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191Y1 - 모니터 화면 밝기 안정장치 - Google Patents

모니터 화면 밝기 안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191Y1
KR910006191Y1 KR2019850013075U KR850013075U KR910006191Y1 KR 910006191 Y1 KR910006191 Y1 KR 910006191Y1 KR 2019850013075 U KR2019850013075 U KR 2019850013075U KR 850013075 U KR850013075 U KR 850013075U KR 910006191 Y1 KR910006191 Y1 KR 9100061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pulses
waveform
differential
waveform sha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30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7582U (ko
Inventor
박광호
이윤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500130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6191Y1/ko
Publication of KR8700075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75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1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1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04Generating or distributing clock signals or signals derived directly therefrom
    • G06F1/12Synchronisation of different clock signals provided by a plurality of clock genera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01Shaping pulses
    • H03K5/08Shaping pulses by limiting; by thresholding; by slicing, i.e. combined limiting and thresho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ynchronizing For Television (AREA)
  • Studio Circuits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니터 화면 밝기 안정장치
제 1a 도는 본 고안장치의 회로도. b는 제 1a 도에서 각 부분에서 발생되는 파형도.
제 2a 도는 본 고안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회로도, b도는 2a도의 각 부위 출력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미분회로, 3 : 파형정형회로
4 : 저역차단여파기, C1-C3 : 콘덴서
R1-R5 : 저항, Q1 : 트랜지스터
D1,D2 : 다이오드, G1,G2반전기
A : 완충증폭기
본 고안은 모니터 화면 밝기 안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평동기신호를 영상신호와 별도로 공급하는 모니터에서 수평동기신호의 주파수가 낮아질때 저역차단 필터가 완벽한 작동을 할수 있도록 한 모니터 화면 밝기 안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컴퓨터의 전원을 온,오프하거나 또는 컴퓨터의 신호를 리세트시킬때 수평동기신호의 주파수가 낮아지고 이 낮은 수평동기신호의 주파수가 모니터의 수평회로의 발진주파수를 낮추게 되는데, 이러한 낮은 발진주파수가 통과되지 못하도록 저역차단 필터를 사용하였으나. 주파수가 낮아도 하이레벨이 되는 펄스 기간이 길거나 파형이 바뀌면 낮은 주파수가 저역차단 필터를 통과하게 되어서 수평회로의 발진이 낮게 되어 고압이 상승되며. 이로 인하여 화면이 밝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주파수에 관계없이 펄스폭을 일정하게 하여(즉 하이레벨이 일정한 펄스)저역차단 필터가 완전한 작동을 하게 하므로서 수평 동기신호의 주파수가 낮아지더라도 화면은 밝아지지 않도록 한 모니터 화면 밝기 안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하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고안의 구성,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콘덴서(C1)및 저항(R1)으로 구성되어 입력 수평동기신호(1)를 미분시키는 미분회로(2)와, 상기 미분회로(2)의 미분펄스를 반전 및 재반전시켜 좁은폭의 펄스로 정형시키는 파형정형회로(3)와, 저항(R3-R5)과 콘덴서(C2,C3)및 다이오드(D1,D2)와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되어 상기 파형정형회로(3)에서 정형된 펄스를 차단시키는 저역차단 여파기(4)를 구비하여서 구성된 것으로, 미설명 부호 R2 는 저항, 5는 수평동기회로, G1,G2는 반전기이다.
상기한 구성의 파형정형회로는 두개의 반전기(G1)(G2)를 직렬로 구성하여 된 것인바,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제 1b 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 도에서와 같이 수평동기출력(1)에서 발생되는 파형은 제 1b 도에서 (a)의 파형과 같다.
여기에서 펄스의 주기, 간격은 컴퓨터를 온,오프 할때마다 다르게 된다. 이러한 펄스를 콘덴서(C1)과 저항으로 구성된 미분회로(2)를 통과시키면 제 1b 도에서 (b)와 같은 미분파형이 얻어지고 이 미분파형의 진폭은 콘덴서(C1)와 저항(R2)의 시정수에 의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수평동기 출력과는 무관하게 된다.
그 다음에 파형정형회로(3)를 구성하는 반전기(G1,G2)를 통과시키면 미분펄스가 반전 및 재반전되어 제 1b 도에서 (c)(d)와 같이 정형된 좁은 폭의 펄스파형이 얻어지게 된다.
이때 펄스파형의 폭은 역시 수평동기 출력(1)과는 관하게 되어 주기가 낮은 즉, 주파수가 낮게 되면 그 후단에 형성된 저역차단 여파기(4)에 의하여 차단되므로 저역차단 여파기(4)의 출력은 없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 2 도는 본 고안의 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완충증폭기(A1)로 파형정형회로(3)와 수평동기 출력(1)을 반전시키는 반전기(G1)와의 사이에 미분회로(2)를 연결 구성하여 제 2b 도에서 (a)와 같은 수평동기 출력(1)파형을 반전기(G1')를 반전하면 제 2b 도에서 (b)와 같은 반전파형이 얻어지고 이 반전된 파형은 콘덴서(C1)와 저항(R1)으로 구성된 미분회로(2)에서 미분되어 제 2b 도에서 (C)와 같은 미분파형을 얻게 된다.
이때 펄스파형의 폭은 상기한 제 1 도의 설명과 같이 수평동기출력(1)에는 무관한 것이 된다. 이러한 미분파형을 완충증폭기(A1)로 구성된 파형정형회로(3)를 통과시키면 부극성분의 미분파형은 제거되고 정극성분은 펄스가 제 2b 도에서 (d)와 같이 발생되는데 이 펄스의 폭은 수평동기출력(1)과는 무관하게 콘덴서(C1)와 저항(R1)의 시정수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러나. 펄스 주기는 수평동기출력에 따라 변화되는 것이나 이러한 좁은 하이 레벨폭의 펄스는 이 역시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저역차단 여파기(4)에서 차단되므로 비록 수평동기 출력(1)이 낮은 주파수로 변화되더라도 수평동기회로(5)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칠수 없어 모니터 화면 밝기가 안정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수평동기 출력이 낮게 변화되어도 화면 밝기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 모니터의 전자관 열화를 방지할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콘덴서(C1)및 저항(R1) 결합으로 수평동기신호를 미분시키는 미분회로(2)와 상기 미분회로(2)의 미분펄스를 반전 및 재반전시켜 좁은 폭의 펄스로 정형시키는 파형정형회로(3)와, 저항(R3-R5)와 콘덴서(C2, C3)및 다이오드(D1)(D2)와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되어 상기 파형정형회로(3)에서 정형된 펄스를 차단시키는 저역차단 여파기(4)를 구비하여서 된 모니터 화면 밝기 안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파형정형회로(3)는 2개의 반전기(G1)(G2)를 직렬로 구성하거나 또는 완충증폭기(A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화면 밝기 안정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파형정형회로(3)의 완충증폭기(A1)는 미분된 부극성분의 펄스는 제거하고 정극성분의 펄스만 진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모니터 화면 밝기 안정장치.
KR2019850013075U 1985-10-08 1985-10-08 모니터 화면 밝기 안정장치 KR9100061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3075U KR910006191Y1 (ko) 1985-10-08 1985-10-08 모니터 화면 밝기 안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3075U KR910006191Y1 (ko) 1985-10-08 1985-10-08 모니터 화면 밝기 안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7582U KR870007582U (ko) 1987-05-13
KR910006191Y1 true KR910006191Y1 (ko) 1991-08-19

Family

ID=19245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3075U KR910006191Y1 (ko) 1985-10-08 1985-10-08 모니터 화면 밝기 안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619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7582U (ko) 1987-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5253B1 (en)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with ac coupling to produce highly accurate duty cycle square wave output
US4701796A (en)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ing circuit
KR910006191Y1 (ko) 모니터 화면 밝기 안정장치
KR0164538B1 (ko) 디지탈 영상처리장치의 의사동기신호 발생회로
ES2059136T3 (es) Circuito de regulacion de fase.
US4558457A (en) Counter circuit having improved output response
KR900009251Y1 (ko) 특정 정보 검출용 게이트 신호 발생회로
SU788438A1 (ru) Амплитудный селектор
KR910009045Y1 (ko) 신호 및 잡음 검출회로
KR900006305Y1 (ko) 영상신호의 수평 수직동기신호 및 필드검출회로.
KR0122521Y1 (ko) 수평동기신호 보정회로
KR920005052Y1 (ko) 스캔닝 라인 포지션 콘트롤회로
KR930001116Y1 (ko) 자동주파수 제어회로
KR900007372Y1 (ko) Vcr의 영상동기 신호 검파회로
US3569864A (en) Astable transistor multivibrator frequency divider
KR930020956A (ko) 수평동기 신호의 주파수 보정회로
KR910001704Y1 (ko) 동기 안정화 회로
KR970003025B1 (ko) 노이즈 제거회로
KR200156832Y1 (ko) 클램프신호 발생회로.
SU458941A1 (ru) Блокинг-генератор
SU790236A1 (ru) Селектор кадровых импульсов дл телевизионного приемника
KR900006303Y1 (ko) 모니터화상의 좌.우 수평이동장치
SU135619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равнени двух частот
KR910001575Y1 (ko) 표시점을 사용한 온-스크린 인디케이터 회로
KR910005926Y1 (ko) 백 보오더 조정기능의 비디오 리버스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2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