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743Y1 - 접는 부분 형성용 프레스기 - Google Patents

접는 부분 형성용 프레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743Y1
KR910006743Y1 KR2019880009256U KR880009256U KR910006743Y1 KR 910006743 Y1 KR910006743 Y1 KR 910006743Y1 KR 2019880009256 U KR2019880009256 U KR 2019880009256U KR 880009256 U KR880009256 U KR 880009256U KR 910006743 Y1 KR910006743 Y1 KR 9100067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cloth
frame
pressing plate
fram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92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6360U (ko
Inventor
요시미쯔 에나미
Original Assignee
가브시기가이샤 하시마
오오쯔까 겐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브시기가이샤 하시마, 오오쯔까 겐고 filed Critical 가브시기가이샤 하시마
Publication of KR8900163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63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7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7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89/00Apparatus for folding textile articles with or without stapling
    • D06F89/02Apparatus for folding textile articles with or without stapling of textile articles to be worn, e.g. shi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접는 부분 형성용 프레스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접는부분 형성용 프레스기의 전체를 표시하는 일부 절결 사시도.
제2도는 접어넣기 형틀을 표시하는 확대사시도.
제3도, 제4도 및 제5도는 옷감을 포켓으 형상으로 접는 공정을 표시하고, 제3도는 누름판 위에 옷감과 상형틀을 포개놓은 상태를 표시하는 확대 단면도.
제4도는 누름판을 눌러놓은 상태를 표시하는 확대 단면도.
제5도는 제2도의 A-A' 선에 의한 절단한 상태를 표시하고, 옷감을 상형틀의 형상에 따라 접은 상태를 표시 하는 확대 단면도.
제6도는 종래의 접는 형틀을 표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틀몸체 13 : 스프링체
14 : 누름판 15 : 상형틀
17 : 하형틀
본 고안은 접는 부분 형성용 프레스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접는 부분 형성용 프레스기로서는 제6도에 표시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 접는 부분 형성용 프레스기(1)는 포켓모양의 내변을 가진 틀몸체(2)와 스폰지 시이트(3)를 상면에 붙이어서 상기 틀몸체(2)의 아래쪽에 배치한 옷감재치판(4)으로부터 되는 하형틀(5)과, 옷감(6)을 접어서 상기 틀몸체(2)와 옷감재치판(4) 사이의 간격안에 넣는 박판 모양의 상형틀(7)에 의하여 구성되어 옷감(6)을 포켓모양으로 접는, 접는 형틀(8)과 이 접는형틀(8)의 전방에 배치하여 옷감(6)에는 접는 눈금을 형성하는 프레스 장치(9)를 구비한 것이다.
그러나, 이 접는부분 형성용 프레스기에 있어서는, 옷감을 상형틀(7)의 형상으로 접어서 틀몸체(2)와 옷감재치판(4) 사이의 간격에 끼워 넣을때, 옷감재치판(4) 상면에 깔아붙인 스폰지 시이트(8)의 탄성력에 의하여 옷감이 틀몸체(2)로 눌러지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스폰지 시이트(3)가 나빠짐에 따라서, 스폰지 시이트(3)에 의한 틀몸체(2)에의 누름힘이 저하하여 항상 일정한 누름힘으로 프레스 장치에 옷감을 끼워넣을 수가 없었다.
이 때문에, 틀몸체(2)와 옷감(6)사이에 간격이 생기고 이 간격때문에 도중에 상형틀(7)의 형상으로 접어넣었어야 할 옷감이 되돌아와 상형틀의 형상으로 옷감을 접어넣을 수가 없게 된다든지, 혹은 이 간격이 원인이 되어 구김살이 생기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 하였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이며, 틀몸체의 형상으로 접은 옷감을 항상 일정한 누름힘으로 프레스장치에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하는 접는부분 형성서용 프레스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옷감을 포켓 모양으로 접는 안포켓 모양을 형성한 접기형틀과 이 접기형틀을 전방에 배치하여 옷감에 접는부분을 형성하는 프레스장치를 구비한 접는부분 형성용 프레스기에 있어서, 상기 접기형틀이 포켓 모양의 내변을 갖는 틀 몸체와, 틀몸체를 아래로부터 누르는 누름판과, 누름판 뒷면에 부착시켜 누름힘을 부여하는 스프링체로 구성되는 하형틀과, 옷감을 접어서 상기틀몸체와 누름판 사이에 끼워넣는 박판모양의 상형틀로 구성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접는부분 형성용 프레스기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접는부분 형성용 프레스기에 있어서는, 포켓모양의 내변을 가지는 틀몸체위에 올려놓은 옷감에 박판모양의 상형틀을 맞쳐서 올려놓고, 이 상형틀의 외형에 따라서 옷감을 접어, 이 상태에서 옷감을 틀몸체와 누름판 사이에 끼워넣었을때, 누름판 뒷면에 붙여진 스프링체가 당해 누름체에 누르는 힘을 부여하고, 누르는 힘을 부여받은 누름체가 옷감을 틀몸체에 눌러 붙이도록 되어 있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접는 부분 형성용 프레스기를 도면에 표시한 일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접는 부분 형성용 프레스기의 전체를 표시한 사시도이고, 제2도는 접기형틀을 표시한 확대 사시도, 제3도, 제4도 및 제5도는 옷감을 포켓의 형상으로 접는 공정을 표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접는 부분 형성용 프레스기(11)는, 옷감(16)을 포켓 모양으로 접는 접기형틀(18)과 옷감(16)에 접는부분을 형성하는 프레스장치(19)를 갖추고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프레스장치(19)는 한쌍의 로울러(20)에 걸어 장치된 상부누름벨트(21)와, 이 상부누름벨트(21)에 눌러 접합하는 복수의 로울러(22)에 걸어 장치되어진 하부누름벨트(23)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상부누름벨트(21)와 하부누름벨트(23)사이에 접기형틀(18)에 의하여 접어진 옷감(16)이 끼워서 반송되어 접는부분이 형성되도록 되어있다. 또한 상부누름벨트(21) 및 하부누름벨트(23) 배면의 압접면측으로서 옷감의 진입구 근방에는 냉각장치(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고, 이 냉각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연속하여 옷감(16)의 반송방향에 따라 가열장치(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누름벨트(21) 및 하부누름벨트(23)가 진입구에서 냉각되고 가열되어 이에 수반하여 옷감(16)이 가열되면서 프레스되어 옷감(16)에 접는부분이 형성되어 전방으로 부터 나오도록 되어 있다.
또한, 프레스장치(19)는, 여기에 한정되어지는 것은 아니고, 단순히 옷감을 눌러 접합하는 것뿐인 것이나, 접는부분이 형성된 옷감이 후방으로 나오도록 구성된 것이여도 좋다. 접기형틀(18)은 제1도, 제2도, 제3도, 제4도 및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스 장치(19)의 후부이며 옷감(16)의 진입구에 평행하여 부착된 접기핀가대(24)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다. 이 접기형틀(18)은 하형틀(17)과 상형틀(15)로서 구성되고 상기 접기판가대(24)에 하형틀(17)이 붙어지며 이 하형틀(17)에 옷감(16)을 중간에 끼고 상방에서 상형틀(15)이 포개지도록 되어 있다.
하형틀(17)은 틀몸체(12)와 누름판(14)과 스프링몸체(13)로서 구성되어 있다. 틀 몸체(12)는 포켓의 형상으로 성형된 내벽을 가지는 성형틀이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틀몸체(12)로서는 한쪽이 트여져 대략 V자형으로 이루는 박판모양의 금속틀을 사용하였으며 이틀을 사용하였으며 이 틀몸체(12)의 트여진 쪽으로부터 옷감(16)이 끼워 넣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 틀몸체(12)는 상층(12a)과 하층(12b)으로 되는 2층 구조로 되어 있다.
상층(12a)은 장공홈(12c)아 형성되어 하층층(12b)에 체결된 나사(12d)에 의해 중심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져 있고 옷감(16)을 후술하는 상형틀(15)의 형상에 맞추어서 간단히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틀몸체(12)로서는 실시예에 표시한 것에 한정하지 않고 고정식인 것으로서 손작업으로 옷감을 상형틀(15)의 형상에 따라서 접어 넣도록 한 것이라도 좋다.
이 틀몸체(12)의 하방에는 틀몸체(12)를 누르는 누름판(14)이 배치되어 있다.
이 누름판(14)은 상기 틀몸체(12)의 저면과 틀몸체(12)에 의하여 둘러싸인 부분을 합친 크기로 형성된판이다.
이 누름판(14)위에는 옷감(16)이 올려 놓아지도록 되어 있고 상형틀(15)의 형상으로 접은 옷감(16)을 이 누름판(14)과 상기를 끼워놓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인 누름판(14)의 뒷면에는 복수의모양의 붙임부(25)가 설치되고 이 붙임부(25)내에는 스프링체(13)가 부착되어 있다. 스프링체(13)는 상기 접기판가대(24)위에 세워 설치 되여 상기 누름판(14)을 하방에서 지지하는 지지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링체(13)는 누름판(14) 뒷면의 각기 사각에 각각 1개씩 부착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체(13)의 갯수나 부착 위치는 누름판(14)의 크기나 형상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그리고 이 스프링체(13)에 의하여 누름판(14)에 누름힘이 부여되여 누름판(14)과 틀몸체(12)와의 사이에 간격이 생기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옷감(16)을 끼워넣기 위하여 누름판(14)을 아래로 밀어내리면 누름판(14)뒷면의 스프링체(13)가 수축하고 누름판(14)과 틀몸체(12)와의 사이에 간극(c)이 나타나고 이 간극내(c)에 옷감(16)이 안으로 끼워 넣어진다. 이때 누름판(14)은 스프링체(13)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방으로의 누름핌이 부여되기 때문에 그 누름판(14)은 옷감(16)을 끼우므로서 틀몸체(12)와 누름판(14)사이에 옷감(16)을 끼워 넣었을때 양자 사이에 공간이 생기는 일이 없다.
상형틀(15)은 상기 틀몸체(12)의 내변의 형상에 대응하여 틀몸체(12)의 내변과 대략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 박판이다. 이 상형틀(15)을 상기 누름판(14) 위에 옷감을 올려놓은상태로 위로부터 대고 동 상형틀(15)의 형상에 따라 옷감(16)을 접어가는 것이다.
다음에 본 고안의 접는부분 형서용 프레스기를 사용하여서 옷감에 접는부분을 형성하는 공정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우선 제1도, 제2도, 제4도 및 제5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상면에 틀 몸체(12)를 배치한 누름판(14)위에 옷감(16)을 올려 놓는다. 다음에 상형틀(17)을 옷감(16)의 위에 대고 누르면 스프링체(13)가 압축되면서 누름판(14)이 하강하여 상형틀(15)과 상층(12a)사이에 옷감(16)을 접을 수 있는 간극(c)이 생기고, 이 상태에서 틀체(12)의 상층(12a)을 중심방향으로 향하여 슬라이드 시켜서 옷감(16)을 상형틀(17)의 형상을 따라서 접어 넣는다.
이때 누름판(14)은 그 뒷면에 붙여진 스프링체(13)의 복원력에 의하여 틀몸체(12)을 눌러주는 누르는 힘이 부여되고 틀몸체(12)와의 사이에 끼어있는 옷감(16)을 끼워 잡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전방으로 옷감(16)을 손으로 밀어내는 것에 의하여 옷감(16)이 프레스 장치(19)의 한쌍의 벨트 즉 상부누름벨트(21) 및 하부누름벨트(23) 사이에 끼워지고 가열 프레스되어 소정의 접는 선이 형성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접는부분 형성용 프레스기에 있어서는 포켓 모양의 내변을 가지는 틀몸체(12) 위에 올려 놓은 옷감(16)에 박판 모양의 상형틀(15)을 합쳐 올려놓고 이 상형틀(15)의 외형에 따라 옷감(16)을 접은 상태에서 옷감(16)을 틀몸체(12)와 누름판(14) 사이에 끼워넣을때 누름판(14) 뒷면에 설치한 스프링체(13)가 동누름판(14)에 누르는 힘을 부여하고 누르는 힘이 부여된 누름판(14)이 옷감(16)을 틀몸체(12)에 밀어 부치도록 되어 있다.
이때문에, 틀몸체(12)의 형상으로 접은 옷감을 일정한 누름힘으로 프레스 장치 쪽으로 밀어 넣을 수 있어서, 옷감(16)을 프레스 장치로 밀어 넣을때, 옷감에 주름살이 생기는 일이 없이, 항상 전확히 접는 부분을 형성할 수가 있다.

Claims (1)

  1. 옷감을 포켓형으로 접는 포켓 모양으로 형성된 접기형틀(18)과 이 접기형틀을 전방에 배치하여 옷감(16)에 접는부분을 형성하는 프레스 장치를 구비한 접는부분 형성용 프레스기(11)에 있어서, 상기 접기형틀(18)이 포켓모양의 내변을 갖는 틀몸체(12)와 틀몸체를 하방으로 부터 누르는 누름판(14)과 누름판 뒷면에 부착시켜 누르는 힘을 부여하는 스프링체(13)로 구성되는 하형틀(17)과 옷감(16)을 접어서 상기 틀몸체(12)와 누름판(14)사이에 끼워넣는 박판 모양의 상형틀(1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는 부분 형성용 프레스기.
KR2019880009256U 1988-01-08 1988-06-16 접는 부분 형성용 프레스기 KR91000674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8001482U JPH0516171Y2 (ko) 1988-01-08 1988-01-08
JP63-1482 1988-0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360U KR890016360U (ko) 1989-08-19
KR910006743Y1 true KR910006743Y1 (ko) 1991-08-31

Family

ID=31201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9256U KR910006743Y1 (ko) 1988-01-08 1988-06-16 접는 부분 형성용 프레스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516171Y2 (ko)
KR (1) KR91000674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892B1 (ko) * 2006-01-03 2007-02-26 (주)이룸에이치앤드티 인쇄물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1106516U (ko) 1989-07-18
JPH0516171Y2 (ko) 1993-04-28
KR890016360U (ko) 198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39021A1 (en) Apparatus for forming embossed and printed images
US4202122A (en) Self-supporting unitary plate for holding photographic slides
KR910006743Y1 (ko) 접는 부분 형성용 프레스기
JPS6022465Y2 (ja) 電子レジスタ
US4296561A (en) Picture frame having integral latching means
JPS6317110U (ko)
US2741860A (en) Telephone index
JPH0452115U (ko)
CN219410311U (zh) 一种服装裁剪装置
JP2548621B2 (ja) ラベルプリンタのロール紙装填装置
USD973132S1 (en) Microfiber booklet
JPS5923016Y2 (ja) 簡易印刷器
JPH081074Y2 (ja) ベルト式ラミネート装置
JPH0225634Y2 (ko)
JP2739096B2 (ja) 携帯用固形布製品及びその製造法
JPS5848404U (ja) フインガコンポ−ザ
JPS6418065U (ko)
JPS6421152U (ko)
JPH0636932Y2 (ja) ハガキガイド
JP2806716B2 (ja) 薄板専用ラック
JPH0235775Y2 (ko)
JPH0241797Y2 (ko)
JPS6054809B2 (ja) 金属板の型押し成形方法
JPS61104885A (ja) スタンプ式孔版印刷器
JP3067476U (ja) シ―トの定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0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