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630Y1 - 광자기 디스크장치의 실시간 기록 검증회로 - Google Patents

광자기 디스크장치의 실시간 기록 검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630Y1
KR910006630Y1 KR2019880022420U KR880022420U KR910006630Y1 KR 910006630 Y1 KR910006630 Y1 KR 910006630Y1 KR 2019880022420 U KR2019880022420 U KR 2019880022420U KR 880022420 U KR880022420 U KR 880022420U KR 910006630 Y1 KR910006630 Y1 KR 9100066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agneto
recording
optical disk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224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3220U (ko
Inventor
이재홍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224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6630Y1/ko
Publication of KR9000132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32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6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6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6Monitoring, i.e. supervising the progress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12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dis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2005/0002Special dispositions or recording techniques
    • G11B2005/0005Arrangements, methods or circuit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자기 디스크장치의 실시간 기록 검증회로
제1도는 종래의 WORM형 광디스크 장치의 기록 검증회로도.
제2도는 제1도의 각부 동작파형도.
제3도는 광자기 디스크의 기록/재생파형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광자기 디스크장치의 기록 검증회로도.
제5도는 제4도의 각부 동작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자기디스크 2 : 코일
3 : 광자기헤드 4 : 전류/전압변환기
5 : 전치증폭기 COM : 비교기
ZD : 제너다이오드 P : 저항
C : 캐패시터 IG : 인버터
CNT : 카운터
본 고안은 광자기 디스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시간으로 광자기 디스크의 기록을 검증할 수 있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디스크 구동장치(Optical Disk Driver : ODD)는 광디스크에 기록광빔을 쬐어 그 부분을 버닝(burning) 시킴으로서 홀(hole)을 만들어 데이타를 기록하게 되는데, 한번 기록하면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타를 반 영구적으로 재생할 수 있어 이를 WORM(Write Only Read Many)형 광 디스크라 칭한다.
상기 WORM형 광디스크 장치에서 기록시 기록빔에 의해 반사되는 빔의 세기는 제2도의 (a2) 및 (b2)와 같은데, (a2)의 경우는 정상적으로 기록된 경우의 파형이고 (b2)의 경우는 기록에러가 발생된 경우의 파형도이다. 이때 (a2)와 같은 파형이 발생하는 이유는 신호가 디스크에 기록되어져 홀(hole)이 형성되어짐에 따라 입사되는 빔이 산란하면서 반사되어져 반사빔의 세기가 약해지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WORM 광 디스크 장치의 기록 검증회로는 제1도와 같이 구성되는데, 상기 기록빔에 의해 디스크(11)에서 반사된 빔이 WORM형 광헤드(12)를 통해 전류/전압변환기(I/V converter)(13)에서 소정 전압으로 변환되어 전치증폭기(pre Amp)(14), 지연 및 오프셋회로(15) 및 비교부(16)에 인가된다. 이때 상기 전류/전압 변환기(13)의 출력은 정상적으로 기록된 경우 (c1)과 같은 파형이되며, 기록에러가 발생된 경우에는 (d1)과 같은 파형이 된다.
먼저 정상기록의 경우를 살펴보면, (c1)과 같은 전류/전압변환기(13)의 출력은 비로 비교부(16)의 한쪽 입력단자로 인가되는 동시에 지연 및 오프셋 회로(15)에서 소정 지연 및 오프셋(offset)되어 (c2)와 같은 파형으로 비교부(16)의 나머지 입력단자로 인가된다. 그러므로 비교부(16)는 상기 (c1) 및 (c2)신호를 비교하여 (c5)와 같은 출력을 발생하며, 상기 비교부(16)의 출력은 인버터(17)를 통해 (c6)와 같이 반전되어 카운터(18)의 인에이블단으로 인가된다.
이때 상기 카운터(18)는 상기 (c4)와 같은 반전 라이트 펄스(write pulse)를 클럭으로 하여 기록에러수를 세는데, 상기 (c6)과 같은 인버터(17)의 "로우" 출력 주기동안 디스에이블되므로, 정상적인 기록이 수행되고 있는 동안은 카운트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전류/전압변환기(13)의 출력이 (d1)과 같이 발생한 경우, 이 신호가 비교부(16)에 인가되는 동시에 지연 및 오프셋회로(15)를 통해 (d2)과 같이 되어 비교부(16)의 나머지 입력으로 인가되므로, 비교부(16)의 출력은 (d5)와 같이 된다.
따라서 (d4)와 같은 반전 라이트 펄스(write pulse)가 "하이" 상태로 천이되는 순간(low to high trastion)(d6)와 같은 인버터(17)의 출력에 의해 카운터(18)가 인에이블 상태에 있게 되므로 기록에러 발생을 카운트하게 된다. 그러므로 카운트(18)는 기록에러 발생시마다 이 상태를 카운트하여 미리 세트된 한계치만큼 정상기록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에는 캐리(carry)신호를 출력하여 기록에러가 발생했음을 나타내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WORM형 광 디스크장치의 기록 검증 방식은 반사빔신호를 지연 및 오프셋 시켜야 했으므로 복잡한 오프셋 회로를 필요로 하였으며, 이로인해 부품수가 증가되어 회로가 복잡해지고 시스템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상기 방식을 광자기 디스크 구동장치에 적용하고자 할시에는 매우 정밀한 지연 및 오프셋량을 설정하여하며, 광자기 디스크의 반사빔 특성사 정상적인 기록과 비정상적으로 기록된 신호를 구별하기 어려워 기록검증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광자기 디스크 구동장치의 실시간 기록검증 신호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광자기 디스크의 데이타 기록 및 재생 파형도로서 기록광빔에 의해 광자기 디스크가 편광되는 과정과 이 신호의 특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제4도는 본 고안의 구체회로도로서 광자기 디스크(1)와, 코일(2) 및 광자기헤드(3)로 구성되어 외부자장을 형성하고 상기 광자기 디스크(1)에 빔을 방사하여 데이타를 기록하거나 재생하는 수단과, 상기 광자기헤드(3)를 통한 반사 기록신호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류/전압변환기(4)와, 상기 전류/전압변환기(4)의 출력을 전치 증폭하여 신호처리부로 출력하는 전치증폭기(5)와, 비교기(COM) 및 제너다이오드(ZD)로 구성되어 반전단자로 소정기준 레벨을 입력하고 비반전 단자로 상기 전치증폭기(5)의 출력을 입력한후 이 두신호를 비교하여 정상기록시 제1논리신호를 발생하고 비정상 기록시 제2논리신호를 TTL 레벨로 발생하는 비교수단과, 저항(R) 및 캐패시터(R)로 구성되어 상기 비교수단의 출력을 반전라이트펄스의 상승변이 시점으로 조정하기 위해 소정 지연하는 지연수단과, 인버터(IG) 및 카운터(CNT)로 구성되어 상기 지연수단의 논리신호를 반전한후 반전논리 신호의 상태에 따라 동작이 제어되어 제2논리신호 발생시에만 인가되는 클럭으로 인가되는 상기 라이트펄스를 카운트하여 한계치 기록에러수 이상 발생시 기록에러신호를 발생하는 카운트수단으로 구성된다.
제5도는 상기 제4도 각부의 동작 파형도로서 (5A)-(5G)는 정상기록시의 파형도이고, (5a)-(5f)는 잘못 기록됐을시의 파형도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고안은 제3, 4, 5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광자기 디스크의 기록 및 재생을 살펴보면, 광자기 디스크는 제3도의 (3a)와 같이 수직으로 자화되어 있으며, 자화된 디스크상에 직선편광의 광빔이 입사되면 디스크가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자화된 상태에 따라 반사광이 +θK 또는 -θK 만큼 편광율 하게된다. 상기와 같이 편광됨 빔이 광자기헤드내의 편광 검지기를 통하게 되면 (3b)와 같이 각각 +θK 및 -θK에 해당하는 광빔 세기로 변환되어 신호재생시 각각 "1" 및 "0"로 판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광자기 디스크에 데이타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3c)와 같이 디스크에 광빔을 쪼이고, 그 부분의 온도가 일정온도(curie 온도)까지 올라가면 해당부분의 보자력이 약하여지며, 이때 외부자장을 인가하면 외부자장이 인가된 방향으로 디스크에 자화가 이루어져 신호를 기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광자기 디스크에 데이타기록시 디스트자체의 결함 또는 광빔 세기의 불균일성으로 인하여 정상적으로 데이타가 디스크에 기록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그러므로 데이타기록시 반사 기록빔을 이용하여 해당 데이타가 정상적으로 기록되고 있는가 검사하여야 한다. 디스크의 데이타 기록은 라이트펄스(wrile pules)가 나올때마다 이루어지는데, 라이트펄스가 인가되면 (3d)와 같이 일정시간(t) 경과후 광자기 디스크의 외부 자장방향으로 자화가 이루어져 데이타가 기록되어지며, 이 기록 데이타 부분에서 기록빔에 의해 반사된 빔 신호는 (3d)의 신호(r)같이 +θK에 해당하는 신로레벨 t 시간 지난후에 출력하게 된다. 즉 기록빔으로 데이타를 기록하면서, 기록빔의 반사빔으로서 데이타가 제대로 기록되었는지를 신호(r)로서 판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먼저 정상적으로 데이타가 광자기 디스크(1)에 기록된 경우의 과정을 살펴보면, (5A)와 같은 라이트펄스에 의해 광자기헤드(3)의 기록빔이 디스트(1)에 인가되면, t시간이 경과한 후 큐리(curie) 온도가 되어 광자기 디스크(1)에 데이타가 기록된다.
이 경우 기록빔에 의한 반사광이 +θK 만큼 편광하며, 이 +θK 만큼 편광된 빔이 상기 광자기헤드(3)의 편광검지기를 통해 검출되어 전류/전압변환기(4)을 인가된다. 이때 상기 전류/전압변환기(4)에서는 이 신호를 전압으로 변환하여 전치증폭기(5)로 인가하며, 상기 전치증폭기(5)는 (5B)와 같은 신호를 반들어 신호처리부 및 비교기(COM)의 비반전 단자로 인가한다.
이때 상기 비교기(COM)는 (5C)와 같은 +θK와 -θK 사이의 기준 레벨(+θK 신호>기준레벨)에 해당하는 전압에 반전단자에 입력하고 있으므로, (5B)와 같은 반사빔을 전압으로 변환한 신호와 (4C)와 같은 기준레벨신호를 받아 이 두신호를 비교하여 펄스신호를 발생하며, 제너다이오드(ZD)는 상기 펄스신호를 TTL 레벨로 제한하여 (4D)와 같은 펄스신호를 발생한다. 즉 비교기(COM)는 정상적으로 기록된 경우 (5D)와 같은 펄스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상기 비교기(COM)의 출력은 저항(R)과 캐패시터(C)에 의해 (5E)와 같이 소정 지연된 후 인버터(IG)에서 (5E)와 같은 반전펄스가 되는데, t2 만큼 지연된 시점에서 반전됨을 알 수 있다. 상기 t2 시간의 지연을 두는 이유는 반전 라이트펄스(write pulse)의 상승변이에서 카운터(CNT)를 디스에이블 시키기 위함이다. 즉 카운터(CNT)는 상기 인버터(IG)의 출력에 따라 제어되어(enable or disable)(4G)와 같은 상기 반전 라이트 펄스를 클럭으로 하여 기록 에러수를 카운트하는데, (5C)와 같은 정상기록의 반사빔 발생시는 (5F)와 같은 디스에이블 제어시점에서 반전 라이트펄스의 상승변이(low to high transition)를 맞게되어 카운트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정상기록시에는 카운터(CNT)가 디스에이블 되므로 기록 에러신호를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광자기헤드(3)의 기록빔이 큐리온도까지 상승되지 않거나 광자기 디스크(1)에 이상이 있어 정상적으로 신호가 기록되지 못한 경우, 즉 +θK 만큼 편광되지 못한 경우에는 전치증폭기(5)에서는 (5b)와 같은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이때 비교기(COM)에 (비반전단자) 인가되어지는 전치증폭기(5)의 출력은 반전단자로 인가되는 기준레벨 신호보다 작게되므로 비교기(COM)는 (5d)와 같은 "로우"신호를 출력하며, 이 신호가 다시 인버터(IG)를 통해 "하이"신호로 반전되어 카운터(CNT)를 인에이블 시킨다. 이때 (5f)와 같은 반전 라이트펄스(write pulse)의 카운터(CNT)의 클럭단으로 인가되면 상승변이에서 카운터(CNT)는 카운팅 동작을 수행하여 한번 기록에러가 발생했음을 기록한다.
상기 카운터(CNT)는 소정값을 세트하고 있는 상태로, 이 값은 디스크에 신호가 정상적으로 기록되지 않았음을 판별한 횟수의 한계치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기록에러가 카운터(CNT)의 한계치를 초과하면, 카운터(CNT)는 신호가 정상적으로 디스크(1)에 기록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기록에러 신호(dowm counter의 경우에는 borrow 신호)를 발생하는데, 이 기록에러 신호는 정상적으로 기록되지 않는 신호의 수효가 회로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범위 이상임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자기 디스크에 데이타기록시 편광된 범위 세기에 따라 검출한 반사빔 신호를 소정 기준레벨과 비교하여 실시간으로 광자기 디스크장치의 기록 에러 발생 유무를 검출할 수 있으며, 오프셋 발생부를 사용하지 않으므로서 회로의 간편화를 이룰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광자기 디스크와, 상기 광자기 디스크로 기록빔을 방사하여 +θK 만큼 편광시키는 동시에 기록신호의 반사빔을 받아 편광된 빔의 세기를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광자기헤드와, 상기 광자기 헤드의 출력을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류/전압변환부와, 상기 전류/전압변환부의 출력을 전치증폭하여 신호처리부로 인가하는 전치증폭기를 구비한 광자기 디스크의 기록 검증회로에 있어서, 상기 전치증폭기의 출력을 입력하여 소정 기준레벨과의 비교검출 상태에 따라 제1논리 또는 제2논리신호를 발생하는 비교수단과, 상기 비교수단의 출력을 소정 지연하는 지연수단과, 상기 지연 논리신호중 제2논리신호 입력시에만 라이트펄스 수를 카운트하여 에러 한계치 이상일시 기록에러 신호를 발생하는 카운트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자기 디스크장치의 실시간 기록 검증회로.
  2. 상기 제1항에 있어서, 비교수단의 기준레벨신호가 +θK로 편광된 신호보다는 작고, -θK로 편광된 신호 보다는 크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장치의 실시간 기록 검증회로.
KR2019880022420U 1988-12-31 1988-12-31 광자기 디스크장치의 실시간 기록 검증회로 KR9100066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2420U KR910006630Y1 (ko) 1988-12-31 1988-12-31 광자기 디스크장치의 실시간 기록 검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2420U KR910006630Y1 (ko) 1988-12-31 1988-12-31 광자기 디스크장치의 실시간 기록 검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3220U KR900013220U (ko) 1990-07-05
KR910006630Y1 true KR910006630Y1 (ko) 1991-08-26

Family

ID=19282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22420U KR910006630Y1 (ko) 1988-12-31 1988-12-31 광자기 디스크장치의 실시간 기록 검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663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3220U (ko) 199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55438B1 (en) Magnetic recording system
US5087884A (en) Open head detection circuit and method
US492989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throughput on disk drive quality control testing
JPH0677371B2 (ja) 記憶情報読出回路
US4954903A (en) Digital signal reproduction apparatus for reading magneto-optical disks
KR910006630Y1 (ko) 광자기 디스크장치의 실시간 기록 검증회로
US5057946A (en) Magnetic disk drive apparatus
US5680265A (en) Circuit for detecting contact of MR head with disk surface
JPH0775107B2 (ja) 磁気記録装置の信号再生回路
KR910009851B1 (ko) 광디스크 구동장치의 중복기록 방지회로
JP2556574B2 (ja) 光メモリ装置
KR940006891B1 (ko) 광디스크상의 오기록 판단장치
US6243344B1 (en) Optical storage device having a sector mark detecting circuit
JP2793108B2 (ja) 光ディスクプレーヤーのサーボ異常検出回路
KR930005758Y1 (ko) 광디스크 구동장치
JPH01112569A (ja) デジタル信号再生装置
KR920006847B1 (ko) 하드디스크의 라이트 언세이프 채크회로
JPS60124008A (ja) 信号ピ−ク位置検出装置
JPS6116070A (ja) 光学的情報の検知装置
JPS5849924B2 (ja) ジヨウホウサイセイホウシキ
JPH05160691A (ja) 2値化しきい値設定回路
JPS60101729A (ja) 光デイスクのデ−タ再生回路
JPH04345971A (ja) クロックマーク検出装置
JPS61206971A (ja) 記憶情報読出回路
JPH0346144A (ja) 光磁気メモ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