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973Y1 - 발열체가 내장된 식품용기 - Google Patents

발열체가 내장된 식품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973Y1
KR910006973Y1 KR2019880013291U KR880013291U KR910006973Y1 KR 910006973 Y1 KR910006973 Y1 KR 910006973Y1 KR 2019880013291 U KR2019880013291 U KR 2019880013291U KR 880013291 U KR880013291 U KR 880013291U KR 910006973 Y1 KR910006973 Y1 KR 9100069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eat
container
food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32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4458U (ko
Inventor
이길무
Original Assignee
이길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길무 filed Critical 이길무
Priority to KR20198800132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6973Y1/ko
Publication of KR9000044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4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9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9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8Warming devices generating the heat by exothermic reactions, e.g. heat released by the contact of unslaked lime with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열체가 내장된 식품용기
제1도는 본 고안의 부분 절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 설명도.
본 고안은 평소 고체 상태로 존재하고 있으나, 물과 혼합되면 단시간내 많은 열량을 발열 시키는 성질을 갖고 있는 생석회를 식품 용기의 하단에 내장하여 필요시 물과 혼합시킴으로써 식품을 끓이거나 데워 먹을 수 있게한 발열체가 내장된 식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야외에서 먹게되는 즉석 식품의 대다수는 물을 적정 온도까지 끓인후, 이를 용기 내에 투여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먹었던 것으로써 이러한 종래 즉석 식품의 폐단은 물을 가열시키기 위한 별도의 가열 기구를 휴대하여야 하는 제약이 뒤따르게 되며 별도의 가열 기구를 휴대하는 경우 굳이 즉석식품을 이용할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통상 사용되는 즉석 식품의 이러한 폐단을 개선하고자 여러가지 1회용 가열 용기들이 고안 되었으나. 이 또한 특정 연료를 연소시키는 방법들로써 제조, 보관, 운송, 휴대시의 화재 위험과 연기 제거, 용기의 내화성 등이 문제점으로 나타나 실용화가 지연 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종래의 이러한 가열물을 이용한 방법에서 나타는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방법중의 하나로서 수산화 칼슘제조 원료인 생석회를 물과 혼합하여 가열시키는 방법이 고안되었다.
즉, 이론적으로 순도 70%이상의 생석회 1몰(56g)과 물 1몰(18g)을 혼합시킬때 수산화 칼슘 1몰(74g)과 15.2Kcal의 열량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물 주입량을 적당히 증가시킬 경우 추가로 투입된 물이 높은 온도의 증기가 되어 나오는데 이 증기와 열을 이용 음식물을 가열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 또한 다량의 열량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초기 반응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며 순간적인 반응으로 인하여 단시간 내에 발생되는 많은 열량을 음식물 가열에 이용치 못하고 대부분이 손실 되는 또 다른 단점이 발견이 되었다.
이와 같이 물과 생석회를 혼합하였을시 발열되는 온도 시간의 변화를 도표로서 도시하면 다음과 같다.
생석회의 발열 반응시간
[표 1]
반응조건 (1)사용원료 : 공업용생석회 (2)온도 : 상온 (3)물의 온도 : 20℃ (4)혼합비율 : 생석회 25g 물 25g
상기 도표에서 보듯이 생석회에 물을 투입하고 4-5분이 경과 한후에 발열 반응이 시작될 뿐 아니라 발열 반응이 시작된 이후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주반응이 1분 이내에 거의 종료가 됨을 알 수 있다. 물론 발열 반응후에도 생석회 자체의 온도는 상당 시간 유지된다.
따라서, 음식물을 데워 먹는데는 큰 문제 없이 사용이 가능하였으나, 대부분이 물을 끓여서 사용하여야 하는 즉석 식품류(예를들면 라면류, 커피 등 차종류, 찌게류)에는 사용이 불가능 하였을뿐 아니라 음식을 데워 먹는데도 일시적인 반응에 따라 많은 량의 가열 증기가 순간적으로 발생함으로 용기자체가 압력에 견디지 못할 수도 있을뿐만 아니라, 손 얼굴등에 화상의 우려 또한 배제할 수 없으며, 일시에 발생된 수증기의 대부분이 손실되는 문제가 제기되는 것이다.
물론, 물을 전혀 끓일수가 없는 것은 아니겠으나, 사용해야 하는생석회의 양을 대폭 증가시켜야 하는바, 경제성은 물론 휴대시의 량등과 함께 급격한 반응에 따른 위험성 또한 사용량이 증가 하는 것과 비례하여 증대 되므로 현실적으로 불가능 해지는 것이다.
본 고안은 통상 사용되는 즉석 식품을 사용키 위한 각종 1회용 가열용기들의 이러한 폐단을 개선하고자한 것으로서 사용하는 생석회에 반응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발열촉진제(염화칼슘)을 넣어 초기 반응시간을 대폭 감소시키고, 또한 급격한 발열 반응을 조절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생석회를 2개 이상 독립적으로 분할시켜, 그 분할된 각각에 발열촉진제 혼합 비율을 달리하므로써 단계적으로 반응토록하여 적은량의 생석회로도 물을 끓일 수 있도록 하여 최소한의 부피와 중량으로 휴대가 간편할 뿐 아니라 위험성도 감소시킨 간편한 용기를 창출한 것이다.
이하 고안의 요지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도는 뚜껑을 상단으로 분리한 후 본 고안의 일부를 절개한 시시도로써, 본 고안의 요지를 설명하기 위하여 편의상 라면이 들어 있는 컵 형태의 용기를 도시한 것으로써 재질을 압축 스치로폴 등 단열성이 좋은 용기 몸체(1)의 내면에 열전도성이 우수한 얇은 알미늄재 은박지 등으로서 음식물(2)이 담겨지는 음식용기(3)을 밀착 삽입하고, 용기몸체(1)의 하단에는 물(4)이 흡착되는 높이가 다른 바닥(A)(A')에 다수의 흡입공(5)(5')이 뚫려 있으며, 각기 칸막이(6)(6')를 각 바닥 별로 구획하여 발열체(7)(7')를 구분하여 저장한 것이다.
이 발열체(7)(7')는 발열촉진제(염화칼슘)(8)와 혼합하여 통기성과 흡수성이 좋은 봉지형 부적포(9)(9')에 넣어진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또한, 용기 하단에 내벽측에는 발열체(7)(7')가 발열시 발생되는 온도에 의해 용기가 손상되는 것과 상단으로 열기가 보다 많이 전달 되도록 하는 단열재(10)가 형성 되었으며 용기의 상단에는 용기에 물을 붓고 이를 끓일때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 뚜껑(11)이 있고 그 상단에 발열체에 투여할 물을 담아 사용할 물받이용 그릇으로 사용할 뚜껑(12)이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본 고안의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뚜껑(12)를 분리한후 또 다른 뚜껑(11)을 열고 물을 용기(3) 내로 적당량 투여하여 다시 밀폐한 후 분리한 뚜껑(12) 내로 물을 부은 다음, 용기(1)를 그위에 끼워 넣으면 각 칸막이(6)(6')로 분리되어 있는 발열체(7)(7')즉, 생석회가 흡입공(5)(5')을 통해 물을 빨아 들이면서 혼합되어 발열을 시작하게 되는데,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초기 반응 시간을 단축하고, 급격한 반응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열체(7)(7')들은 발열촉진체(8')의 혼합 비율을 적당히 조절하여야 한다.
예를들어 칸막이가 없고 발열 촉진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도표1)와 비교 하여, 칸막이를 2개로 하여 발열 촉진제 혼합 비율을 각각 5%, 0.5%로 한 경우를 도표로 통해 발열 반응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표 2]
상기 도표에서 보듯이 발열체(생석회)를 2로 나누어 점차적으로 반응하도록 하면 물을 끓이기 위한 온도의 지속적 유지가 가능함을 알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발열 촉진제의 혼합량에 따른 초기 반응 시간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표 3]
이와 같이 박열촉진제(염화칼슘)와 발열체(생석회)의 혼합비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는 것은 용기내에 담겨져 있는 식품 내용물에 따라 물의 온도 상승 시간과 온도유지시간의 변화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즉, 라면과 같이 음식물을 끊이기 위해서는 많은 열량을 필요로 하나 밥이나 죽 같은 음식물은 적은 열량으로 서서히 데워도 되기 때문인데, 음식물의 종류, 량, 용기의 모양, 온도 등에 따라 발열체의 양, 촉진제 투입량, 칸막이의 숫자를 조절해 주어야 한다.
물론, 도표1 도표2에 나타난 온도는 발열체 자체의 온도로서 이 온도가 전부 용기내의 음식물에 전달되는 것은 아니며, 라면의 경우 95°-100℃정도면 즉석 라면을 끓여 먹는다는 개념의 조리 방법에 필요한 충분한 온도이듯이 필요에 맞추어 조절해 주어야 하는 것이다.
이때 중요한 것은 각 칸막이(6)(6')에 의해 구획된 발열체(7)(7')의 발열작용이 순차적으로 이루워 지도록 유도하여야만 상기한 바와 같은 음식물의 조리에 필요한 온도를 지속 시킬 수 있는 것인바 이와 같은 순차적 반응을 유도하기 위하여는 제2도의 도시와 같이 일측 발열체(7')의 위치는 낮고 또 다른 발열체(7)는 높게 되도록 바닥(A)(A')의 높이를 계단식으로 하여 뚜껑(12)내의 물에 담그었을 때 발열체(7')는 흡입공(5')을 통하여 많은양의 수분을 흡수함으로 신속히 발열되어 용기(1)내의 음식물을 데우는 것이고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한 발열체(7)는 초기에 접촉되는 수분의 공급양이 적음으로 인하여 발열시간이 지연되는 것임으로 발열체(7')의 최대발열 지속시간 이후에 발열되여 용기내의 음식물을 계속적이고도 단계적으로 데울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제, 발열체의 주원료인 생석회의 자체 발열시간과 열량은 수분과의 접촉 농도에 따라 결정되는 것임으로 제2도의 도시와 같이 발열체를 계단식으로 위치하게 함으로서 초기에 수분과 접촉되는 양을 조절하여 단계적으로 발열되도록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와 작용 효과를 갖는 본 고안은 종래 사용되던 즉석식품의 폐단을 개선하여 가볍고 부피가 작아 휴대가 간편할뿐 아니라 별도의 취사 도구가 필요 없으며 음식물의 온도가 장시간 유지되어 음식맛에 까다로운 삶의 취향에도 맞추어 볼 수 있고 원재료가 저렴함으로 값싼 가격으로 널리 보급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발열촉진제(염화칼슘)(8)와 혼합비를 다르게 한 발열체(생석회)(7)(7')장입한 식품용기에 있어서 용기(1)의 바닥을 칸막이(6)(6') 별로 구분하여 바닥 높이를 차등을 두어 만들어진 발열체가 내장된 식품용기.
KR2019880013291U 1988-08-13 1988-08-13 발열체가 내장된 식품용기 KR9100069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3291U KR910006973Y1 (ko) 1988-08-13 1988-08-13 발열체가 내장된 식품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3291U KR910006973Y1 (ko) 1988-08-13 1988-08-13 발열체가 내장된 식품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458U KR900004458U (ko) 1990-03-06
KR910006973Y1 true KR910006973Y1 (ko) 1991-09-17

Family

ID=19278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3291U KR910006973Y1 (ko) 1988-08-13 1988-08-13 발열체가 내장된 식품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697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458U (ko) 199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6599B1 (ko) 전자레인지용 즉석식품이 든 용기
US5355869A (en) Self-heating group meal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same
US4809673A (en) Autonomous devices for heating food containers
US6601577B2 (en) Container assembly for warming beverages and method of forming and using it
CN102424201B (zh) 一种加热快餐食品装置容器、加热装置及发热剂
EP0356093A1 (en) Self-heating container
KR910006973Y1 (ko) 발열체가 내장된 식품용기
JP5581497B1 (ja) 非常用混ぜご飯缶
CN201564255U (zh) 纸碗装方便食品加热器
WO2006091182A1 (en) Container assembly and method for warming beverages
JPH0515419B2 (ko)
JPH0623398B2 (ja) 生石灰の水和発熱を利用するホットプレートおよび発熱剤
JP2594552Y2 (ja) 簡易調理器
JP3017348U (ja) 携行食用簡易セット
CN218784372U (zh) 一种自加热温酒装置
KR960001321Y1 (ko) 가열장치를 구비한 일회용 조리용기
RU55748U1 (ru) Саморазогревающаяся консервная банка
KR870003931Y1 (ko) 가온장치
JP2597140Y2 (ja) 簡易グリル
KR20210154648A (ko) 발열제와 일체화된 일회용식품용기
JPH037340Y2 (ko)
KR880001515Y1 (ko) 음식물 가온용기
JPH0245185Y2 (ko)
JPH0118126Y2 (ko)
KR900010651Y1 (ko) 인스턴트 식품용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