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225A - 과전류 보호기능을 갖는 무정전 전원장치 - Google Patents

과전류 보호기능을 갖는 무정전 전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225A
KR910007225A KR1019900011648A KR900011648A KR910007225A KR 910007225 A KR910007225 A KR 910007225A KR 1019900011648 A KR1019900011648 A KR 1019900011648A KR 900011648 A KR900011648 A KR 900011648A KR 910007225 A KR910007225 A KR 910007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power
load
overcurren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1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끼오 히라따
히로시 오시마
Original Assignee
아오이 죠이찌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1207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5503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11870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303334A/ja
Priority claimed from JP1149000A external-priority patent/JP279326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244952A external-priority patent/JP2695941B2/ja
Application filed by 아오이 죠이찌,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아오이 죠이찌
Publication of KR910007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22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과전류 보호기능을 갖는 무정전 전원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무정전 전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통도.
제3도는 제1도의 장치중 과전류 요인 검출기(16)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제6도는 제1도의 장치의 변형을 나타내는 개통도.

Claims (13)

  1. 부하(8)에 공급되는 전력을 발생시키는 전력 발생수단(2∼5)과, 제1검출신호 (OC1)를 제공하도록 상기 전력 발생수단(2∼5)내에 흐르는 제1과전류(Iinv)를 검출하는 제1수단(10∼11)과, 제2검출 신호(OC2)를 제공하도록 상기 부하(8)에 흐르는 제2과전류(Iload)를 검출하는 제2수단(12∼13)과, 상기 전력 발생수단(2∼5) 또는 또 다른 전원(1)로부터 전력이 상기 부하(8)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수단(6∼7)과,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과전류(Iinv, Iload)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전력 발생수단(2∼5)으로부터 전력이 상기 부하(8)에 공급되며, 상기 제1 및 제2 과전류 (Iinv,Iload)가 검출되면, 상기 다른 전원(1)으로부터 전력이 상기 부하(8)에 공급되도록 상기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수단(6,7)을 제어하는 수단(14∼16)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과전류 보호기능을 갖는 무정전 전원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어수단(14∼16)은 상기 제2과전류(Iload)가 검출된 다음, 상기 제2과전류(Iload)의 검출이 중단(OC2=0)되면 상기 발생수단(2∼5)이 다시 상기 부하(8)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수단(6∼7)을 제어하는 것이 특징인 과전류 보호기능을 갖는 무정전 전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14∼16)은; 상기 제1 및 제2과전류 (Iinv,Iload)가 검출될 때 부하 과전류신호(OC2A)를 발생시키고 또한 상기 제1과전류 (Iinv)만이 검출될때 내부 과전류 신호(OC1A)를 발생시키는 수단(16)과, 상기 내부 및 부하 과전류 신호(OC1A,OC2A)가 발생되면, 상기 전력 발생수단(2∼5)으로부터 전력이 부하(8)에 공급되고, 상기 부하 과전신호(COA)가 발생되지만 사라지게되면 상기 전력 발생수단(2∼5)으로부터 전력이 상기 부하(8)에 공급되도록 상기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수단(6∼7)을 제어하는 수단(14∼15)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과전류 보호기능을 갖는 무정전 전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발생수단(2∼5)은; 상기 또 다른 전원(1)으로부터의 AC전력을 DC 전력으로 변환시키는 정류기(2)와, 상기 정류기 수단(2)으로부터의 DC전력이 부하(8)에 공급될때 AC전력으로 변환시키는 인버터(3)를 포함하며, 상기 제1수단(10∼11)은; 상기 인터버(3)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인버터 전류신호 (Iinv)로 변환시키는 수단(10)과, 상기 인버터 전류신호(Iinv)크기를 인버터 기준 (Iref)을 비교하여, 상기 인버터 전류신호(Iinv)가 상기 인버터 전류기준(Iref)을 초과할때 상기 제1 검출 신호(OC1)를 발생시키는 수단(11)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2수단(12∼13)은; 상기 부하(8)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부하 전류신호(Iload)로 변환시키는 수단(12)과, 상기 부하전류신호(Iload)의 크기를 부하 전류기준(IL1)과 비교하여 상기 부하 전류신호(Iload)의 크기가 상기 부하 전류기준(IL1)을 초과하면 상기 제2검출신호(OC2)를 발생시키는 수단(13)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과전류 보호기능을 갖는 무정전 전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전류기준(Iref)의 레벨의 상기 부하 전류기준 (IL1)의 레벨과 동일 또는 그 이상인 것이 특징인 과전류 보호기능을 갖는 무정전 전원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발생수단(2∼5)은 상기 인버터(3)에 DC 전력을 공급하는 축전지(9)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축전지(9)는 상기 또다른 전원(1)의 전력과 무관한 것이 특징인 과전류 보호기능을 갖는 무정전 전원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부하(8)에 공급될 전력을 발생시키는 제2 전력 발생수단(2∼5)과, 제3 검출신호(OC1)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2 전력 발생수단(2∼5)에서 흐르는 제3과전류(Iinv)를 검출하는 제3수단(10∼11)과, 제4검출신호(OC2)를 제공하도록 상기 부하(8)에 흐르는 제4과전류(Iload)를 검출하는 제4수단 (12∼13)과, 상기 부하(8)에 제2 전력 발생 수단(2∼5)으로부터 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수단(30)과, 그리고 상기 제3 및 제4과전류(Iinv, Iload)의 어느 것이 검출되면 상기 전력 발생수단(2∼5)으로부터 상기 부하(8)로의 전력공급이 정지되고 또한 상기 제3 및 제4과전류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제2 전력 발생수단(2∼5)으로부터 전력이 상기 부하(8)에 공급되도록 상기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수단(30)을 제어하는 수단(14,16,31)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과전류 보호기능을 갖는 무정전 전원장치.
  8. 외부전원(1)으로부터의 제1AC전력을 제1DC전력으로 변환시키는 정류기(2)와, 제2DC전력을 제공하는 축전지(9)와, 상기 제 1DC전력과 제2DC전력의 어느 하나를 제2AC전력으로 변환시키는 인버터(3)와, 상기 제 1AC 전력 또는 상기 제2 AC전력을 상기 부하(8)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스위치 수단(6,7,15)과, 인버터 전류를 검출하여 검출된 인버터 전류(Iinv)가 인버터 전류기준(Iref)을 초과할 때 인버터 과전류 신호(OC1)를 발생시키는 수단(10,11)과, 부하전류(Iload)를 검출하여 검출된 부하전류(Iload)가 상기 인버터 전류기준(Iref)와 동일 또는 그 이하인 부하 전류기준(IL1)을 초과할 때, 부하 과전류 신호(OC2)를 발생시키는 수단(12,13)과, 상기 인버터 과전류 신호(OC1)와 상기 부하과전류신호(OC2)가 발생될때 제2제어신호(OC2A)를 발생시키는 수단(21,22,25)과, 그리고 상기 제1제어신호(OC1A)의 발생이 보유되면 상기 부하(8)는 상기 제1AC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부하과전류신호(OC2)가 일시적으로 발생되지만, 상기 부하 과전류 신호(OC2)와 상기 인버터 과전류 신호(OC1)가 사라질 경우 상기 제2AC전력을 공급받도록 상기 스위치 수단(6,7,15) 을 제어하는 수단(14)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과전류 보호기능을 갖는 무정전 전원장치.
  9. 적어도 하나의 AC전원장치를 AC전원입력으로부터 공급된 AC전력을 안정된 AC전력으로 변환시키는 무정전 전원장치(51)로 구성되고, 다른 AC전원장치(1)를 AC전원입력으로부터 얻은 또다른 AC전원장치로 구성하여 전력을 상기 AC전원장치 중 어느 것으로부터 스위치를 통해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며, 상기 AC전원장치는 상기 하나의 AC전원장치(51)로부터 부하(8)로 전력을 공급하는 동안 고장이 발생하면, 부하로의 전원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다른 AC전원장치(1)의 일시적으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수단(54,56)과, 고장이 상기 하나의 전원장치의 내부 요인에 의한 것인지 또는 그의 외부 요인에 의한 것인지를 판정하는 수단(29,57)과, 고장이 외부요인인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하나의 AC전원장치를 재기동시켜 현재의 전원장치의 동작을 상기 하나의 AC전원장치로부터 전원장치 동작으로 절환시키는 수단(27,28) 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과전류 보호기능을 갖는 무정전 전원장치.
  10. 부하에 안정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서로 병렬로 연결된 적어도 두개의 무정전 전원장치(51,59)로 AC전원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중 어느 것에서, 고장이 발생하면, 고장난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51)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상기 고장난 무정전 전원장치(51)을 부하(8)로부터 일시적으로 분리시키는 수단(53,56,58, 60,61)과, 고장이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51)의 내부 요인에 의해 또는 그의 외부요인에 의한 것인지를 판정하는 수단(29,57)과, 그리고 고장이 외부요인에 의한 것으로 판정되며, 고장난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를 재기동시켜 그의 병렬동작을 고장이 검출안된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와 함께 행하는 수단(27,28)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과전류 보호기능을 갖는 무정전 전원장치.
  11. 적어도 하나의 AC전원장치를 AC전원 입력으로부터 공급된 AC전력을 안정된 AC전력으로 변환시키는 무정전 전원장치(51)로 구성되고, 다른 AC전원장치(1)를 AC 전원입력으로부터 얻은 또다른 AC전원장치로 구성하여 전력을 상기 AC전원장치 중 어느 것으로 부터 스위치를 통해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며, 상기 AC전원장치는 상기 하나의 전원장치(51)로부터 부하(8)로 전력을 공급하는 동안 고장이 발생하면, 부하로의 전원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다른 AC전원장치(1)의 일시적으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수단(54,56)과, 고장이 영구적인 것인지 또는 일시적인 것인지를 판정하는 수단(29,57)과, 고장이 일시적인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하나의 AC전원장치를 제기동시켜 현재의 전원장치의 동작을 상기 하나의 AC전원장치로 부터의 전원장치 동작으로 절환시키는 수단(27,28)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과전류 보호기능을 갖는 무정전 전원장치.
  12. 부하에 안정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서로 병렬로 연결된 적어도 두개의 무정전 전원장치(51,59)로 AC전원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 중 어느 것에서, 고장이 발생하면, 고장난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51)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상기 고정난 무정전 전원장치(51)을 부하(8)로 부터 일시적으로 분리시키는 수단 (53,56,58,60,61)과, 고장이 영구적인 것인지 또는 일시적인 것인지를 판정하는 수단(29,57)과, 그리고 고장이 외부요인에 의한 것으로 판정되면, 고장난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를 재기동시켜 그의 병렬동작을 고장이 검출안된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와 함께 행하는 수단(27,28)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과전류 보호기능을 갖는 무정전 전원장치.
  13. 고장이 나타내는 전기신호를 제공하도록 무정전 전원장치(51)내의 고장을 검출하는 제1 검출수단(29)과, 고장을 나타내는 출력신호를 제공하도록 상기 전기 신호의 발생 타이밍 레벨 및 변동률 중 어느 것에 검출하기 위해 상기 제1 검출 수단으로 부터의 상기 전기 신호에 응답하는 제2 검출수단(29)과, 그리고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에서의 고장이 일시적인 것인지 또는 영구적인 것인지를 상기 제2검출수단으로부터의 출력신호에 준하여 판정하는 수단(57)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과전류 보호기능을 갖는 무정전 전원장치.
    ※ 참고사항 : 최초 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00011648A 1989-05-02 1990-07-31 과전류 보호기능을 갖는 무정전 전원장치 KR9100072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2071A JPH0755031B2 (ja) 1989-05-02 1989-05-02 交流電源装置
JP1-112071 1989-05-02
JP1-118705 1989-05-15
JP1118705A JPH02303334A (ja) 1989-05-15 1989-05-15 交流電源装置
JP1149000A JP2793264B2 (ja) 1989-06-12 1989-06-12 無停電電源装置
JP1-149000 1989-06-12
JP1-244952 1989-09-22
JP1244952A JP2695941B2 (ja) 1989-09-22 1989-09-22 無停電電源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7225A true KR910007225A (ko) 1991-04-30

Family

ID=67538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1648A KR910007225A (ko) 1989-05-02 1990-07-31 과전류 보호기능을 갖는 무정전 전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722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128A (ko) * 2000-10-07 2002-04-16 이구택 게이트 신호를 감지한 무순단 절환장치
KR100803543B1 (ko) * 2006-11-06 2008-02-15 두원공과대학산학협력단 다중 펄스 정류기 제어 방식의 무정전 전원장치의 제어장치
KR100869581B1 (ko) * 2007-02-23 2008-11-21 성신전기공업(주) 무정전전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128A (ko) * 2000-10-07 2002-04-16 이구택 게이트 신호를 감지한 무순단 절환장치
KR100803543B1 (ko) * 2006-11-06 2008-02-15 두원공과대학산학협력단 다중 펄스 정류기 제어 방식의 무정전 전원장치의 제어장치
KR100869581B1 (ko) * 2007-02-23 2008-11-21 성신전기공업(주) 무정전전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95941B2 (ja) 無停電電源装置
KR890005948A (ko) 무정전전력공급장치(ups)에 있어서의 역전력 흐름을 방지하기 위한 백업보호스위치
CA2168676A1 (en) Failure Detection System for Detecting a Failure in a Power Converter
JP3428242B2 (ja) 無停電電源装置
RU2001123682A (ru) Выключатель
KR910007225A (ko) 과전류 보호기능을 갖는 무정전 전원장치
WO2021005793A1 (ja) 直流分電盤
TW201935803A (zh) 一種ups故障保護電路及ups裝置
JPS61231846A (ja) 直送無瞬断切換方式無停電電源装置
JP2518204Y2 (ja) 無停電電源装置の保護回路
JP3564475B2 (ja) 無停電電源装置
JPH04312330A (ja) 無停電電源装置
JP2824369B2 (ja) 回路遮断器の電源回路
JPH02174527A (ja) 無停電電源装置
JP3030790B2 (ja) 電源アラーム回路
JPH04368436A (ja) 無停電電源装置の保護回路
KR200310487Y1 (ko) 전원공급 유지용 전원회로
JPH0834665B2 (ja) 交直変換装置
JPH1023740A (ja) 電力変換装置
JPS60220600A (ja) バツテリ・パワ−形コンデンサ式x線発生装置
KR960039520A (ko) 전기/전자 제품의 정전 판단 장치
JP2002084683A (ja) 瞬時電圧低下対策装置
JPH06165411A (ja) 無停電電源装置
JPH04248338A (ja) 待機形無停電電源装置
JPH0923593A (ja) 発電機対応形無停電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