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9852B1 - 공통선신호방식(No.7)의 메세지 전달부의 레벨2 기능 구현방법 - Google Patents

공통선신호방식(No.7)의 메세지 전달부의 레벨2 기능 구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9852B1
KR930009852B1 KR1019900020833A KR900020833A KR930009852B1 KR 930009852 B1 KR930009852 B1 KR 930009852B1 KR 1019900020833 A KR1019900020833 A KR 1019900020833A KR 900020833 A KR900020833 A KR 900020833A KR 930009852 B1 KR930009852 B1 KR 930009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odule
level
receiving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0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4295A (ko
Inventor
김영국
김도연
한운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filed Critical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to KR1019900020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9852B1/ko
Publication of KR920014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4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9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8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30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통선신호방식(No. 7)의 메세지 전달부의 레벨2 기능 구현방법
제 1 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메시지 전달부의 구성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신호링크기능 모듈의 구성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신호링크기능 구현방법의 전체 흐름도.
제 4 도는 제 2 도의 SBI모듈의 흐름도.
제 5 도는 제 2 도의 SBO모듈의 흐름도.
제 6 도는 제 2 도의 LSC모듈의 흐름도.
제 7 도는 제 2 도의 IAC모듈의 흐름도.
제 8 도는 제 2 도의 TC모듈의 흐름도.
제 9 도는 제 2 도의 RC모듈의 흐름도.
제 10 도는 제 2 도의 SDLO모듈의 흐름도.
제 11 도는 제 2 도의 SDLI모듈의 흐름도.
제 12 도는 제 2 도의 드라이버 모듈의 흐름도.
제 13 도는 제 2 도의 리셋모듈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신호단말보드 2 : 메시지 입출력 전담보드
3 : 메모리 보드 4 : 레벨3 기능제어부
5 : 메시지 전달부 6 : DTLP
7 : DLC 11 : 레벨3 인터페이스부
12 : 레벨2 상태 제어부 13 : 레벨1 인터페이스부
14 : SBO 15 : SBI
16 : LSC 17 : IAC
18 : TC 19 : RC
20 : SDLO 21 : SDLI
22 : 리셋 23 : 드라이버
본 발명은 공통선 신호방식(No. 7)의 메시지 전달부(MTP ; Message Transfer Port)기능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호링크기능(레벨 2)의 구현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산업사회에서 고도 정보화 사회로의 진화에 따른 산업구조의 변화는 보다 빠르고 다양한 정보의 수요를 창출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사회의 요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종합정보통신망(ISDN)이 필요하게 되고 이에 전전자 교환기 시스팀에 CCITT에서 권고한 국제적인 통신프로토콜인 공통선 신호방식(No. 7)을 구현하였다.
본 발명은 국산전전자 교환기 TDX-1계열에 메시지 전달기능을 부가하여 공통선 신호방식에 의한 망간 프로토콜을 구현함에 있어서, 기반기술을 확보하고 공통선 신호방식에 대한 통신기술의 자립화는 물론 이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조기에 제공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고 레벨 3과 IPC(Inter Processor Communication)를 이용한 접속특징을 갖는 레벨 2 기능 구현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신호단말, 상기 다수의 신호단말 및 B-버스를 통해 사용자부에 연결된 메시지 입출력 전담보드, 상기 메시지 입출력 전담보드에 VME-버스를 통해 연결된 메모리 보드와 레벨 3 기능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공통선 신호방식(No. 7)에 의한 망간 프로토콜을 구현하기 위한 메시지 전달부의 레벨 2 기능구현방법에 있어서, 프로세서간 통신에 필요한 신호를 신호단말이 상대국 신호단말로 메시지 전송 및 재전송에 필요한 송신버퍼에 버퍼링하여 프로세서간 통신에 필요한 신호를 해석 처리하는 제1단계, 송신버퍼에 버퍼링된 레벨 3 신호를 해석하여 처리하는 제2단계, 상기 신호가 레벨 1 신호이고 상대국으로 부터의 입력신호인 경우 처리하는 3단계, 상기 신호가 레벨 1신호이고 상대국으로 부터의 신호출력인 경우 송신제어에 따라 송신하는 제4단계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메시지 전달부의 구성도로, 1은 신호단말보드, 2는 메시지 입출력 전담보드, 3은 메모리 보드, 4는 레벨 3 기능제어부, 5는 메시지 전달부, 6은 DTLP, 7은 DLC(Data Link Concentrator)를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메시지 전달부는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DLC(7)에 연결된 다수의 신호단말보드(1), 상기 다수의 신호 단말보드(1)에 STG-버스를 통해 연결되고 사용자부(DTLP)(6)에 B-버스를 통해 연결된 메시지 입출력 전담보드(2), 및 상기 메시지 입출력 전담보드(2)에 VME-버스를 통해 연결된 메모리 보드(3)와 레벨 3 기능제어부(4)로 구성된다.
레벨 2, 레벨 3간의 통신을 위한 메시지 입출력 전담보드(2)와 연결되어 있는 STG-버스(Signalling Terminal Group Bus)를 통해 들어오는 메시지 중 내부신호 메시지에 대해서는 신호단말의 상태제어기능을 수행하고 상대국으로 전송해야 할 메시지는 교환기의 트렁크 모듈인 DLC(7)로 2.048mbps PCM의 특정한 채널(64Kbps)을 사용하여 전송한다. 교환기의 트렁크 모듈인 DLC(7)로 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는 STG-버스를 통해 메시지 입출력 전담보드로 전송한다. 상기 신호단말보드(1)에 소프트웨어 모듈들이 적재되어 신호단말기능을 수행한다.
제 2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신호링크기능 모듈의 구성도로, 11은 레벨 2 인터페이스부, 12는 레벨 2 상태 제어부, 13은 레벨 1인터페이스부, 14는 SBO(STG Bus Output), 15는 SBI(STG Bus Input), 16은 LSC(Link State Control), 17은 IAC(Initial Alignment Control), 18은 TC(Transmission Control), 19는 RC(Reoeption Control), 20은 SDLO(Signalling Data Link output), 21은 SDLI(Signalling Data Link Input), 22은 리셋, 23은 드라이버를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한 신호단말의 소프트웨어는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레벨 3과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레벨 3 인터페이스부(11)와 레벨 1과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레벨 1 인터페이스부(13)와 내부상태 제어, 링크 감시기능 및 내부신호 처리기능을 수행하는 레벨 2 상태제어부(12)로 구성된다.
상기 레벨 3 인터페이스부(11)는 메시지 입출력 전담보드와의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레벨 3의 신호수신 및 레벨 3으로의 레벨 2의 신호송신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인 SBO(14)와 수신된 레벨 3신호의 해석 및 처리기능과 송신버퍼를 관리하는 모듈인 SBI(15)로 구성된다.
상기 레벨 2 상태제어부(12)는 신호단말의 활성화, 비활성화, 프로세서 휴지 및 오류에 따른 상태제어와 내부신호 발생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인 LSC(16), 신호단말의 초기 정렬 및 정렬오류 감시 상태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인 IAC(7), 및 상대국으로의 송수신에 관한 상태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인 TC(18)와 RC(19)로 구성된다.
상기 레벨 1 인터페이스부(13)는 신호데이타 링크의 신호송신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인 SDLO(20)와 신호데이타 링크로 부터의 신호수신 및 오류회복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인 SDLI(21)로 구성된다.
리셋모듈(22)은 전원공급시 혹은 외부 리셋시 수행되는 모듈로서 하드웨어 제어관련 시험기능을 수행하고 드라이버 모듈(23)은 타이머 관련 기능을 수행한다.
제 3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신호링크기능 구현방법의 현재 흐름도이다.
먼저 전원이 공급되면 하드웨이 시험 및 재반 변수를 초기화(30)하고 TC모듈에게 SIOS(Status Indioation Out of Service) 전송을 요구한다(31). 그리고 레벨 2로 신호가 입력되면 먼저 DLC로 부터의 신호인가 아니면 STG-버스로 부터의 신호인가를 판별하여(32), STG-버스로 부터의 신호이면 송신버퍼에 버퍼링을 한다(33). 상기 STG-버스로 부터의 신호가 데이타 요구 신호인지 검색하여(34), 데이타 요구 신호이면 상기 데이타 요구신호의 정보필드내에 있는 레벨 3 신호를 분석하여(35) 내부처리신호이면 파라메티값 및 타이머값을 설정하고(36), 상태제어신호이면 관련 모듈로 전송한다(37, 38, 39, 40, 41). 상기 STG 버스로 부터의 신호가 데이타 요구신호가 아니면 폴요구에 대한 폴응답, 데이타표시 또는 데이타 응답등의 내부처리를 수행한다(42).
DLC로 부터의 신호이면 상기 DLC로 부터의 신호의 입출력을 판별하여(43), 출력신호이면 상태변수 값에 따라 송신버퍼의 내용, 또는 상태제어 신호를 생성하여(45), 상대국으로 전송하고(46), 입력신호이면 수신버퍼에 버퍼링을 하고(44) 송수신 순차번호 및 순차 표시비트에 대한 순차제어 수행을 한다음(47), 관련모듈들로 전송한다(48, 49, 50, 51).
제 4 도는 제 2 도의 SBI모듈의 흐름도이다.
STG-버스를 통해 레벨 3으로 부터 신호가 수신되면(52), 상기 신호를 판별하여(53), 레벨 2에서 필요한 파라메터 및 타이머에 대한 내부처리 신호이면 관련된 파라메터 값 및 타이머값을 설정한다(55). 상기 신호가 상태제어 신호이면 다시 회수신호인지 판별하여(56), 회수신호이면 SBO모듈이 전송 및 재전송 버퍼의 메시지를 레벨 3으로 송신할 수 있도록 메시지 구조를 정열하며(57), 회수신호가 아니면 LSC 모듈로 전송한다(6).
상기 신호가 상대측으로 전송될 메시지이면 다음에 레벨 3으로 부터의 신호가 수신될 수 있도록 버퍼를 관리한다(54).
제 5 도는 제 2 도의 SBO모듈의 흐름도이다.
SBO모듈은 메시지 입출력 전담보드로부터 폴(Poll) 요구신호를 받으면 신호단말보드에서 점검하는 수신일련번호를 초기화하고(59),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프래그를 조작하고(60), 메시지 입출력 전담보드로 수신일련번호가 초기화 되었다는 데이타를 폴버퍼에 저장하고(66), DMAC(DMA Controller)를 이용하여 데이타를 전송하며(67), 다음 데이타를 수신한 준비를 한다(68).
수신일연번호를 초기화 한후 폴요구 신호를 받으면(62), 버퍼(수신버퍼, 내부신호버퍼, 재송신버퍼)를 점검하여(63), 송신할 데이타가 있는지 검색하여(64), 있으며 해당버퍼의 길이를 계산하고(65), 작업프래그를 조작하고(66), 데이타를 전송하고(67), 다음 데이타의 수신준비를 한다(68). 송신데이타가 없으면(64), 폴응답신호를 저장하고(69), 신호를 전송하고(67), 수신준비를 한다(68).
메시지 입출력 전담보드 레벨 3으로 부터 데이타 수신 요구신호를 받으면(70), 상기 수신일련번호와 같은지를 점검하여(71,72), 수신일련번호와 중복되어 있지 않으면 SBI함수를 호출한 후(73), 데이타 응답신호를 송신하고(74) 중복되어 있으면 데이타 응답신호만을 송신한다(74).
신호단말보드에서 전송한 데이타에 대한 데이타 응답을 받았을 때(75), 신호단말보드에서 보낸 일련번호를 점검하여(76), 송신일련번호가 같은지 확인한 후 작업프래그를 점검하여(77,78), 수신버퍼와 내부신호 버퍼의 포인터를 조작하고(79,81), 재송신 버퍼를 조작할때에는(80) 재송신이 끝났는지 점검하여(82), 끝났으면 재송신 함수를 호출하고(83), 재송신 데이타가 남았을 경우에는 다음 데이타를 수신할 준비를 한다(68).
제 6 도는 제 2 도의 LSC모듈의 흐름도이다.
SBI모듈로 부터 활성화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90) RC 모듈, TC모듈, 및 IAC 모듈로 활성 요구신호를 송신한다(91, 92, 93).
SBI 모듈로 부터 자국 프로세서 휴지 신호를 수신하면(94), 자국프로세서 휴지상태를 설정하고(95), 상대국으로의 송신가능 상태인가를 검색하여(96), 수신가능상태가 아니면 TC 모듈로 SIPO(Status Indication Processor Outage)를 상대국으로 전송할 것을 요구한다(97).
SBI 모듈로 부터 자국프로세서 휴지 해제 신호를 수신하면(98) 자국 프로세서 휴지상태를 해제하고(99), 상대국으로의 송신 가능 상태인지 검색하여(100) 송신가능 상태이면 상대국에서 자국의 프로세서 휴지가 끝났음을 알수 있도록 TC 모듈에게 FISU(Fill in Signal Unit)를 송신할 것을 요구하며(110), 상대국에서 프로세서 휴지발생 상태를 검색하여(111), 휴지가 발생하지 않았으면 TC 모듈로 MSU(Message Signal Unit) 송신가능 상태로 전환할 것을 요구한다(112).
SBI모듈로 부터 비활성화 요구신호를 수신하면(117), IAC 모듈, RC 모듈 및 TC 모듈에 대해 비활성화를 요구하고(118, 119, 120), 상대국 프로세서 휴지상태, 자국 프로세서 휴지상태를 초기화 하고(121), 신호단말이 비활성화 되었음을 레벨 3에게 통지하기 위해 비활성화 신호를 내부신호 송신 버퍼에 버퍼링한다(122).
SBI 모듈로 부터의 긴급 시작/중지 신호를 수신하면(130), 상기 신호가 시작인지 검색하여(131) 시작하면 IAC모듈이 초기 정렬을 긴급모드로 수행할 것을 요구하고(132), 중지이면 IAC 모듈이 초기 정렬을 정상모드로 수행할 것을 요구한다(133).
IAC모듈로 부터 정렬 완료 신호를 수신하면(113), 자국 프로세서 휴지상태인지 검색하여(114), 자국프로세서 휴지상태이면 TC모듈로 SIPO(Status Indication Processor Ootage), 송출을 요구하고(116), 휴지상태가 아니면 TC 모듈로 FISU 송출을 요구한다(115).
IAC모듈로 부터 비정렬 신호의 수신(123), 드라이버 모듈로 부터 T1-out, 및 T7-out 신호의 수신(124), RC모듈로 부터 SIOS(Status Indication Out of Servioe)신호의 수신(125)시에는 RC모듈로 비활성화를 요구하고(119), TC모듈로 비활성화를 요구하고(120), 자국 프로세서 휴지 및 상대국 프로세서 휴지상태등을 초기화한 후(121), 다음 신호단말의 비활성화 상태를 버퍼링 한다(122).
SDLI 모듈로 부터 SIPO 신호를 수신하면(126) 신호단말의 상태를 상대국 프로세서 휴지상태로 하고 이를 레벨 3으로 통지하기 위해 프로세서 휴지상태를 버퍼링 한다(127).
SDLI모듈로 부터 FISU/MSU 신호를 수신하면(128), 신호단말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하고 이를 레벨 3으로 통지하기 위해 신호 터미널의 활성화 상태를 내부신호 송신용 버퍼에 버퍼링 한다(129).
제 7 도는 제 2 도의 IAC모듈의 흐름도로 SIO(Status Indication Out of alignmetn), SIN(Status Indication Normal alignment), SIE(Status Indication Normal Emergercy alignment) 신호 수신시의 처리는 CCITT 권고안의 절차를 그대로 따른다.
LSC모듈로 부터 활성화 신호를 수신하면(134) TC모듈로 SIO신호 송출을 요구하면(135), 드라이버 모듈과 관련된 타이머의 출발을 요구한다(136).
LSC모듈로 부터 비활성화 신호를 수신하면(137), 드라이버로 관련 타이머의 중지를 요구하고(138), 정렬 오류감시기가 출발된 상태인지 점검하여(139), 출발한 상태이면 정렬오류 감시기로 오류감시 중지를 요구한다(140).
드라이버모듈로 부터 타이머 아웃 신호를 수신하면(141), 타이머의 종류를 판별하여(142), 타이머2, 타이머3 관련신호이면 LSC모듈로 미정렬 신호를 송신한다(143). 타이머 4관련 신호이면 검증(Proving)재개 인가를 판별하여(144), 검증 재개이면 정렬 오류 감시기의 출발을 요구하고(145), 검증 시도 횟수를 초기화 하며(146), 검증재개가 아니면 LSC 모듈이 활성화 상태로 갈 수 있도록 LSC로 정렬완료신호를 송신한다(147).
정렬오류감시기로 부터 검증 실패 신호를 수신하면(148), 검증횟수를 하나 증가시키고(149), 검증 횟수가 "5"인가를 검색한 다음(150), 5이면 LSC모듈로 미정렬 신호를 송출하고(151), 정렬 오류감시기로 정렬오류감시 중지를 요구한다(152). 검증 횟수가 "5"이하 이면 검증 재개를 요구한다(153).
제 8 도는 제 2 도의 TC모듈의 흐름도이다.
LSC모듈로 부터 활성화 요구신호를 수신하면(154) SDLO모듈이 LSSU(Link Status signal Unit)를 송신할 것인지 FISU를 송신할 것인지, MSU를 송신할 것인지에 대한 송신상태 제어변수를 초기화 하고(155), 또한 순차번호에 관련된 변수를 초기화 한다(156).
LSC모듈로 부터 FISU 송신상태 전환신호를 수신하면(157), SDLO가 FISU를 송출할 수 있도록 FISU송신가능 상태로의 전환을 요구한다(158).
LSC모듈로 부터 MUS 송신상태 전환신호를 수신하면(159) SDLO가 전송버퍼에 MSU가 있으면 이를 송출할 수 있도록 MSU송신 가능 상태로의 전환을 요구한다(160).
LSC모듈로 부터 SIOS 또는 SIPO 송출요구 신호를 받으면(163), SDLO가 이 신호를 송출할 수 있도록 LSSU에 대한 정보 및 제어변수를 설정한다(164).
SDLI모듈로 부터 상대국 수신 버퍼 폭주발생 신호를 수신하면(161), SDLO가 상대국으로 MSU를 송출하지 못하도록 제어변수를 설정한다(162).
IAC 모듈로 부터 SIO/SIN/SIE 송출요구를 수신하면(165), SDLO가 SIO/SIN/SIE를 송출할 수 있도록 제어 변수를 설정한다(166).
SDLI 모듈로 부터 자국 수신 버퍼 폭주발생신호를 수신하면(167) SDLO가 SIB(Status Indication Busy)호를 송출할 수 있도록 제어변수를 설정한다(168).
제 9 도는 제 2 도의 RC모듈의 흐름도이다.
LSC모듈로 부터 활성화 요구신호를 받으면(169), 수신상태 제어변수를 초기화 하고(170), 순차번호에 관련된 변수를 초기화 한다(171).
LSC모듈로 부터 비활성화 요구신호를 수신하면(172) 폭주(congestion)을 초기화 하기 위해 수신버퍼 폭주를 해제한다(173).
LSC모듈로 부터 폭주 해제 신호를 수신하면(174) 폭주를 해제한다(175).
제 10 도는 제 2 도의 SDLO모듈의 흐름도이다.
송신 가능 상태일때 인터럽트 처리루틴으로 부터 전송요구 신호가 수신되면(176), LSSU송신 가능 상태인가를 검색하여(177), 가능하면 IAC모듈 또는 LSC 모듈이 설정해둔 LSSU의 종류에 따라 LSSU를 생성하여(178)송신한다(184).
LSSU송신가능 상태가 아니면 MSU송신 가능 상태인가를 검색하여(179), 가능하지 않으면 FISU를 생성하여(18), 송신한다(184). MSU송신가능 상태이면 재전송 상태인가를 검색하여(181), 재전송 상태이면 재전송버퍼의 내용을 전송하고(182, 184), 재전송 상태가 아니면 전송버퍼에 전송할 MSU가 있는지 검색하여(183), 없으면 FISU를 생성하여 송신하고(180, 184), 전송할 MSU가 있다면 이를 전송하고 상대국으로 부터의 부정응답에 대한 재전송을 위해 재전송 버퍼에 버퍼링한다(184).
제 11 도는 제 2 도의 SDLI모듈의 흐름도이다.
SDLI모듈이 수신가능 상태일때 인터럽트 처리루틴으로 부터의 메시지가 수신되었다는 신호를 받으면(185), 어보트, 최대 전송옥텔수 초과등의 오류가 있는지를 검색하여(186), 오류가 있으면 그때 동작하고 있는 오류감시기의 오류카운터 값을 증가시키고 이 오류 카운터 값이 임계값에 도달했는지 검색하여 도달했으면 링크 오류 신호를 LSC로 송신한다(187). 수신오류가 없으면 LSSU인가를 검색하여(188) LSSU이면 IAC 또는 SLC 모듈의 상태에 따라 IAC 또는 LSC모듈로 전송하고 SIB인 경우에는 TC 모듈로 전송하고, SIPO 수신시 LSC 상태를 검사하여 필요한 경우에만 전송한다(189).
LSSU가 아니고 FISU/MSU인 경우에는 순차번호에 오류가 있는지 검색하여(190) 오류가 있으면 신호 유니트 오류 감시기의 오류카운터 값을 증가시키고 이 오류카운터 값이 임계값에 도달했는지 검색하여 도달했으면 링크 오류 신호를 LSC로 송신하고(194) 순방향 순차 번호의 오류인 경우에는 상대국으로 재전송을 요구하므로써 오류회복을 한다(195). 오류가 없으면 MSU/FISU 수신가능 상태인지를 검색하여(191), 수신가능 상태가 아니면 수신된 메시지를 폐기하고, 수신가능상태이면 역방향 순차번호에 따라 재전송버퍼의 메시지를 폐기하고(192) 다음에 메시지가 수신될 수 있는 버퍼의 양이 있는지를 검사하여 없으면 상대국으로 자국수신 버퍼의 폭주 발생을 알린다(193).
제 12 도는 제 2 도의 드라이버 모듈의 흐름도이며 상기 드라이버모듈은 인터럽트처리루틴이다.
타이머 A인터럽트(196)는 STG-버스를 통해 레벨 3으로 데이타 전송이 끝났을때 STG-버스 드라이버를 닫은후(199) 타이머 A를 정지시킨다(198). 타이머B 인터럽트(199)는 옥텔 카운트 함수를 호출한다(200). 타이머C 인터럽트(201)는 타이머 T1으로 부터 타이머 T7까지를 점검하여(202), 어느 특정한 타이머가 셋되면 타이머 T1부터 타이머 T7까지의 특정함수를 호출한다(203).
버스 경보 인터럽트(204)는 STG-버스 신호데이타 링크의 출력을 감시하며 클럭이 제공되지 않으면 경보 LED를 발광시킨다(205). DMAC에서의 인터럽트(206)는 DMAC가 비정상 동작인 경우 인터럽트 벡터값에 따라 구동되며 이때 DMAC를 중지하고(207) DMAC를 초기화한 후(208), 다음 데이타를 수신하기위한 준비를 한다(209). 예외 처리 인터럽트(210)는 프로세서에서 제공하는 시스팀 인터럽트 루틴이며 이때는 소프트웨어 리셋을 위해 프로그램 시작번지를 호출한다(211).
제 13 도는 제 2 도의 리셋모듈의 흐름도로 전원 공급시 또는 외부 리셋시 수행되는 모듈로 신호단말보드의 메모리를 시험하고(212), DMAC, MFP(Multi Function Peripheral), DUSCC(Dual Universal Serial Communication Controller)의 각 레지스터에 대한 읽기/쓰기(read/write) 시험을 하며(213, 214, 215), 타이머 시험(216)과 DMAC에 의하여 메모리간 데이타 전송이 에러없이 이루어 지는가를 시험한 후(217), STG-버스 신호데이타 링크 채널에 대한 루프백 시험(218)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하는 본 발명은 레벨 3 인터페이스 및 레벨 1 인터페이스 처리를 위한 전담모듈을 따로 두어 수행하므로써 효과적인 레벨 2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Claims (14)

  1. 다수의 신호단말(1), 상기 다수의 신호단말(1) 및 B-버스를 통해 사용자부(6)에 연결된 메시지 입출력 전담보드(2), 상기 메시지 입출력 전담보드(2)에 VME-버스를 통해 연결된 메모리 보드(3)와 레벨 3기능 제어수단(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공통선 신호방식(No. 7)에 의한 망간 프로토콜을 구현하기 위한 메시지 전달부의 레벨 2 기능구현방법에 있어서, 프로세서간 통신에 필요한 신호를 신호단말이 상대국 신호단말로의 메시지 전송 및 재전송에 필요한 송신버퍼에 버퍼링하여 프로세서간 통신에 필요한 신호를 해석 처리하는 제1단계(30, 31, 32, 33, 34, 35, 42), 송신버퍼에 버퍼링된 레벨 3 신호를 해석하여 처리하는 제2단계(37, 38, 39, 40, 41), 상기 신호가 레벨 1신호이고, 상대국으로 부터의 입력신호인 경우 처리하는 제3단계(43, 44, 47, 48, 49, 50, 51), 및 상기 신호가 레벨 1신호이고 상대국으로 출력신호인 경우 송신제어에 따라 송신하는 제4단계(45, 46)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달부의 레벨 2 기능구현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하드웨어 시험 및 변수를 초기화하고 TC(Transmission Control)모듈에 SIOS 전송을 요구하는 제1과정(30, 31), 레벨2로 입력된 신호를 판별하는 제2과정(32), 및 상기 입력된 신호가 레벨 3신호인 경우 처리하는 제3과정(33, 34, 35) 및 상기 입력된 신호가 내부처리 신호이면 관련 파라메터 및 타이머값을 설정하는 제4과정(41)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달부의 레벨 2 기능구현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레벨 3신호를 수신하고 오류를 회복하는 제1과정, 상기 레벨 3 신호가 상태제어신호인 경우 링크상태제어에 관련된 LSC(Link State Control) 처리를 하는 제2과정, 초기정렬에 관련된 IAC(Initial Aligment Control)처리를 하는 제3과정, 상대국으로의 메시지 전송상태에 관련된 TC(Transmission Control)처리를 하는 제4과정, 상대국으로 부터의 수신상태 제어에 관련된 RC(Reception Control)처리하는 제5과정, 및 드라이버 처리하는 제6과정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달부의 레벨 2 기능구현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레벨 1신호의 입출력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레벨 1 신호가 상대국으로 부터의 입력신호이면 수신버퍼에 버퍼링 하여 순차제어를 수행하는 제1과정(44, 47), 링크 상태 제어에 관련된 LSC처리를 하는 제2과정(48), 초기정렬에 관련된 IAC처리를 하는 제3과정(49), 상대국으로 부터의 수신상태 제어에 관련된 RC처리하는 제4과정(50) 및 드라이버 처리하는 제5과정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달부의 레벌 2 기능구현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레벨 1신호가 상대국으로의 출력신호이면 LSSU 송신 가능상태인지 검색하여 LSSU 송신가능 상태이면 LSSU 송신을 하는 제1과정(176, 177, 178), 상기 제1과정에서 LSSU 송신가능 상태가 아니면 MSU 송신가능상태인지 검색하여 MSU 송신가능 상태가 아니면 FISU 송신을 하는 제2과정(179, 180), 상기 제2과정에서 MSU 송신 가능상태이고 재전송상태이면 재전송하는 제3과정(181, 182), 상기 제3과정에서 재전송상태가 아니면 송신 메시지 존재 여부를 검색하여 존재하면 송신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FISU 송신을 하는 제4과정(183)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달부터 레벨 2 기능구현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30, 31)은, 수신 일련번호를 초기화하고 플래그를 조작하고 수신일련번호를 저장하고 데이타 전송 및 수신을 준비하는 과정(59, 60, 61, 67, 68), 폴요구 신호가 입력되면 버퍼를 점검하여 송신데이타가 있으면 데이타 길이를 계산하고 작업플래그를 조작하고 데이타 전송 및 수신을 준비하는 과정(62, 63, 64, 65, 66, 67, 68), 상기 과정(62, 63, 64, 65, 66, 67, 68)에서 송신데이타가 없으면 폴응답 데이타를 전송하고 수신을 준비하는 과정(69), 레벨 3으로부터 데이타 요구 신호를 받으면 상기 수신 일련 번호와의 동일여부를 검색하여 동일하지 않으면 SBI함수를 호출하고 데이타 응답 신호를 전송하고 동일하면 데이타 응답신호만을 전송하고 수신준비를 하는 과정(70, 71, 72, 73, 74), 전송한 데이타에 대한 데이타 응답을 받으면, 송신일련번호와의 동일여부를 검색하여 동일하면 작업프래그를 점검하여 수신버퍼와 내부 신호버퍼를 조작하고 수신준비를 하는 과정(75, 76, 77, 78, 79, 81) 및 상기 과정(75, 76, 77, 78, 79, 81)에서 재송신 버퍼를 조작하는 경우 재송신이 끝났는지의 여부를 검색하여 끝났으면 재송신 함수를 호출하고 수신 준비를 하고 끝나지 않으면 수신 준비만을 하는 과정(80, 82, 83)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달부의 레벨 2 기능구현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33, 34, 35)은, 레벨 3으로 부터 입력된 신호를 판별하는 과정(52, 53), 상기 과정(52, 53)에서 상기 신호가 상대측으로 전송될 메시지 이면 레벨 3으로 부터 신호가 수신될 수 있도록 버퍼를 관리하는 과정(54), 상기 과정(52, 53)에서 상기 신호가 상태제어신호이고 회수신호이면 SBO모듈로 전송하는 과정(56, 57), 및 상기 과정(56, 57)에서 상기 신호가 회수신호가 아니면 LSC모듈로 전송하는 과정(58)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달부의 레벨 2 기능구현방법.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은 상대국으로 부터 수신된 신호가 수신오류인지 검색하여 수신오류이면 오류감시기의 오류처리 절차를 수행시키는 과정(185, 186, 187), 상기 수신된 신호가 수신오류가 아니고 LSSU이면 관련 모듈로 송신하는 과정(188, 189), 상기 수신된 신호가 LSSU가 아니면 순차제어 오류인지 검색하여 순차제어오류이면 상기 오류 감시기의 오류처리절차를 수행하는 과정(190, 194, 195), 및 상기 수신된 신호가 순차제어류가 아니면 MSU/FISU 수신 가능 상태인지 검색하여 수신가능 상태가 아니면 수신된 메시지를 폐기하고 수신가능 상태이면 상대국으로 긍정응답을 송신하고 버퍼의 폭주상태여부를 알리는 과정(191, 192, 193)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달부의 레벨 2 기능 구현방법.
  9.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3 신호가 상태제어신호인 경우 링크상태제어에 관련된 LSC(Link State Control)처리를 하는 과정은, SBI 모듈로 부터 활성화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RC모듈과 TC모듈과 IAC모듈로 활성화 요구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90, 91, 92, 93), 상기 SBI모듈로 부터 자국 프로세서 휴지신호를 수신하면 자국 프로세서 휴지상태를 설정하고 상대측으로의 송신이 가능하면 TC모듈에서 SIPO를 상대측으로 전송할 것을 요구하는 과정(94, 95, 96, 97), 상기 SBI모듈로 부터 자국 프로세서 휴지해제 신호를 수신하면 자국프로세서 휴지상태를 해제하고 상대측으로의 송신이 가능하면 TC모듈에게 FISU를 송신할 것을 요구하고 상대측 프로세서 휴지상태가 아니면 TC모듈로 MS 송신가능 상태로 전환할 것을 요구하는 과정(98, 99, 100, 110, 111, 112), 상기 SBI로 부터의 비활성화 요구신호를 수신하면 RC모듈과 TC모듈과 IAC모듈로 비활성화 요구신호를 송신하고 자국 프로세서 휴지상태를 초기화하고 상기 신호단말의 비활성화 상태를 버퍼링 하는 과정(117, 118, 119, 120, 121, 122), 상기 IAC모듈로 부터 정렬 완료신호를 수신하고 자국 프로세서 휴지상태이면 TC 모듈로 SIPO 송신요구신호를 송신하는 과정(113, 114, 116), 상기 과정(113, 114, 116)에서 자국 프로세서 휴지상태가 아니면 TC모듈로 FISU전송상태 천이 요구신호를 송신하는 과정(114, 115), 상기 IAC모듈로 부터 비정렬 신호를 수신하면 RC모듈과 TC모듈로 비활성화 요구신호를 송신하고 자국프로세서 휴지상태를 초기화하고 상기 신호단말의 비활성화 상태를 버퍼링 하는 과정(123), 상기 드라이버 모듈로 부터 T1-out 내지 T7-out신호를 수신하면 RC 모듈과 TC모듈로 비활성화 요구신호를 송신하고 자국프로세서 상태를 버퍼링하는 과정(124), 상기 RC모듈로 부터 SIOS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RC모듈과 TC모듈로 비활성화 요구신호를 송신하고 자국 프로세서 휴지상태를 초기화하고 상기 신호단말의 비활성화 상태를 버퍼링 하는 과정(125), SDLI모듈로 부터 SIPO신호를 수신하면 상대측의 프로세서 휴지발생 상태를 버퍼링하는 과정(126, 127), SDLI모듈로 부터 FISU/MSU신호를 수신하면 신호단말의 활성화 상태를 버퍼링 하는 과정(128, 129), 상기 SBI모듈로 부터 긴급 시작./중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가 시작이면 IAC모듈로 동기정렬 긴급 모드로의 수행을 요구하는 과정(130, 131, 132) 및 상기 과정(130, 131, 132)에서 상기 신호가 중지신호이면 완료상태를 해제하는 과정(131, 333)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달부의 레벨 2 기능구현방법.
  10.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정렬에 관련된 IAC(Initial Aligment Control)처리를 하는 과정은, 상기 LSC모듈로 부터 활성화 요구신호를 수신하면 TC모듈로 SIO신호의 송출과 타이머 출발을 요구하는 과정(134, 135, 136), 상기 LSC 모듈로 부터 비활성화 요구신호를 수신하면 드라이버 모듈로 타이머 중지요구 신호를 송출하고 정렬오류 감시기가 출발된 상태이면 정렬오류 감시의 중지를 요구하는 과정(137, 138, 139, 140), 상기 드라이버 모듈로 부터 타이머 아웃 신호를 수신하면 타이머 종류를 판별하여 타이머 2, 타이머 3 이면 LSC모듈로 미정렬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141, 142, 143), 상기 과정(141, 142, 143)에서 타이머의 종류가 타이머 4이면 검증 재개 여부를 검색하여 검증재개이면 정렬 오류감시기의 출발을 요구하고 검증재개를 초기화하는 과정(144, 145, 146), 상기 과정(144, 145, 146)에서 검증재개가 아니면 정렬 완료신호를 송신하는 과정(144, 147), 상기 정렬오류 감시기로 부터 재개 실패 신호를 수신하면 검증횟수를 증가시키고 검증횟수가 5이면 미정렬 신호를 송출하고 정렬 오류감시 중지를 요구하는 과정(148, 149, 150, 151, 152), 및 상기 과정(148, 149, 150, 152)에서 검증횟수가 5가 아니면 검증 재개를 요구하는 과정(150, 153)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달부의 레벨 2 기능구현방법.
  11. 제 3 항에 있어서, 제4과정은 상기 LSC모듀로 부터 활성화 요구신호를 수신하면 송신상태 제어변수와 순차번호 관련 변수를 초기화하는 과정(154 내지 156), 상기 LSC모듈로 부터 FISU 송신상태전환신호를 수신하면 FISU 송신가능 상태로의 전환을 요구하는 과정(157, 158), 상기 LSC모듈로 부터 MSU 송신상태 전환신호를 수신하면 MSU송신 가능 상태로의 전환을 요구하는 과정(159, 160), SLDI모듈로 부터 상대측 수신버퍼 폭주 발생신호를 수신하면 관련제어변수를 설정하는 과정(161, 162), 상기 LSC모듀로 부터 SIOS/SIPO 송출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관련 제어변수 값을 설정하는 과정(163, 164), 상기 IAC모듈로 부터 SIO/SIN/SIE 송출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관련 제어 변수 값을 설정하는 과정(165, 166), 및 상기 SDLI 모듈로 부터 자국 수신 버퍼 폭주 발생신호를 수신하면 관련 제어 변수값을 설정하는 과정(167, 168)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달부의 레벨 2 기능구현방법.
  12.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국으로 부터의 수신상태 제어에 관련된 RC(Reception Control)처리하는 과정은, 상기 LSC모듈로 부터 활성화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 상태 제어 변수와 순차번호 관련변수를 초기화 하는 과정(169, 170, 171), 상기 LSC모듈로부터 비활성화 요구신호를 수신하면 수신 버퍼 폭주상태를 해제하는 과정(172, 173) 및 상기 LSC모듈로 부터 폭주상태 해제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버퍼 폭주상태를 해제하는 과정(174, 175)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달부의 레벨 2 기능구현방법.
  13.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처리하는 과정은, 타이머 A를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STG-버스 드라이브를 닫은후 타이머 A정지시키는 과정(196, 197, 198), 타이머 C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옥텔카운트 함수를 호출하는 과정(199, 200), 타이머 C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타이머 T1 내지 타이머 T7을 검색하여 함수를 호출하는 과정(201, 202, 203), 버스 경보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경보(ED)를 발광시키는 과정(204, 205), DMAC(에러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DMAC를 중지하고 초기화 한 후 수신을 준비하는 과정(206, 207, 208, 209) 및 예외 처리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리셋모듈을 호출하는 과정(210, 211)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달부의 레벨 2 기능구현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모듈을 호출하는 과정은, 메모리를 시험하는 과정(212), DMAC, MFP, DUSCC의 읽기/쓰기와 타이머를 시험하는 과정(213, 214, 215, 215) 및 메모리간 데이타 전송 상태를 시험하고 상기 STG-버스를 신호 데이타 링크 체널에 대한 루프백 시험을 하는 과정(217, 218)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달부의 레벨 2 기능구현방법.
KR1019900020833A 1990-12-17 1990-12-17 공통선신호방식(No.7)의 메세지 전달부의 레벨2 기능 구현방법 KR930009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0833A KR930009852B1 (ko) 1990-12-17 1990-12-17 공통선신호방식(No.7)의 메세지 전달부의 레벨2 기능 구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0833A KR930009852B1 (ko) 1990-12-17 1990-12-17 공통선신호방식(No.7)의 메세지 전달부의 레벨2 기능 구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295A KR920014295A (ko) 1992-07-30
KR930009852B1 true KR930009852B1 (ko) 1993-10-12

Family

ID=19307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0833A KR930009852B1 (ko) 1990-12-17 1990-12-17 공통선신호방식(No.7)의 메세지 전달부의 레벨2 기능 구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98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073B1 (ko) * 1999-09-22 2004-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넘버.세븐 신호망에서 엠티피 레벨 투의 반복 수신된 메시지 폐기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295A (ko) 1992-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5028A (en) Switching system with separate supervisory links
JP2971281B2 (ja) 付属処理装置を有する電気通信交換システム及びその付属処理装置
US4982325A (en) Applications processor module for interfacing to a database system
KR930009852B1 (ko) 공통선신호방식(No.7)의 메세지 전달부의 레벨2 기능 구현방법
US5511230A (en)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master system and multiple slave systems in time division mode where a next slave is serviced upon receipt of final acknowledgement
KR950010483B1 (ko) 전전자교환기의 신호단말망에 접속된 신호버스정합보드에서의 메시지 송신방법
KR930004919B1 (ko) 공통선 신호방식(No.7)메시지 전달부의 운용 및 유지보수 관리기능 구현방법
KR100281974B1 (ko) 교환기의프레임핸들링장치및방법
JPH02222341A (ja) 回線交換システム
JP2814497B2 (ja) 信号リンク制御装置
KR0143970B1 (ko) 복수의 시스템과 통신하는 단일 프로세서의 통신포트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0219223B1 (ko) Isdn 사용자-망 접속의 계층3에서 호설정 응답 프리미티브 처리방법
KR940008348A (ko) 멀티교환유니트 전자교환시스템의 비동기 직렬통신회로
KR950000968B1 (ko) 공통선 신호방식(CCS No. 7) 메세지 전달부(MTP)의 레벨 1 및 2 기능구현을 위한 신호 단말보드
KR960014689B1 (ko) 패킷처리기 성능 측정 방법
KR100219220B1 (ko) 종합정보통신망(isdn) 사용자-망 접속의 계층3에서 호설정 요구 프리미티브 처리방법
JPS60157354A (ja) 通信制御装置
KR100219221B1 (ko) 종합정보통신망(isdn) 사용자-망 접속의 계층 3에서 정보요구 프리미티브 처리방법
KR0179504B1 (ko) 비동기 전달모드 가상채널 교환기에서의 시스템 내부 호처리 프로토콜 메시지 처리 방법
KR0140783B1 (ko) 에이티엠교환기 중계선의 특정서비스 조정기능 관리방법
JPS63294039A (ja) デ−タ端末の発呼方式
KR100219224B1 (ko) Isdn 사용자-망 접속의 계층 3에서 해제 요구 프리미티브 처리방법
JPS6310948A (ja) ホ−ムバスシステム用電話機アダプタ
JPH04312049A (ja) パケット転送制御方式
JPS58173941A (ja) 通信装置ヘルスチエツク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9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