멘트(26), 하향 빔필라멘트(28) 및/또는 부가 필라멘트(60)를 선택하여 작동케 한다. 이와같이, 운전자는 상향 빔 또는 하향 빔필라멘트에 의한 백색광이나 필라멘트코일(62)에 의한 황색광의 투사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 조광기를 설치함으로써 운전조건에 따라서 백색 및 황색광을 혼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짙은 안개의 경우 완전히 황색광의 사용을 지시할 수 있고, 약간 먼지가 있는 경우에는 백색광과 혼합된 소량의 황색광만을 사용할 수 있다. 고속도로 운전에 승인된 종래의 전구를 변형함으로써 램프의 백색광부의 작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헤드램프의 융통성을 증진시킨다.
전구(52)내에서 불필요한 빛의 혼합을 막기위해 디스크형 조절판(72)을 전구내에 설치하며, 전후방의 실(74),(76)을 형성한다. 이 조절판은 텅스텐이나 열에 견디며 빛이 투과되지 않는 적합한 물질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둥근 갭(78)은 전구가 가열될 때, 팽창을 조절하기 위해 약1/32인치로 조절판 주위에 형성되어 있다. 이 조절판은 디스크형 조절판(72)의 주위에 배치된 복수개의 스페이서(79)에 의하여 작동위치에 전구를 지지시킬 수 있다. 이 조절판은 전구의 황색으로 착색된 전면부(56) 한쪽 끝면(80)에 전구에 대해 축방향으로 뒤쪽에 위치하고 있다. 간격은 1/8인치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상향 및 하향 빔필라멘트에서 나오는 광선으로부터 전구의 황색부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해 준다.
종래의 전구에 있어서와 같이, 전구(52)의 앞쪽 끝면(82)는 앞쪽 투사광을 반사면(14)으로 반사하도록 반사매체로 코팅되어 있다. 제3도의 앞면(82)은 평평하게 되어 있으나, 제3도의(84)의 점선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앞쪽으로 오목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또 이 도면의 (86)의 점선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뒤쪽으로 오목하게 구성할 수 있다. 필라멘트의 바로 앞쪽으로 집중되는 광선은 보다 유효하게 분산되도록 반사된다. 만곡부의 축범위는 커브의 정점에서 커브의 접합점까지 약 1/4인치이며, 원통형 전구체로 되어 있다. 앞면(82)에 대한 코팅은 산화크롬 또는 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다른 반사물질로 코팅할 수 있다.
제1도 및 제3도의 실시예에 대한 변형으로서, 제4도에는 상향 및 하향 빔필라멘트(26),(28)를 갖춘 전구(88)에 대해 개시하며, 전구(88)는 황색으로 착색된 투광면 (92)를 가지고 있는 별개의 전구(90)를 포함한다. 전구(90) 및 필라멘트(26),(28)에 결합된 필라멘트(94)는 상기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스위치 제어부(96)에 의해 선택적으로 급전된다. 제4도의 실시예에는 상기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다른점에 대해서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다.
동축관계로 별개의 전구를 위치시키는 수단으로서, 제4도에는 하나의 전구에 다른 전구가 들어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지만, 제5도에는 두 개의 별개의 전구(98),(100)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전구(98)는 투명한 투광면(102)을 갖춘 종래의 상향 및 하향 빔전구이다. 전구(100)는 하나의 필라멘트(104)를 포함하며, 전체가 황색으로 착색된 투광면(106)을 가지고 있다. 전구(98),(100)는 스위치 제어부(108)를 통해서 상기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선택적을 급전된다. 하우징(12)애 대한 전구(98),(100)의 배치는 한 실시예에 지나지 않는다. 전구는 서로 수직으로 또는 수평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수단으로서 전구(98),(100)는 앞쪽 방향으로 쌓아 놓을 수 있으며, 따라서 전구(100)는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지만 백색광전구(98)의 앞쪽에 위치한다. 필라멘트코일은 가능한 한 반사면(14)의 초점에 가깝게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켜져 있는 전구로부터 가능한 많은 빛을 유지하여 꺼져 있는 전구를 알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 발명은 차량헤드램프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지만, 이러한 개념은 어떤 종류의 전구, 예를 들면 가정용 전구에도 사용할 수 있다. 공통전원으로부터 다른 색광을 투사하기를 원할때에는 언제든지 본원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상세한 설명은 본원 발명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한 것이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17)

  1. 주행차량의 앞에서 요구되는 형태로 조명원으로부터 광선이 향하도록 조명원과 반사기를 장착한 구조를 갖춘 차량용 헤드램프에 있어서, 제1 및 제2조명부에 제1 및 제2필라멘트를 가지는 조명원과, 최소한 상기 제1 및 제2필라멘트부분을 포함하며, 제1컬러의 제1투광부와 제2컬러의 제2투광부를 가지는 빛을 통과시키는 전구와, 제1 및 제2 필라멘트로부터의 광선이 상기 전구를 통해서 상기 반사기를 향해 뒤쪽으로 반사되도록 제1 및 제2필라멘트를 장착시키는 수단과, 상기 전구내에 배설되며, 제1 및 제2투광부가 위치하고 있는 제1 및 제2전구실을 형성하는 조절판과, 제1 및 제2필라멘트의 조명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며, 헤드램프의 제1필라멘트는 상기 제1컬러의 빛을 투사하며, 헤드램프의 제2필라멘트는 상기 제2컬러의 빛을 투사하며, 상기 조절판은 전구에서 나오는 제1컬러의 빛과 제2컬러의 빛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및 제2실사이에 빛이 통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전구의 제2투광부는 황색으로 되어 있으며, 제2필라멘트에 의하여 조명된 헤드램프에 의하여 안개, 먼지, 눈, 비 및/또는 연기를 빛이 효과적으로 침투할 수 있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구는 대략 원통형을 이루며, 이 원통부의 축은 반사면에서 앞쪽으로 뻗으며, 상기 실은 원통부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조광기를 포함하며, 제1컬러의 빛 및 제2컬러의 빛을 헤드램프에 필요한 빛으로 혼합하도록 선택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구는 원피스로 구성되며, 상기 조절판은 텅스텐으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실은 제2필라멘트 투광부의 앞쪽에 뒤쪽을 향하고 있는 반사면을 가지며, 상기 반사면은 제2 필라멘트에서 반사기를 향해 빛을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뒤쪽을 향하고 있는 반사면은 뒤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뒤쪽을 향하고 있는 반사면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뒤쪽을 향하고 있는 반사면은 앞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투광부는 투명이며, 상기 제2투광부에서 약간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제1투광부내에 조절판을 배설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11. 제1항에 있어서, 반사수단은 상기 제2필라멘트에서 반사기로 빛을 반사시킬 수 있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12. 전구면에 의하여 형성된 내부실을 가지고 있는 전구와 제1컬러의 빛을 통과시키는 제1투광부 및 제2컬러의 빛을 통과시키는 제2투광부가 설치된 투광면과, 작동될 때 상기 제1컬러의 빛이 전구의 제1투광부에서 투사되도록 배설된 제1필라멘트와, 작동될 때 상시 제2컬러의 빛이 전구의 제2투광부에서 투사되도록 배설된 제2필라멘트와, 조절판과, 조절판의 열팽창을 수용하기 위하여 최소한 조절판의 일부분이 전구면 내부에 간격을 약간 두고 배설되며, 이 조절판은 제1필라멘트에서 상기 제2투광부로 빛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며, 또 제2필라멘트에서 상기 제1투광부로 빛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구면 내부에 조절판을 배설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색광의 조명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광부는 투명하며, 상기 제2투광부는 황색이며, 조명원은 악천후 조건하에서 안개를 침투하는 광선으로서 또는 평상시에는 백색광을 투사할 수 있도록 차량에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명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 장착수단은 상기 제2투광부에서 약간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제1투광부내에 조절판을 배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명장치.
  15. 빛이 통과할 수 있는 대략 원통형의 전구와, 제1컬러의 빛을 통과시키는 제1 투광부 및 제2컬러의 빛을 통과시키는 제2투광부를 가지는 상기 원통형 전구부와, 전구의 제1투광부를 통해서 빛을 투사하는 제1조명원과, 전구의 제2투광부를 통해서 빛을 투사하는 제2조명원과, 제1조명원에서 상기 제2투광부로 빛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며, 제2조명원에서 상기 제1투광부로 빛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제1컬러의 빛과 제2컬러의 빛을 상기 조명장치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투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색광의 조명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장치는 조절판과 원통부내에 상기 조절판을 배설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명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는 이 안쪽면에 조절판을 배설하는 수단을 가지며, 최소한 이 조절판의 일부분은 이 조절판의 열팽창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원통부의 안쪽면으로부터 간격을 약간 두고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명장치.
KR1019870000993A 1987-02-07 1987-02-07 안개등 겸용 차량용 헤드램프 KR910007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0993A KR910007656B1 (ko) 1987-02-07 1987-02-07 안개등 겸용 차량용 헤드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0993A KR910007656B1 (ko) 1987-02-07 1987-02-07 안개등 겸용 차량용 헤드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9823A KR880009823A (ko) 1988-10-05
KR910007656B1 true KR910007656B1 (ko) 1991-09-30

Family

ID=19259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0993A KR910007656B1 (ko) 1987-02-07 1987-02-07 안개등 겸용 차량용 헤드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765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9823A (ko) 1988-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49226A (en) Projector-type lighting device of expanded outline appearance for use as a vehicular headlamp or the like
KR101065813B1 (ko) 차량용 등기구
US20070242463A1 (en) Lighting Device
JPH09237504A (ja) 下向き及び上向きライト用自動車前照灯
US10612743B2 (en) Vehicle lamp
US4644452A (en) Vehicle headlamp with fog penetrating capability
US4586116A (en) Vehicle headlamp with yellow and main light transmission
US5083243A (en) Lamp for motor vehicles including fog warning or backup lamp
US4713736A (en) Multiple color lamp
KR101486817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910007656B1 (ko) 안개등 겸용 차량용 헤드램프
EP0263160A1 (en) Head lamp, in particular headlight for cars, provided with several filaments adapted to emit beams of white and/or coloured light to be used as sealed beam light and foglight
JP2544369B2 (ja) 車輌用ヘツドランプ
KR101807120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CN220338283U (zh) 车辆用灯具
EP3620329B1 (en) Vehicle lamp assembly
CN215061811U (zh) 一种带透射型激光模组的多光源车灯
JP2000003610A (ja) ガス放電ランプを備えた増減光可能なヘッドライト
JPH05334902A (ja) 車両用プロジェクタ式ランプ
JP3223751B2 (ja) 放電灯を設けた自動車用前照灯
KR0133186Y1 (ko) 자동차용 램프
JPH0328001B2 (ko)
KR100228115B1 (ko) 차량의 헤드램프용 주사빔 전환장치
JPH0741045Y2 (ja)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JPH024960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9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