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6892B1 - 인쇄물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인쇄물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6892B1
KR100686892B1 KR1020060000605A KR20060000605A KR100686892B1 KR 100686892 B1 KR100686892 B1 KR 100686892B1 KR 1020060000605 A KR1020060000605 A KR 1020060000605A KR 20060000605 A KR20060000605 A KR 20060000605A KR 100686892 B1 KR100686892 B1 KR 100686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bracket
support plate
printed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0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4655A (ko
Inventor
양동환
노경보
Original Assignee
(주)이룸에이치앤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룸에이치앤드티 filed Critical (주)이룸에이치앤드티
Priority to KR1020060000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6892B1/ko
Publication of KR20060034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4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6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6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01L31/0488Double glass encapsulation, e.g. photovoltaic cells arranged between front and rear glass sh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885Curtain walls comprising a supporting structure for flush mounted glazing pa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천 등에 인쇄시 인쇄할 부분을 평행하게 사면에서 잡아줄 수 있는 인쇄물 고정장치를 얻기 위한 것인 바,
사면에 홈브라켓이 구성한 밑판부와, 상기 밑판부에 고정된 가압스프링이 삽입구성된 상하부캡과, 상기 상부캡에 고정되는 인쇄지지판과, 상기 밑판부의 사면의 홈브라켓에 끼워져 결합되는 돌기브라켓을 구비한 고정프레임을 구성함으로서,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인쇄물을 고정할 수 있으며, 특히 T셔츠, 수건, 보자기, 커플티 등의 의류에 인쇄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 인쇄물의 위치 및 평면과 균형을 편리하게 잡을 수 있으며, 고정한 후에도 측면에서 인쇄물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입체형상을 인쇄할 수 있도록 인쇄범위 내에서 인쇄하는 모양에 맞추어 입체형상이 형성된 인쇄지지판을 구성하여 정밀하게 입체감을 줄 수 있도록 뛰어난 효과가 있다.
T셔츠, 의류, 입체, 프린트

Description

인쇄물 고정장치{Fixing device for printed matt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인쇄물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인쇄물 고정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인쇄물 고정장치를 도시한 조립도.
도 4는 본 발명의 인쇄물 고정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인쇄물을 장착하는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인쇄물 고정장치에 인쇄물을 세팅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인쇄물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스프링 20,30 : 상하부캡
40 : 홈브라켓 50 : 돌기브라켓
60 : 밑판부
70,80 : 상하판인쇄지지판 90 : 인쇄지지판
100 : 다리 110 : 돌기
120 : 고정프레임 130 : 지지봉
140 : 인쇄물
본 발명은 인쇄물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류, 천 등에 인쇄시 인쇄할 부분을 평행하게 사면에서 잡아줄 수 있는 인쇄물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날염은 제판과정이 필수적인 스크린 프린트 또는 로울러 프린트에 의하여 주로 행해졌으나, 이러한 방법은 제도 및 제판공정이 필요하므로 염색과정이 복잡하고 따라서 유행에 신속하게 대처하기가 곤란하며, 오늘날 요구되는 다품종 소량 생산에 부적합하였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최근에 대형 프린터로 종이 대신 섬유원단을 직접 출력하는 디지털 날염기법이 개발되어 국내외 섬유업계에 확산되고 있다.
염색기술의 혁명이라 불리는 디지털 날염기법은 1990년대 중반에 국내에 소개된 것으로, 프린터 출력만으로 염색공정을 끝내기 때문에 아무리 복잡한 형태의 원단 디자인도 즉시 재현가능하고, 종래의 염색방법에서 구현하기 힘들었던 색조도 자유롭게 출력할 수 있으며, 샘플생산의 경우 기존의 날염기가 보통 10여일이 소요되는 것을 디지털 프린터는 단 10분만에 끝낼 수 있을 정도로 생산성, 효율성 등에서 혁신적이며, 디자인 표현과 변경, 색상 발현방법에 있어서도 기존 날염기의 성능을 초월한다. 즉, 디지털 날염은 제한된 디자인을 표현하는 기존 날염방식과 달리, 컴퓨터상에서 창작한 디자인을 바로 프린터로 연결, 섬유에 염색하므로 디자인 표현에 거의 한계가 없다고 할 수 있으며, 디자인 변경 역시 기존 방식은 작업을 다시 해야 하지만 디지털 날염은 컴퓨터 프로그램의 조작만으로 간단히 디자인을 변경하여 염색할 수 있다. 또한 보통 30여가지의 염료조합으로 제한된 색상을 표현했던 기존 방식에 비해 디지털 방식의 잉크젯 프린터를 사용하면 1천6백70만 칼라의 표현이 가능할 정도로 색상표현에 거의 제한이 없다고 할 수 있다.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이러한 디지털 날염은 소량의 원단으로 샘플의류를 만들어 시장반응을 조사하고 판매가능성이 높은 제품의 원단 생산을 실시간으로 생산할 수 있어 원단재고부담이 덜어지고 이에 따라 원가절감에도 기여하게 되며, 또한 생산설비면에서도 디지털 방식의 잉크젯 프린터를 사용하면 넓은 공장이 필요없이 일반사무실에서도 가동할 수 있고 다만 프린트후 스팀과 세정공정만 외부에 의뢰하거나 또는 자체설비로 해결하면 우수한 품질의 원단을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오늘날 디지털 날염은 디자인에 대한 독자적인 수요, 탄력있는 시장대응의 필요성 등 시대적 요구에 부합하여 섬유업계 최대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 분야의 기술개발은 앞으로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디지털 날염기법이 개발된 초기의 프린터는 프린터 내부에서 구겨지지 않는 특수원단만을 사용할 수 있고, 1㎡당 출력비용이 3∼4만원에 달하는 등 대량생산이 불가능하여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샘플용 의류제작에만 일부 활용되는 정도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특수원단 대신 일반 섬유소재도 출력가능한 대형 제품이 개발되면서 프린터로 원단을 염색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프린터의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다양한 소재에 인쇄하고자하는 심리와 소비요구가 발생이 되고 있으나 많은 한계에 부딪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 인쇄물은 평평한 소재에 인쇄하므로 인쇄상의 문제점이 없었으나, T셔츠 등의 의류에 인쇄시 형태와 수축과 팽창이 발생이 되는 소재의 특성상 인쇄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류, 천 등에 인쇄시 인쇄할 부분을 평행하게 사면에서 잡아줄 수 있는 인쇄물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쇄할 부분을 평면상태와 전후좌우 측면에서 수평잡기 및 텐션 등을 고르게 잡아줄 수 있는 인쇄물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쇄물을 장착하기 편리하도록 일측을 중심으로 고정프레임을 회전할 수 있는 인쇄물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면에 홈브라켓이 구성한 밑판부와, 상기 밑판부에 고정된 가압스프링이 삽입구성된 상하부캡과, 상기 상부캡에 고정되는 인쇄지지판과, 상기 밑판부의 사면의 홈브라켓에 끼워져 결합되는 돌기브라켓을 구비한 고정프레임을 구성하여 달성하였다.
본 발명의 인쇄지지판은 상판인쇄지지판과 하판인쇄지지판으로 구성되어 고정프레임과 맞물리는 인쇄물을 고정하는 두께를 조절할 수 있도록 4면에 지지봉을 구성하여 달성하였다.
본 발명의 고정프레임의 돌기브라켓과 맞물리는 홈브라켓은 밑판부에 고정된 홈브라켓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돌기브라켓의 양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를 잡아주도록 홈브라켓의 내부의 양측면에 볼과 스프링을 구성하여 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인쇄물 고정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쇄물 고정장치는 의류 등의 신축성이 있는 인쇄물에 인쇄시에 위치 및 균형을 잡기가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면에 홈브라켓(40)이 구성한 밑판부(60)와, 밑판부에 고정된 가압 스프링(10)이 삽입구성된 상하부캡(20,30)과, 상부캡에 고정되는 인쇄지지판(90)과, 밑판부의 사면의 홈브라켓에 끼워져 결합되는 돌기브라켓(50)을 구비한 고정프레임(120)을 구비한 것을 요지로 하고 있다.
상기 밑판부(60)는 사면에 홈브라켓(40)을 각각 구성하고 있으며, 중앙에는 인쇄지지판(90)을 지지하고 가압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스프링(10)은 밑판부에는 하부캡(30)을 고정하고, 상부캡(20)에는 하부인쇄지지판(70)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상하부캡의 내에 스프링을 삽입구성하고, 상부캡(20)에는 가이드홀(20-1)과 상기 가이드홀을 관통하여 고정볼트(160)로 하부 캡(30)에 고정하여 밑판부와 하부인쇄지지판(30)이 분리되지 않고 일정한 범위에서 이완작용을 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밑판부(60)의 홈브라켓(40)의 구조는 내부의 양측면에 스프링(40-2)과 볼(40-1)을 구성하여 고정프레임의 돌기브라켓과 결합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돌기브라켓(50)은 홈브라켓(40)에 장착되도록 돌기(110)를 형성하고 있어 홈브라켓을 축으로 회전이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므로 밑판부와 고정프레임과 탈착이 가능하므로 인쇄물의 종류에 상관없이 고정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인쇄지지판(90)은 상부인쇄지지판과 하부인쇄지지판으로 구성하고 있으며, 상하부인쇄지지판의 사이에는 지지봉(130)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지지봉의 높낮이로 인쇄물의 지지력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고정프레임(120)은 인쇄지지판의 외관틀을 형성하고 있으며 밑판부의 홈브라켓과 결합이 되도록 다리(100)에 돌기브라켓을 각각 구성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20)을 뺀 상태에서 T셔츠를 올려놓고 다시 고정프레임을 장착시에 홈브라켓(40)에 돌기브라켓(50)을 장착하여 결합한다. 상기 도 6에서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T셔츠의 주름진 부분을 사면에서 당겨서 미세조절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장착한 상태에서도 인쇄할 부분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7에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입체형상의 인쇄물에 근접할 수 있 도록 인쇄지지판의 상부에 입체형상을 구성하여 인쇄물(140)의 형태에 따라 교환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부인쇄지지판의 전체를 교환하거나 상부인쇄지지판에 부착하여 구성하여 다양한 형태의 인쇄물에 인쇄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인쇄물을 고정할 수 있으며, 특히 T셔츠, 수건, 보자기, 커플티 등의 의류에 인쇄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인쇄물의 위치 및 평면과 균형을 편리하게 잡을 수 있으며, 고정한 후에도 측면에서 인쇄물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입체형상을 인쇄할 수 있도록 인쇄범위 내에서 인쇄하는 모양에 맞추어 입체형상이 형성된 인쇄지지판을 구성하여 정밀하게 입체감을 줄 수 있도록 효과가 있으므로 인쇄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사면에 홈브라켓이 구성한 밑판부와,
    상기 밑판부에 고정된 가압스프링이 삽입구성된 상하부캡과, 상기 상부캡에 고정되는 인쇄지지판과, 상기 밑판부의 사면의 홈브라켓에 끼워져 결합되는 돌기브라켓을 구비한 고정프레임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지지판은 상판인쇄지지판과 하판인쇄지지판으로 구성되어 고정프레임과 맞물리는 인쇄물을 고정하는 두께를 조절할 수 있도록 4면에 지지봉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 고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의 돌기브라켓과 맞물리는 홈브라켓은 밑판부에 고정된 홈브라켓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돌기브라켓의 양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를 잡아주도록 홈브라켓의 내부의 양측면에 볼과 스프링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고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지지판은 그 상부에 입체형상을 인쇄하도록 입체 다이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고정장치.
KR1020060000605A 2006-01-03 2006-01-03 인쇄물 고정장치 KR100686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0605A KR100686892B1 (ko) 2006-01-03 2006-01-03 인쇄물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0605A KR100686892B1 (ko) 2006-01-03 2006-01-03 인쇄물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4655A KR20060034655A (ko) 2006-04-24
KR100686892B1 true KR100686892B1 (ko) 2007-02-26

Family

ID=37143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0605A KR100686892B1 (ko) 2006-01-03 2006-01-03 인쇄물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68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32006B (zh) * 2013-06-13 2015-09-23 苏州市丹纺纺织研发有限公司 一种纺织面料印染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4503A (en) 1975-01-03 1977-01-25 Dwyer James F Device for imprinting indicia on a flexible article
JPH01139099A (ja) * 1987-11-26 1989-05-31 Fuji Car Mfg Co Ltd カラーカフスプレス機
KR890016360U (ko) * 1988-01-08 1989-08-19 가브시기가이샤 하시마 접는 부분 형성용 프레스기
US5372506A (en) 1993-11-04 1994-12-13 Hambright; Perry Draw-through-pattern graphics system
KR20010074489A (ko) * 1999-02-19 2001-08-04 하야시 다이잔 직물제품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4503A (en) 1975-01-03 1977-01-25 Dwyer James F Device for imprinting indicia on a flexible article
JPH01139099A (ja) * 1987-11-26 1989-05-31 Fuji Car Mfg Co Ltd カラーカフスプレス機
KR890016360U (ko) * 1988-01-08 1989-08-19 가브시기가이샤 하시마 접는 부분 형성용 프레스기
US5372506A (en) 1993-11-04 1994-12-13 Hambright; Perry Draw-through-pattern graphics system
KR20010074489A (ko) * 1999-02-19 2001-08-04 하야시 다이잔 직물제품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4655A (ko) 2006-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2445B1 (ko) 디지털 날염용 잉크젯 프린터
US9302462B2 (en) Textile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60162586A1 (en) Method for inkjet printing light colors on dark textiles
KR100686892B1 (ko) 인쇄물 고정장치
CN102747623A (zh) 一种绣花工艺
CN106087318A (zh) 一种毛毯的生产方法
CN205997517U (zh) 一种数字喷墨印花同步整理辊装置
CN103332006A (zh) 一种纺织面料印染装置
CN211054645U (zh) 一种纺织面料用印染装置
KR101570940B1 (ko) 롤러를 이용한 실 날염장치
CN205522986U (zh) 一种植绒布料热印装置
Wang et al. Introduction to digital textile printing
US20150072115A1 (en) Stereoscopic Fabrics with Special Patterns and Tactile Texture Produced by an Eco-Friendly Non-Dye Formulation
Abramovich et al. Modern digital printing on linen goods
KR101570942B1 (ko) 직물 제조장치
Tippett The evolution and progression of digital textile printing
KR100864567B1 (ko) 날염 평판 다이 방식 투헤드 디지털 프린터
JP3096320U (ja) 布製品
KR101183025B1 (ko)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 및 이에 의해 날염된 의류용 원단
CN216033233U (zh) 一种文字喷印机的加长工作台
CN106945392A (zh) 一种转印装置
CN214566906U (zh) 一种多格印花托盘
JP3702219B2 (ja) 防虫ネット及び防虫網戸
KR20220061343A (ko) 쿨링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쿨링전사지 제조 방법 및 쿨링전사지
KR101570941B1 (ko) 롤러를 이용한 직물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