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490B1 - 칼라 수상관 장치 - Google Patents

칼라 수상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490B1
KR910006490B1 KR1019870014460A KR870014460A KR910006490B1 KR 910006490 B1 KR910006490 B1 KR 910006490B1 KR 1019870014460 A KR1019870014460 A KR 1019870014460A KR 870014460 A KR870014460 A KR 870014460A KR 910006490 B1 KR910006490 B1 KR 910006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deflection
magnetic field
electron beams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4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8670A (ko
Inventor
가쓰에이 모로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80008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8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16Picture reproducers using cathode ray tubes
    • H04N9/28Arrangements for convergence or foc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칼라 수상관 장치
제1도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칼라 수상관 장치의 설명도.
제2도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제3도 종래의 칼라 수상관 장치의 설명도.
제4도-제8도 종래의 칼라 수상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것으로서, 제4a, b도는 형광면 위의 전자비임의 집중된 상태를 설명하는 평면도.
제5a, b도는 수평편향 자계에 의해서 전자비임이 받는 작용을 나타낸 약도.
제6a, b도는 수직편향 자계에 의해서 전자비임이 받는 작용을 나타낸 약도.
제7도 집중의 어긋남을 나타낸 평면도.
제8도 제7도의 어긋남을 보상하였을 경우의 평면도.
제9도 내지 제12도는 제2도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으로서, 제9도 NTSC방식의 비디오 신호 및 격자화상을 설명하는 도면.
제10도 지연 제어된 영상신호를 나타낸 도면.
제11도 메모리에 기억된 정보를 설명하는 도면.
제12도 화면위의 전자비임 주사를 설명하는 도면.
제13도 메모리의 데이터의 D/A변환을 설명하는 블록도.
제14도 제13도를 설명하는 파형도.
제15도 제14도에 있어서의 수평동기신호의 지연을 설명하는 도면.
제16도 제15도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
제17a, b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격자화상 품위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18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자비임의 비뚤어진 품위를 나타낸 비임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3 : 전자총 2, 24 : 네크
3, 25 : 퍼넬
4R, 4G, 4B, B1, G1, R1, 26R, 26G, 26B : 전자비임
5, 27 : 형광면 6, 28 : 면판
7 : 세퍼레이터 8, 21 : 편향장치
10, 14 : 편향자계 11, 15 : 코어
12, 16 : 후광부 29 : 새도우마스크
30 : 칼라영상표시부 31 : 영상지연회로
32 : 메모리, 클럭회로 33 : 수평동기 지연회로
본 발명은 칼라 수상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편향자계를 제어함으로써 전자비임의 형상이 비뚤어지거나 또는 격자형 영상맨의 비뚤어짐을 개선시킨 칼라 수상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적,녹,청(이하 R, G, B라함)3색 형광체에 대응하는 3전자비임을 상호 평행하게 사출하여, 각 전자비임을 소정시간 지연시키서 화면을 주사함으로서 3전자비임의 집중(콘버어전스)을 하는 방법은 공지의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이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새도우마스크, 인라인형 칼라 수상관 장치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3전자총(1)을 수평방향으로 인라인 상태로 내장한 네크(2)와 이 네크(2)내에 퍼넬(3)를 거쳐서 접속되어 내면에 전술한 전자총(1)에서 사출되는 전자비임(4R),(4G),(4B)의 투사에 의해서 적, 녹, 청 3색에 발광하는 형광체층이 규칙적으로 피착 형성된 형광면(5)을 가지고 있는 면판(6)과 이 면판(6)에 근접 배치되어 전술한 전자비임(4R),(4G),(4B)을 선택적으로 형광체층에 투사시키는 다수의 트여진 부분을 가지고 있는 새도우마스크(7)와 전술한 퍼낼(3)의 외벽에 장착되어, 전자비임(4R),(4G),(4B)을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수평편향자계 및 수직방향으로 수직편향자계를 발생시키는 편향장치(8)를 가지고 있다.
이들의 칼라 수상관에 있어서는 형관면 위에 3전자비임이 한점에 집중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 대표적인 것이 자기(自己)집중형 자계라 칭하는 편향자계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이것은 수평편향자계를 핀 쿠션형으로, 수직편향자계를 배럴(barrel)형으로 형성하고 있으며, 그 결과 다른 수단을 사용하지 않아도 형광면의 대략 전면에 걸쳐서 양호한 집중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 의하면 수평 및 수직편향자계가 균일하지 않으므로 편향된 전자비임에 비뚤어짐이 생긴다는 결점이 있다.
제2의 대표적예는 일본 특공소 53-1014호 공보나 일본 특공소 54-292273호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전자총에서 발사되는 전자비임을 상호 대략 평행하게하고, 3전자비임에 대응하는 3색의 영상신호에 서로 시간지연을 부여함으로써 3전자비임을 집중한다는 방법이며, 그 모양을 다음 도면에 따라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4a도는 영상신호에 시간지연을 부여하지 않을 때에 전자비임이 형광면 위에 투사시키는 위치를 수직방향으로 3본 1조의 파선으로 나타낸다.
이 경우에 3전자비임은 형광면 위에서 서로 ΔW 의 위치 차이가 생긴다.
제4b도는 영상신호에 소정의 시간 지연를 부여하였을 때의 집중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방법에 의하면, 집중은 양호하며, 수평 및 수직편향자계는 제1의 대표예에서 설명한 자기 집중형의 자계의 형상에 비해서 보다 균일하게 가까우므로 전자비임의 비뚤어짐은 약간 개선된다. 그러나 이 편향자계에서 까지도 균일에서는 아직 멀고, 편향된 전자비임의 비뚤어짐은 실용상 문제가 남아 있는 크기이다.
제5a도는 전술한 종래의 방법에 의해서 수평편향 되는 전자비임(9)이 편향자계(10)에 의해서 화살표 방향의 작용을 받는 모양이며, 제5b도에 있는 바와 같이 수평편향된 전자비임이 가늘고 길게 짜부러진 밝은 코어부(11)와 상하로 넓어진 어두운 후광부(12)로 되어서 표시된다.
동일하게 제6a도는 수직편향되는 전자비임(13)이 편향자계(14)에 의해서 화살표 방향의 작용을 받는 상태이다.
제6b도에 있는 바와 같이 수직편향된 전자비임은 옆으로 누운 타원형의 밝은 코어부(15)와 코어부(15)의 주위를 에워싸서 상하로 넓어진 어두운 후광부(16)로 되어서 표시된다.
이상과 같은 전자비임의 비뚤어짐을 없애려면 수평 및 수직자계를 군일형으로 할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이 하였을 때에는 집중이 빗나가고 만다.
더구나 이 경우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광면 위에 있어서의 3전자비임 (B1),(G1),(R1)의 위치가 빗나간 양은 수직편향위치에 의해서 달라져 있으므로 집중을 취하기 위한 영상신호 상호의 지연시간은 수직편향위치에 의해서 바꾸지 않으면 않된다.
그 경우에는 1조의 3전자비임중 주사방향에 관해서 최후에 위치하는 R1을 기준으로 해서 B1및 C1각각에 지연을 주게된다.
예를 들면 수평주사위치 D-D'에 있어서, B1에는 2ΔW1, G1에는 ΔW1의 지연을, 수평주사위치 E-E'에 있어서, B1에는 2ΔW0의 지연을 부여함으로써 전자비임의 비뚤어짐이 없게되어 집중도 양호하게 된다.
그러나 이 방법을 채택하여도 화상에 비뚤어짐이 생기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제8도는 그 상태를 설명하는 것으로서 파선으로 나타낸 기준 격자형상에 대하여 형광면 위에 영출(映出)되는 격자패턴은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약간 활 모양으로 구부러지고 만다. 이것은 직선형의 물체가 화면위치에서 활모양으로 구부러져서 표시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상품으로서 중대한 결함이 된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방법에 의해서 3전자비임의 집중를 하게 되면 전자비임의 비뚤어짐은 개선되기는 하나 아직 충분하지는 않다.
또한 집중이나 전자비임의 비뚤어짐을 개선하게되면 격자화상의 비뚤어짐이 생긴다는 결점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3전자비임의 집중 특성 및 전자 비뚤어짐을 개선하는 격자화상의 비뚤어짐을 개량한 고품위 칼라 역상관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는 3전자총을 수평방향으로 인라인 상태로 내장한 네크와, 이 네크내에 퍼넬을 거쳐서 접속되며 내면에 전술한 전자총에서 사출되는 3 전자비임의 투사에 의해서 적, 녹, 청 3색으로 발광되는 형광체층이 규칙적으로 피착 형성된 형광면을 가지고 있는 면판과, 이 면판에 근접 배치되어 전술한 전자비임을 선택적으로 형광체층을 투사하는 다수의 트여진 부분을 가지고 있는 새도우마스크와, 저술한 퍼낼 외벽에 장착되는 전자비임을 수평방향으로 편향되는 수평편향자계 및 수직방향으로 수직편향자계를 발생하는 편향장치를 가지고 있는 칼라 수상관 장치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평 및 수직편향자계는 대략 균일하며 3전자비임에 인가되는 영상신호에 서로 제어된 지연시간을 가지며 그와 같은 지연시간은 수평편향신호 및 수직 평향신호와 동기해서 변화한다.
또한 수평편향자계의 수평동기신호는 전자비임 편향위치에 대응해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전자비임은 서로 대략 평행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신호나 편향자계를 제어하는 신규의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3전자비임의 집중 특성 및 전자비임의 비뚤어짐이 개선되고 격자화상의 비뚤어짐도 개량된 고품위 칼라 영상관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칼라 수상관 장치에 사용하는 칼라 수상관(20), 편향장치(21) 및 영상신호 입력부(22)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칼라 수상관(20)은 전자총(23)을 수평방향으로 인라인상으로 내장한 네크(24)와, 이 네크(24)내에 퍼넬(25)을 거쳐서 접속되며 내면에 전술한 전자총(23)에서 사출되는 전자비임 (26R),(26G),(26B)의 사돌에 의해서 적, 녹, 청의 3색으로 발광되는 형광체 층이 규칙적으로 피착 형성된 형광면(27)을 가지고 있는 면판(28)과, 이 면판(28)에 근접 배치되어 전술한 전자비임 (26R),(26G),(26B)을 선택적으로 형광체층에 사돌시키는 다수의 트여진 부분을 가지고 있는 새도우마스크(29)를 가지고 있다.
전자총(23)은 발사되는 전자비임(26R),(26G),(26B)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전자비임 사이의 간격은 4-8mm정도가 바람직하다.
편향장치(21)는 전술한 퍼넬(25)의 외벽에 장착되고, 전자비임(26R),(26G),(26B)을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수평 편향 코일(21A) 및 수직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수직편향자계를 발생하는 수직편향코일(21B)을 가지고 있다.
편향장치의 구조는 공지로 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페라이트 코어에 토로이달(toroidal)에 감은 수직편향코일과 그 내부쪽에 수지제의 세퍼레이터(separator)를 거쳐서 배치한 새들형에 감은 수평편향코일을 조합한 것이다.
필요에 따라서 전술한 새들토로이달형 이외의 새들, 새들형이나 토로이달 토로이달형을 선정하면 좋다.
편향자계의 형상는 형광면 위의 전자비임 형상이 양호하게 되도록 코일의 형상치수를 선정해야 하며, 대략 균일형으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집중특성 그밖의 특성의 균형을 취하기 위해서 약간 비 균일형으로 하여도 좋다.
편향자계의 형상을 균일형으로 하던가 핀 구션형이나 배럴(barrel)형으로 하던가의 수법은 주지의 사실이나, 표시한다면 제이.한티스(J. Haantjs)등에 의한 "Errors of Magnetic, Deflection, II "Philips, Ris, Reports 14, 65-57, 1959가 그 한예이다.
본 발명의 칼라 영상관 장치 전체를 제2도에 따라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에 있어서 칼라 영상 표시부(30)는 칼라 수상관 편향장치, 영상신호 입력부, 전원회로, 편향증폭부 기타의 회로를 포함하여, 영상지연회로(31)에는 제어된 영상지연신호가 입력된다.
메모리 클럭신호(32)는 지연 정보를 염상지연신호(31)로 출력시키는 것이며, 메모리(32A)에는 미리 전자비임 편향위치에 대응해서 영상신호나 수평동기신호를 지연시키기 위한 정보나 칼라 수상관, 편향장치의 종류에 관한 정보 등, 여러 가지의 지연정보를 기억시키고 있다.
클럭(32B)은 칼라 영상표시부(30)에서 보내어지는 수평편향신호 및 수직편향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메모리(32A)에 기억시킨 집중 보정용의 정보를 읽어내기 위하여 전자비임의 편향위치를 결정하는 기준신호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또한, 영상지연회로(31) 또는 수평동기 지연회로(33)에 CCD등의 지연소자를 이용할 경우에는, 그와 같은 지연소자의 전송신호로서 사용하는 전송 동기 신호로서, 클럭을 이용할 수도 있다.
칼라영상표시부(30)에서 보내어지는 수평편향신호 및 메모리, 클럭신호(32)로 입력되면, 이들의 신호정보 및 기억정보 등에 따라 연산처리되며, 메모리, 클럭신호(32)는 지연정보를 영상지연회로(31) 및 수평동기 지연회로(33)로 출력시킨다.
이 지연정보는 전압, 전류 등 여러 가지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수평동기 지연회로(33)에서는 전술한 메모리, 클럭회로(32)로부터의 지연정보가 연산처리되며, 전자비임편향위치에 대응해서 제어된 수평동기신호가 칼라 영상표시부(30)로 출력된다.
이상의 내용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자비임은 영상지연회로(31)에 있어서 소정시간 지연된 영상신호 및 수평동기회로(33)에 있어서 소정시간 지연된 수평동기신호에 따라서 제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어서 비디오신호의 흐름에 따라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9도는 잘 알려진 NTSC 방식의 비디오 신호와 그 신호에 의한 화상을 양자가 대응하도록 표시한 도면이며, 윗쪽에 표시된 비디오신호는 3전자비임에 대응하는 영상신호(41),(42),(43)와, 수평편향자계를 동기시키는 수평편향 동기신호(44)를 포함하고 있다.
영상신호(41),(42),(43)에 대응하는 화상은 아래쪽 묘사되는 형광면 위에서는 전자비임 주사위치가 A-A'의 경우에는 A1, A2및 A3의 점에 밝은 화상으로서 나타나며, 주사위치가 B-B'의 경우에는 B1, B2및 B3의 점에 밝은 화상으로 나타나며, 이와 같은 주사를 반복하면서 전자비임의 수직편향을 실행함으로써 격자화상의 (세로선)가 영출된다.
그리고 원리적으로는 이와 같이 집중이 적중된 깨끗한 격자회상으로 될 것이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편향자계가 균일 또는 그것에 가까운 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하등의 제어도 실행하지 않으면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광면 위에 있어서의 3전자비임 (B1),(B2),(B3)의 위치가 어긋나게 된다.
그래서 집중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는 어긋난량을 고려해서 전자비임의 수직편향위치, 필요에 따라서 수평편향위치에 대응하도록 영상신호 상호의 지연시간을 제어한다. 즉, 1조의 3전자비임 중 주사방향에 관해서 최후에 위치하는 R1을 기준으로 해서 B1및 C1각각에 지연을 주게된다.
예를 들면 수평주사위치 D-D'에 있어서, B1에는 2ΔW1, G1에는 ΔW1의 지연을, 수평주사위치 E-E'에 있어서, B1에는 2ΔW0, G1에는 ΔW0의 지연을 주게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비디오신호가 제1도의 영상지연회로(31)에 들어가게 되면, 전자비임 편향위치와 집중이 어긋나는 량(ΔW0)또는 (ΔW1)등의 정보를 기억한 메모리, 클럭회로(32)로부터의 지연정보와 비디오신호로부터의 정보를 연산처리한 다음, 영상지연회로(31)에서 지연 제어된 영상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고 있다.
지연 제어된 영상신호는 그 구체예를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R영상신호에 대해서 G영상신호는 τ1, B영상신호는 또다시 τ2인 시간만큼 지연되고 있다. τ1이나 τ2은 당연히 집중의 어긋난 량을 고려해서 선정되나 0.1-3μsec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τ1와τ2는 길거나 달라도 좋다. 이대로라면 전자비임의 비뚤어짐이 없어져서 집중의 특성도 양호하게되나, 격자화성은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편향단부에 ΔW2, 중심축과 수직편향단부의 중간부에 있어서는 ΔW1의 량만큼 비뚤어진 활모양으로 되어있다.
그래서 이 비뚤어짐을 해소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평편향자계의 동기신호도 전자비임의 편향위치에 대응해서 제어하고 있다.
이것을 제2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메모리, 클럭회로(32)에도 미리 전자비임 편향위치와 화상의 비뚤어진 량의 관계를 따르는 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며, 이 회로(32)에 보내져 오는 비디오 신호에 따르는 수평편향신호와 수직편향신호와 또한 메모리에 비축된 정보를 연산처리해서 이것이 지연정보로서 수평동기 지연회로(33)로 출력된다.
수평동기 지연회로(33)는 전술한 지연정보의 연산처리가 이루어지며, 지연제어된 수평동기신호를 칼라 영상표시부(30)로 출력한다.
메모리(32A)에 기록된 정보는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어드레스신호가 붙어 있으며, 클럭(32B)의 정보에 의해서 차례로 어드레스 번호순으로 읽어내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영상표시부를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을 10부분 즉 전체를 100부분으로 나누어서 1부터 100까지의 어드레스 번호를 붙이고 있다.
이 예에서는 칼라 영상표시부(30)의 전자비임에 의한 주사가 캐시되는 왼쪽 윗부분을 어드레스 번호 1, 전자비임에 의한 1회의 주사가 끝나는 화면의 오른쪽 아랫부분을 어드레스 번호 100으로 하고 있다.
메모리(32A)의 어드레스 번호는 칼라 영상표시부(30)로부터의 수직편향신호에 의해서 1에 리셋트되며, 클럭(32B)에 대응해서 차례로 1로부터 2라는 식으로 번호가 많은 어드레스로 셋트된다.
NTSC 방식의 영상을 사용하고 있을 경우는 1회의 화면이 262.5개의 수평주사선으로 구성되므로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약26회를 주사하는 동안 어드레스 번호는 칼라 영상표시부(30)의 수평편향신호에 의해서 차례로 어드레스 번호 1로 부터 어드레스 번호 10까지 셋트된 후 어드레스 번호 1에 리셋트 된다.
물론, NTSC 방식 이외의 PAL나 SECAM에서는 주사선의 객수등이 NTSC 방식과 다르므로 다소의 변경이 필요하나 개략 같아도 좋다.
또한 1회의 화면에 262.5개의 주사선이 전부 표시되는 것은 아니며, 수직방향 및 수평편향의 귀선(歸線)시간 및, 화면보다 수% 크게 스캔하므로, 262.5개보다 적어지므로 전술한 26개 라는 수치는 적어지나 적절하게 결정하게 되면 좋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27회째의 수평동기신호에 의해서 어드레서 번호가 10으로부터 11로 셋트된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어드레스 번호가 증가되며, 수직주사신호로 어드레서 번호로 100으로부터 어드레스 번호 1에 리셋트 되어 전술한 동작이 반복된다. 영상지연회로(31) 및 수평동기 지연회로(33)는 가장 적합하게는 CCD등으로 구성되며, 제13도 및 제1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럭(32B)의 클럭신호를 분주(分周)하여 메모리(32A)에서 읽어낸 데이터에 따라서 주파수로 변조시킨 지연용의 클럭신호에 의해서 지연된다.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모리(32A)의 예를들면 어드레서 번호 1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읽어내어진 후 D/A 변환회로등을 통해서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되어 클럭회로로 보내져서 지연용의 클럭신호의 주파수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연회로가 두 개 있으므로 이상의 회로도 2계통이 필요하나 영상지연회로(31)와 수평동기 지연회로(33)의 지연 시간이 동일하게 되면 지연회로만 두 개 있으면 좋다.
수평동기신호의 지연의 상태를 비디오신호와 대비해서 설명하게 되면 제15도와 같이 된다.
제15도의 경우 수평동기신호는 비디오신호에 대해서 τ1만큼, 즉 영상신호와 같은 시간의 지연을 행하고 있으나, 반드시 동일하지 않아도 좋다.
지연시간의 격자화상의 비뚤어진 량을 고려해서 선정되나, 0.1-3μsec범위가 바람직하다.
제1도의 실시예에서는 수평동기 지연회로(33)는, 영상신호회로(31)와는 별도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16도에 나타낸 예와 같이 영상신호를 포함하지 않는 수평동기 신호만큼 지연하여도 좋다.
그와 같은 지연시간은 영상지연회로(31)와 동일하게 칼라 영상표시부(30)로부터의 수평편향신호 및 수직 편향신호와 동기한 클럭(32B)과 미리 지연시간을 설정한 메모리(32A)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와 같은 지연시간은 영상지연회로와 동일한 회로로 결정하여도 좋다.
또한 지연의 방법도 영상지연회로(31)와 동일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서 영상신호를 지연한 시간과 동시에 수평동기신호도 지연되므로 제9도에 표시되는 휘도신호위치(41),(42),(43)와 수평동기신호 위치의 사이의 시간차(t1),(t2),(t3)는 영상신호 지연시간을 바꾸어도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제9도에서 표시되는 만곡된 도형은 아니며, 정확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칼라 영상표시부(30)에는 이상의 방법에 의해서 제어된 영상신호 및 수평동기신호가 보내어져 오므로 이들의 신호에 따라서 구동되는 칼라 영상관의 화상은 고품위의 것으로 된다.
제17도는 본 발명의 칼라 영상관 정치의 격자 화상품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a)는 수평동기신호를 제어한 본 발명품의 것이며, (b)는 수평동기신호를 제어하는 일없이 다른 조건을 본 발명과 동일하게 한 비교품의 것이다.
기준선(I)으로부터 기준선(II)까지의 길이를 같은, 기준선 I로부터 표시화상의 최대 돌출지점까지의 길이를 11로해서, 왜율(歪率) D=(10-11)/10×100으로 하게되면, 본 발명품의 왜율 D=1%에 대해서, 비교품의 왜율 D=4%이다.
제18도는 본 발명의 칼라 영상관 장치의 형광면 수평단부에 편향된 전자비임 삐뚤어진 품위를 나타내는 것이며 후공부가 거의 없으며, 코어부는 원형(元形)에 가까운 양질의 품위를 나타내고 있다.
이상의 실시예는 전자총에서 발사되는 전자비임이 서로 평행일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평행하지 않아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3전자비임의 집중 및 전자비임의 비뚤어짐의 개선되며, 격자 회상의 비뚤어짐도 개량된 고품위 칼라 영상관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2)

  1. 3전자총(23)을 수평방향으로 인라인 상태로 내장한 네크(24)와, 이 네크(24)내에 퍼넬(25)을 통해서 접속되어 내면에 전술한 전자총(23)으로부터 사출되는 3전자비임(26R)(26G)(26B)의 투사에 의해서, 적, 녹, 청의 3색으로 발광하는 형광체층이 규칙적으로 피착형성된 형광면(27)을 가지고 있는 면판(28)과, 이 면판(28)에 근접 배치되어 전술한 3전자비임(26R)(26G)(26B)을 선택적으로 형광체층에 투사시키는 다수의 구멍을 가지고 있는 새도우마스크와, 전술한 퍼넬(25) 외벽에 장착되어 3전자비임을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수평편향자계 및 수직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수직편향자계를 발생하는 편향장치(21)를 가지고 있는 칼라수상광 장치(20)에 있어서, 전술한 수평편향자계 및 수직편향자계는 대략 균일 자계이며, 3전자비임(26R)(26G)(26B)에 인가되는 영상신호(41)(42)(43)는 서로 제어된 지연시간(
    Figure kpo00001
    W0,
    Figure kpo00002
    W1)을 가지며, 이러한 지연시간(
    Figure kpo00003
    W0,
    Figure kpo00004
    W1)은 수평편향신호 및 수직편향신호와 동기되어 변화되며, 수평편향자계의 수평동기신호(44)는 전자비임 편향위치에 대응해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수상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3전자비임(26R)(26G)(26B)은 서로 거의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수상관 장치.
KR1019870014460A 1986-12-17 1987-12-17 칼라 수상관 장치 KR9100064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6-298961 1986-12-17
JP61298961A JP2542592B2 (ja) 1986-12-17 1986-12-17 カラ−映像管装置
JP?61-298961 1986-1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8670A KR880008670A (ko) 1988-08-31
KR910006490B1 true KR910006490B1 (ko) 1991-08-26

Family

ID=17866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4460A KR910006490B1 (ko) 1986-12-17 1987-12-17 칼라 수상관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849676A (ko)
EP (1) EP0271906B1 (ko)
JP (1) JP2542592B2 (ko)
KR (1) KR910006490B1 (ko)
CN (1) CN1021675C (ko)
DE (1) DE378344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8695B2 (ja) * 1990-07-17 2002-06-04 株式会社東芝 カラー受像管を用いた表示装置
US5157308A (en) * 1991-08-06 1992-10-20 Sun Microsystem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ssion from a cathode ray tube video display system
WO1996019899A2 (en) * 1994-12-22 1996-06-27 Philips Electronics N.V. Display device comprising a cathode ray tube
US6534935B1 (en) 1999-10-21 2003-03-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lor CRT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1462A (ko) * 1972-05-31 1974-01-31
JPS531014A (en) * 1976-06-25 1978-01-07 Nippon Gakki Seizo Kk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S5429227A (en) * 1977-08-06 1979-03-05 Kazuo Sennen Checkerboard with device of displaying position of go stone
JPS57152288A (en) * 1981-03-16 1982-09-20 Hitachi Ltd Convergence correction device
JPS57212492A (en) * 1981-06-24 1982-12-27 Hitachi Ltd Color diviation corrector for color braun tube
US4500816A (en) * 1983-03-21 1985-02-19 Sperry Corporation Convergence control apparatus for color cathode ray tube display systems
DE3473201D1 (en) * 1984-05-23 1988-09-08 Itt Ind Gmbh Deutsche Method and circuit arrangement for digital deflection correction of television picture tubes
JPS6178294A (ja) * 1984-09-25 1986-04-21 Sony Corp デイジタルコンバ−ジエンス補正装置
US4620136A (en) * 1984-11-29 1986-10-28 Rca Corporation Digital vertical beam landing correction circuit
US4673847A (en) * 1985-04-12 1987-06-16 Hazeltine Corporation Color monitor with improved digital convergence
US4680510A (en) * 1985-04-12 1987-07-14 Hazeltine Corporation Color monitor with improved synchronization
US4687973A (en) * 1986-07-09 1987-08-18 Electronic Image Systems, Inc. Digital waveform generator
JPH05146573A (ja) * 1991-11-29 1993-06-15 Brother Ind Ltd 刺繍ミシンのためのデータ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783446D1 (de) 1993-02-18
CN87108189A (zh) 1988-06-22
EP0271906A3 (en) 1988-09-14
CN1021675C (zh) 1993-07-21
EP0271906A2 (en) 1988-06-22
JP2542592B2 (ja) 1996-10-09
DE3783446T2 (de) 1993-05-06
KR880008670A (ko) 1988-08-31
JPS63152296A (ja) 1988-06-24
EP0271906B1 (en) 1993-01-07
US4849676A (en) 1989-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7054A (en) Automatic digital convergence correc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KR910006490B1 (ko) 칼라 수상관 장치
CN1050484C (zh) 用于减少彩色阴极射线管中的波纹干扰的装置
KR900002905B1 (ko) 칼라수상관장치
US4954901A (en) Television receiver with two electron beams simultaneously scanning along respective verticaly spaced apart lines
US5138435A (en) Crt-matrix display with indexing and stair step vertical deflection waveform.
KR100403703B1 (ko) 모아레가 개선된 음극선관
JPS6256088A (ja) カラ−受像装置
JPH07143355A (ja) 陰極線管駆動装置
KR100212839B1 (ko) 모니터의 수평 모아레 제거 장치
JPH0135463B2 (ko)
KR100831007B1 (ko) 색선별 장치를 구비한 음극선관
JPH0453067B2 (ko)
JPS61101190A (ja) カラ−ブラウン管表示面での電子ビ−ム走査ラスタの中心位置検出方法
JPH07169420A (ja) インデックス方式カラー受像管
JPS58172086A (ja) カラ−テレビ受像装置
JPH01105684A (ja) ビデオプロジェクター装置
JPS5890873A (ja) テレビ受像機
JPH07226944A (ja) 偏向ヨーク
JPH1145066A (ja) フィールド順次式陰極線管
JPS61265989A (ja) カラ−受像管装置
JPH0367297B2 (ko)
KR19980015494A (ko) 투사형 영상기기의 컨버전스 데이터 생성장치
JPH03196450A (ja) 電磁偏向装置
JPH0670332A (ja) ビデオプロジェ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31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