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033Y1 - 회로차단기 - Google Patents

회로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033Y1
KR910006033Y1 KR2019910009197U KR910009197U KR910006033Y1 KR 910006033 Y1 KR910006033 Y1 KR 910006033Y1 KR 2019910009197 U KR2019910009197 U KR 2019910009197U KR 910009197 U KR910009197 U KR 910009197U KR 910006033 Y1 KR910006033 Y1 KR 9100060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latch lever
trip bar
trip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91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루히사 도다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시키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7075108U external-priority patent/JPH0635348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7075097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47780Y2/ja
Priority claimed from JP7489987U external-priority patent/JPH0614388Y2/ja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80004066A external-priority patent/KR880014610A/ko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시키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츠비시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20199100091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60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0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0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3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using a solid-state trip un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05Latching devices between operating and release mechanism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회로차단기
제 1 도는 본원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트립릴레이 기구의 사시도.
제 2 도는 트립릴레이 기구의 온, 오프 상태도.
제 3 도는 트립릴레이 기구의 트립순간을 도시한 도면.
제 4 도는 걸림쇠의 사시도.
제 5a, b 도는 래치레버의 사시도.
제 6 도는 트립바의 사시도.
제 7 도는 본원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더블토션스프링의 사시도.
제 8 도는 본원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래치레버의 사시도.
제 9 도는 본원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제 10a, b 도는 종래의 것을 도시한 정면도.
제 11a 도는 제 10a, b 도의 선 X I-X I의 단면도.
제 11b 도는 제 10a 도의 선 X I-X I의 다른 단면도.
제 12 도는 오프상태를 도시한 제 11a 도와 같은 도면.
제 13 도는 트립상태를 도시한 제 11a 도와 같은 도면.
제 14 도는 온, 오프시의 트립릴레이 기구의 확대도.
제 15 도는 트립순간의 트립릴레이 기구의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단기 케이스 1A : 기구극
1B : 인접극 3 : 고정접점
4 : 자동분리장치 6 : 가동접점
7 : 가동접촉자 20 : 개폐조작기구
20a : 크레이들 24A, 26A, 28A : 회전중심축
23A : 걸림쇠 25A : 래치레버
25a : 롤러 25b, 258g : 긴구멍
25d : 결합측판부(걸림편결합부) 25f : 당접측판부
25h : 큰구멍 25i, 25j : 양쪽 축
27A : 트립바 27B : 래치부
27D : 트립바 본체 27C : 부착나사
31 : 트립부채 33 : 기구프레임
34 : 더블토션스프링 34a : 링부
34b : 스프링 절환부 34c : 스프링의 일단
34d : 스프링 타단 35 : 스토퍼
본원 고안은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자동 분리장치의 분리동작을 크레이들에 전달하는 트립릴레이기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 종류의 회로차단기를 제 10a 도 내지 제 15 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 10 도는 a, b는 정면도, 제 11 도 a는 제 10 도 a, b의 선 X I - XⅠ의 단면도. 제 11도 b 는 제 10도 a의 선 X I - X I의 다른 단면도, 제 12 도 오프상태를 도시한 제 11 도 a와 같은 도면, 제 13 도는 트립상태를 도시한 제 11 도 a와 같은 도면, 제 14 도는 온, 오프시의 트립릴레이 기구의 확대도, 제 15도는 트립순간의 트립릴레이 기구의 확대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베이스(1a)와 커버(1b)로 구성된 차단기 케이스이며, 개폐조작기구가 있는 기구극(1A)과 개폐조작기구가 없는 인접극(1B), (1B)을 가지고 있다. (2)는 베이스(1a)에 고정된 전원측의 고정도체, (3)은 고정도체(2)에 고착된 고정접점, (4)는 자동분리 장치이고, 도시생략한 예를 들면 열동전자식(熱動電磁式) 또는 전자식(電磁式)의 기구가 배치되어 있다. (5)는 자동분리장치(4)에 접속된 부하측의 고정도체, (6)는 가동접점, (7)은 가동접점(6)을 고착한 가동접촉자, (8)은 가동접촉자(7)를 접속도체(9)를 통해서 자동분리장치(4)에 접속하기 위한 가요(可僥)도체, (10)은 가동 접촉자(7)를 지지하는 콘택트암이고, 후술하는 개폐조작기구가 연계되는 제 1 의 콘택트암(10a)과 가동접촉자(7)가 제 1 의 핀(1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2 의 콘택트암(10b)으로 분할 형성되고 있다. (12)는 콘택트암(10)의 지지축이고 제 1 의 콘택트암(10a)과 제 2 의 콘택트암(10b)이 각각 회전할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13)은 각 극(極)의 제 1 의 콘택트암(10a)을 연결하는 크로스바, (14)는 제 1 의 콘택트암(10a)에 형성되어 개폐방향으로 뻗는 가이드구멍, (15)는 제 2 의 콘택트암(10b)에 형성된 긴구멍이고, 가이드구멍(14)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어있다. (16)은 가이드구멍(14)과 긴구멍(15)에 걸쳐서 결합하는 제 2 의 핀, (17)은 제 1 의 핀 (11)과 제 2 의 핀(16)사이에 설치한 인장스프링이고, 제 2 의 핀(16)에 힘을 가한다. (18)은 가동접촉자(7)와 제 2 의 콘택트암(10b)과의 사이에 설치한 전압스프링, (19)는 차단기의 조작핸들, (20)은 차단기의 개폐조작기구이고, 크레이들(20a)과 상부링크(20b)와 하부링크(20c)등에 의해 구성된다.
(21)은 크레이들(20a)에 설치한 스토퍼핀, (22)는 하부 링크(20c)를 제 1 의 콘택트암(10a)에 연계하기 위한 연결핀, (23)은 크레이들(20a)과 걸림부(23a)와 롤러(25a)에 의해 걸어맞추어져서 걸림쇠(23)가 크레이들(20a)에 의해 걸어맞추여ㅈ서 크레이들(20a)을 위치결정하는 걸림쇠, (24)는 걸림쇠(23)의 회전중심축, (25)는 걸림쇠(23)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래치레버, (26)은 래치레버(25)의 회전중심축, (27)은 래치레버(25)와 결합편(27a)에 의해 걸어맞추어져서 래치레버(25)가 걸림쇠(23)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트립바이며, 중앙부가 후술하는 기구프레임으로 지지되며, 또한 양단부가 제 10b 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양측의 인접극(1B), (1B)에 뻗어 있다. (28)은 트립바(27)의 회전중심축, (29)는 회전중심축(24)에 끼워 고착시킨 토션스프링이고, 걸림쇠(23)를 크레이들(20a)에, 또한 래치레버(25)를 걸림쇠(23)에 각각 걸어맞추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다. (30)은 트립바(27)를 래치레버(25)에 걸어맞추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인장스프링, (31)은 자동분리장치(4)의 트립부재인 트랩로드이고, 트립시에 동작하여 트립바(27)를 인장스프링(30)에 항거하여 회전시킨다. (33)은 베이스(1a)에 고정한 기구프레임이며, 양측판(33a), (33a)사이에 걸림쇠(23)와 래치레버(25)와 트립바(27)로 이루어진 트립릴레이 기구 및 개폐조작기구(20)등이 지지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0a 도, 제 11a 도, 제 14 도에 도시한 온상태에서는 전원측 고정도체(2)→고정접점(3)→가동접점(6)→가동접촉자(7)→가요도체(8)→접속도체(9)→자동분리장치(4)→부하 측고정도체(5)의 방향으로 전류가 흐른다. 조작핸들(19)을 오프조작(제 11a의 화살표 32의 방향)하면, 개폐조작기구(20)에 의해 콘택트암(10)이 들어올려져서 가동접촉자(7)와 함께 가동접점(6)이 제 1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정접점(3)으로부터 사이가 떨어진다. 이때 인장스프링(17)에 의해 제 2 의 핀(16)이 가이드 구멍(14)의 요부(凹部)(14a)에 끼워져 있으므로, 제 2 의 콘택트암(10b)은 제 1 의 콘택트암(10a)과 일체가 되어 개폐조작기구(20)에 의 해서 들어올려져서, 지지축(12)을 지지점으로하여 스토퍼핀(21)에 충돌하여 정지한다. 제 11 도 a의 온상태, 제 12 도의 오프상태에서는 자동분리장치(4)의 트립로드(31)가 동작하지 않으므로, 트립릴레이 기구는 제 14 도의 상태를 유지하고 크레이들(20a)은 고정되어 있다.
다음에, 제 10a 도, 제 11a 도, 제 14 도에 도시한 온상태에 있어서 과전류(過電流)가 흐르면, 자동분리장치(4)가 작동하여 트립로드(31)가 동작하므로, 제 15 에 도시한 바와같이 트립바(27)가 인장스프링(30)에 항거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서 걸림편(27a)이 래치레버(25)에서 벗겨지면, 래치레버(2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크레이들(20a)의 탄력에 의해서 걸림쇠(23)가 토션스프링(29)에 항거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순간적으로 제 15 도의 상태가 된다. 이 크레이들 (20a)의 회전에 의해 개폐조작기구(20)가 동작하므로, 콘택트암(10)이 들어올려져서 제 1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동접점(6)이 사이가 떨어지고, 과전류를 차단한다. 이른바 트립상태가 된다. 이때도 제 12 도의 오프상태와 마찬가지로 인장스프링(17)에 의해 제 2 의 핀(16)이 가이드구멍(14)의 요부(14a)에 끼워져 있으므로, 제 2 의 콘택트암(10b)은 제 1 의 콘택트암(10a)과 일체가 되어 개폐조작기구(20)에 의해서 들어올려져서, 지지축(12)을 지점으로하여 스토퍼핀(21)에 충돌하여 정지한다.
이 종류의 회로차단기에서는 트립바(27)의 분리모멘트를 작게 하여, 트립로드(31)이 크레이들(20a)을 벗기는 힘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걸림쇠(23)의 양 작용점의 거리 즉 회전중심축(24)에서 걸림부(23a)까지의 거리와 회전중심축(24)에서 롤러결합부까지의 거리 및 래치레버(25)의 양 작용점의 거리 즉 회전중심축(26)에서 롤러(25a)까지의 거리의 회전중심축(26)에서 걸림핀 결합부까지의 거리가 필요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회로차단기에서는, 걸림쇠(23)의 양 작용점의 거리와 래치레버(25)의 양 작용점의 거리를 유지하기 위하여, 차단기의 전원부하 방향으로 크레이들(20a)로 부터 걸림쇠(23), 래치레버(25), 트립바(27)의 순서로 병치하고 있으므로, 전원부하 방향으로 차단기 크기가 길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회로차단기에서는, 걸림쇠(23)를 크레이들(20a)에, 래치레버(25)를 걸림쇠(23)에 각각 걸어맞추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토션스프링(29)과, 트립바(27)를 래치레버(25)에 걸어맞추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인장스프링(30)이 필요하므로, 부품수가 많아져서 코스트가 높아지는 동시에 조립에 인력을 요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다극회로 차단기에서는, 트립바(27)를 트립릴레이 기구의 1부품으로서 기구프레임(33)에 연계적으로 조립장착하는 동시에 각 극에 걸쳐서 차단기 케이스(1)내에 장전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조립 작업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원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차단기의 전원부하 방향에 있어서 트립바를 걸림쇠와 래치레버와의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전원부하 방향의 차단기 크기가 짧아지고, 소형화를 도모할수 있는 회로차단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원 고안은 1개의 더블토션스프링에 의해 걸림쇠, 래치레버, 트립바에 각각 힘을 가함으로써 부품수의 삭감이 도모되고, 저가이며 조립작업성이 좋은 회로차단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원 고안은 래치레버의 당접촉판부의 강도 향상을 도모함으로써 당접측판부가 변형되지 않는 내구성이 우수한 래치레버를 회로차단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또한 본원 고안은 트립바를 트립바 본체와 래치부로 분할함으로써, 트립바의 조립작업성의 개선이 도모되는 회로차단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 고안에 관한 회로차단기는 차단기의 전원부하 방향에 있어서 트립바의 회전중심을 걸림쇠 및 래치레버의 양 회전중심사이에 위치시켜서 상기 트립바를 상기 걸림쇠와 래치레버와의 사이에 배치한 것이다.
그리고, 본원 고안에 관한 회로차단기는 더블토션스프링을 구비하고, 이 더블토션스프링에 의해서 걸림쇠를 크레이들에 래치레버를 걸림쇠에, 트립바를 래치레버에 각각 걸어맞추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한것이다.
그리고, 본원 고안에 관한 회로차단기는 래치레버를 트립바가 걸어맞추어지는 결합측판부와 스토퍼에 접촉하는 당접측판부로 가지는 U자형으로 하고, 이 U자형의 사이에 롤러를 삽입지지할수 있도록 양 측판부에 롤러의 양쪽축을 각각 지지하는 긴구멍을 형성하고, 또한 이 긴구멍의 한쪽에 롤러를 삽입할수 있는 큰 구멍을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또한 본원 고안 회로차단기는 트립바를 트립바 본체와 래치부로 분할하고, 상기 래치부를 걸림쇠, 래치레버, 트립바등으로 이루어지는 트립릴레이 기구에 장착한 상태에서 트립릴레이 기구를 차단기 케이스에 부착한 후, 이 래치부에 상기 트립바 본체를 조립하도록 한 것이다.
본원 고안에 있어서는 차단기의 전원부하 방향에 있어서 트립바를 걸림쇠와 래치레버와의 사이에 배치하였으므로, 전원부하 방향으로 차단기 크기가 짧아진다.
드리고, 더블토션스프링에 의해 걸림쇠를 크레이들에, 래치레버를 걸림쇠에, 트립바를 래치레버에 각각 걸어맞추는 방향으로 힘를 가할수 있다.
그리고, 래치레버의 당접측단부에 긴구멍을 형성하였으므로, 당접측판부의 강도가 향상되고,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트립바를 트립바 본체와 래치부로 분할하였으므로, 래치부를 트립릴레이 기구의 1부품으로서 기구프레임에 연계적으로 조립해서, 차단기 케이스에 부착한후, 래치부에 트립바 본체를 최종적으로 조립해서 고정할수 있다.
이하, 본원 고안의 일실시예를 제 1 도 내지 제 6 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 1 도는 트립릴레이 기구의 사시도, 제 2 도는 트립릴레이 기구의 온, 오프 상태도. 제 3 도는 트립릴레이 기구의 트립순간을 도시한 도면, 제 4 도는 걸림쇠의 사시도, 제 5a, b 도는 래치레버의 사시도, 제 6 도는 트립바의 사시도이고, 상기 종래의 것과 동일 또는 상당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 있어서, (33)은 베이스(1a)에 고정된 프레임이고, 양측판(33a), (33a)을 가지고 있다. (24A)는 양측판(33a), (33a)에 걸어설치한 회전중심축, (23A)는 평면 U형의 걸림쇠이고, 회전중심축(24A)의 끼워지는 요부(23b), (23b)와 한쪽의 암선단에 형성된 롤러 결합부(23c)를 가지고 있다. (25A)는 두갈래 형상의 래치레버이고, 롤러(25a)를 지지하는 긴구멍(25b) 및 절결부(25c)와 걸림편(27a)이 걸어맞추어지는 결합측판부인 걸림편 결합부(25d)와 스프링걸림편(25e)을 가지고 있다. (26A)는 회전중심축이고, 래치레버(25A)를 측판(33a)에 회전할수 있도록 지지한다.
(28A)는 양측판(33a), (33a)에 걸어설치한 회전중심축, (27B)는 평면 U형의 트립바의 래치부이고, 회전중심축(28A)이 통과하는 구멍(27b), (27b)과 스프링걸림편(27c)과 트립로드(31)가 맞닿는 로드당접부(27d)를 가지고 있다. (34)는 더블토션스프링이고, 링부(34a)에 의해 회전 중심축(24A)에 끼워고정되고, 또한 스프링절환부(34b)에 의해 걸림쇠(23A)를 크레이들(20a)에 걸어맞주는 반시계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스프링의 일단(34c)에 의해 래치레버(25A)를 걸림쇠(23A)에 걸어맞추는 반시계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스프링의 타단(34d)에 의해 트립바(27A)를 래치레버(25A)에 걸어맞추는 반시계방향으로 가하고 있다. (35)는 래치레버(25A)의 스토퍼이다.
다음에, 동작을 설명한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트립로드(31)가 동작하지 않는 온, 오프상태에서는 걸림쇠(23A)와 래치레버(25A)와 트립바(27A)가 더블토션스프링(34)에 의해 힘이 가해져서 제 2 도의 상태를 유지하므로, 크레이들(20a)은 걸림쇠(23A)에 의해서 지지된다. 그리고,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트립로드(31)가 동작하는 트립순간의 상태에서는 트립바(27A)가 더블토션스프링(34)에 항거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서 걸림편(27a)이 걸림편 결합부(25d)로부터 벗겨지면, 래치레버(25A)가 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해져서 크레이들(20a)의 탄력(36)에 의하여 걸림쇠(23A)가 더블토션스프링(34)에 항거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이때 래치레버(25A)도 걸림쇠(23A)에 의해서 더블토션스프링(34)에 항거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서 순간적으로 제 3 도의 상태가 된다. 즉시 트립로드(31)가 원상태로 되돌아가면, 걸림쇠(23A)가 래치레버(25A)와 트립바(27A)가 더블토션스프링(34)에 의해서 제 2 도의 상태로 복귀한다. 그후 리셋 동작에 의해서 크레이들(20a)은 걸림쇠(23A)에 스냅식으로 걸어맞추어진다.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쇠(23A)의 양 작용점이 거리 즉 회전중심측(24A)에서 걸림부(23a)까지의 거리와 회전중심축(24A)에서 롤러결합부(23c)까지의 거리 및 래치레버(25A)의 양 작용점의 거리 즉 회전중심축(26A)에서 롤러 (25a)까지의 거리와 회전중심축(26A)에서 걸림편 결합부(25d)까지의 거리는 종래의 것과 마찬가지로 확보할수 있으므로, 트립로드(31)의 크레이들(20a)을 벗기는 힘을 작게할수 있다.
상기와 같이, 차단기의 전원부하방향에 있어서 트립바(27A)의 회전중심을 걸림쇠(23A) 및 래치레버(25A)의 양 회전중심 사이에 위치 시켜서 트립바(27A)를 걸림쇠(23A)와 래치래버(25A)와의 사이에 배치해 두면 전원부하방향으로 차단기 크기가 짧아진다. 그리고,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 있어서는 도시생략하였으나, 트립바의 래치부(27B)의 상부에는 제 6 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각 극에 관통하는 막대형의 바부분(27D)이 나사(27C)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이다.
다음에, 본원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며, 이 실시예는 앞의 실시예의 있어서의 더블토션스프링을 개량한 것이다. 제 1 도 내지 제 6 도에 대해서는 앞의 실시예와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제 7 도는 더블토션스프링의 사시도이다. (34)는 더블토션스프링이고, 좌우 2개의 링부(34a), (34a)에 의해 회전중심축(24A)에 끼워 고정되는 동시에 걸림쇠의 걸림부(23a)의 위쪽에 걸어맞추는 스프링절환부(34b)에 의해 걸림쇠(23A)를 크레이들(20a)에 걸어맞추는 반시계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래치레버스프링걸림편(25e)에 걸어맞추는 스프링의 일단(34c)에 의해 래치레버(25A)를 걸림쇠(23A)에 걸어맞추는 스프링의 타단(34d)에 의해 트립바(27A)를 래치레버(25A)에 걸어맞추는 반시계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다. (35)는 래치레버(25A)의 스토퍼이다.
다음에, 동작을 설명한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립로드(31)가 동작하지 않는 온, 오프상태에서는 걸림쇠(23A)와 래치레버(25A)와 트립바(27A)가 더블토션스프링(34)에 의해서 힘이 가해져서 제 2 도의 상태를 유지하므로, 크레이들(20a)은 걸림쇠(23A)에 의해서 지지된다. 그리고,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립로드(31)가 동작하는 트립순간의 상태에서는 트립바(27A)가 더블토션스프링(34)의 스프링 타단(34d)에 항거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서 걸림편(27a)이 걸림편 결합부(25d)로부터 벗겨지면, 래치레버(25A)가 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해져서 크레이들(20a)의 탄력(36)에 의하여 걸림쇠(23A)가 더블토션스프링(34)의 스프링절환부(34b)에 항거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이때 래치레버(25A)도 걸림쇠(23A)에 의해서 더블토션스프링(34)의 스프링의 일단(34c)에 항거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서, 순간적으로 제 3 도의 상태가 된다. 즉시 트립로드(31)가 원래상태로 되돌아가면, 걸림쇠(23A)와 래치레버(25A)와 트립바(27A)가 더블토션스프링(34)에 의하여 제 2 도의 상태로 복귀한다. 그 후 리셋동작에 의해서 크레이들(20a)은 걸림쇠(23A)에 스냅식으로 걸어맞추어진다.
상기와 같이, 1개의 더블토션스프링(34)에 의해서 걸림쇠(23A)를 크레이들(20a)에, 래치레버(25A)를 걸림쇠(23A)에, 트립바(27A)를 래치레버(25A)에 각각 걸어맞추는 방향으로 힘을 가할수 있다.
다음에, 본원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제 8 도에 따라 설명한다.
앞의 실시예의 회로차단기에서는 래치레버(25A)의 당접측판부(25f)가 절결부인 롤러삽입홈(25c)에 의해 폭이 좁아지고, 강도가 저하되므로, 트립시에 래치레버(25A)의 당접측판부(25f)가 스토퍼(35)에 충돌하면, 당접측판부(25f)가 변형해서 래치레버(25A)의 기능이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제 8 도는 래치레버의 사시도이며, 도면에 있어서, (25B)는 래치레버이고, 당접측판부(25f)에 롤러(25a)의 다른쪽 축(25j)을 지지하는 긴구멍(25g)을 가지고 있다. (25h)은 긴구멍(25g)의 선단측에 형성한 큰 구멍이고, 롤러(25a)를 삽입할수 있는 지름을 가지고 있다. 또한, 래치레버(25B)에는 앞의 실시예의 래치레버(25A와 마찬가지로 결합측판부(25d)에 긴구멍(25b)과 스프링걸림편(25e)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래치레버(25B)의 당접측판부(25f)에 긴구멍(25g)과 큰구멍(25h)을 형성해 두면, 롤러(25a)를 큰구멍(25h)으로부터 양 측판부(25d), (25f)사이에 삽입하여, 양쪽축(25i), (25j)을 양 긴구멍(25b), (25g)에 지지할수 있으므로, 래치레버(25B)의 당접측판부(25f)의 강도가 상승한다. 따라서, 트립시 래치레버(25B)의 당접측판부(25f)가 스토퍼(35)에 충돌하여서 변형되는 일이 없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큰구멍(25h)을 래치레버(25B)의 당접측판부(25f)의 긴구멍(25g)에 형성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결합측판부(25d) 긴구멍에 형성해도 된다.
다음에, 본원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제 1 도 내지 제 6 도 및 제 9 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 1 도 내지 제 6 도의 설명은 앞의 실시예와 같으므로 생략하며, 제 9 도는 정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24A)는 양측판(33a), (33a)에 걸어설치한 회전중심축, (23A)는 평면 U형의 걸림쇠이고, 회전중심축(24A)이 끼워지는 요부(23b), (23b)와 한쪽의 암선단에 형성된 롤러결합부(23c)를 가지고 있다. (25A)는 두갈래 형상의 래치레버이고, 롤러(25a)를 지지하는 긴구멍(25b) 및 절결부(25c)와 후술하는 걸림편이 걸어맞추어지는 걸림편결합부(25d)와 스프링걸림편(25e)을 가지고 있다. (26A)는 회전중심축이고, 래치레버(25A)를 측판(33a)에 회전할수 있도록 지지한다. (28A)는 양측판(33a), (33a)에 걸어 설치한 회전중심축, (27A)는 래치레버(25A)가 걸림쇠(25A)가 걸림쇠(23A)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트립바이고, 래치레버(25A)에 걸어맞추어지는 걸림편(27A)과 회전중심측(28A)이 통하는 구멍(27b), (27b)과 스프링걸림편(27c)과 트립로드(31)가 맞닿은 로드당접부(27d)를 가지고 있는 금속프레스품으로 이루어지는 래치부(27B)와 , 양 인접극(1B), (1B)에 뻗고 또한 래치부(27B)의 나사구멍(27e), (27e)에 대응하는 구멍(27f), (27f)을 가진 몰드수지성형품으로 된 트립바 본체(27D)와, 트립바 본체(27D)를 래치부(27B)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나사(27c), (27c)로 구성되어 있다. (34)는 더블토션스프링이고, 링부(34a)에 의해 회전중심축(24A)에 삽입고정되고, 절환부(34b)에 의해서 걸림쇠(23A)를 크레이들(20a)에 걸어맞추는 반시계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일단(34c)에 의해 래치레버(25A)를 걸림쇠(23A)에 걸어맞추는 반시계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타단(34d)에 의해 트립바(27A)를 래치레버(25A)에 걸어맞추는 반시계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다.
(35)는 래치레버(25A)의 스톱퍼이다.
그 동작에 대해서는 앞의 실시예와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트립바(27A)를 트립바 본체(27D)와 래치부(27B)로 분할해 두면,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부(27B)를 트립릴레이 기구의 1부품으로서 기구프레임(33)에 연계적으로 조립하고, 차단기 케이스(1)의 베이스(1a)에 기구프레임(33)에 의해 부착한 후, 래치부(27B)에 부착나사(27C), (27C)로 트립바 본체(27D)를 차단기조립의 최후공정으로 조립할 수 있다.
또한, 트립바(27A)를 트립바 본체(27D)와 래치부(27B)로 분할해 두면, 트립바 본체(27D)를 몰드수지성형품으로 할수 있고, 또한 래치부(27B)로 분할해 두면, 트립바 본체(27D)로 몰드수지성형품으로 할수 있고, 또한 래치부(27B)를 금속프레스품으로 할수 있으므로, 기능에 맞는 구조가 되는 동시에, 트립바(27A)의 소형화, 저코스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래치부(27B)는 프레스품에 한하지 않고 금속품이라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트립바 본체(27D)와 래치부(27B)를 부착 나사(27C)로 고정하는 것을 나타냈으나, 압입등의 수단에 의해서 양자를 고정시켜도 된다.
상기와 같이, 본원 고안에 의하면 차단기의 전원부하방향에 있어서 트립바를 걸림쇠와 래치레버와의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전원부하 방향의 차단기 크기가 짧아지고, 소형화를 도모할수 있다.
그리고, 1개의 더블토션스프링에 의해 걸림쇠, 래치레버, 트립바에 각각 힘으로 가할수 있으므로, 부품수의 삭감이 도모되고, 저가이며 조립작업성이 좋아진다.
그리고, 래치레버의 당접측판부의 강도 상승이 도모되므로, 당접 측판부의 변형이 없는 내구성이 우수한 래치레버를 구비한 것이 얻어진다.
그리고, 또한 트립바를 트립바 본체와 래치부로 분할함으로써, 트립바의 조립작업성의 개선의 도모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고정접점에 접리(接離)되는 가동접점을 가지는 가동 접촉자와, 이 가동접촉자를 개폐시키는 개폐조작기구와, 이 개폐조작기구의 크레이들을 통하여 상기 가동접촉자를 트립시키는 자동분리장치를 가지는 회로차단기로서, 상기 크레이들과 걸어맞추어져서 크레이들을 위치결정하는 걸림쇠와, 이 걸림쇠와 걸어맞추어져서 걸림쇠가 상기 크레이들에 의하여 회전되지 않도록 정지시키는 래치레버와, 이 래치레버와 걸어맞추어져서 래치레버가 상기 걸림쇠에 의하여 회전되지 않도록 정지시키는 트립바를 구비하고, 트립시에 상기 자동분리장치의 트립부재에 의해 상기 트립바가 회전하면 상기 래치레버가 상기 트립바에서 벗겨져서 상기 걸림쇠와 함께 해방됨으로써 상기 크레이들이 해방상태의 걸림쇠 및 래치레버를 회전시켜서 튀어오르고, 상기 가동접촉자가 트립하도록 한것에 있어서, 차단기의 전원부하방향에 있어서 상기 트립바와 회전중심을 상기 걸림쇠 및 래치레버의 양 회전중심 상기에 위치시켜서 상기 트립바를 상기 걸림쇠와 상기 래치레버와의 사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더블토션스프링을 구비하고, 이 더블토션스프링에 의해서 상기 걸림쇠를 상기 크레이들에, 상기 레치레버를 상기 걸림쇠에, 상기 트립바를 상기 래치레버에 각각 걸어맞추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토션스프링의 링부를 상기 걸림쇠의 회전중심축에 끼우고, 또한 스프링 절환부를 상기 걸림쇠에, 스프링의 일단을 상기 래치레버에, 스프링의 타단을 상기 트립바에 각각 걸어맞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쇠와 롤러에 의해 걸어맞추어져서 걸림쇠가 상기 크레이들에 의해서 회전되지 않도록 정지시키는 래치레버와, 이 래치레버와 걸어맞추어져서 래치레버가 상기 걸림쇠에 의하여 회전되지 않도록 정지시키는 트립바와, 상기 롤러가 상기 걸림쇠와 걸어맞추어지지 않는 상기 래치레버의 걸어맞추지 않는 위치를 규제하는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래치레버를 상기 트립바가 걸어맞추어지는 결합측판부와 상기 스토퍼에 맞닿는 당접측판부를 가지는 U자형으로 하고, 이 U자형의 사이에 상기 롤러를 삽입지지할수 있도록 상기 양측판부에 상기 롤러의 양쪽 축을 각각 지지하는 긴구멍을 형성하고, 또한 이 긴구멍의 한쪽에 상기 롤러를 삽입할수 있는 큰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큰구멍을 래치레버의 당접측판부에 있는 긴구멍의 선단측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6. 제 1 항에 있어서, 다극을 가진 차단기 케이스와, 이 차단기 케이스의 개폐조작기구가 있는 기구극에 설치되는 기구프레임과, 이 기구프레임에 지지되고 또한 끝부가 상기 차단기 케이스의 개폐조작 기구가 없는 인접극에 뻗는 트립바와, 이 트립바를 트립시키는 자동분리장치를 가지는 다극회로 차단기로서, 상기 개폐조작기구의 크레이들과 걸어맞추어져 크레이들을 위치결정하는 걸림쇠와, 이 걸림쇠 및 상기 트립바와 각각 걸어맞추어져서 상기 걸림쇠가 상기 크레이들에 의해서 회전되지 않도록 정지시키는 래치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크립바를 트립바 본체와 래치부로 분할하고, 상기 래치부를 상기 걸림쇠, 래치레버, 트립바 등으로 이루어지는 트립릴레이 기구에 장착한 상태에서 트립릴레이 기구를 차단기 케이스에 부착한후, 이 래치부에 상기 트립바 본체를 조립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회로 차단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립바 본체를 몰드수지성형품으로 상기 래치부를 금속프레스품으로 하고, 양자를 부착나사로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KR2019910009197U 1987-05-18 1991-06-21 회로차단기 KR9100060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9197U KR910006033Y1 (ko) 1987-05-18 1991-06-21 회로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7-75097 1987-05-18
JP1987075108U JPH0635348Y2 (ja) 1987-05-18 1987-05-18 多極回路しゃ断器
JP1987075097U JPH0747780Y2 (ja) 1987-05-18 1987-05-18 回路しゃ断器
JP7489987U JPH0614388Y2 (ja) 1987-05-19 1987-05-19 回路しや断器
JP87-74899 1987-05-19
JP87-750108-9 1987-05-19
KR1019880004066A KR880014610A (ko) 1987-05-18 1988-04-11 회로 차단기
KR2019910009197U KR910006033Y1 (ko) 1987-05-18 1991-06-21 회로차단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4066A Division KR880014610A (ko) 1987-05-18 1988-04-11 회로 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6033Y1 true KR910006033Y1 (ko) 1991-08-16

Family

ID=27524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9197U KR910006033Y1 (ko) 1987-05-18 1991-06-21 회로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603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5025A (ko) * 2018-02-06 2019-08-1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단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5025A (ko) * 2018-02-06 2019-08-1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단기
WO2019156319A1 (ko) * 2018-02-06 2019-08-1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26490B1 (en) Circuit breaker with latch and toggle mechanism operating in perpendicular planes
EP1983542A2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latch assembly and latch engagement control mechanism therefor
CZ281279B6 (cs) Ochranný spínač
US5694099A (en) Switching devices
CA2292470C (en) Multiple microswitch actuation mechanism
KR910006799B1 (ko) 차단기의 조작기구
EP0292841B1 (en) Circuit breaker
US4987395A (en) Circuit breaker alarm-switch operating apparatus
JPS59191224A (ja) 電流しや断器
EP1126492B1 (en) Circuit breaker with instantaneous trip provided by main conductor routed through magnetic circuit of electronic trip motor
US4754246A (en) Circuit interrupter
KR910006033Y1 (ko) 회로차단기
US6307455B1 (en) Control mechanism for a circuit breaker
KR980011563A (ko) 회로차단기
EP1858046A2 (en) Crossbar assist mechanism and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US6642463B1 (en) Circuit breaker remote actuator with fulcrum member to assist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US6838961B2 (en) Self-contained mechanism on a frame
IE950039A1 (en) Blade assembly
US20040150497A1 (en) Non-conductive barrier for separating a circuit breaker trip spring and cradle
AU771377B2 (en) Circuit interrupter with improved trip bar assembly
WO1992000598A1 (en) Contact arrangement for electric switching devices
KR100390796B1 (ko) 배선용 차단기의 가동자 연결 장치
FI91199B (fi) Kytkin, erityisesti käytettäväksi automaattikytkimenä
US5726614A (en) Electronic trip unit conversion kit for high ampere-rated circuit breakers
CN217881379U (zh) 塑壳断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0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