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567B1 - 화상전화기의 화상처리회로 - Google Patents

화상전화기의 화상처리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567B1
KR910006567B1 KR1019880012789A KR880012789A KR910006567B1 KR 910006567 B1 KR910006567 B1 KR 910006567B1 KR 1019880012789 A KR1019880012789 A KR 1019880012789A KR 880012789 A KR880012789 A KR 880012789A KR 910006567 B1 KR910006567 B1 KR 910006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horizontal
vertical
pixel selectio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2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5324A (ko
Inventor
김재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80012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6567B1/ko
Publication of KR900005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Studio Circuit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상전화기의 화상처리회로
제1도는 화상전화기의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처리 회로도.
제3도는 제2도의 개략적 동작설명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도의 상세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수평어드레스 발생부 210 : 데이터 라이트신호 발생부
220 : 아나로그/디지탈 변환부 230 : 디지타이징 데이터래치
240 : 수직화소수 선택부 250 : 수평화소수 선택부
260 : 수직어드레스 발생부 270 : 제어 신호 발생기
280 : 필드선택 및 디지타이징 완료 보고회로 290 : 화상메모리
300 : 디스플레이 데이터래치 400 : 디지탈/아나로그 변환부
본 발명은 화상처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로 부터 출력되는 아나로그 화상신호를 디지타이징하여 화상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화상메모리에 저장된 디지탈 화상데이터를 아나로그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닝 하는 화상처리회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화상처리라 함은 영상신호를 디지탈화하여 소망하는 목적에 따라 화상변환, 화상계측, 패턴인식, 화상생성을 행하는 것을 말한다.
화상처리의 응용분야는 광범위한 분야에서 응용 실용화되고 있으며, 통신응용 분야에 있어서는 정지화상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정지화상 통신이라함은 카메라의 영산신호를 디지탈 처리하고 이를 변복조하여 아나로그 통신회선을 이용 소정상태로 정지된 정지화면을 전송하는 통신방식을 말하고 있다.
정지화상 통신을 일반 아나로그회선(전회선)을 이용하여 통신하기 위해서는 하기와 같이 하여야 상호통신을 할 수 있다.
일반 아나로그 회선을 통하여 상대측 화상전화기에 흑백 정지화면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카메라로 부터 발생되는 화상신호를 디지탈화하여 화상메모리에 저장해 놓은 다음 변조시켜 송신해야 한다. 또 상대측 화상변조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시킨후의 디지탈 화상테이터를 화상메모리 내에 저장한 다음, 다시 화상신호로 바꾸어 CRT(Cathode Ray Tubd)에 주입하여 흑백 정지화면을 CRT 화면상에 나타나게 한다.
상기와 같은 영상신호를 디지탈화하여 통신을 실행할때에 통신을 제어하는 것은 현재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하여 행하고 있다.
따라서 영상신호를 디지탈화 하거나 디지탈로된 영상신호를 아나로그 영상신호로 변환하고저 할때 영상 신호는 매우 높은 고주파이기 때문에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의 제어를 받아 디지타이징(Digitizing)하거나 디스플레닝 한다면 그 처리속도가 매우 느리므로 영상통신을 행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별도의 영상처리회로가 필요로하게 되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목적은 정지화상 통신을 행하는 화상전화기에 있어서, 아나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타이징하여 화상메모리에 저장하고, 이를 억세스하여 디스플레이닝 하도록하는 화상처리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화상전화기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어부(100)는 키부(107)의 상태체크, 화상처리부(101)에게 제어신호제공, 화상메모리(102)의 억세스, 변복조부(105)의 제어, 라인제어부(106)의 제어 등을 행한다.
화상처리부(101)는 화상신호의 디지타이징과 디스플레이닝을 행한다. 카메라부(103)는 2 : 1 비월주사에 의해 화상신호를 만들어내며 각종 동기신호를 발생시킨다.
CRT부(104)는 화상신호를 받아서 화면상에 나타내게 한다. 변복조부(105)는 제어부(100)가 화상메모리(102)로 부터 억세스한 화상데이터를 받아서 진폭-위상변조된 아나로그 신호로 바꾸는 역할을 하며, 또 라인(109)으로 부터 수신된 화상변조 신호를 받아서 복조시킨다.
화상메모리(102)는 디지탈화된 화상데이터를 보존한다. 라인제어부는(106) 평상시에는 라인(109)을 전화기(108)로 연결시켜 라인과 전화기가 직접 접속된 상태로 만들어주며 화상복조신호의 송수신시에는 라인을 변복조부로 접속시킴으로써 전화기(108)가 절체된 상태로 만들어준다.
키이(107)부는 디지탈 변환키, 송시키, 자기화면/상대화면 선택키로 구성된다. 라인(109)은 국선라인 또는 사설교환기의 내선이 될 수 있다.
제1a, b, c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처리회로도로써, 제1도의 화성처리부(101)의 상세도이다.
도면중 참조번호 200은 소정클럭(CLK)을 입력하여 카운팅하여 제1분주된 신호를 샘플링클럭(CLK)으로 그 외에 신호는 수평 어드레스로 출력하는 제1카운터(201)와 수평구동펄스(
Figure kpo00001
)와 소정시간의 수직화소수 결정신호(
Figure kpo00002
)를 부논리곱하여 상기 제1카운터(201)를 클리어하는 게이트(202)로 구성되어 소정크기 화면의 수평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수평어드레스 발생부이다.
참조번호 210은 D-플립플롭으로써 필드라이트의 액티브에 의해 상기 샘플링클럭(CLK)을 래치하여 라이트(Write) 신호를 발생하는 데이터 라이트신호 발생부이다.
220은 카메라로 부터 출력하는 아나로그 영상신호를 상기 샘플링클럭(LCLK)에 의해 샘플링 및 디지탈 변환하여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아나로그/디지탈변환부(Analog to digital converter : 이하 A/D 변환기라함)이다.
230은 상기 A/D 변환기(220)의 출력디지탈 데이터를 소정클럭에 의해 래칭하고 반전된 필드라이트(WREN)에 의해 출력하는 래치(221)와 상기 샘플링클럭(LCLK)반전하여 상기 래치(221)의 클럭을 제공하는 인버터(223) 및 상기 필드라이트(WREN)를 반전하여 상기 래치(221)의 출력 인에이블로 제공하는인버터(225)로 구성되어 1피일드 디지탈 데이터를 래치하는 디지탈 데이터 래치이다.
제2도(b)의 240은 카메라의 수직구동펄스(
Figure kpo00003
)에 의해 소정값의 프로그램 데이터를 로드하고 수평구동펄스(
Figure kpo00004
)를 소정업 카운팅하여 제1트리거펄스(
Figure kpo00005
)를 발생하는 제2카운터(241)과 상기 제1트리거펄스(
Figure kpo00006
)에 의해 수직화소수 선택신호(VMR)를 출력하는 제1플립플롭(242)과, 상기 수직구동펄스(
Figure kpo00007
)에 의해 초기화(Reset)되며 소정 수직어드레스의 상태를 래치하여 상기 수직화소수 선택신호(
Figure kpo00008
)를 클리어하는 제2플립플롭(244)와 소정 수직어드레스의 상태를 논리곱하여 상기 제2플립플롭(244)의 입력단으로 제공하는 앤드게이트(245)로 구성되어 소직화소수를 선택하는 수직화소수 선택부이다.
250은 인액브의 수직화소수 선택신호(
Figure kpo00009
)에 의해 클리어되고 카메라의 수평구동펄스(
Figure kpo00010
)에 의해 소정의 프로그램 데이터를 로드하고 소정의 클럭(CLK)를 카운트하여 제2트리거신호(
Figure kpo00011
)를 발생하는 제3카운터(251)와, 상기 수평구동펄스(
Figure kpo00012
)에 의해 클리어되며 하나의 수평주기가 되었을 때 클리어신호를 발생하는 제3플립플롭(253)과, 상기 제4카운터(251)의 제2트리거 출력에 의해 클록킹되어 수평화소수 선택신호(HMR)를 발생하는 제4플립플롭(257)으로 구성되어 소정기간의 수평화소수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수평화소수 선택부이다.
270은 D-플립플롭으로써 상기 제4플립플롭(257)의 수평화소수 선택신호(HMR)의 반전신호를 상기 샘플링클럭(
Figure kpo00013
)에 의해 래칭하여 메모리 칩인에이블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부(270)이다.
280은 카메라로 부터 출력되는 필드신호(
Figure kpo00014
)/O) (
Figure kpo00015
)/Odd)을 인버터(282)에 의해 반전되는 수직구동펄스(
Figure kpo00016
)에 의해 필드선택 신호를 래치출력하는 제5플립플롭(281)과, 상기 제5플립플롭(281)에서 필드선택신호 출력시에 디지타이징 완료신호를 제어부에 출력하는 제6플립플롭(284)과, 상기 수직어드레스 카운터(260)의 최하위 비트와 상기 카메라의 필드선택 신호를 앤드하여 출력하는 앤드게이트(286)과 상기 앤드 게이트(286)의 출력과 상기 제6플립플롭(284)의 출력을 앤드하여 필드라이트 신호를 출력하는 앤드게이트(287)와, 상기 수직구동펄스(
Figure kpo00017
)와 제어부의 (
Figure kpo00018
)을 앤드하여 상기 제6플립플롭(284)을 클리어하는 제2게이트로 구성되어 필드를 선택하고 디지타이징 완료를 나타내도록 신호를 출력하는 필드선택 및 디지타이징 완료 보고회로이다.
290은 화상메모리로써, 상기 데이터 라이트신호 발생부(210)의 출력과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270)와 상기 수직·수평어드레스 발생부(260)(201)의 어드레스에 의해 소정 영상데이터를 라이트 또는 리이드 억세스하는 화상메모리이다.
300은 상기 화상메모리(290)의 억세스 영상데이터를 상기 샘플링클럭(
Figure kpo00019
)에 클럭킹하여 래칭하고 소정제어에 의해 출력하는 래치(301)와, 상기 샘플링클럭(LCLK)에 의해 상기 메모리 제어신호(
Figure kpo00020
)를 지연 출력하는 제7플립플롭(302)과 상기 제7플립플롭(302)의 출력과 제어부의 디스플레이제어(
Figure kpo00021
)을 오아링하여 상기 래치(301)의 출력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트(303)로 구성되어 디스플레이닝 데이터를 래치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닝 데이터 래치이다.
400은 디지탈/아나로그 변환부(Digital to Analog Converter : 이하 D/A 변환기 라함)으로써 소정 샘플 링클럭(
Figure kpo00022
)로써 상기 래치(301)의 데이터를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CRT(Cathode Lay Tube)로 출력한다.
제2a, 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및 수직화상처리의 타이밍도로써, (a)도는 카메라로 부터 출력되는 수평영상신호를 수평화소수 선택신호(HMR)에 의한 크기로 디지타이닝하고 디스플레밍 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적 타이밍도이다.
(b)도는 카메라로 부터 출력되는 수직영상 신호를 필드선택신호에 의해 임의의 필드를 선택하고, 수직화소소 선택신호(
Figure kpo00023
)에 선택된 필드영상 신호만을 디지타이징하고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적 타이밍도이다.
제4a, b, c도는 제2도의 각 부분의 동작파형도로써, (a)도는 디지타이징시의 수평처리 타이밍도, (b)도는 디스플레이닝시의 수평처리 타이밍도, (c)도는 수직처리 타이밍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2a, b, c도의 동작예를 제1도, 제3a, b도, 제4a, b, c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의 카메라는 NTSC의 방식을 채택한 것으로, 출력신호로써는 3.58MHZ의 클럭(CLK)과, 수평동기인 수평구동펄스(
Figure kpo00024
), 수직동기 신호인 수직구동펄스(
Figure kpo00025
), 기수/우수를 나타내는 기수/우수선택펄스(
Figure kpo00026
)/O)등이 출력된다.
지금 카메라(1)로 부터 수평동기펄스(
Figure kpo00027
), 수직구동펄스(
Figure kpo00028
), 클릭(CLK)와 영상신호(VS)가 제4a, b, c도 등에 도시한 바와같이 력되면, 제2도 a의 제1카운터(201)는 초기 수평구동펄스(
Figure kpo00029
)가 "로우"일 때 클리어 되어진후 3.58MHZ의 클럭(CLK)를 2진 8비트 카운팅하기 시작한다.
이때 게이트(202)의 일측단에 입력되는 신호 HMR후술하는 수평화소수 선택부(250)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로써 수평화소수를 결정하는 신호이다.
상기 수평구동펄스(
Figure kpo00030
)와 수평화소수 선택신호(HMR)이 모두 "하이"인 경우에는 수평어드레스 카운터(201)은 제4도의 클럭(CLK)를 카운팅하여 2분주되는 샘플링클럭(LCLK)를 발생하고, 수평어드레스(SA0-SA6)를 화상메모리(290)에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VS)를 아나로그 입력단자(VIN)로 입력하는A/D변환기(220)는 입력영상신호(VS)를 단자(VRT)와 (VBB)로 입력되는 범위의 영상신호만을 상기 수평어드레스 카운터(201)은 샘플링클럭으로 샘플링하여 8비트의 영상디지탈 데이터(DS0-DS7)로 변환하여 제4a도와 같이 출력한다.
따라서 래치(230)는 상기 A/D 변환기(220)의 영상 디지탈 데이터(SD0-SD7)를 인버터(223)에 의해 반전되는 샘플링클럭(
Figure kpo00031
)에 의해 소정 지연시간을 가지고 제4a도와 같이 래치하게 된다.
한편 제4b도와 같이 카메라(103)로 부터 출력되는 수직구동펄스(
Figure kpo00032
)와 수평구동펄스(
Figure kpo00033
)를 입력하는 제2카운터(241)는 상기 수직구동펄스(
Figure kpo00034
)에 의해 프로그램 데이터단(A,B,C,D)의 데이터 "0"로 로드(Load)하고 수평구동펄스(HD)를 16진 카운팅후, 제1트리거(
Figure kpo00035
)를 제1플립플롭(242)의 클럭으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2플립플롭(242)는 후술하는 제2플립플롭(242)의 출력에 의해 초기상태에서는 "하이" 상태의 수직화소수 선택신호(
Figure kpo00036
)를 출력하여 수직어드레스 카운터(260)를 클리어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트리거(
Figure kpo00037
)에 의해 상기 수직어드레스 카운터(260)의 클리어상태를 해제한다.
또한 상기 제1플립플롭(242)의 수직화소수 선택신호(
Figure kpo00038
)에 의해 클리어가 해제되는 제3카운터(251)는 상기 수평구동펄스(
Figure kpo00039
)에 의해 프로그램 데이터"0"를 로드하여 클럭(CLK)을 16카운트후, 즉 클럭(CLK)에 의해 8pel 시프트되면 제2트리거(
Figure kpo00040
)를 제4c도와 같이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4c도의 제2트리거(
Figure kpo00041
)에 의해 제4플립플롭(257)은 단자(J)의 신호를 래치하여 제4c도와 같은 수평화소수 선택신호인 HMR 신호를 전술한 제2a도의 수평어드레스 카운터부(200)의 게이트(202)의 입력시키어 제1카운터(201)가 동작되게 한다.
또한 상기 제4플립플롭(257)의 신호를 세트단자(
Figure kpo00042
)와 입력단(D)로 입력하는 D 플립플롭인 인에이블 발생부(270)은 반전된 샘플링클럭(
Figure kpo00043
)에 의해 이를 지연하여 화상메모리(290)의 인에이블신호(CE)를 제공한다.
상기 제1카운터(201)은 전술한 바와같이 카운트되어 수평어드레스 SA6, SA5가 "하이"로 되고 SA0가 하이로 천이되면, 제3플립플롭(253)은 "로우"의 클리어 신호를 제4플립플롭(257)의 클리어에 제공하여 수평화소수 선택신호(
Figure kpo00044
)이 인액티브로 떨어뜨린다.
따라서 제3카운터(251)의 프로그램 데이터와 제3플립플롭(253)에 입력되는 신호 및 클럭에 의해 수평화소수 선택신호(HMR)이 가변적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1플립플롭(242)의 수직화소수 선택신호(
Figure kpo00045
)의 "로우"에 의해 클리어가 해제되는 수직어드레스 카운터(260)는 입력되는 수평구동펄스(
Figure kpo00046
)를 카운팅하여 100의 출력단으로는 2분주된 신호를 출력하고 101-103, 200-203으로는수직어드레스(SA7 - SA13)를 출력한다.
또한 카메라(103)로 부터 출력되는 우수/기수펄스(
Figure kpo00047
)/O)를 입력단자(J)로 입력하는 제5플립플롭(281)의 출력단(
Figure kpo00048
)의 출력은 초기 제1제어부(100)의 디지타이징 제어신호(
Figure kpo00049
)에 의해 "하이"의 출력상태에서 인버터(282)의 출력에 의해 "로우"로 천이되어 진다.
이때 상기 제 5플립플롭(281)의 출력에 의해 제 6플립플롭(284)은 제4c도와 같은 인액티브 상태의 인터럽트(
Figure kpo00050
)를제어부(100)로 제공함과 동시에 기수필드를 라이트할 수 있도록 앤드게이트(287)에 입력시킨다.
따라서 앤드게이트(286)(287)에 의해 제4c도와 같은 필드라이트 인에이블신호(WREN)가 제2a도의 데이터 라이트 인에이블 발생부(210) 및 인버터(225)에 입력된다.
그러므로 기수필드 기간에만 데이터 라이트 인에이블 발생부(210)에서 샘플링클럭(LCLK)을 지연하여 제4도
Figure kpo00051
와 같은 인에이블 신호와 디지타이징된 래치(221)의 래칭데이터(MD0 - MD7)를 화상메모리(290)에 제공한다.
한편 전술한 제4c도
Figure kpo00052
과 같은 신호를 출력하는 제1플립플롭(242)에 의해 클리어가 해제되어 수평구동펄스(
Figure kpo00053
)를 카운팅 출력하는 수직어드레스 카운터(260)의 수평라인을 소정상태로 카운팅하면 제2플립플롭(244)가 상기 제3플립플롭(242)을 클리어한다.
즉, 수직어드레스 카운터(260)의 어드레스(SA12)(SA13)의 출력이 "하이"이고, SA8이 "하이"로 천이되면 제2플립플롭(244)의 출력(Q)은 "로우"로 되어 제1플립플롭(242)의 수직화소수 선택신호(
Figure kpo00054
)를 하이로하여 수직어드레스 및 수평화소수 선택부(250)내의 제3카운터(251)를 제4c도와 같이 클리어시키어 디지타이징의 크기를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제2도(c)의 화상메모리(290)에는 수직화소수 선택부(240)의 수직화소수 선택신호(
Figure kpo00055
)과 수평화소수 선택부(250)의 수평화소수 선택신호(HMR)에 의한 크기의 영상디지탈 데이터가 래치(221)로 부터 출력되어 제어신호 발생부(270)와 데이터 라이트신호 발생부(210)의 제어에 의해 라이트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소정크기의 영상디지탈 데이터가 화상메모리(290)에 라이트 되어진후 카메라(103)로 부터 출력되는 수직구동펄스(
Figure kpo00056
)가 차기 필드신호임을 나타내는 것으로써 입력되면, 즉 차기의 수직동기로서 입력되면 게이트(285)의 출력이 "로우"로 된다.
그러므로 제6플립플롭(284)는 "로우"상태의 액티브 인터럽트(
Figure kpo00057
)를 제어부(100)에 출력하여 기수필드의 영상신호가 디지타이징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고, 앤드게이트(287)의 출력을 "로우"로하여 라이트 인에이블(WREN)을 "로우"로 하여 데이터 라이트신호(
Figure kpo00058
)과 래치(221)을 디스에이블 한다.
한편 상기의 제6플립플롭(284)으로 부터 디지타이징 완료신호 즉 인터럽트(
Figure kpo00059
)를 입력받은 제1도의 제어부(100)가 디스플레이 인에이블 제어신호(
Figure kpo00060
)를 "로우" 로 출력한다.
이때 전술한 동작에 의해 수평화소수 선택부(250)와 제어신호 발생부(270)의 동작에 의해서 우수필드에서 메모리칩 인에이블 신호가 출력되면 제7플립플롭(302)이 이를 지연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래치(301)의 출력인에이블(
Figure kpo00061
)가 제4b도와 같이 "로우"로 되어 화상메모리(290)의 데이터가 래치(301)에 의해 버퍼링되어 D/A 변환기(400)에 입력된다.
상기 래치(300)로 부터 영상디지탈 데이터를 입력한 D/A 변환기(400)는 전술한 인버터(223)에 의해 반전된 샘플링클럭(
Figure kpo00062
)으로 이를 아나로그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CRT(Cathode Ray Tube)(104)에 입력시킴으로 디스플레이밍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3a, b도에서도 도시한 바와같이 디지타이징(Digitizing)시에는 기수필드 중에서도 1H씩 건너뛰어 행(Line)을 디지타이징하며, 수평 디스플레이시에는 1H의 수평라인을 디스플레이닝하고 같은 수평라인을 한번더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반복한다. 또 수직 디스플레이닝시에서는 기수(odd)필드만을 디스플레이닝하며 우수(even)필드에서도 같은 기수(odd)필드의 디지타이징된 내용을 디스플레이닝 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영상신호를 디지탈 메모리에 저장시에 필드를 선택하고 수평 및 수직화소수를 선택조절하여 기록함으로써 적은 용량의 메모리로써도 필드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고, 영상신호를 손쉽게 디지타이징하여 기록하고 재생함으로써 화상처리 시스템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영산신호(VS), 소정의 클럭(CLK), 수평·수직 구동펄스(
    Figure kpo00063
    )(
    Figure kpo00064
    ), 기수/우수펄스(
    Figure kpo00065
    )/(O)를 출력하는 카메라(103)와, 소정선택키의 입력에 의해 디지타이징 제어신호(
    Figure kpo00066
    )를 출력하고 디지타이징 완료신호(
    Figure kpo00067
    )의 입력에 의해 디스플레이 제어신호(
    Figure kpo00068
    )를 출력하는 제어부(100)를 구비하는 화상전화기의 화상처리회로에 있어서 상기 소정클럭을 소정상태의 수평화소수 선택신호(HMR) 구간내에 카운트하여 샘플링클럭(LCLK)와 수평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수평어드레스 카운터(200)와, 상기 샘플링클럭(LCLK)을 상기 클럭(CLK)으로 필드라이트 상태에서 지연하여 데이터 라이트신호를 발생하는 데이터 라이트신호 발생부(210)와 상기 영상신호(VS)를 상기 샘플링클럭(LCLK)으로 디지탈변환하여 병렬의 영상디지탈 데이터를 출력하는 A/D 변환기(220)와, 상기 A/D 변환기(220)의 출력을 반전되는 샘플링클럭(
    Figure kpo00069
    )에 의해 래치하고 소정상태의 필드라이트상태신호(WREN)에 의해 출력하는 디지타이징 데이터래치(230)와, 소정상태의 수직화소수 선택신호(
    Figure kpo00070
    )구간내에 상기 수평구동펄스(
    Figure kpo00071
    )를 카운팅하여 수직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수직어드레스 카운터(260)와, 상기 수직구동펄스(
    Figure kpo00072
    )에 의해 수정프로그램 데이터를 카운팅하여 완료시 상기 수직어드레스 카운터(260)에 수직화소수 선택신호(
    Figure kpo00073
    )를 제공하고 상기 수직어드레스의 값이 소정값일 때 상기 수직화소수 선택신호(
    Figure kpo00074
    )의 제공을 차단하는 수직화소수 선택부(240)와, 상기 수직화소수 선택신호(
    Figure kpo00075
    ) 구간내에 입력되는 상기 수평구동펄스(
    Figure kpo00076
    )에 의해 소정 프로그램 데이터를 로드하여 상기 소정클럭(CLK)을 카운팅하여 완료시 상기 수평어드레스 발생기(200)에 수평화소수 선택신호(HMR)을 제공하고 상기 수평어드레스 발생기(200)의 어드레스 값이 소정값일 때 수평화소수 선택신호(HMR)이 제공을 차단하는 수평화소수 선택부(250)와, 상기 수평화소수 선택부(250)의 수평화소수 선택(HMR) 구간내에서 상기 반전샘플링클럭(
    Figure kpo00077
    )에 의해 메모리칩 제어신호(
    Figure kpo00078
    )를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부(270)와, 상기 카메라(103)의 기수/우수펄스(
    Figure kpo00079
    )/O)를 입력하며 상기 제어부(100)로 부터 디지타이징 인에이블신호 입력시 필드라이트상태 인에이블신호(WREN)를 상기 데이터라이트신호 발생부(210) 및 디지타이징 래치(230)에 공급하고 디지타이징 완료시 이를 상기 제어부(100)에 출력하는 필드선택 및 디지타이징 완료보고회로(280)와, 상기 데이터라이트신호 발생부(210) 및 제어신호 발생부(270)의 라이트신호 및 제어신호와 상기 수평·수직어드레스 발생기(200)(260)의 출력에 의해 상기 디지타이징래치(230)의 출력데이터를 억세스하는 화상메모리(290)와, 상기 화상메모리(290)의 출력을 상기 샘플링클럭(LCLK)에 의해 래칭하고 상기 제어부(100)의 디스플레이 제어신호에 의해 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닝 버퍼(300)와, 상기 버퍼(300)의 출력을 반전된 샘플링클럭(
    Figure kpo00080
    )에 의해 아나로그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A 변환기(40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전화기의 화상처리회로.
KR1019880012789A 1988-09-30 1988-09-30 화상전화기의 화상처리회로 KR910006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2789A KR910006567B1 (ko) 1988-09-30 1988-09-30 화상전화기의 화상처리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2789A KR910006567B1 (ko) 1988-09-30 1988-09-30 화상전화기의 화상처리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5324A KR900005324A (ko) 1990-04-14
KR910006567B1 true KR910006567B1 (ko) 1991-08-28

Family

ID=19278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2789A KR910006567B1 (ko) 1988-09-30 1988-09-30 화상전화기의 화상처리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656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5324A (ko) 1990-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18911B2 (ko)
EP0133026A2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US5475437A (en) Double scan circuit for inserting a new scan line between adjacent scan lines of a television
US5546137A (en) Apparatus and method of transferring video data of a moving picture
JPH0736405A (ja) 表示装置の階調補正方式
KR910006567B1 (ko) 화상전화기의 화상처리회로
KR950009698B1 (ko) 엔티에스씨/에치디티브이(ntsc/hdtvm) 듀얼 리시버의 라인 트리플러
JP3154190B2 (ja) 汎用走査周期変換装置
GB2166316A (en) Video signal processing circuits
JPS5821979B2 (ja) 画像信号の網点処理方式
JP3169653B2 (ja) 文書画像データの解像度及び階調変換装置
JPS5986987A (ja) カラ−カメラ装置
US6104376A (en) Equipment for outputting video images to a computer screen
US20030142096A1 (en) Circuit for controlling display of modulated image in a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and device
KR920003376B1 (ko) 일반 교환 회선용 정지 화상 전화기의 영상 입출력 장치
JPH09238333A (ja) 映像フリーズ装置
KR900007637B1 (ko) 더블 스캔장치
KR950004108B1 (ko) 화상비가상이한화면에영상신호를디스플레이하는방법및그장치
JPS6345098Y2 (ko)
KR900001643B1 (ko) Tv 수상기용 2배 주사화상 처리장치
JPS5994164A (ja) Tv画像デ−タ入力装置
JPS6230297A (ja) ドット式波形表示装置用ドット表示信号発生回路
KR960016843B1 (ko) 티브이의 화질개선 회로
KR100250147B1 (ko) 화면 분할 신호 발생기
JPS62101175A (ja) 画像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9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