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3025B1 -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 및 이에 의해 날염된 의류용 원단 - Google Patents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 및 이에 의해 날염된 의류용 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3025B1
KR101183025B1 KR1020100119492A KR20100119492A KR101183025B1 KR 101183025 B1 KR101183025 B1 KR 101183025B1 KR 1020100119492 A KR1020100119492 A KR 1020100119492A KR 20100119492 A KR20100119492 A KR 20100119492A KR 101183025 B1 KR101183025 B1 KR 101183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fabric
dye
thermochromic
pri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9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7926A (ko
Inventor
송재춘
Original Assignee
송재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재춘 filed Critical 송재춘
Priority to KR1020100119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3025B1/ko
Publication of KR20120057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7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3Transfer printing
    • D06P5/004Transfer printing using subliming dy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20Physical treatments affecting dyeing, e.g. ultrasonic or electric
    • D06P5/2066Thermic treatments of textil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잉크젯 날염과 감온변색 염료를 이용하여 디지털 실사 이미지의 날염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감온 변색에 의한 온도 상태에 대한 감지와 같은 기능성이 원활히 발휘될 수 있도록 하는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잉크젯 플로터를 이용하여 일부분에 인쇄되지 않는 부분을 가지는 디지털 실사 이미지를 전사지에 염료 잉크로 인쇄하는 전사지 인쇄 단계와; 상기 실사 이미지가 인쇄된 전사지의 인쇄면을 원단의 표면에 위치시키고, 상기 전사지와 원단을 고온의 롤러로 가압하여 상기 원단의 표면에 상기 전사지의 인쇄된 부분을 승화전사로 염착시키는 승화전사 염착 단계와; 상기 전사지의 인쇄되지 않은 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원단의 염착되지 않은 부분을 감온변색 염료로 날염하는 1차 날염 단계와; 상기 원단의 상기 감온변색 염료로 날염된 부분의 상면에 감온염색 염료로 문양을 재차 날염하는 2차 날염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 및 이에 의해 날염된 의류용 원단{PRINTING METHOD OF FABRIC FOR CLOTHES AND FABRIC PRINTED THEREOF}
본 발명은 의류용 원단의 상면에 날염을 하는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 및 이에 의해 날염된 의류용 원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잉크젯 날염과 감온변색 염료를 이용하여 디지털 실사 이미지의 날염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감온 변색에 의한 온도 상태에 대한 감지와 같은 기능성이 원활히 발휘될 수 있도록 하는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 및 이에 의해 날염된 의류용 원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염색이란 염료나 안료 등의 착색 물질인 색소를 섬유와 같은 피염물(실, 원단, 가죽)에 색상을 착색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착색 상태에 따라 피염물을 염액에 담가 균일하게 하나의 색으로 염색하는 침염과 피염물의 일부 또는 대부분을 여러 종류의 색으로 무늬를 넣는 날염으로 구분한다.
이러한 날염은 침염에 비해 아주 복잡하고 다양한 무늬를 용이하게 섬유포에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오래전부터 산업적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
전통적인 날염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디자인무늬 원본을 색상별로 분해하여 투명필름에 모사하여 양화를 작성하는 제도작업, 상기 작성된 양화를 이용하여 사진법에 의해 불용성 피막을 형성함으로써 스크린형을 제작하는 제판작업, 상기 제작된 스크린을 이용하여 소정의 날염기에서 별도로 조성된 날염호를 섬유면에 인날하는 착색공정, 건조공정, 증열공정, 수세공정, 및 건조열 셋팅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전통적인 날염 방법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모되어 매우 비경제적이었으며, 표현할 수 있는 색상수에 제한이 있을 뿐만 아니라 많은 수세공정에 의해 날염호에서 유발되는 다량의 폐수발생이라는 환경 친화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어 왔다.
근래에 프린팅 기술 및 잉크가 발전되면서 상기와 같은 전통적인 날염 방법에 변화를 모색할 수 있게 되었는데, 소위 디지털 잉크젯 날염으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4-79309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를 도 6에 도시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디지털 잉크젯 날염 방법은 디자인 원본을 컴퓨터로 그래픽 작업하여, 주로 반응성 염료로 이루어지는 잉크젯 잉크에 적응할 수 있도록 호제 및 알칼리성 화학처리제에 침지하여 전처리된 전처리 원단에 잉크젯 플로터로 출력(프린트)하고, 전통적인 날염 방식에서와 유사한 증열 및 수세 공정을 거쳐 완성되는 것으로 종래의 날염방식에 비해서는 경제적인 면이나 환경적인 면에서 혁신적으로 개선된 것이다.
또 다른 개선방법으로서는 역시 디지털 잉크젯 날염 방법으로서 대한민국 공개공보 제2002-72014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를 도 7에 도시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디지털 잉크젯 날염 방법은 승화전사를 이용한 디지털 잉크젯 날염 방법으로서 디자인 원본을 컴퓨터 그래픽 작업을 통해 이미지프로세싱을 하고 분산염료를 사용하여 전사지에 잉크젯 플로터로 실사출력하고 실사출력된 전사지를 원단과 오염 및 이염을 방지하는 백상지와 함께 고온의 롤러를 통과시키면서 원단에 승화전사시켜 날염을 완료하는 것이다.
한편, 최근 염색가공 부문에서 발달한 고도의 기술을 사 또는 직물에 가공 응용한 소위 고기능성 섬유소재가 개발됨으로써, 의류용 섬유소재로서 뿐만 아니라 인테리어용, 각종산업용 소재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들 기능성 섬유는 각종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물질을 섬유 또는 직물 상에 처리하여 제조되나, 이들 기능성 물질이 불안정하거나 섬유에 대한 친화력이 전혀 없어 이들 기능의 내구성이 없었다.
그러나, 이들 기능성 물질을 마이크로캡슐화하여 섬유에 응용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는데, 종래의 방법으로는 섬유와의 부착성능 면, 또는 섬유내 장기간 보지력 면에서 미흡하여 기능성의 지속이 문제가 되어왔다.
마이크로캡슐화란 수 내지 수백μ의 매우 작은 고분자 물질로 된 캡슐 내에 어떤 물질을 넣어주는 것을 말하며, 캡슐의 벽에 의하여 내부물질이 보호될 뿐만 아니라, 내부물질이 외부로 방출되는 시기, 장소, 또는 방출속도 등은 벽을 이루는 물질의 재질 및 두께 등을 변화시킴으로서 자유로이 조절가능하다.
섬유제품을 사용하는 동안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는 섬유를 감온변색성 섬유라 한다. 감온변색성 섬유는 섬유에 감온변색 염료 즉, 전자공여성 물질과 전자수용성 물질을 적당한 알콜에 녹인 것을 마이크로캡슐화하여 이를 섬유 상에 부착시켜 놓은 것이다.
온도변화에 따라 물질의 화학구조가 달라지고 따라서 색상이 변화하는 현상은 써모크로미즘(thermochromism)이라 하고, 써모크로미즘을 나타내는 물질을 감온변색 염료라 한다. 최근 개발된 성능이 우수한 감온변색 염료의 조성은 색을 결정하는 역할을 하는 전자공여성 유기화합물, 농도를 결정해주는 역할을 하는 전자수용성 화합물, 및 변색온도를 결정해주는 역할을 하는 알콜류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3종의 물질이 공존할 때, 즉 전자공여성 물질과 전자수용성 물질이 알콜류의 유기성 물질의 분위기 내에서의 열적 평형에 따라 전자의 수수가 일어나서 색소의 구조를 가지게 되어 발색하거나 류코(leuco) 구조를 가지게 되어 무색으로 되는 것이다. 가역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알콜류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렇게 구성된 써모크로믹(thermochromic) 소재에 쓰이는 염료는 산현색성 염료와 산성물질과의 사이에 전자의 교환에 의해 색을 띠는데 이는 온도에 의존한다. 그리고 제3의 성분인 유기용매에 의해 다시 복원되어진다. 왜냐하면 유기용매는 두 성분의 용해제로서 작용하며, 그 용해능력은 온도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즉 온도가 높아지면 용해능력이 높아져서 그 성분은 분리하는 현상으로 작용하고 반대로 온도가 내려가면 용해능력이 낮아져 그 성분의 결합이 다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들 염료는 고온측에서는 무색, 저온측에서는 발색을 한다.
그런데 제대로 변색을 하기 위해서는 세 성분이 항상 밸런스를 이루고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 마이크로캡슐화라는 사실은 이미 공지의 사실로 잘 알려져 있다. 실제로 세 성분을 입경 3 내지 5μ 크기로 마이크로캡슐화한 감온변색 염료를 일본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상품화에 성공하여 시판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의류의 기능성과 심미성을 한 층 높이기 위해 마이크로캡술화된 감온변색 염료를 잉크로 사용하는 디지털 잉크젯 날염을 수행하였으나, 이 마이크캡슐화된 감온변색 염료가 잉크젯 플로터의 잉크 분사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중에 서로 뭉쳐져 이 노즐을 막아 실사출력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소비자의 높아진 기호에 맞추어 종래의 디지털 잉크젯 날염 방법 및 감온변색 염료를 이용한 디지털 실사 이미지를 날염하는 새로운 방법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04-0079309호(주식회사 잉크테크) 2004. 09. 14. 한국공개특허 제2002-72014호(주식회사 이미지텍) 2002. 09. 14.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잉크젯 날염과 감온변색 염료를 이용하여 디지털 실사 이미지의 날염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감온 변색에 의한 온도 상태에 대한 감지와 같은 기능성이 원활히 발휘될 수 있도록 하는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 및 이에 의해 날염된 의류용 원단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감온 변색에 의해 원단의 외부면에 로고와 같은 문양이 원활히 드러나 의류의 착용자가 온도 변화에 대한 인지를 보다 원활하면서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감온변색 염료가 인쇄된 부위가 자외선과 같은 광에 의한 변색으로 표시되어 야외에서 의류의 착용자가 감온 변색되는 부위를 원활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파의 조사에 의해 감온변색 염료의 원단에 대한 염착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은, 잉크젯 플로터를 이용하여 일부분에 인쇄되지 않는 부분을 가지는 디지털 실사 이미지를 전사지에 염료 잉크로 인쇄하는 전사지 인쇄 단계와; 상기 실사 이미지가 인쇄된 전사지의 인쇄면을 원단의 표면에 위치시키고, 상기 전사지와 원단을 고온의 롤러로 가압하여 상기 원단의 표면에 상기 전사지의 인쇄된 부분을 승화전사로 염착시키는 승화전사 염착 단계와; 상기 전사지의 인쇄되지 않은 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원단의 염착되지 않은 부분을 감온변색 염료로 날염하는 1차 날염 단계와; 상기 원단의 상기 감온변색 염료로 날염된 부분의 상면에 감온염색 염료로 문양을 재차 날염하는 2차 날염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의 상기 1차 날염 단계와 상기 2차 날염 단계에 사용되는 감온변색 염료는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색상을 가지지만, 색상이 변하는 온도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의 상기 1차 날염 단계와 2차 날염 단계에 사용되는 감온변색 염료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색상을 가지지만, 같은 온도에서 서로 다른 색상으로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은, 상기 2차 날염 단계의 다음으로, 상기 1차 날염 단계에 의해 형성되는 감온변색 염료로 날염된 부분의 둘레를 따라 광변색 염료를 도포하는 광변색 염료 도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은, 상기 광변색 염료 도포 단계의 다음으로, 상기 1차 날염 단계 및 2차 날염 단계에서 감온변색 염료로 날염된 부위와 상기 광변색 염료 도포 단계에서 광변색 염료로 도포된 부위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건조시키면서 초음파를 조사하여 상기 염료를 원단에 염착시키는 전자파 염착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은, 물에 감온변색 염료 분말을 희석시키는 감온변색 염료 희석 단계와; 상기 감온변색 염료가 희석된 물에 원단을 침지하여 상기 감온변색 염료로 상기 원단을 침염하는 감온변색 침염 단계와; 잉크젯 플로터를 이용하여 일부분에 인쇄되지 않는 부분을 가지는 디지털 실사 이미지를 전사지에 염료 잉크로 인쇄하는 전사지 인쇄 단계와; 상기 실사 이미지가 인쇄된 전사지의 인쇄면을 원단의 표면에 위치시키고, 상기 전사지와 원단을 고온의 롤러로 가압하여 상기 원단의 표면에 상기 전사지의 인쇄된 부분을 승화전사로 염착시키는 승화전사 염착 단계와; 상기 전사지의 인쇄되지 않은 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원단의 잉크가 염착되지 않은 부분의 상면에 감온염색 염료로 문양을 날염하는 감온변색 날염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의 상기 감온변색 침염 단계와 상기 감온변색 날염 단계에 사용되는 감온변색 염료는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색상을 가지지만, 색상이 변하는 온도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은, 상기 감온변색 날염 단계의 다음으로, 상기 원단의 전체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건조시키면서 초음파를 조사하여 상기 염료를 원단에 염착시키는 전자파 염착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은, 잉크젯 플로터를 이용하여 일부분에 인쇄되지 않는 부분을 가지는 디지털 실사 이미지를 원단의 표면에 염료 잉크로 인쇄하는 원단 인쇄 단계와; 상기 실사 이미지가 인쇄된 원단의 인쇄면에 고온의 스팀을 분사하여 증열로 상기 원단에 인쇄된 염료 잉크를 염착시키는 증열 염착 단계와; 상기 원단의 인쇄되지 않은 부분을 감온변색 염료로 날염하는 1차 날염 단계와; 상기 원단의 상기 감온변색 염료로 날염된 부분의 상면에 감온염색 염료로 문양을 재차 날염하는 2차 날염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의 상기 1차 날염 단계와 2차 날염 단계에 사용되는 감온변색 염료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색상을 가지지만, 같은 온도에서 서로 다른 색상으로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은, 상기 2차 날염 단계의 다음으로, 상기 1차 날염 단계 및 2차 날염 단계에서 감온변색 염료로 날염된 부위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건조시키면서 초음파를 조사하여 상기 염료를 원단에 염착시키는 전자파 염착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의류용 원단"은, 상기 방법들 중의 어느 한 방법에 의해 날염되며, 외부면에 실사 이미지가 인쇄된 실사인쇄부와, 상기 실사인쇄부 이외에 인쇄되지 않은 부위에 감온변색 염료로 형성되는 제1 감온변색부와, 상기 제1 감온염색부의 상면에 형성되고 문양을 가지며 감온변색 염료로 형성되는 제2 감온변색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디지털 잉크젯 날염과 감온변색 염료를 이용하여 디지털 실사 이미지의 날염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감온변색에 의한 온도 변화에 대한 감지와 같은 기능성이 원활히 발휘될 수 있어, 기능성과 심미성을 동시에 가지는 원단을 손쉽게 획득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감온 변색에 의해 원단의 외부면에 로고와 같은 문양이 원활히 드러나 의류의 착용자가 온도 변화에 대한 감지를 보다 원활하면서 손쉽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감온변색 염료가 인쇄된 부위가 자외선과 같은 광에 의한 변색으로 표시되어 야외에서 의류의 착용자가 감온 변색되는 부위를 원활히 인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의류로 사용 시에 온도 변화의 감지에 대한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파의 조사에 의해 감온변색 염료의 원단에 대한 염착이 보다 원활하면서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을 보인 단계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을 보인 단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을 보인 단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날염 방법에 의해 날염된 의류용 원단의 변색 전의 상태를 보인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날염 방법에 의해 날염된 의류용 원단의 변색 후의 상태를 보인 사진,
도 6은 종래의 날염 방법의 일예를 보인 단계도,
도 7은 종래의 날염 방법의 다른 예를 보인 단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을 보인 단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은 전사지에 실사 이미지를 인쇄하는 전사지 인쇄 단계(S1)와, 상기 전사지의 이미지를 원단에 승화전사하는 승화전사 염착 단계(S2)와, 상기 원단에 감온변색 염료로 날염하는 1차 날염 단계(S3)와, 상기 1차 날염된 부위의 상면에 감온변색 연료를 날염하는 2차 날염 단계(S4)를 포함하며, 이 단계들이 순차적으로 수행됨에 따라 디지털 실사 이미지를 가지면서 감온변색에 의한 온도 상태에 대한 감지와 같은 기능성이 발휘되는 의류용 원단이 날염된다.
상기 전사지 인쇄 단계(S1)는 그래픽 작업을 통해 디지털 실사 이미지의 일부분에 인쇄되지 않는 부분을 형성한 후에 잉크젯 플로터를 이용하여 전사지에 일부분이 인쇄되지 않은, 즉 잉크가 도포되지 않은 부분을 가지는 디지털 이미지를 염료 잉크로 인쇄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와 같은 단계에 의해 상기 전사지에는 염료 잉크로 인쇄된 부분과 이 인쇄된 부분의 내에 있는 인쇄되지 않은 부분, 즉 염료 잉크가 도포되지 않은 부분이 형성된다. 상기 잉크가 도포되지 않은 부분은 이후에 설명되겠지만 감온변색 염료가 공지의 날염 기술에 의해 날염되는 부위가 된다.
상기 승화전사 염착 단계(S2)는 상기 실사 이미지가 인쇄된 전사지의 인쇄면을 원단의 표면에 위치시키고 상기 전사지와 원단을 고온의 롤러로 가압하여 상기 원단의 표면에 상기 전사지의 인쇄된 부분을 승화전사로 염착시키는 단계를 말한다. 이 단계는 상기 전사지에 인쇄된 실사 이미지를 원단에 승화전사시켜 상기 원단에 실사 이미지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1차 날염 단계(S3)는 상기 전사지의 인쇄되지 않은 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원단의 염착되지 않은 부분을 감온변색 염료로 날염하는 단계를 말한다. 이 단계는 실사 이미지가 전사되지 않은 원단의 일부에 감온변색 염료를 이용하여 날염을 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사용되는 날염 방식은 동판식, 롤러식, 블록식, 기계식, 핸드 프린팅 등 공지된 다양한 날염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2차 날염 단계(S4)는 상기 원단의 상기 감온변색 염료로 날염된 부분의 상면에 감온염색 염료로 문양을 재차 날염하는 단계를 말한다. 즉, 이 단계는 상기 1차 날염 단계(S3)에서 감온변색 염료로 날염된 부위의 상면에 재차 감온변색 염료로 문양, 즉 무늬나 문자를 날염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사용되는 날염 방식은 상기 1차 날염 단계(S3)와 마찬 가지로 동판식, 롤러식, 블록식, 기계식, 핸드 프린팅 등 공지된 다양한 날염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상기 1차 날염 단계(S3)에서 감온변색 염료로 날염된 부위에 다시 상기 2차 날염 단계(S4)에서 감온변색 염료로 무늬나 문자를 날염함으로써, 감온에 의해 변색 시에 상기 2차 날염 단계(S4)에 의해 날염된 무늬나 문자가 두드러지게 표현되고, 그에 따라 상기 원단에 의해 제조된 의류를 착용한 착용자가 감온에 의한 변색을 손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1차 날염 단계(S3)와 상기 2차 날염 단계(S4)에 사용되는 감온변색 염료는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색상을 가지지만 색상이 변하는 온도가 서로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1차 날염 단계(S3)와 상기 2차 날염 단계(S4)에 사용되는 감온변색 염료가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색상을 가짐으로써, 감온에 의해 변색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2차 날염 단계(S4)에 의해 형성되는 문양이 감춰지는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1차 날염 단계(S3)와 상기 2차 날염 단계(S4)에 사용되는 감온변색 염료가 서로 다른 온도에서 변색되도록 하는 것은 감온에 의해 각각 변색되는 경우에 상기 2차 날염 단계(S4)에 의해 형성되는 문양이 두드러져 눈에 잘 띠는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1차 날염 단계(S3)와 2차 날염 단계(S4)에 사용되는 감온변색 염료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색상을 가지지만 같은 온도에서 서로 다른 색상으로 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1차 날염 단계(S3)와 상기 2차 날염 단계(S4)에 사용되는 감온변색 염료가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색상을 가짐으로써, 감온에 의해 변색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2차 날염 단계(S4)에 의해 형성되는 문양이 감춰지는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1차 날염 단계(S3)와 상기 2차 날염 단계(S4)에 사용되는 감온변색 염료가 같은 온도에서 다른 색으로 변색되도록 하는 것은 감온에 의해 동시에 변색되는 경우에 상기 2차 날염 단계(S4)에 의해 형성되는 문양이 두드러져 눈에 잘 띠는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은 상기 2차 날염 단계(S4)의 다음으로, 상기 1차 날염 단계(S3)에 의해 형성되는 감온변색 염료로 날염된 부분의 둘레를 따라 광변색 염료를 도포하는 광변색 염료 도포 단계(S5)를 더 포함한다. 상기 광변색 염료 도포 단계(S5)는 원단에서 감온변색 염료가 인쇄된 부위가 자외선과 같은 광에 의한 변색으로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광변색 염료 도포 단계(S5)에 의해 의류의 착용자는 상기 원단으로 만들어진 의류에 형성된 감온 변색되는 부위를 원활히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은 상기 광변색 염료 도포 단계(S5)의 다음으로, 상기 1차 날염 단계(S3) 및 2차 날염 단계(S4)에서 감온변색 염료로 날염된 부위와 상기 광변색 염료 도포 단계(S5)에서 광변색 염료로 도포된 부위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건조시키면서 초음파를 조사하여 상기 염료를 원단에 염착시키는 전자파 염착 단계(S6)를 더 포함한다.
이 단계는 광변색 염료와 감온변색 염료에 마이크로파를 소정의 시간동안 조사하여 광변색 염료와 감온변색 염료에 의해 날염된 부위가 건조되면서 염료가 원단의 섬유조직에 결착되도록 하는 것이며, 마이크로파의 조사 후에 초음파를 또한 소정의 시간동안 조사하여 광변색 염료와 감온변색 염료를 상기 원단의 섬유조직에 완전히 염착되게 하는 단계이다.
상기한 모든 단계들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면서 원단에 실사 이미지가 승화전사된 상태에서 감온변색 부위가 상기 원단의 일부에 형성되어 상기 원단의 심미성과 기능성이 동시에 확보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을 보인 단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은 감온변색 염료를 물에 희석하는 염료 희석 단계(S10)와, 감온변색 염료를 원단에 침염하는 감온변색 침염 단계(S20)와, 전사지에 실사 이미지를 인쇄하는 전사지 인쇄 단계(S30)와, 상기 전사지의 이미지를 원단에 승화전사하는 승화전사 염착 단계(S40)와, 상기 실사 이미지가 인쇄되지 않은 부위에 감온변색 연료를 날염하는 감온변색 날염 단계(S50)를 포함하며, 이 단계들이 순차적으로 수행됨에 따라 디지털 실사 이미지를 가지면서 감온변색에 의한 온도 상태에 대한 감지와 같은 기능성이 발휘되는 의류용 원단이 날염된다.
상기 염료 희석 단계(S10)는 물에 감온변색 염료 분말을 희석시키는 단계를 말한다. 이 단계는 원단 자체를 감온변색 염료로 침염하기 위해 침염물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감온변색 침염 단계(S20)는 상기 감온변색 염료가 희석된 물에 원단을 침지하여 상기 감온변색 염료로 상기 원단을 침염하는 단계를 말한다. 즉, 이 단계는 상기 감온변색 염료로 원단 자체가 일정한 색으로 감온 변색될 수 있도록 침염하는 단계이다.
상기 전사지 인쇄 단계(S30)는 그래픽 작업을 통해 디지털 실사 이미지의 일부분에 인쇄되지 않는 부분을 형성한 후에 잉크젯 플로터를 이용하여 전사지에 일부분이 인쇄되지 않은, 즉 잉크가 도포되지 않은 부분을 가지는 디지털 이미지를 염료 잉크로 인쇄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와 같은 단계에 의해 상기 전사지에는 염료 잉크로 인쇄된 부분과 이 인쇄된 부분의 내에 있는 인쇄되지 않은 부분, 즉 염료 잉크가 도포되지 않은 부분이 형성된다. 상기 잉크가 도포되지 않은 부분은 이후에 설명되겠지만 감온변색 염료가 공지의 날염 기술에 의해 날염되는 부위가 된다.
상기 승화전사 염착 단계(S40)는 상기 실사 이미지가 인쇄된 전사지의 인쇄면을 상기 원단의 표면에 위치시키고 상기 전사지와 원단을 고온의 롤러로 가압하여 상기 원단의 표면에 상기 전사지의 인쇄된 부분을 승화전사로 염착시키는 단계를 말한다. 이 단계는 상기 전사지에 인쇄된 실사 이미지를 감온변색 염료로 침염된 원단에 승화전사시켜 상기 원단에 실사 이미지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감온변색 날염 단계(S50)는 상기 전사지의 인쇄되지 않은 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원단의 잉크가 염착되지 않은 부분의 상면에 감온염색 염료로 문양을 날염하는 단계를 말한다. 즉, 이 단계는 상기 감온변색 침염 단계(S20)에서 감온변색 염료로 침염된 부위 중에 승화전사로 인쇄되지 않은 부위의 상면에 재차 감온변색 염료로 문양, 즉 무늬나 문자를 날염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사용되는 날염 방식은 동판식, 롤러식, 블록식, 기계식, 핸드 프린팅 등 공지된 다양한 날염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상기 감온변색 침염 단계(S20)에서 감온변색 염료로 침염되어 있으며 염료 잉크로 인쇄되지 않은 부위에 다시 상기 감온변색 날염 단계(S50)에서 감온변색 염료로 무늬나 문자를 날염함으로써, 감온에 의해 변색 시에 상기 감온변색 날염 단계(S50)에 의해 날염된 무늬나 문자가 두드러지게 표현되고, 그에 따라 상기 원단에 의해 제조된 의류를 착용한 착용자가 감온에 의한 변색을 손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감온변색 침염 단계(S20)와 상기 감온변색 날염 단계(S50)에 사용되는 감온변색 염료는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색상을 가지지만 색상이 변하는 온도가 서로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감온변색 침염 단계(S20)와 상기 감온변색 날염 단계(S50)에 사용되는 감온변색 염료가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색상을 가짐으로써, 감온에 의해 변색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감온변색 날염 단계(S50)에 의해 형성되는 문양이 감춰지는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감온변색 침염 단계(S20)와 상기 감온변색 날염 단계(S50)에 사용되는 감온변색 염료가 서로 다른 온도에서 변색되도록 하는 것은 감온에 의해 각각 변색되는 경우에 상기 감온변색 날염 단계(S50)에 의해 형성되는 문양이 두드러져 눈에 잘 띠는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은 상기 감온변색 날염 단계(S50)의 다음으로, 상기 원단의 전체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건조시키면서 초음파를 조사하여 상기 염료를 원단에 염착시키는 전자파 염착 단계(S60)를 더 포함한다. 이 단계는 감온변색 염료에 마이크로파를 소정의 시간동안 조사하여 감온변색 염료에 의해 침염 및 날염된 부위가 건조되면서 감온변색 염료가 원단의 섬유조직에 결착되도록 하는 것이며, 마이크로파의 조사 후에 초음파를 또한 소정의 시간동안 조사하여 감온변색 염료를 상기 원단의 섬유조직에 완전히 염착되게 하는 단계이다.
상기한 모든 단계들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면서 원단에 실사 이미지가 승화전사된 상태에서 감온변색 부위가 상기 원단의 일부에 형성되어 상기 원단의 심미성과 기능성이 동시에 확보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을 보인 단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은 원단에 실사 이미지를 인쇄하는 원단 인쇄 단계(S100)와, 상기 원단에 인쇄된 이미지를 증열로 염착하는 증열 염착 단계(S200)와, 상기 원단에 감온변색 염료로 날염하는 1차 날염 단계(S300)와, 상기 1차 날염된 부위의 상면에 감온변색 연료를 날염하는 2차 날염 단계(S400)를 포함하며, 이 단계들이 순차적으로 수행됨에 따라 디지털 실사 이미지를 가지면서 감온변색에 의한 온도 상태에 대한 감지와 같은 기능성이 발휘되는 의류용 원단이 날염된다.
상기 원단 인쇄 단계(S100)는 그래픽 작업을 통해 디지털 실사 이미지의 일부분에 인쇄되지 않는 부분을 형성한 후에 잉크젯 플로터를 이용하여 일부분에 인쇄되지 않는 부분을 가지는 디지털 실사 이미지를 원단의 표면에 염료 잉크로 인쇄하는 단계를 말한다. 이 단계에 의해 상기 원단에는 염료 잉크로 인쇄된 부분과 이 인쇄된 부분의 내에 있는 인쇄되지 않은 부분, 즉 염료 잉크가 도포되지 않은 부분이 형성된다. 상기 잉크가 도포되지 않은 부분은 이후에 설명되겠지만 감온변색 염료가 공지의 날염 기술에 의해 날염되는 부위가 된다.
상기 증열 염착 단계(S200)는 상기 실사 이미지가 인쇄된 원단의 인쇄면에 고온의 스팀을 분사하여 증열로 상기 원단에 인쇄된 염료 잉크를 염착시키는 단계를 말한다. 이와 같은 증열에 의한 염착 방식은 공지된 기술이며, 원단에 직접 디지털 이미지가 인쇄된 경우에는 염료의 증착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공정이다.
상기 1차 날염 단계(S300)는 상기 원단의 인쇄되지 않은 부분을 감온변색 염료로 날염하는 단계를 말한다. 이 단계는 실사 이미지가 전사되지 않은 원단의 일부에 감온변색 염료를 이용하여 날염을 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사용되는 날염 방식은 동판식, 롤러식, 블록식, 기계식, 핸드 프린팅 등 공지된 다양한 날염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2차 날염 단계(S400)는 상기 원단의 상기 감온변색 염료로 날염된 부분의 상면에 감온염색 염료로 문양을 재차 날염하는 단계를 말한다. 즉, 이 단계는 상기 1차 날염 단계(S300)에서 감온변색 염료로 날염된 부위의 상면에 재차 감온변색 염료로 문양, 즉 무늬나 문자를 날염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사용되는 날염 방식은 상기 1차 날염 단계(S300)와 마찬 가지로 동판식, 롤러식, 블록식, 기계식, 핸드 프린팅 등 공지된 다양한 날염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상기 1차 날염 단계(S300)에서 감온변색 염료로 날염된 부위에 다시 상기 2차 날염 단계(S400)에서 감온변색 염료로 무늬나 문자를 날염함으로써, 감온에 의해 변색 시에 상기 2차 날염 단계(S400)에 의해 날염된 무늬나 문자가 두드러지게 표현되고, 그에 따라 상기 원단에 의해 제조된 의류를 착용한 착용자가 감온에 의한 변색을 손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1차 날염 단계(S300)와 상기 2차 날염 단계(S400)에 사용되는 감온변색 염료는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색상을 가지지만 색상이 변하는 온도가 서로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1차 날염 단계(S300)와 상기 2차 날염 단계(S400)에 사용되는 감온변색 염료가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색상을 가짐으로써, 감온에 의해 변색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2차 날염 단계(S400)에 의해 형성되는 문양이 감춰지는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1차 날염 단계(S300)와 상기 2차 날염 단계(S400)에 사용되는 감온변색 염료가 서로 다른 온도에서 변색되도록 하는 것은 감온에 의해 각각 변색되는 경우에 상기 2차 날염 단계(S400)에 의해 형성되는 문양이 두드러져 눈에 잘 띠는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은 상기 2차 날염 단계(S400)의 다음으로, 상기 1차 날염 단계(S300) 및 2차 날염 단계(S400)에서 감온변색 염료로 날염된 부위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건조시키면서 초음파를 조사하여 상기 염료를 원단에 염착시키는 전자파 염착 단계(S500)를 더 포함한다. 이 단계는 감온변색 염료에 마이크로파를 소정의 시간동안 조사하여 감온변색 염료에 의해 날염된 부위가 건조되면서 감온변색 염료가 원단의 섬유조직에 결착되도록 하는 것이며, 마이크로파의 조사 후에 초음파를 또한 소정의 시간동안 조사하여 감온변색 염료를 상기 원단의 섬유조직에 완전히 염착되게 하는 단계이다.
상기한 모든 단계들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면서 원단에 실사 이미지가 직접 인쇄된 상태에서 감온변색 부위가 상기 원단의 일부에 형성되어 상기 원단의 심미성과 기능성이 동시에 확보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날염 방법에 의해 날염된 의류용 원단의 변색 전의 상태를 보인 사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날염 방법에 의해 날염된 의류용 원단의 변색 후의 상태를 보인 사진이다.
이에 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용 원단은 상기 방법들 중의 어느 한 방법에 의해 날염된 것으로, 상기 의류용 원단은 외부면에 실사 이미지가 인쇄된 실사인쇄부(10)와, 상기 실사인쇄부(10) 이외의 부위에 형성되는 제1 감온변색부(20)와, 상기 제1 감온변색부(20)의 상면에 형성되고 문양으로 형성되는 제2 감온변색부(30)를 가진다.
상기 실사인쇄부(10)는 디지털 실사 이미지가 인쇄된 부위이며 상기 원단의 대부분에 인쇄된다. 상기 제1 감온변색부(20)는 실사 이미지가 인쇄되지 않은 부위에 감온변색 염료로 날염되는 부위이며, 상기 제2 감온변색부(30)는 상기 제1 감온변색부(20)의 상면에 감온변색 염료로 재차 문양이 날염되는 부위이다.
도 4에 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단에 감온 변색이 일어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 감온변색부(20)와 제2 감온변색부(30)가 유사한 색상을 가져 상기 제2 감온변색부(30)의 문양이 거의 두드러지지 않아 감춰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도 5에 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단에 감온 변색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감온변색부(20)가 변색되면서 상기 제2 감온변색부(30)가 두드러져 감춰진 부위가 드러나면서 눈이 띠게 된다.
이와 같이 감온 변색에 의해 상기 제2 감온변색부(30)를 형성하는 로고, 기호, 문자 혹은 무늬가 두드러지면서 상기 원단으로 제조된 의류를 착용하는 착용자가 온도 변화에 대한 감지를 보다 원활히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실사인쇄부
20 : 제1 감온변색부
30 : 제2 감온변색부

Claims (12)

  1. 잉크젯 플로터를 이용하여 일부분에 인쇄되지 않는 부분을 가지는 디지털 실사 이미지를 전사지에 염료 잉크로 인쇄하는 전사지 인쇄 단계(S1)와;
    상기 실사 이미지가 인쇄된 전사지의 인쇄면을 원단의 표면에 위치시키고, 상기 전사지와 원단을 고온의 롤러로 가압하여 상기 원단의 표면에 상기 전사지의 인쇄된 부분을 승화전사로 염착시키는 승화전사 염착 단계(S2)와;
    상기 전사지의 인쇄되지 않은 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원단의 염착되지 않은 부분을 감온변색 염료로 날염하는 1차 날염 단계(S3)와;
    상기 원단의 상기 감온변색 염료로 날염된 부분의 상면에 감온염색 염료로 문양을 재차 날염하는 2차 날염 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날염 단계(S3)와 상기 2차 날염 단계(S4)에 사용되는 감온변색 염료는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색상을 가지지만, 색상이 변하는 온도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날염 단계(S3)와 2차 날염 단계(S4)에 사용되는 감온변색 염료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색상을 가지지만, 같은 온도에서 서로 다른 색상으로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날염 단계(S4)의 다음으로, 상기 1차 날염 단계(S3)에 의해 형성되는 감온변색 염료로 날염된 부분의 둘레를 따라 광변색 염료를 도포하는 광변색 염료 도포 단계(S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변색 염료 도포 단계(S5)의 다음으로, 상기 1차 날염 단계(S3) 및 2차 날염 단계(S4)에서 감온변색 염료로 날염된 부위와 상기 광변색 염료 도포 단계(S5)에서 광변색 염료로 도포된 부위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건조시키면서 초음파를 조사하여 상기 염료를 원단에 염착시키는 전자파 염착 단계(S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
  6. 물에 감온변색 염료 분말을 희석시키는 감온변색 염료 희석 단계(S10)와;
    상기 감온변색 염료가 희석된 물에 원단을 침지하여 상기 감온변색 염료로 상기 원단을 침염하는 감온변색 침염 단계(S20)와;
    잉크젯 플로터를 이용하여 일부분에 인쇄되지 않는 부분을 가지는 디지털 실사 이미지를 전사지에 염료 잉크로 인쇄하는 전사지 인쇄 단계(S30)와;
    상기 실사 이미지가 인쇄된 전사지의 인쇄면을 원단의 표면에 위치시키고, 상기 전사지와 원단을 고온의 롤러로 가압하여 상기 원단의 표면에 상기 전사지의 인쇄된 부분을 승화전사로 염착시키는 승화전사 염착 단계(S40)와;
    상기 전사지의 인쇄되지 않은 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원단의 잉크가 염착되지 않은 부분의 상면에 감온염색 염료로 문양을 날염하는 감온변색 날염 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온변색 침염 단계(S20)와 상기 감온변색 날염 단계(S50)에 사용되는 감온변색 염료는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색상을 가지지만, 색상이 변하는 온도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온변색 날염 단계(S50)의 다음으로, 상기 원단의 전체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건조시키면서 초음파를 조사하여 상기 염료를 원단에 염착시키는 전자파 염착 단계(S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
  9. 잉크젯 플로터를 이용하여 일부분에 인쇄되지 않는 부분을 가지는 디지털 실사 이미지를 원단의 표면에 염료 잉크로 인쇄하는 원단 인쇄 단계(S100)와;
    상기 실사 이미지가 인쇄된 원단의 인쇄면에 고온의 스팀을 분사하여 증열로 상기 원단에 인쇄된 염료 잉크를 염착시키는 증열 염착 단계(S200)와;
    상기 원단의 인쇄되지 않은 부분을 감온변색 염료로 날염하는 1차 날염 단계(S300)와;
    상기 원단의 상기 감온변색 염료로 날염된 부분의 상면에 감온염색 염료로 문양을 재차 날염하는 2차 날염 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날염 단계(S300)와 2차 날염 단계(S400)에 사용되는 감온변색 염료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색상을 가지지만, 같은 온도에서 서로 다른 색상으로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날염 단계(S400)의 다음으로, 상기 1차 날염 단계(S300) 및 2차 날염 단계(S400)에서 감온변색 염료로 날염된 부위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건조시키면서 초음파를 조사하여 상기 염료를 원단에 염착시키는 전자파 염착 단계(S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날염되며, 외부면에 실사 이미지가 인쇄된 실사인쇄부(10)와, 상기 실사인쇄부(10) 이외에 인쇄되지 않은 부위에 감온변색 염료로 형성되는 제1 감온변색부(20)와, 상기 제1 감온염색부의 상면에 형성되고 문양을 가지며 감온변색 염료로 형성되는 제2 감온변색부(3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원단.
KR1020100119492A 2010-11-29 2010-11-29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 및 이에 의해 날염된 의류용 원단 KR101183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492A KR101183025B1 (ko) 2010-11-29 2010-11-29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 및 이에 의해 날염된 의류용 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492A KR101183025B1 (ko) 2010-11-29 2010-11-29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 및 이에 의해 날염된 의류용 원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926A KR20120057926A (ko) 2012-06-07
KR101183025B1 true KR101183025B1 (ko) 2012-09-14

Family

ID=46609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9492A KR101183025B1 (ko) 2010-11-29 2010-11-29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 및 이에 의해 날염된 의류용 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30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0403B1 (ko) * 2020-01-03 2021-03-23 최진우 반려동물용 건강 체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926A (ko) 201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48886B2 (ja) レーザマーキング方法
KR20040044897A (ko) 직물상의 잉크젯 프린팅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20059676A (ko) 개선된 상 시각화 및 보유를 위하여 흡수 용액을포함하는, 잉크젯 인쇄용 기재를 처리하기 위한 코팅,상기 기재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제품
CN106149403A (zh) 一种分散染料数码印花工艺
CN105926331A (zh) 纯棉双面喷墨印花面料的制作方法
KR20030051724A (ko) 개선된 상 시각화 및 보유를 위하여 흡수 용액을포함하는, 잉크젯 인쇄용 기재를 처리하기 위한 코팅,상기 기재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제품
CN108049176A (zh) 一种分散墨水直喷涤纶的预处理浆料及直喷数码印花工艺
US20210285154A1 (en) Method facilitating textile preparation for direct-to-garment printing
CN104480743A (zh) 一种结合传统扎染与数码印花染印棉t恤衫的方法
KR101183025B1 (ko) 의류용 원단의 날염 방법 및 이에 의해 날염된 의류용 원단
JP2018020519A (ja) 印刷済媒体製造方法、印刷済媒体製造装置およびインク
US20020138920A1 (en) Process for printing textile material
KR100717807B1 (ko) 잉크젯프린터를 이용한 섬유날염방법
TWI558871B (zh) 可生產具特殊圖樣、觸感或立體感織物之加工處方及方法
KR20020011642A (ko) 직물 인쇄 방법
JP2003013374A (ja) デジタル捺染方法
Jung et al. The effects of CO2 laser treatment on a digital velvet printing
US2186176A (en) Method of decorating fabrics and the like
CN103194913A (zh) 一种羊毛衫数码印花工艺
KR100781722B1 (ko) 원단의 전사염색방법
BG3623U1 (bg) Линия за производство на текстилни изделия с персонализиран дизайн
KR100412427B1 (ko) 나염처리방법
KR20200056630A (ko) 날염 전처리를 위한 전사시트를 이용한 섬유 전처리 방법
KR200391929Y1 (ko) 승화전사 방식을 사용하여 인쇄한 복합 재질 직물 및 의류
KR101360913B1 (ko) 플라스티졸 기법을 이용한 의류 인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