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122B1 - 데이타 버퍼링을 이용한 데이타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타 버퍼링을 이용한 데이타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122B1
KR910006122B1 KR1019880006492A KR880006492A KR910006122B1 KR 910006122 B1 KR910006122 B1 KR 910006122B1 KR 1019880006492 A KR1019880006492 A KR 1019880006492A KR 880006492 A KR880006492 A KR 880006492A KR 910006122 B1 KR910006122 B1 KR 910006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ort
communication
data termi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6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7907A (ko
Inventor
강성봉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80006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6122B1/ko
Publication of KR890017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7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데이타 버퍼링을 이용한 데이타 전송방법
제1도는 종래의 데이타 전송 시스템도.
제2도는 종래의 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타 전송 시스템의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메모리의 맵구성도.
제5도는 본 발명의 흐름도.
제6도는 제4도의 각 모듈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T1-DT8 : 데이타 단말 10 : 교환기
11 : 제1CPU 12 : 제1롬
13 : 제1램 14 : 스위치회로
20 : 데이타 서비스장치 21 : 제2CPU
22 : 제2롬 23 : 제2램
24 : 피포 I01-I08 : 입출력장치
본 발명은 데이타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타 가입자의 전송속도가 상이할시에도 데이타를 버퍼링하여 정확한 데이타를 전송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데이타 서비스 시스템도이고, 제2도는 종래의 데이타 서비스 흐름도로써, 상기 제1, 2도를 참조하여 종래의 데이타 서비스 과정을 설명한다. 제1데이타 단말(101)의 출력데이타는 교환기의 스위치회로(103)를 통해 제2데이타 단말(102)로 인가되는 동시에 제1입출력장치(113)로 인가된다. 이때 중앙처리장치(110)는 상기 제1입출력장치(113)를 통한 수신데이타가 통신로 절단요구 데이타인가 확인한다. 즉, 제1도에서 제1데이타 단말(101)의 제2데이타 단말(102)과 데이타 통신을 요구하면, 교환기의 스위치회로(103)에 의해 제1데이타 단말(101)과 제2데이타 단말(102)사이에는 데이타 통신로가 형성된다. 이후 (가)단계에서 제1데이타 단말 (101)이 데이타를 출력하면, 이 데이타는 스위치회로(103)를 통해 제2데이타단말(102)로 인가된는 동시에 제1입출력장치(113)로 인가된다. 이때 중앙처리장치(10)는 상기 제1입출력장치(113)를 통한 데이타를 램(112)에 저장한후 (나)단계에서 이 데이타를 분석하여 제1 및 제2데이타 단말(101,102)사이의 통신로 절단을 요구하는 데이타인가 검사한다.
상기 (나)단계에서 통신로 절단 요구 데이타가 아니면, 다시 (가)단계로 되돌아가 형성된 통신로를 통하여 계속 데이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며, 절단 요구 데이타일시는 (다)단계로 진행하여 중앙처리장치(110)는 교환기의 제어부측으로 통신로를 절단하도록 요구하는데, 이에 따라 교환기 제어부는 스위치회로(103)를 통해 형성된 통신로를 절단한다.
상기와 같은 경우 데이타 통신로 형성시 데이타들이 교환기의 스위칭 회로를 통해 직접 전송되므로, 해당 데이타 단말들의 전송속도가 상이할시는 데이타의 송수신 상태가 다르게 되며, 이로인해 전송 데이타에 심각한 오류가 발생되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신측 데이타 가입자의 전송데이타를 메모리에 저장한후 저장 데이타를 착신측 데이타 단말의 전송속도에 일치시켜 전송함으로서, 데이타 가입자들의 전송속도가 상이할시에도 정확한 데이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타 전송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교환기(10)내에 데이타 서비스 장치(20)가 내장되며, 데이타 서비스 장치(20)는 다수개의 데이타 단말과 연결되어 상기 데이타 단말의 통신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타 서비스 장치(20)는 8개의 데이타 단말 DT1-DT8의 통신을 서비스 한다고 가정한다.
상기에서 데이타 서비스 장치(20)는, 상기 데이타 단말 DT1-DT8의 데이타를 분석하고, 상기 교환기(10)의 제어부인 제1CPU(11)와 메시지를 교환하여 통신로 형성을 제어하는 제2CPU(21)와, 데이타 서비스장치(20)의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제2롬(22)와, 상기 데이타 단말 DT1-DT8의 송신버퍼 영역(DTA-BUF) 및 수신버퍼 영역(DTB-BUF)과 상태버퍼 영역(DT-STS)이 할당되어 있으며,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되는 데이타 및 상태를 해당 영역에 일시 저장하는 제2램(23)과, 상기 제1CPU(11)와 제2CPU(21)간에 메세지의 입출력 기능을 수행하는 피포(24)와, 상기 테이타 단말 DT1-DT8과 각각 제1포트(A포트)가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교환기(10)의 스위치회로(14)의 제2포트(B포트)가 접속되며, 상기 제2CPU(21)의 제어하에 상기 교환기(10)와 해당 데이타 단말간에 데이타의 입출력 기능을 수행하는 입출력장치 I01-I08로 구성된다.
제4a도는 데이타 서비스 장치(20)의 제2램(23)의 버퍼 영역 할당에 대한 맵구성도로서, DTA-BUF는 해당 데이타 단말이 송신한 데이타가 해당 입출력장치 I01-I08의 A포트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타를 저장하는 영역이며, DTB-BUF는 통신중인 경우 상대 데이타 단말이 송신한 데이타가 교환기의 스위치회로(24)를 경유하며 해당 입출력장치 I01-I08의 B포트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타를 저장하는 영역이고, DT-STS는 상기 DTA-BUF 및 DTB-BUF의 상태 및 정보를 저장하는 영역으로 제4b도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통신 흐름도로서, 모니터 모듈(monitor module)과 인터럽트 모듈(interrupt module)로 이루어진다. 상기 인터럽트 모듈은 상기 제2CPU(21)가 데이타 단말(DT1-DT8)과의 데이타를 인터럽트 방식으로 송수신하는 모듈로서, A포트 수신모듈(600), B포트 수신모듈(700), A포트송신모듈(800)로 이루어진다. 모니터 모듈(900)은 상기 인터럽트 모듈이 수행되지 않을시 항시 구동되는 모듈이다.
제6도는 상기 제5도의 각 모듈에 대한 흐름도로서, 제6a도는 A포트 수신모듈의 흐름도이며, 제6B도는 B포트 수신모듈의 흐름도이고, 제6c도는 A포트 송신모듈의 흐름도이며, 제6d도는 모니터 모듈의 흐름도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을 제3도 - 제6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데이타 서비스 장치(20)는 교환기(10)내에 실장되어 다수개의 데이타 단말에 대한 데이타 서비스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데이타 서비스 시스템은 제3도와 같이 8개의 데이타 단말 DT1-DT8에 대하여 데이타 서비스 기능을 수행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상기 데이타 단말 DT1-DT8은 입출력장치 I01-I08를 통해 데이타 서비스 장치(20)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입출력장치 I01-I08은 듀얼입출력 포트를 갖는 입출력장치(Dual Asynchronous Roceiver/Transmitter : DART)로서, A포트는 해당 데이타 단말과 연결되고 B포트는 스위치회로(14)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데이타 서비스 장치(20)의 제2CPU(21)는 입출력 장치 I01-I08의 A포트를 통해 발생되는 데이타 단말 DT1-DT8의 데이타를 제2램(23)의 해당 DTA-BUF영역에 저장한다. 또한 스위치회로(14)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타 단말 DT1-DT8의 데이타 제2램(23)의 해당 DTB-BUF영역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2CPU(21)는 상기 데이타 단말 DT1-DT8의 송수신 데이타를 분석하여 통신로를 형성하거나 절단하고자 하는 경우, 피포(24)를 통해 제1CPU(11)로 메세지를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제1CPU(11)는 상기 피포(24)를 통해 수신되는 메세지를 분석하여 스위치회로(14)를 제어함으로서 통신로를 형성하거나 절단한다.
상기와 같은 데이타 서비스 장치(20)에서는 상기 데이타 단말 DT1-DT8의 전송속도가 상이하더라도, 제2램(23)의 DTA-BUF 및 DTB-BUF 영역에 수신되는 데이타를 버퍼링하여 해당 데이타 단말이 요구하는 전송속도로 이를 조정한다.
제5도는 데이타 서비스 장치(20)가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며 데이타 통신을 수행하는 각 모듈의 제어 관계도로서, 입출력장치 I01-I08의 A 또는 B포트를 통해 데이타를 수신 또는 송신 과정은 인터럽트 방식으로 구동된다. 이때 각 포트로 데이타가 입력되거나 출력상황이 발생되면, 제2CPU(21)는 해당 인터럽트에 대한 모듈(600,700,800)구동한다. 그러나 상기 인터럽트 모듈(600,700,800)이 구동되지 않는 주기에서는 모니터 모듈(900)이 구동되어 A포트의 수신 데이타 분석, A포트를 통해 데이타 단말로 데이타 송신, 피포(24)를 통한 각 데이타 단말의 상황을 메시지화 하여 제1CPU(11)로 송신하거나, 상기 제1CPU(11)로부터 수신되는 메세지를 해당 데이타 단말측으로 송신한다. 따라서 상기 제2CPU(21)가 모니터 모듈(900)로 구동하는 중에 상기 인터럽트 모듈(60,700,800)의 상황이 발생되면, 상기 제2CPU(21)는 상기 모니터 모듈(900)을 잠시 중단하고 해당 인터럽트 모듈을 수행한후, 다시 모니터 모듈(900)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데이타 통신이 수행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데이타 단말 DT1-DT8중 임의의 데이타 단말이 데이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지정된 데이타를 입력하면 제2CPU(21)는 모니터 모듈(900)의 수행을 중지하고 A포트 수신모듈(600)을 수행하며, A포트 수신모듈(600)을 수행한후, 다시 모니터 모듈(900)을 수행한다. 상기 모니터 모듈(900)의 수행에 의해 해당 데이타 단말의 입력 데이타를 분석한 결과 제1CPU(11)에 통보할 상황이 발생되면, 상기 제2CPU(21)는 약속된 형태로 메세지를 작성하여 피포(24)를 통해 제1CPU(11)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1CPU(11)로 부터 피포(24)를 통해 수신된 메세지중 데이타 단말 DT1-DT8로 송신할 메세지가 있으면, 모니터 모듈(900)에서 해당 입출력장치의 A포트로 송신이 가능한가 조사한후, 1바이트씩 해당 데이타 단말로 송신한다.
상기와 같이 제1CPU(11)에 의해 통신로가 형성된후, 임의 데이타 단말이 데이타를 출력하면, 해당 입출력 장치의 A포트로 데이타가 인가되어 A포트 수신 인터럽트가 발생된다. 그러면 상기 제2CPU(21)는 모니터 모듈(900)의 수행을 잠시 중단하고, 제6a도와 같은 해당 데이타 단말의 A포트 수신모듈(600)을 수행하며, 상기 A포트 수신모듈(600)수행한후 다시 모니터 모듈(900)을 수행한다. 이때 A포트 수신모듈(600)에서는 데이타를 스위치회로(14)에 연결된 B포트로 송신하며, 제1CPU(11)는 스위치회로(14)를 제어하여 저장된 데이타 단말의 입출력장치 B포트로 인가한다.
상기 스위치 회로(14)를 통해 입출력장치의 B포트로 데이타가 수신되면, 상기 제2CPU(21)는 수행중이면 모니터 모듈(900)을 중단하고, 제6b도와 같은 B포트 수신모듈(700)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1CPU(11)는 입출력 장치의 B포트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타를 제2램(23)의 해당 DTB-BUF영역에 저장한다. 상기 B포트 수신모듈(700)수행후 제2CPU(21)는 다시 모니터 모듈(900)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모니터 모듈(900)에서 통신로를 형성하고 있는 데이타 단말이“절단요구“를 하는가 조사하거나, 또는 제6c도와 같은 A포트송신모듈(800)을 구동한다. 상기 모니터 모듈(900)에 의하여 A포트 송신모듈(800)이 구동되면 모니터 모듈(900)은 잠시 중단되며, 상기 A포트 송신모듈(800)의 수행종료후 다시 모니터 모듈(900)이 구동된다.
상술한 과정을 제6a도-제6d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데이타 단말 DT1이 데이타 단말 DT8을 호출하여 통신로를 형성한후, 각 모듈이 수행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최초 데이타 서비스 장치(20)는 데이타 단말 DT1-DT8로부터 어떤 데이타도 수신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제6d도와 같은 모니터 모듈(900)을 구동한다. 상기 모니터 모듈(900)에서는 제4b도와 같은 데이타 단말 DT1-DT8의 DT-STS의 A포트 데이타 카운터(414)를 검사하는데, 데이타 단말 DT1-DT8 이 데이타를 출력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A포트 데이타 카운터(414)는 0가 된다. 따라서 상기 제2CPU(21)는 (911)단계를 통해 제1CPU(11)가 통보하는 상황이 있는가 피포(24)를 통해 검사하고, (912)단계에서 제2CPU(21)가 사용할 타이머가 경과하였는지를 검사한후, 다시 (901)단계로 되돌아간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데이타 단말 DT1이 임의 데이타를 출력하면, 입출력장치 I01의 A포트를 통해 인터럽트 신호의 발생을 인지하며, 이로인해 제2CPU(21)는 모니터 모듈(900)의 수행을 중지하고, 제6a도와 같은 A포트 수신모듈(600)을 수행한다.
먼저 A포트 수신모듈(600)이 수행되면, 제2CPU(21)는 (601)단계에서 DT1 의 A포트 수신모듈(600)이 수행되는 동안 다른 인터럽트의 방해를 받지 않도록 인터럽트를 디스에이블 시킨다. 이후 (601)단계에서 입출력장치 I01의 A포트를 통해 수신되는 제1데이타 단말 DT1의 1바이트 데이타를 리드하고, (603)단계에서 수신한 데이타를 제4a도와 같은 제2램(23)의 DT1A-BUF에 저장한다. 그리고 (604)단계에서 제4b도와 같은 DT1-STS의 A포트 입력 포인터(412)를 1증가시켜 다음에 입력될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포인터를 조정하고, (605)단계에서 데이타가 제2램(23)의 DT1A-BUF에 저장되었으므로 A포트 데이타 카운터(414)를 1증가시킨다.
이후 제2CPU(21)는 (606)단계에서 현재 데이타 단말 DT1의 데이타가 상대방 데이타 단말로 송신될 데이타인가를 판별하기 위하여 제4b도의 DT1-STS의 서비스 상태(411)에 “통신중“이란 기록이 있는가 검사한다. 그러나 비통신중인 경우에는 다른 인터럽트가 발생되어 해당 모듈이 구동될 수 있도록, (608)단계에서 인터럽트를 인에이블시키고 리턴한다.
그러면 상기 제2CPU(21)는 다시 제6d도와 같은 모니터 모듈(900)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2CPU(21)는 상기 모니터 모듈(900)의 (901)단계에서 DT1-STS영역의 A포트 데이타 카운터(44)가 0이 아님을 인지하고(90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902)단계에서 제4a도와 같은 제2램(23)의 DTIA-BUF에 저장하고 있는 데이타를 리드하고, (903)단계에서 데이타를 리드하였으므로 DTIA-STS의 A포트 데이타 카운터(414)의 값을 1감소시킨다. 이후(904)단계에서 다음에 DT1A-BUF에서 읽을 데이타를 찾을 수 있도록 DT1-STS의 A출력 포인터(413)를 1증가시키고, (905)단계에서 수신 데이타를 분석한다.
이때 상기 데이타 단말 DT1의 전송속도의 입출력장치 I01의 A포트 전송속도 사이에 전송속도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2CPU(21)는 처음에 수신된 데이타를 분석하여 서비스를 위한 데이타이면 정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다시 한번 동일한 데이타의 입력을 기다린다. 즉, 시스템에 따라서, 데이타 단말 DT1이 입출력장치 I01의 전송속도에 맞도록 전송속도를 조정하거나, 또는 제2CPU(21)가 데이타 단말 DT1의 입력상황을 분석하여 입출력장치 I01의 전송속도를 조정하여 전송속도를 상호 일치시키는 방법중에 하나를 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후자의 방법을 택하고 있으며, 자세한 방법을 생략한다. 왜냐하면 데이타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각 데이타 단말 DT1-DT8 과 이에 대응되는 각 입출력장치 I01-I08의 A포트 전송속도가 일치해야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입출력장치 I01-I08의 A포트는 각각 1 : 1로 대응되는 상기 DT1-DT8의 전송속도가 일치되도록 조정되어 있으므로 송수신 데이타의 손실은 없게된다. 그러나 상기 데이타 단말 DT1-DT8 의 전송속도는 각각의 데이타 단말 특성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상기 (905)단계에서 수신 데이타를 분석한 결과 DT1이 데이타 서비스를 요구하는 데이타 입력이면, (906)단계에서 데이타 서비스임을 인지하고, (907)단계에서 DT1의 데이타 서비스 요구를 상기 제1CPU(11)가 인지할 수 있도록 통보하기 위하여 상기 제1CPU(11)와 약속된 메세지 형태로 구성하여 피포(24)를 통해 "DT1의 데이타 서비스 요구"를 전달한다. 그리고 (908)단계에서 상기 제1CPU(11)로부터 발생되어 피포(24)를 통해 수신되는 메세지를 상기 데이타 단말 DT1에 연결된 입출력장치 I01의 A포트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제1CPU(11)의 출력 메세지는 데이타 단말 DT1에서 어떤 데이타 서비스를 요구하는가 문의하는 메세지가 된다. 이때 상기 제2CPU(21)는 입출력 장치 I01의 A포트로 1바이트 데이타를 전송하기 전에 상기 입출력장치에 A포트 출력상태를 검사한후, 전송하여 송신 에러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데이타 단말 DT1으로 데이타 서비스 문의 메세지를 전송하면, 상기 데이타 단말 DT1의 운용자는 통신하고자 하는 데이타 단말의 번호와 이름을 입력하여야 한다. 여기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데이타단말 DT8과 데이타 통신을 요구하였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데이타 단말 DT1은 발신데이타 단말이 되고 데이타 단말 DT8은 착신데이타 단말이 된다.
그러면 상기 제2CPU(21)는 (921)단계에서 DT1이 발생하는 DT8과의 통신요구 메세지를 수신한후, (922)단계에서 피포(24)를 통해 제1CPU(11)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1CPU(11)가 상기 통신요구 메세지를 수신하면, 데이타 단말 DT8의 상태를 조사한다. 즉 상기 제1CPU(11)는 상기 데이타 단말 DT1-DT8에 대한 현재의 상태를 제1램(13)에 저장하고 있으며 따라서 상기 데이타 단말 DT8의 상태가 비사용 상태이면 제1CPU(11)는 제2CPU(21)로 DT8에 관한 메세지를 피포(24)를 통해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제2CPU(21)는 (925)단계에서 DT8에 관련된 메세지를 수신하여 분석한후, (926)단계에서 데이타 단말 DT8의 입출력장치 I08의 A포트로 상기 데이타 단말 DT1이 요구한 통신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고, (927)단계에서 데이타 단말 DT8의 응답을 기다린다. 이때 상기 (927)에서 통신 승락의 메세지가 수신되면, (928)단계에서 이를 제1CPU(11)로 통보하고 (923)단계에서 제2CPU(21)는 제4a도와 같은 DT8-STS의 서비스 상태(411)에 통신중임을 표시하는 특정데이타를 기록한다.
또한 상기(922)단계에서 제1CPU(11)로 통신 요청 메세지를 전송한후 DT8에 의해 통신 승락 메세지가 발생되면, 상기 제2CPU(21)는 DT1으로 DT8의 상태 메세지를 송신하고, (924)단계에서 제4a도와 같은 DT1-STS의 서비스 상태(411)에 "통신중" 임을 등록한다.
이후 상기 데이타 단말 DT1과 착신 데이타 단말 DT8의 출력 데이타에 따라 인터럽트가 발생되어, 상기 인터럽트 모듈(600,700,800)이 구동되는 제1통신상태 과정(930) 및 제2통신상태 과정(950)이 수행된다. 즉, 상기 제1CPU(11)는 상기 데이타 단말 DT1과 서비스 요구에 따라 스위치회로(14)를 제어하여 데이타 단말 DT1과 데이타 단말 DT8의 통신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입출력장치 I01과 I08의 B포트는 스위치회로(14)를 통해 연결된 상태이며, 제1램(13)에도 데이타 단말 DT1과 DT8이 통신로를 형성하였음을 기록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데이타 단말 DT1이 입출력장치 I01의 A포트로 데이타를 출력하면, 인터럽트가 발생되어 제2CPU(21)는 제6a도와 같은 A포트 수신모듈(600)을 구동한다. 상기 A포트 수신모듈(600)이 구동되면, 상기 제2CPU(21)는 상기한 (601)-(605)단계를 수행하여 1바이트의 데이타를 DT1A-BUF에 저장하고 DT1-STS의 내용을 갱신한다. 이때 상기 DT1-STS의 서비스 상태(411)에는 "통신중" 으로 기록되어 있으므로 (606)단계에서 이를 인지하게 되며, (607)단계를 수행하여 입출력장치 I01의 B포트로 수신 데이타를 라이팅(Writing)한다. 그러면 상기 입출력장치 I01의 B포트로 출력되는 데이타는 스위치회로(14)를 통해 입출력장치 I08의 B포트로 인가된다.
이후 상기 제2CPU(21)는 다시 모니터 모듈(900)을 구동하며 입출력장치 I08의 B포트로 데이타가 수신되면, B포트 수신모듈(700)을 구동한다. 그러면 상기 제2CPU(21)는 입출력장치 I08의 B포트로 수신되는 데이타에 의해 제6b도와 같은 B포트 수신모듈(700)이 구동되는 동안 다른 인터럽트가 발생되지 않도록 (701)단계에서 인터럽트를 디스에이블 시키고, (702)단계에서 스위치회로(14)를 경유하여 입출력장치 I08의 B포트를 통해 수신되는 DT1의 송신 데이타를 리드한다. 이후 (703)단계에서 수신 데이타를 DT8B-BUF에 저장하고, (704)단계에서 DT8-STS이 B포트 입력 포인터(415)를 1증가시키고, (705)단계에서 DT8-STS의 B포트 데이타 카운터(417)를 1증가한다. 이후 상기 B포트 수신모듈(700)이 종료되었으므로 (706)단계에서 다른 인터럽트가 발생될 수 있도록 인터럽트를 인에이블 시킨다.
상기와 같은 A포트 송신모듈(600) 및 B포트 수신모듈(700)은 상기 데이타 단말 DT8이 데이타 단말 DT1으로 임의의 데이타를 전송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과정으로 수행된다.
상기와 같이 A포트 수신모듈(600)을 수행하면, 데이타 단말 DT1 및 DT8이 출력하는 데이타는 제4a도와 같은 제2램(23)의 DT1A-BUF 및 DT8A-BUF에 저장되고, 스위치회로(14)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타는 DT8A-BUF 및 DT8B-BUF에 저장된다. 그러면 상기 제2CPU(21)는 모니터 모듈(900)를 구동하여 제1통신상태(930) 및 제2통신상태(950)에서 통신로 절단 요구용 데이타의 수신 유무 분석하거나 또는 A포트 송신모듈(800)을 구동한다. 즉, 상기 제2CPU(21)는 모니터 모듈(900)의 (914)단계에서 DT1A-BUF의 내용을 분석하여 DT1이 DT8과의 통신로 절단을 요구했는가 검사하여, (945)단계에서 DT8A-BUF의 내용을 분석하여 DT8이 DT1과의 통신로 절단을 요구했는가 검사한다.
이때 통신로 절단 요구가 없으면, 제2통신상태(950)과정에서 DTB-BUF의 내용을 분석하여 A포트 송신모듈(800)을 구동한다. 즉, 입출력장치 I01-I08의 A포트 송신모듈(800)은 임의 데이타 A포트를 통하여 송신된 다음에 데이타를 보낼 준비가 되면, 제2CPU(21)는 상기 A포트 송신모듈(800)을 자동으로 구동한다. 따라서 상기 A포트 송신모듈(800)을 구동하기 위하여 제2CPU(21)는 (951)단계에서 데이타 단말 DT1-DT8의 DT-STS에서 B포트 데이타 카운터(417)값을 순차적으로 검사한다. 이때 상기 (951)단계에서 DT1-STS의 B포트 데이타 카운터(417)의 값이 0이 아니면 입출력장치 I01의 A포트로 송신할 데이타가 있는 경우이므로, (952)단계에서 입출력장치 I01의 A포트로 출력이 가능한가를 검사하기 위하여 DT1-STS의 A포트 출력상태(418)의 값을 조사한다. 이때 상기(952)단계에서 A포트로 출력이 가능할 상태가 아니면, 현재 입출력장치 I01의 A포느로 제이타의 전송이 이루어지고 있는 중이므로 다음 입출력장치 I02의 상태를 검사한다.
그러면 상기(952)단계에서 입출력장치 I01의 A포트로 출력이 가능한 상태이면, (953)단계에서 DT1-STS의 A포트 출력상태(418)로 저장하고 있는 "가능"을 삭제하고 제65c도와 같은 A포트 송신모듈(800)을 구동한다. 먼저 (801)단계에서 인터럽트를 디스에이블 시키고, (802)단계에서 DT1-STS의 서비스 상태(411)의 값을 검사하여 현재 데이타 단말 DT1이 통신중인가 검사한다. 이때 통신중 상태가 아니면, (809)단계에서 모니터 모듈(900)에서 데이타 단말 DT1으로 전송할 데이타가 있을 경우 정확하게 데이타의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DTS-STS의 A포트 출력상태(418)이 "가능"을 기록하고, (810)단계에서 필요없는 인터럽트를 방지하기 위해 A포트 송신 인터럽트를 디스에이블 시킨다.
이때 상기 (802) 단계에서 DT1-STS의 서비스 상태(411)가 통신중 상태이면, (803)단계에서 DT1-STS의 B포트 데이타 카운터(417)의 값을 검사하여 DT8이 송신한 데이타가 DT1B-BUF에 저장되어 있는가 검사한다. 이때 없으면 상기 (809), (810)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803)단계에서 DT1B-BUF에 수신 저장하고 있는 데이타가 있으면, (804)단계에서 DT1B-BUF에서 1바이트의 데이타를 읽어 (805)단계에서 입출력장치 I01의 A포트로 데이타를 송신한다. 이후 (806) 단계에서 DT1-STS의 B포트 데이타를 감소하고, (807)단계에서 DT1-STS의 포트 출력 포인터를 1증가 시킨다. 이후 인터럽트를 인에이블 상태로 하고 모니터 모듈(900)을 구동한다.
상기와 같이 제1통신상태(530) 및 제2통신상태(550)과정을 수행하는 과정중에 통신절단 요구 데이타가 발생되어 DTA-BUF 에 저장되면, 제2CPU(21)는 하기와 같은 통신로 절단 과정을 수행한다. 즉, 데이타 단말 DT1에서 DT8로 송신한 데이타는 제2램(23)의 DT1A-BUF영역에 저장되어 있고, 데이타 단말 DT8 에서 DT1으로 송신한 데이타는 제2램(23)의 DT8A-BUF영역에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CPU(21)는 A포트 수신모듈(600), B포트 수신모듈(700) 및 A포트 송신모듈(800)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941)단계에서 DT1A-BUF의 내용을 분석하여 데이타 단말 DT1이 DT8과의 통신로 절단요구 데이타를 출력했는가 검사한다. 이때 상기 (941)단계에서 데이타 단말 DT1이 통신로 절단요구 데이타를 메세지화하여 피포(24)를 통해 제1CPU(11)로 송신한다. 그러면 상기 제1CPU(11)는 스위치회로(14)를 제어하며 데이타 단말 DT1과 DT8의 통신로를 절단하고 제 1 램(13)에서 저장하고 있던 데이타 단말 DT1과 DT8의 통신상태를 해제한후, 피포(24)를 통해 제2CPU(21)로 통신로 절단상황 정보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2CPU(21)는 이를 인지하고, (943)단계에서 상기 데이타 단말 DT1으로 DT8과의 통신로 절단상황을 통보하고, (944)단계에서 DT1-STS의 서비스 상태(411)에 "통신중"상태를 삭제하고 모니터 모듈(900)을 종료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DT1의 통신로 절단 요구에 의해 통신로 절단과정이 수행되면, 상기 제1CPU(11)가 상기 데이타 단말 DT8의 상태를 비가용 상태로 만들고 통신로를 절단한후, 데이타 단말DT8의 관련 메세지를 제2CPU(21)로 출력하므로, 상기 제2CPU(21)는 상기 데이타 단말 DT1이 DT8측으로 통신로 절단을 요구했음을 데이타 단말 DT8로 통보하며, 이로인해 상기 데이타 단말 DT8도 통신중 상태가 아니므로 DT8-STS의 서비스 상태(411)의 "통신중" 상태를 삭제한다.
그러나 상기 (941)단계에서 DT1이 통신로 절단을 요구하지 않은 경우, (945)단계에서 제2램(23)의 DT8A-BUF영역에 저장하고 있는 데이타를 분석하여 데이타 단말 DT8이 DT1과의 통신로 절단을 요구했는가 검사한다. 이때 상기 (945)단계에서 데이타 단말 DT8이 DT1과의 통신로 절단을 먼저 요구하면, 상기 (942)-(944)단계와 동일한 수순으로 (946)-(948)단계를 수행하여 데이타 단말 DT8이 요구한 통신로 절단 과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데이타 단말 DT1의 상태도 비통신 상태로 갱신하고 모니터 모듈(900)을 종료한다.
상기한 내용을 종합하여 데이타 통신이 수행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여기서 발신 데이타 단말을 DTT 라하고 착선 데이타 단말을 DTR이라한다. 그리고 상기 발신 데이타 단말 DTT에 연결된 입출력 장치를 IOT라 하고, 착신 데이타 단말 DTR에 연결된 입출력장치를 IOR이라 한다. 먼저 각 입출력장치 I01-I08의 A포트는 각각 1 : 1로 연결되는 해당 데이타 단말 DT1-DT8의 전송속도와 동일하게 일치시킨다. 이 경우 상기 데이타 단말 DT1-DT8의 전송속도는 상이한 전송속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출력장치 I01-I08의 B포트 전송속도는 모두 동일하게 초기화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데이타 서비스 장치에서 임의의 데이타 단말DTT(발신측 데이타 단말)가 특정 데이타 단말 DTR(착신측 데이타 단말)과의 데이타 통신을 요구하면, A포트 송신모듈(600)이 발생되어 상기 데이타 단말 DTT의 A포트 저장 버퍼인 제2램(23)의 DTTA-BUF영역에 저장된다. 그러면 모니터 모듈(900)을 수행하는 제2CPU(21)가 상기 DTTA-BUF영역의 내용을 리드하여 데이타 단말 DTR과의 데이타 통신요구임을 인지하고 제1CPU(11)로 통신로요구 메세지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1CPU(11)는 스위치회로(14)를 제어하여 데이타 단말 DTT와 DTR의 통신로를 연결하고 해당 상황을 제2CPU(21)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2CPU(21)는 데이타 단말DTR로 통신로 설정을 알리는 데이타를 출력하며, 상기 데이타 단말 DTR로 부터 데이타 통신 응답 데이타가 수신되면 이를 데이타 단말 DTT로 통보한다. 그러면 상기 데이타 단말 DTT와 DTR의 상태 데이타 저장 영역인 DTT-STS버퍼 및 DTR-STS버퍼의 서비스 상태(411)영역에 "통신중" 상태임을 등록한다.
상기와 같이 통신로가 설정된후 데이다 단말 DTT(또는 DTR)가 임의 데이타를 출력하면, 해당 입출력장치 IOR(또는 IOR)의 A포트로 인터럽트가 발생되며, 이로인해 A포트 수신모듈(600)의 구동된다. 상기 A포트 수신모듈(600)이 구동되면, 상기 제2CPU(21)는 A포트로 수신되는 데이타는 DTTA-BUF(또는 DTRA-BUF)영역에 저장하고, 해당 입출력장치 IOT(또는 IOR) 및 B포트를 통해 스위치회로(14)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데이타는 상기 스위치회로(14)를 통해 입출력장치 IOR(또는 IOT)의 B포트로 인가되며, 이로인해 상기 제2CPU(21)는 B 포트 수신모듈(700)을 구동한다. 상기 B포트 수신모듈(700)이 구동되면, 상기 제2CPU(21)는 입출력장치 IOR(또는 IOT)의 B포트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타를 제2램(23)의 DTRB-BUF(또는 DTTB-BUF)영역에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A포트 수신모듈(600) 및 B포트 수신모듈(700)이 수행되는 상태가 제6d도의 제 1 통신상태(930)가 된다.
상기와 같은 A포트 수신모듈(600) 또는 B포트 수신모듈(700)이 수행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제2CPU(21)는 DTTA-BUF 또는 DTRA-BUF영역에 저장된 데이타를 분석하여 데이타 단말 DTT 또는 DTR이 통신로 절단을 요구했는가 검사한다. 이때 통신로 절단요구 데이타 없으면, 상기 제2CPU(21)는 DTTB-BUF 또는 DTRB-BUF영역의 저장 데이타 유무를 분석하여 A포트 송신모듈(800)을 구동한다.
이때 상기 DTTB-BUF 또는 DTRB-BUF영역에 저장 데이타가 있으면, 상기 제2CPU(21)는 해당 데이타를 읽어 해당 데이타 단말에 연결된 입출력장치의 A포트로 해당 데이타를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A포트 송신모듈(800)수행후 다시 모니터 모듈(900)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모니터 모듈(900) → A포트 수신모듈(600) → 모니터 모듈(900) → B포트 수신모듈(700) → 모니터 모듈(900) → A포트 송신모듈(800) → 모니터 모듈(900)순으로 데이타 통신 서비스 과정을 수행하는 중에, 상기 모니터 모듈(900)에서 DTTA-BUF(또는 DTRA-BUF)영역에 통신로 절단요구 데이타가 저장됐음을 인지하면, 상기 제2CPU(21)는 제1CPU(11)로 통신로 절단욕 메세지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1CPU(11)는 스위치회로(14)를 제어하여 해당 데이타 단말 DTT와 DTR사이에 형성된 통신로를 절단하고 해당 상황을 제2CPU(21)로 절단한다. 그러면 상기 제2CPU(21)는 해당 데이타 단말 DTT 및 DTR의 상태를 비통신 상태로 제어하고 데이타 서비스 과정을 종료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각 데이타 단말의 데이타 통신을 서비스하면, 데이타 서비스 장치에 연결된 각각의 데이타 단말의 전송속도가 다르더라도, 발신측 데이타 단말로부터 발생되는 데이타를 일단 자신의 A포트 수신 버퍼에 저장한후 착신측으로 전송하며, 착신측에서도 B포트로 수신되는 데이타를 일단 자신의 B포트 수신 버퍼에 저장한후 자신의 전송속도에 맞도록 A포트를 통해 송신할 수 있게된다. 따라서 발신측 데이타 단말과 착신측 데이타 단말의 전송속도가 다르더라고 버퍼링에 의해 데이타 전송속도를 일치시켜 각 데이타 단말로 수신 데이타를 정확하게 송신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데이타 서비스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상이한 전송속도를 갖는 다수개의 데이타 단말과, 제1포트가 상기 데이타 단말의 해당 전송속도로 초기화되어 1 : 1로 연결되고 제2포트가 스위치회로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입출력장치와, 상기 입출력 장치의 수에 대응되는 제1포트 수신버퍼, 제2포트 수신버퍼상태 버퍼 영역으로 할당되는 메모리와, 교환기의 제1제어부와 메세지를 교환하며 상기 데이타 단말의 데이타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2제어부를 구비하는 데이타 서비스 장치의 데이타 전송 방법에 있어서, 발신 데이타 단말로부터 통신 서비스 요구 데이타 수신기 상기 제1제어부로 스위치 회로를 제어하여 착신측 데이타 단말과 통신로 형성을 위한 메세지를 송출하고, 상기 제1제어부로부터 통신로 형성 완료 메세지 수신기 상기 발신 및 착신측 데이타 단말의 상태 버퍼에 통신가능 상태를 등록시키는 과정(901-929)과, 상기 통신로 형성후 발신 데이타 단말로 부터 데이타 수신기 제1포트 수신 모듈을 구동하여 수신 데이타를 발신측 데이타 단말의 제1포트 수신 버퍼에 저장하는 동시에 제2포트를 통해 출력하고, 착신측 데이타 단말의 제2포트를 통해 데이타 수신시 제2포트 수신모듈을 구동하여 착신측 데이타 단말의 제2포트 수신 버퍼에 저장하는 제1통신과정(930)과, 상기 제1통신 과정후 상기 제2포트 수신버퍼의 저장 데이타 유무를 검사하며, 저장 데이타가 있을시 제1포트 송신 모듈을 구동하여 해당 데이타 단말측의 제1포트로 저장중인 제2포트 수신버퍼의 데이타를 전송하는 제2통신과정(950)과, 상기 제1통신과정 또는 제2통신과정이 수행되지 않을시 상기 제1포트 수신버퍼의 저장 데이타를 검사하며, 통신로 절단요구 데이타가 있을시 상기 제1제어부로 발신 및 착신측 데이타 단말간에 형성된 통신로 절단 메세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1제어부로부터 통신로 절단완료 메세지 수신기 상기 발신및 착신측 데이타 단말의 상태 버퍼에 저장중인 통신상태를 해제하고 종료하는 과정(941-949)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버퍼링을 이용한 데이타 전송방법.
KR1019880006492A 1988-05-31 1988-05-31 데이타 버퍼링을 이용한 데이타 전송방법 KR910006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6492A KR910006122B1 (ko) 1988-05-31 1988-05-31 데이타 버퍼링을 이용한 데이타 전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6492A KR910006122B1 (ko) 1988-05-31 1988-05-31 데이타 버퍼링을 이용한 데이타 전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907A KR890017907A (ko) 1989-12-18
KR910006122B1 true KR910006122B1 (ko) 1991-08-13

Family

ID=19274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6492A KR910006122B1 (ko) 1988-05-31 1988-05-31 데이타 버퍼링을 이용한 데이타 전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61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7608A (ko) * 1999-09-14 2001-04-06 서평원 교환기에서의 패킷 메시지 스위칭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907A (ko) 1989-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13762A (ko) 팩시밀리 영상 신호 전송방법
WO2007034954A1 (ja) 移動式無線通信装置及びその接続状態の管理方法
KR910006122B1 (ko) 데이타 버퍼링을 이용한 데이타 전송방법
US5023604A (en) Communication system
US6674742B1 (en) Automatic SDLC role configuration on router interfaces
EP0467592A1 (en) Initialization of data stations on a dual bus data subnetwork
KR960001044B1 (ko) 데이타 교환기의 데이타 전송방법
JPS6351584B2 (ko)
KR0173376B1 (ko) 비동기전달모드 가상채널 교환 시스템에서 신호에 의한 재시동방법
US20090116491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port resource thereof
JPH0498345A (ja) 端末装置の通信制御方式
KR100324423B1 (ko) 이동통신 교환기 및 운용/유지보수 인터페이스 장치간과금 데이터 전송방법
JP2659624B2 (ja) パケット交換通信方式
KR930009852B1 (ko) 공통선신호방식(No.7)의 메세지 전달부의 레벨2 기능 구현방법
KR100206307B1 (ko) 전자교환기에서 효율적인 x.25프로토콜 구현방법
JPH0410892A (ja) 発着独立呼制御システムにおける呼切断方式
JPS6121650A (ja) 自動交換機のデ−タ端末接続制御方式
JPS6322748B2 (ko)
JPH04130850A (ja) 着信自動制御方式
KR100248574B1 (ko) 단위 프레임 구조를 이용한 에스.에스.씨.오.피. 송수신 버퍼 관리 방법
JPH0687560B2 (ja) 情報一斉通知方式
KR20000000896A (ko) 통화회선 감시제어방법
JPH03121641A (ja) 電子交換システムの同報通信方式
JPS5953574B2 (ja) 通信制御方式
JPS60172861A (ja) 信号処理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9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