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920B1 - 1회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1회용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920B1
KR910005920B1 KR1019840001385A KR840001385A KR910005920B1 KR 910005920 B1 KR910005920 B1 KR 910005920B1 KR 1019840001385 A KR1019840001385 A KR 1019840001385A KR 840001385 A KR840001385 A KR 840001385A KR 910005920 B1 KR910005920 B1 KR 910005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er
waistband
elastic
state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1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8113A (ko
Inventor
아아르 래쉬 글렌
Original Assignee
더 푸록타 앤드 캠불 캄파니
원본 미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푸록타 앤드 캠불 캄파니, 원본 미기재 filed Critical 더 푸록타 앤드 캠불 캄파니
Publication of KR840008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8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585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of babies' napkins, e.g. diapers
    • A61F13/15593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of babies' napkins, e.g. diapers having elastic ribbons fixed thereto; Devices for applying the rib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located at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Catalysts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1회용 기저귀
제1도는 탄성적으로 수축가능한 허리띠를 가지고 있는 유아에 착용한 형상의 종래의 1회용 기저귀의 사시도이고,
제2도는 제1 및 11도에 도시된 1회용 기저귀의 펼쳐진 상태의 평면도이며,
제3도는 탄성적으로 수축가능한 허리띠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를 나타내는 제1도에 도시한 기저귀의 허리띠의 확대부분도이고
제4도는 탄성적으로 수축가능한 허리띠의 다른 바람직한 예를 나타내는, 제1도에 도시된 기저귀의 허리띠의 확대부분도이며,
제5도는 제3 및 제4도에 도시된 허리띠의 일부분의 단부도(end view)이고,
제6도는 허리띠에 탄성체 물질을 가지는 제10도에 도시한 기저귀의 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으로서, 탄성체 물질이 열에 불안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7도는 탄성체 물질이 열에 안정하게 되고 탄성 상태로된 후의 제6도에 도시한 기저귀의 개략 단부도이고
제8도는 기저귀가 허리띠에 탄성체 물질을 가지고 있고 C형으로 접혀있는 제10도에 도시한 기저귀의 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탄성체 물질이 열에 불안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제9도는 탄성체 물질이 열에 안정하게 되고 탄성 상태로된 후의 제8도에 도시한 기저귀의 개략도이고,
제10도는 간단한 1회용 기저귀의 평면도이며,
제11도는 유아에 착용된 상태의 본 발명에 다른 기저귀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저귀 14 : 후면 시이트
15 : 상층 시이트 17 : 전방 허리띠
18 : 후방 허리띠 19 : 체결 테이프
21 : 흡수 부재 22 : 탄성 부재
24 : 허리띠 탄성체 부재 25 : 부착부
본 발명은 탄성적으로 수축가능한 허리띠를 가진 1회용 기저귀, 실금환자(incontinent)용 팬츠 등에 관한 것이다.
유아( 및 기타 실금환자)는 소변, 대변 및 기타 체액을 수용하기 위해 1회용 기저귀를 착용한다. 1회용 기저귀는 배설물을 수용하고, 그 물질을 착용자의 신체 및 착용자의 외의로부터 단절되도록 작용한다. 최근의 몇몇 1회용 기저귀는 종래의 직물 기저귀보다 우수하게 그의 기능을 이행한다.
1회용 기저귀는 통상적으로 3가지 부재 , 즉 착용자의 피부에 접하도록 고안된 액체 투과성 상층 시이트, 사용사 기저귀의 외측 기저귀의 외측 표면을 형성하는 액체 불투과성 후면 시이트 및 상층 시이트 사이에 배치된 흡수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상층 시이트는 대개 유체가 쉽게 통과할 수 있는 소수성 부직포이다. 이러한 소수성으로 인하여,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표면이 건조하게 되고 피부가 흡수 부재에 흡수된 유체로부터 보호되는 경향이 있다.
흡수부재는 상층 시이트를 통과한 유체를 수용보유하며, 그 부재는 통상적으로 목재 펄프 섬유의 배트(batt)를 함유한다.
후면 시이트는 흡수 부재내 유체를 수용하도록 작용하여 착용자의 외의 및 기타 다른 외측 물질이 그 유체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후면 시이트는 통상적으로 폴리에틸렌 필름과 같은 유체 불투과성이고 증기 불투과성의 물질로 형성된다.
다양한 기본 구조를 갖는 1회용 기저귀들이 당해 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예를들어, "던칸" 및 "베이커"의 미합중국 특허 제Re 26,152호(167.1.31.허여)는 상업적으로 성공을 거둔 1회용 기저귀에 대하여 기술 및 청구 하고 있다.
"부엘"의 미합중국 특허 제3,860,003호(1975.1.14허여) 역시 상업적으로 성공을 거둔 또다른 1회용 기저귀에 대하여 기술 및 청구하고 있다. "부엘"의 기저귀는 많은 점에서 "던칸" 및 "베이커"의 것과 다르며, "부엘"의 기저귀는 탄성(또는 수축가능한) 다리 커프스(cuffs)를 가지고 있다. 1회용 기저귀의 또다른 예가 "아지즈" 및 "블레니"의 유럽 특허원 제82200801.7호(1982.6.29.출원)에 기술 및 청구되어 있다. 이 "아지즈" 및 "블레니"의 기저귀 역시 탄력성의 다리 커프스를 가지고 있으나 "부엘"의 것과는 약간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다.
"메섹크"등의 미합중국 특허 제4,324,245호(1982.4.13.허여), "피에니액"등의 미합중국 특허 제4,337,771호(1982.7.6.허여) 및 "멕섹크"등의 미합중국 특허 제4,352,355(1982.10.5.허여)는 탄력성의 커프스 및 탄력성의 허리띠를 가진 1회용 기저귀들을 기술하고 있다.
"스트릭크랜드" 및 "비쉬"의 미합중국 특허 제4,253,461(1981.3.3.허여)는 간혹 실금환자용 팬츠로 불리는 성인용 허리띠를 가진 1회용 기저귀들을 기술하고 있다.
전술한 1회용 기저귀, 특히, "던칸" 및 "베이커", "부엘" 및 "아지스 및 블레니"의 기저귀들은 일반적인 방식으로 작용하지만, 유체 및 증기 불투과성 후면 시이트를 갖는 1회용 기저귀는 다소 더웁고 편치 못하다는 것으로 인식된다. 유체 및 증가 불투과성 후면시이트를 가진 기저귀는 자연적으로 건조되는 것이 불가능한데, 이는 흡수 부재로부터의 유체의 증발이 방지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단점을 제거하고 자연적으로 건조되게 하기 위해, 액체는 비교적 불투과성이지만 증기는 비교적 통과할 수 있는, 즉 통기성 후면시이트로 알려진 후면 시이트가 제안되었다. 그러한 통기성 후면 시이트는 냉감을 주고 착용중에 기저귀가 자연적으로 건조되게 하는 약간의 가능성을 제공한다. 예를들어, "크로우, 주니어"의 미합중국 특서 제3,156,242호(1964.11.10.허여)는 통기성 후면 시이트로서 다공 필름을 사용하는 것을 기술하고 있다. "하트웰"의 미합중국 특허 제3,881,489호(1975.5.6.허여)는 적은 체적의 공간을 가진 다공 열가소성 필름층과 높은 체적의 공간을 가진 다공 친수성 티슈(tissue)층이 조합되어 이루어진 통기성 후면 시이트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씨슨"의 미합중국 특허 제3.989.867호(1967.11.2.허여)는, 증기는 쉽게 통과시키지만 액체의 통과를 방지하는 테이퍼(taper)진 구멍으로 가진 통기성 후면 시이트를 기술하고 있다. "오베누르"의 미합중국 특허 제4,341,216호(1982.7.27.허여)는 또다른 예의 통기성 후면 시이트에 대하여 기술 및 청구하고 있다.
또다른 개량된 기저귀는, 통기성이 있으나 감기지 않게된 탄력적으로 수축가능한 허리띠를 구비하고 있다. 그들의 잇점은, 상층 시이트와 후면 시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층 시이트와 탄성 부재 그리고 후면 시이트와 탄성 부재 사이에 횡방향 채널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상층 시이트과 후면 시이트 모두에 부착된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허리띠를 1회용 기저귀에 부착함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에서 "횡방향"이란 허리띠를 가로질러(그 허리띠에 횡으로) 연장되는 것을 의미하며, 채널들은 기저귀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내측 지역까지 연장된다.
전술한 기저귀들이 유용하기는 하나, 보다 안락하고 우수한 기저귀에 대한 개발이 아직도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탄력적으로 수축가능하고 성형된 허리띠를 가진 성형된 1회용 기저귀와, 그러한 1회용 기저귀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성형된 1회용 기저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탄력적으로 수축가능한 성형된 허리띠에 의해 그의 성형된 형상으로 유지된다. 그 탄력적으로 수축가능한 허리띠는 특별하게 성형되고, 열에 불안정한 상태와 열에 안정되고 탄력성의 상태 모두를 갖는 탄성체 물질(이후, 편의를 위해 간단히 탄성체 물질"이라 부른다.)을 포함한다. 여기서 "탄성"이란 용어는 장력을 가한때 실질적으로 신장될 수 있고 장력을 해제한 후 원래의 형상으로 사실상 복귀하는 물질을 말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열에 안정된 상태는 열에 불안정한 상태에서보다 칫수가 작다. 탄성체 물질은 열에 불안정한 상태로 기저귀에 부착된다. 이 1회용 기저귀는 미리 선택된 방향으로 접히고 그 방향으로 접혀지고, 탄성체 물질이 열에 안정되고 탄력성의 상태로 되도록 하는 정도로 가열된다. 그리하여 형성된 탄력적으로 수축가능한 허리띠는 접힌 상태로 영구적으로 셋트되고, 그 영구적인 셋트에 의해 1회용 기저귀가 착용자의 신체에 꼭맞는 형태로 성형된다. 그 허리띠는 감기는 것에 저항하는 경향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1회용 기저귀는 3가지 주요 부재, 즉 상층 시이트, 후면 시이트 및 흡수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층 시이트는 1회용 기저귀의 내측(즉, 착용자의 피부에 접히는 부분)을 형성한다. 후면 시이트는 기저귀의 외측표면을 형성하고, 흡수성 부재가 상층 시이트와 후면 시이트사이에 배치된다.
1회용 기저귀는 유아의 양 다리사이 대략 중앙에 배치되고, 유아의 전문 허리부위에 기저귀의 전방 부분이 그리고 유아의 후면 허리부위에 기저귀의 후방 부분이 인접되게 하고 그 위치에서 기저귀를 고정시킴에 의해 유아의 신체에 부착된다.
임의적으로, 1회용 기저귀는 유아 신체에 기저귀를 취부하기 위한 체결 테이프를 포함한다. 또한 그 기저귀는 탄력적으로 수축 가능한 다리 커프스 또는 측부 플램(flap)을 형성하도록,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장자리에 탄성 부재를 부착할 수도 있다. 또한, 그 기저귀는 탄력적으로 수축가능한 허리띠를 형성하도록,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장자리에 탄성부재를 부착할 수도 있다.
1회용 기저귀의 허리띠는 착용자 허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기저귀의 부분이다. 그 허리띠는 1회용 기저귀의 몸체부에 부착되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후면 시이트 또는 상층 시이트, 또는 후면 시이트 및 상층 시이트와 같은 기저귀의 다른 구성 부재의 연장부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허리띠는 기저귀의 측방으로 연장하는 가장자리로부터 흡수 부재의 측방으로 연장하는 가장자리까지 연장하는 기저귀의 부분인 것으로 간주된다. 1회용 기저귀는 통상 전후 2개의 허리띠를 가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1회용 기저귀가 착용자의 허리를 둘러싸는 단일의 허리띠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그러한 구조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착용자의 허리에 부착될 3 또는 그 이상의 부분들로된 허리띠를 가지는 1회용 기저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이 역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탄력적으로 수축가능한 허리띠를 가지는 성형된 1회용 기저귀를 제공한다. 또한, 그 허리띠는 열에 불안정한 상태와 열에 안정되고 탄력성의 상태 모두를 가지는 탄성체 물질로 되어 있다. 그 탄성체 물질은 그가 열에 불안정한 상태에 있을 때 1회용 기저귀에 부착되고, 다음 그 탄성체 물질은 열에 안정되고 탄성의 상태로 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어떤 특정조건하에 가열된다.
"마센게일"등의 미합중국 특허 제3,819,401호(1974.6.25.허여)와 "코흐"등의 미합중국 특허 제3,912,565호(1975.10.14.허여)는 주름이 잡힌 탄성 의복을 제조하기 위한 기술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이 기술에서, 열수축성 물질이 그의 신장되고 열에 불안정한 상태에 있을때 의복에 부착된다. 다음, 전체 시스템이 가열되어 열수축성 물질이 열에 안정되고, 탄성의 상태로 수축되게 하고 그리하여 의복을 주름지게 한다.
"던칸 및 베이커" 또는 "부엘" 또는 "아지즈 및 블레니"의 것과 같은 종래기술의 1회용 기저귀는 상층 시이트와 후면 시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성 코어를 가지고 있고, 기저귀의 허리부위들중 하나 또는 양자에서 1회용 기저귀의 폭을 횡으로 가로질러 부착된 탄성물질의 스트립을 가지게 함에 의해 "마센게일"등과 "코흐"등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그 흡수성 코어는 상층 시이트 및 후면 시이트의 측방(허리) 연부까지 완전히 신장하지 못한다. 그 탄성물질은 흡수성 코어의 말단부와, 동일 넓이의 상층 시이트 및 후면 시이트의 말단부 사이 지역에서 상층 시이트와 후면 시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편리하다. 간단한 1회용 기저귀가 제10도에 부분 절단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제10도에서, 단순한 1회용 기저귀(100)은 상층 시이트(102)와 후면 시이트(104)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성 코어(101)을 가지고 있다. 그 기저귀(100)은 종방향의 측부 가장자리(113) 및 (114)를 가지고 있고, 또한 측방 허리부분(111)(후방) 및 (112)(전방)를 가지고 있다. 탄성체 물질(103)의 스트립들이 상층 시이트(102)와 후면 시이트(104) 사이에 배치되고 흡수성 코어(101)의 말단부와 기저귀(100)의 측방연부 사이 지역에서 기저귀를 횡으로 가로질러 연장한다. 탄성체 물질 스트립(103)은 도시되지 않은 수단에 의해 상층 시이트(102) 및 후면 시이트(104) 모두에 부착된다.
참조번호는 모든 도면에서 일치되게 사용되었고 도면에서 어떤 물질의 두께는 명료한 도시를 위해 과장되어 있음을 주지하기 바란다.
제6도는 후방 허리부위(111)쪽으로 관측할 경우의 기저귀(100)의 단부를 나타내며, 이 도면에서, 3가지 구성 요소들의 두께가 명료한 도시를 위해 과장되어 있다.
제7도는 제6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기저귀(100)을 나타내는 단부 도면이며, 이 도면에서는 탄성체 물질 스트립(103)이 단일축 방향으로 상당히 수축하는데 충분한 열 에너지를 받은 후의 기저귀(100)를 나타낸다. 탄성체 물질 스트립(103)이 수축하므로서 상층 시이트(102) 및 후면 시이트(104)가 그들의 전체 길이에 걸쳐 다소 균일하게 주름이 지게됨을 쉽게 알 수 있다. 이것은 "마센게일"등 또는 "코흐"등의 기술을 1회용 기저귀에 단순히 적용할 때 얻어지는 것이다.
탄성체 물질이 부착되는 의복이 흡수성 코어를 가지는 1회용 기저귀이거나, 또는 탄성체 물질이 열에 불안정한 상태에 있을 때 그 기저귀가 접히는 경우, 그 탄성체 물질은 가열될 때 불균일하게 수축한다는 것이 놀라웁게도 발견되었다. 그러한 불균일 수축으로 인하여, (1) 탄성체 물질에 부착된 물질들이 불균일하게 주름지며 (2) 기저귀가 그의 굽힌 형태와 유사한 형태를 유지하는 경향을 가지며, (3) 기저귀가 착용될 때 허리띠가 감기는 경향이 감소된다. 성형된 형상으로부터 얻어지는 이점들은, 양호하게 착용되고 허리띠 둘레에서의 누출이 감소된다는 것이다.
제8도는, 기저귀(100)이 C형으로 굽혀있고 도시되지 않는 수단에 의해 그 형상으로 유지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6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기저귀(100)의 단부도이다. 기저귀(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절곡지역(81)을 가지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C-형 절곡형태는 개방된 C-형 절곡형태이다. 상층 시이트(102)가 "C"형상의 내측 표면에 실제로 접촉하는 폐쇄 절곡형태도 가능하고 많은 경우 바람직하기도 하다.
제9도는 탄성체 물질 스트립(103)에 열에 안정되고 완성의 상태로 수축하는데 충분한 열에너지를 가한후를 나타낸 것을 제외하고는 제8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기저귀(100)의 단부도이다. 제9도에서, 제8도에 제공되어 있으나, 도시되지는 않은 억제 수단이 제거되었다. 1회용 기저귀(100)은 제8도에 도시된 C형 절곡형태와 같이 예리하게 절곡되지는 않았으나 일반적으로 C형을 유지한다. 또한, 상층 시이트(102)가 후면 시이트(104) 어느것도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균일하게 주름지지 않는다. 그들 시이트는 실제에 있어서 절곡부분(81) 외측 지역에서 보다는 그 절곡부분(81) 내측에서 더 많이 주름진다.
본 발명의 잇점들은 이론적으로, 흡수성 코어가 원래대로 있는 지역들에서 탄성체 물질의 수축에 저항하도록 하는 흡수성 코어의 경향으로부터 얻어지는 것으로 보여진다. 절곡부에서의 흡수성 코어의 굽힘은 코어가 제공하는 저항의 크기를 감소시켜 탄성체 물질이 절곡부의 지역에서 보다 완전히 수축하게 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탄성체 물질은 당해분야의 숙련가들에게 잘 알려진 다수의 물질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코흐"등의 특허에 기술된 폴리우레탄 및 "마센게일"등의 특허에 기술된 가소화된 비닐 클로라이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쿠우크"의 미합중국 특허 제Re28688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탄성체 물질과 열가소성 수지(물질(또는 다른 통상 고체인 열유동성 유기 물질)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조성물들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유용한 바람직한 탄성체 물질은, 미합중국, 뉴저지, 플로햄 팍크의 "엑슨 캄파니"에서 제조되는 것과 같은 필름으로 압출되고 텐더(tender)처리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와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의 혼합물이다. 텐터처리시, 그 필름은 대략 56℃의 오븐내에 배치되고, 연화후 일방향으로 원래 길이의 대략 4배정도 신장된다. 그 신장된 필름은 냉각된다. 그리하여 중합체는 단일방향으로 배향되고 그 필름은 새로운 칫수를 보유하고 열에 불안정한 상태로 된다(이 특정 물질은 열에 불안정한 상태에서도 탄성을 갖는다.)
다음 그 필림을 약 68℃의 열풍으로 처리하여 그 필름이 열에 안정되고 탄성의 상태로 된다.
본 발명이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기저귀의 예들이 제1내지 5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발마직하게 사용되는 종래의 1회용 기저귀의 사시도이다. 제1도에 도시된 기저귀"부엘"의 특허에 기술된 1회용 기저귀 구조를 기초를 한것이다.(이것이 본 발명에 사용하는데 바람직한 기저귀 구조이지만, 본 발명이 다른 1회용 기저귀 구조에도 사용될 수 있음을 인식하기 바란다. 여러 가지 그러한 구조가 전술한 특허 및 유럽 특허 출원에 기술되어 있고, 다른 구조들이 본 기술에 숙련된 자들에 의해 쉽게 고안될 수 있다.)
제1도에서 1회용 기저귀(10)이 유아에 착용된 것과 같은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다. 1회용 기저귀(10)은 전방부분(11)과 후방부분(12) 및 그들 사이에 배치되는 가량이 부분(13)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용시, 가랑이 부분(13)은 유아의 양 다리 사이에 배치되고, 전방부분911)과 후방부분(12)가 각각 착용자의 몸통의 전후 하부 부분을 따라 배치된다. 상층 시이트(15)는 1회용 기저귀(10)의 내측 표면을 형성하고, 후면 시이트(14)는 기저귀의 외측 표면을 형성한다. 측부 플램(또는 다리 커프스)(16)이 착용자의 넓적다리 주위에 배치된다. 사용시, 전방 허리띠(17)과 후방 허리띠(18)이 착용자의 몸통의 전후방 부분의 착용자 허리 부분에 인접히 배치된다. 1회용 기저귀(10)을 체결 테이프(19)에 의해 착용자 몸체의 재위치에 유지된다. 허리띠(29)의 외측 가장자리가 1회용 기저귀(10)의 상연부로서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허리띠의 부착부(25)의 횡방향 지역과 비부착부(26)의 횡방향 지역들에 대해서는 후술될 것이다.
제2도는 평편한 형상으로 펼쳐진 기저귀(10)의 부분 절제 평면도이다. 상층 시이트(15)는 이 도면에서 기저귀의 상부 표면이고 후면 시이트(14)는 하부 표면이다. 흡수 부재(21)은 상층 시이트(15) 와 후면 시이트(14) 사이에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1회용 기저귀(10)은 종방향 중앙선(27)과 횡방향 중앙선(28)을 중심으로 대칭이다. 이것이 바람직한 형상이지만, 1회용 기저귀(10)은 대칭일 필요는 없다. 가랑이 부분(13)이 전방 허리띠(17)쪽으로 이동하여 있을때와 같이 횡방향 중앙선(28)을 중심으로한 비대칭 구조가 아주 유용하다.
1회용 기저귀(10)은 종방향 중앙선(27)에 평행히 연장하는 측부 가장자리에 탄성 부재(22)를 구비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 2개의 탄성 부재(22)가 1회용 기저귀(10)의 각 측부에 배치되어 있으나, 하나 또는 다수의 탄성부재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도시된 예가 바람직하다.
체결 테이프(19)가 후방 허리띠(18)에 인접한 1회용 기저귀(10)에 취부되어 있다.
전방 허리 탄성체 부재(23)과 후방의 허리 탄성체 부재(24)가 허리띠의 외측 가장자리에 인접히 전방 허리띠(17)과 후방 허리띠(18)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제1 및 2도에 도시된 예에서, 1회용 기저귀(10)은 전 후방 허리띠에 탄성의 허리 부재들을 가지고 있다. 이것이 바람직한 예이지만, 본 발명은 탄성화된 전방 허리띠 또는 후방 허리띠중 어느 하나만을 가지는 기저귀 구조에도 유용하다.
부착부(25)의 횡방향 지역과 비부착부(26)의 횡방향 지역이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후면 시이트(14)의 하나의 주요 기능은 체액이 1회용 기저귀(10)으로부터 이탈하여 기저귀와 접촉하여 있는 착용자의 외의 및 다른 외측물질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체액이 투과할 수 없는 유연하고 무자극적인 평면물질이 후면 시이트(14)로 사용될 수 있다. 적당한 물질이 전술한 특허 및 특허출원에 기술되어 있다. 바람직한 후면 시이트는 약 0.012 내지 약0.051mm의 두께를 가지는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유용한 통기성 후면 시이트(즉, 액체의 통과는 방지하면서 증기 및 공기의 통과는 허용하는 후면 시이트)가 "크로우 주니어", "하트웰", '씨슨" 및 오베누르"의 특허들에 기술되어 있다.
후면 시이트(14)의 크기는 선택된 실제의 기저귀 구조 및 착용할 유아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고 이것은 당해분야의 숙련가들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다.
상층 시이트(15)는 어떤 유연하고(피부에) 무자극성의 평평한 물질일 수 있다. 그 시이트는 착요자의 피부에 접촉하고 유체 배설물을 사용하며 그 배설물이 흡수 부재내로 쉽게 통과하게 하며 흡수 부재내의 배설물로부터 착용자의 피부를 단절시키도록 작용한다. 최종 기능을 효과적으로 이행하는 것을 돕기 위해 상층 시이트는 소수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층 시이트(15)는 천연 또는 합성섬유 또는 그들의 혼합물로 만들어진 다공성 종이, 천연 또는 합성 섬유 또는 그들의 혼합물로 만들어진 부직물, 다공 플라스틱 필름, 다공 발포체 등일 수 있다. 적당한 상층 시이트의 예들이 전술한 특허 및 특허 출원에 기술되어 있다.
바람직한 상층 시이트는 평방미터당 약 17g의 기본중량을 가지며 약 2.2 내지 약 2.5데이어의 섬유들로 만들어진 방사 접합 부직 폴리에스테르 직물이다. 또다른 바람직한 상층 시이트 물질은 평방미터당 22g의 기본중량을 가지며 약 65% 중량의 1.5데니어 폴리에스터 스테이프 섬유들(미합중국 테네시, 킹스포트의 이스트만 코오포레이션의 제품인 코델 타입 411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같은)과, 약 15중량%의 권축된 1.5데니어 레이온 스테이플 섬유들 및 약 20중량%의 아크릴 공중합체 결합제(미합중국 노오쓰 케롤라이나, 찰로트의 셀라니스 코오포레이숀의 제품인 셀라니스 CPE 8335와 같은)로 이루어진 것이다. "스테이플 섬유"란 적어도 약 15mm 길이를 갖는 섬유들을 말한다.
또다른 바람직한 상의 시이트는, 카아딩 공정을 거치고 간격을 가진 형태로 열접합된 폴리프로필렌 섬유들로 만들어진다. 약 3.8cm 길이와 약 1.5 내지 3.0 데이어 섬유들이 적당하다. 이런 타입의 바람직한 상층 시이트는 약 24g/㎡의 기본 중량을 가진다.
적당한 상층 시이트들은, "라델 및 톰슨"의 미합중국 특허 제4,342,314호(1982.8.3.허여됨), "퍼구손 및 란드리간"의 미합중국 특허 제4,341,217호(1982. 7.27. 허여됨) 및 "톰슨"으 미합중국 특허 제3,929,135호(1975.12.30.허여됨)에 기술된 것과 같은 다공 플라스틱 필름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후면 시이트(14)의 경우에서와 같이, 상층 시이트(15)의 크기도 선택된 실제의 기저귀 구조에 따라 결정된다.
흡수 부재(21)은 압축가능하고 안락하며 피부에 무자극성이고 액체를 흡수 보유할 수 있는 어떤 수단일 수 있다.
흡수 부재(21)은 1회용 흡수성 제품에 통상 사용되고 전술한 특허들에 기된 것과 같은 각종 물질들중 한가지로 만들 수 있다. 적당한 흡수성 물질의 예로는, 크레이프 셀루로오즈 심재, 흡수성 발포체, 흡수성 스폰지, 초흡수성의 중합체 및 통상 흡수성 플러프(fluff)로 불리는 분쇄된 목재 펄프 섬유들이 있다. 약 0.50 내지 약 0.175g/㎤의 밀도를 갖는 흡수성 플러프가 일반적으로 허용 가능하다.
후면 시이트(14) 및 상층 시이트(15)의 경우에서와 같이, 흡수 부재(21)의 크기는 선택적 실제의 기저귀 구조에 따라 결정된다.
임의적으로, 흡수 부재(21)은 높은 습윤강도와 티슈 종이와 같은, 본 기술에 숙련된 자들에 잘 알려진 어떤 통기성 물질을 포함하는 한쪽 또는 양쪽의 평편한 외피 티슈(도면에 도시안됨)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시, 외피 티슈는 흡수 부재(21)과 대개 동일 면적을 가지거나 또는 흡수 부재의 횡방향 연장 가장자리에 절첩된다. 외피 티슈는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가들에게 잘 알려진 어떤 수단에 의해 흡수성 코어(21)에 취부될수도 있다.
흡수 부재(21)은 후면 시이트(14)와 상층 시이트(15) 사이에 비치된다. 선택된 기저귀 구조에 따라, 상기 3가지 구성요소들이 동일면적으로 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게 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후면 시이트(14) 또는 상층 시이트(15)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가 흡수 부재(21)의 가장자리를 지나 연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후면 시이트(14)와 상층 시이트(15) 모두가 흡수 부재(21)의 횡방향 연장 가장자리를 지나 연장하여 있고 그들의 횡방향 연장 가장자리들을 따라 동일 길이를 기진다.
임의적으로 후면 시이트(14)는 본 기술에 숙련된 자들에 잘 알려진 어떤 편리한 수단(도시안됨)에 의해 흡수 부재(21)에 취부될 수 있다. 적당한 수단의 예로는, 흡수 부재(21)의 전체 총방향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평행한 접착제(열용융 접착제와 같은)비이드 및 양면접착 테이프가 있다.
탄성 부재(22)는 1회용 기저귀(10)의 커프스(종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장자리)를 수축시키고 그들이 착용자의 다리와 접촉하여 유지되게 하고 그리하여 부착성을 향상시키고 기저귀로부터 액체가 누출하는 것을 감소시키도록 작용한다. 탄성물질(22)에 사용될 수 있는 한가지 물질은 약 0.18mm×dir 1.5mm 내지 약 6...의 단면적을 가지며 미합중국, 버지니아, 슈트어트의 이스트 햄프톤 러버 캄파니에서 L-1900러버 컴파운드라는 품명으로 판매되는 천연고무로 만들어진 탄성 테이프이다. 다른 적당한 탄성부재는 미합중국, 노오쓰 캐롤라이나, 스코틀랜드의 풀플랙스 캄파니에서 풀플렉스 9211 및 풀플랙스 9111이라는 품명으로 판매되는 천연고무 탄성 테이프로 만들어질수 있다.
탄성 부재(22)의 길이는 선택된 실제의 기저귀 구조에 따라 결정된다. 제1 및 2도에 도시된 구조에서, 탄성부재(22)는 1회용 기저귀(10)의 종방향 길이의 대부분에 걸쳐 연장하지만, 기저귀(10)의 허리부분의 외측까지 달하여 있다.
탄성 부재(22)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탄성의 부착수단에 의해 종방향 연장 가장자리에 인접히 기저귀에 그 부재를 취부함에 의해 기저귀(10)에 설치될 수 있다. 탄성의 부착수단은 탄성 부재(22)를 그의 신장된 상태에 유지하도록 충분한 접착성을 가져야 하고 유연성이 있어야 한다. 한가지 적당한 수단은 열용융 접착제이다. 탄성 부재(22)가 배치되고 기저귀(10)에 부착되는 방식의 보다 상세한 설명은 "부엘"의 전술한 특허에 기술되어 있다.
탄성부재(22)는, 평상시 신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 탄성부재가 그 탄성부재(22)에 인접한 기저귀 물질을 효과적으로 수축시키도록 탄력적으로 수축가능한 상태로 기저귀(10)에 부착된다. 탄성 부재(22)는 적어도 2가지 방식으로 탄력적으로 수축가능한 상태에서 기저귀(10)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22)는 기저귀(10)이 수축되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신장되어 기저귀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22)는 기저귀(10)이 수축되지 않은 상태에 있을때, 신장되어 기저귀에 부착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기저귀(10)이(예를들어 주름잡기에 의해 가랑이 부분(13)에서) 수축될 수 있고, 탄성 부재가 그의 이완된 비신장 상태에 있는 동안 탄성 부재(22)가 상기 수축된 기저귀(10)에 부착될 수 있다.
전방의 허리 탄성 부재(22) 및 후방의 탄성체 부재(24)는 전술한 바와 같은 탄성체 물질로 형성된다. 허리 탄성체 부재(23,24)는 적어도 약 0.6cm, 바람직하게 적어도 약 1.6cm의 폭을 갖는다. 허리 탄성체 부재(23,24)의 최대폭이 기저귀 구조 및 경제적인 관점에서 결정되지만, 약 3.8cm보다 넓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제1 및 2도에 도시된 예에서, 허리 탄성체 부재(23,24)는 기저귀(10)의 전체 횡폭을 가로질러 연장한다. 이것이 바람직한 구조이지만, 본 발명은 허리 탄성체 부재(23,24)가 기저귀의 횡폭의 일부분에 겹쳐서만 연장하는 구조에서도 유용하다. 그러나, 허리 탄성체 부재(23,24)는 기저귀(10)의 횡폭의 대부분에 걸쳐 연장하여야 한다.
상층 시이트, 후면 시이트 및 각 허리 탄성체 부재는, 허리 탄성체 부재가 열에 불안정한 상태에 있고 모든 3가지 부재들이 완전히, 그러나 비탄성적으로 신장되어 있는 동안 부착부의 횡방향 부분들에 의해 서로 부착된다. 이 전체 구조물은 후에 가열(열풍에 의해)되고 그리하여 허리 탄성체 부재가 열에 안정되고 탄성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부착부(25)의 횡방향 지역들이 제1 및 2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 부착부의 횡방향 지역들의 보다 상세한 구조가, 제2도에서 번호(3)으로 나타낸 후방 허리띠(18)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제3 및 4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서, 탄성체 물질이 열에 안정되고 탄성의 상태에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제3 및 4도의 설명에서, 후방 허리띠(18) 및 그의 구성요소들의 설명이 언급될 것이며, 그러한 설명은 전방 허리띠(17) 및 그의 구성요소들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부착부(25)의 횡방향 지역들은 허리 탄성체 부재(24)의 전체 폭을 거의 가로질러 연장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횡방향"이란 용어는 허리띠(18)의 주 횡방향 연장 칫수에 수직인 방향을 말한다. 즉, 후방 허리띠(18)이 기저귀(10)을 폭의 가로질러 횡으로 연장하고 횡방향 중앙선(28)에 평행하기 때문에, 부착부(25)의 횡방향 지역은 종방향 중앙선(27)에 평행한 방향으로 후방 허리띠(18)을 가로질러 연장하고, 즉 허리띠(29)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기저귀(10)의 중심쪽으로 향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부(25)의 횡방향 지역은 횡방향 중앙선(28)과 허리띠(18)의 횡방향 범위에 직각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것이 바람직한 방향이다. 그러나 얻어지는 잇점을 저해함이 없이 정확한 횡방향으로부터 벗어날 수도 있다. 그러한 벗어남은 채널들이 허리띠(18)의 폭을 거의 가로질러 연장하는 형태로 되지 않은때 더 크게 된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벗어남은 정확한 횡방향(또는 횡방향 중앙선(28)에 수직)으로부터 약 45℃를 초과할때는 본 발명의 실제의 작용을 위해서는 너무 크게 된다.
"거의 가로질러"라는 용어는 부착부(25)의 횡방향 지역이 후술되는 채널을 제공하도록 탄성체 부재(22)의 폭을 가로질러 충분히 연장하는 한 그 탄성체 부재의 전체폭을 완전히 가로질러 연장할 필요가 없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제3도에서, 부착부(25)의 횡방향 지역들이 허리 탄성체 부재(24)를 상층 시이트(15) 및 후면 시이트(14)(제3 또는 4도에는 도시안됨)에 부착하는 일정 간격의 단일의 밀폐 지역들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한 밀폐지역을 제공하기 위한 정확한 수단은 본 기술에 숙련된자에 의해 쉽게 선택될 수 있다. 그의 예로는, 접착제 부착, 용제 밀폐등이 있고, 바람직하게는 초음파 접합이 이용된 것이다.
제3,4 및 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층 시이트(15) 및 후면 시이트(14)를 허리 탄성체 부재(24)에 부착하는 지점들은 서로 일치하여 있다. 이것이 바람직한 구조이지만, 상층 시이트(15)를 허리 탄성체 부재(24)에 부착하는 지점들에 후면 시이트(14)를 탄성 부재(22)에 부착하는 지점들로부터 벗어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한 상황에서 허리탄성체 부재의 각 측부상의 부착부의 횡방향 지역들은 서로 어긋나 있게 되다.
제4도는 다른 예의 부착구(25')의 횡방향 지역들을 나타낸다. 이 예에서, 그 횡방향 지역들은 불연속적인 떨어져 있는 밀폐지역, 바람직하게는 초음파 접합부들이며, 그 접합부들은 구성요소들을 서로 함께 효과적으로 부착하여 후술 또는 채널들을 형성한다. 그 불연속적인 떨어져 있는 지역들은 원형또는 타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착부(25)의 횡방향 지역들은 약 0.15 내지 1.0cm 폭(즉, 횡방향 중앙선(28)에 평행한 칫수로)을 가질 수 있다. 그 지역들은 일정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나, 불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그들의 중심간의 거리는 약 0.3 내지 1.5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5도는 부착부의 횡방향 지역들의 기능을 나타낸다. 제5도는 후방 허리 탄성체 부재(24)가 열에 안정되고 탄성의 상태에 있을때의 제3 및 4도에 도시된 후방 허리띠(18)의 일부분의 단부도이다. 제5도에, 부착부(25)의 횡방향 영역들이 검게 표시되어 잇다. 상층 시이트(15) 및 후면 시이트(14)은 구부러진 채 도시되어 있다. 그러한 구부러진 부분이 후면 시이트(14)와 후방 허리 탄성체 부재(24) 사이에 비부착부(26b)의 횡방향영역들을, 그리고 상층 시이트(15)와 후방 허리 탄성체 부재(24) 사이에 비부착부(26t)의 횡방향 영역들을 형성하다. 그들 비부착부(26b, 26t)의 횡방향 영역들은 기저귀의 가장자리로부터 기저귀의 내부까지 연장하고 흡수 부재(21)의 횡방향 연장 연부에 인접한 영역까지 달하여 있는 개방된 채널들을 형성한다.
그들 개방된 채널들은 기저귀가 유아에 착용된 때라도 기저귀의 내부와 주위 대기 사이에서 공기 및 증기가 출입하게 하여 기저귀가 통기성으로 되게 한다.
비부착부(26b, 26t)의 횡방향 영역들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층 시이트(15) 및 후면 시이트(14)는 주름진 구조를 형성한다. 그들 주름은 후방 허리띠(18)의 폭을 횡으로 가로질러 연장하고 허리띠를 보강하여 허리띠가 감기는 것(즉, 허리띠가 그 자체를 중심으로 굽히는 것)을 방지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도에 도시된 기저귀는 본 발명을 실현하지 못한다. 즉, 그 기저귀가 가열되어 허리탄성체 부재들이 그의 열에 불안정한 상태로부터 열에 안정되고 탄성의 상태로 변하도록 한때 그 기저귀는 구속되지 않은 평편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균일한 주름 및 채널들이 형성된다. 제1도의 기저귀로 만들어졌으나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된 기저귀(110)이 제11도에 도시되어 있다. 탄성체 부재가 열에 불안정한 상태로부터 열에 안정되고 탄성의 상태로 변하도록 기저귀를 가열하기전에, 전방 및 후방 허리 영역(17) 및 (18)이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된 C형 절곡형상으로 굽힌다. 그 기저귀는 가열중에 그러한 형태로 구속된다. 가열후, 허리 탄성체 부재가 열에 안정되고 탄성의 상태로 변하고 구속 수단이 제거된 후 전방 허리띠(17), 후방 허리띠(18), 기저귀(110)은 접착 테이프(19)로 취부하지 않고도 성형된 형상을 나타낸다. 채널에서의 주름의 크기는 균일하지 않고 그 주름 및 채널들이 굽힘지역(81)에서는 작게된다. 그리하여 제11도와 같은 본 발명의 기저귀를 나타낸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약간 상세히 설명된 기저귀 예들이 바람직한 예들이다. 탄력적으로 수축가능한 허리띠를 구비한 다른 기저귀 구조들도 본 발명에 의해 유익하게 될 수 있다.
전기 설명에서, 열에 불안정한 상태에서 기저귀에 부착되고 다음, 안정되고 탄성의 상태로 변형되도록 처리된 탄성체 물질은 "열에 불안정한"탄성체의 의미로 설명되었다. 보다 광범위하게는, 여기에 유용한 탄성체 물질은 어떤 다른 안정되고 탄성의 상태에 비하여 불안정한 상태를 가지며 어떤 형태의 에너지를 가하거나 또는 어떤 다른 편리한 처리에 의해 불안정한 상태로부터 안정된 상태로 변형될 수 있는 물질들이다. 가장 편리하고 가장 실용적인 형태의 에너지는 열이고 따라서 상기 물질은 여기에서 그러한 견지에서 설명된다. 에너지의 형태는 자외선, 적외선, 마이크로웨이브, 또는 감마 복사선과 같은 다른 유사한 에너지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불안정한 상태로 기저귀에 부착되고 나중에 안정되고 탄성의 상태로 변형되는 탄성체 물질의 견지에서 설명되었다. 일반적으로, 안정된 상태가 절대적인 상태이지만, 그것이 꼭 필요한 것은 아니다.
처리후의 상태는 처리전의 상태보다 비교적 더 안정되고 처리후 상태가 실제의 사용에 충분하도록 안정적이면 된다. 물론, 그 물질에 안정된 상태에서 탄성적인 것은 필요하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가 "부엘"의 전술한 특허에 설명된 기본 구조에 따라 제조된다. 이 기저귀 구조는 2개(전후)의 허리띠를 가진다.
흡수 부재는 약 0.09g/㎤의 밀도와 가랑이 부분에서 약 1100g/㎡, 허리부분에서는 약 350g/㎡의 기본중량을 가지는 흡수성 플로프로 형성된다. 그 부재는 모래시계형태이고 약 38.7cm의 길이와, 횡방향 연장 가장자리를 각각에서 약 25.4cm의 폭을 그리고 가랑이 부분에서 약 9.6cm의 폭을 가진다. 그 부재는 종방향 중앙선에 대해서는 대칭이지만, 횡방향 중앙선에 대해서는 비대칭이어서, 가랑이 부분의 중앙이 후방의 횡방향 가장자리로부터 약 21.6cm에 위치된다.
상층 시이트는 전술한 열 접합 폴리프로필렌 물질로 만들어지고 후면 시이트는 0.04mm 두께의 폴리에틸렌 필림으로 만들어진다. 양 시이트 모두다 모래시계 형태이고 약 43.8cm 길이와, 그들의 황방향 연장 가장자리에서 약 30.5cm의 폭을 가진다.
제조에 있어서, 흡수 부재가 동일면적과 동일 크기의 상층 시이트와 후면 시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종방향 중앙선에 평행이 연장하는 열용융 접착 아교비이드는 후면 시이트를 흡수 부재에 부착한다. 또한 그 비이드에 의해 커프 부분에서 후면 시이트를 상층 시이트의 부착한다.
기저귀의 커프 부분들은 가랑이 부분에서 기저귀의 각종 방향 연장 가장자리에 2개의 탄성 부재는 풀플렉스 9211로 만들어지고 2.4mm 폭과 0.18mm 두께를 가진다. 그들의 이완된 길이는 약 19.6cm이고, 부착시 원래의 길이의 약 220%까지 신장된다. 그 탄성 부재들은 대략 가랑이 부분에 중심을 두고 배치된다. 그 탄성 부재들의 쌍에 의해 형성된 패턴의 중심은 기저귀의 종방향 중앙선으로부터 약 9.4cm에 위치한다. 각개 기저귀 가장자리의 2개의 탄성 부재는 약 1.6cm 간격을 두고 평행히 배치된다.
각 기저귀 허리띠는 기저귀의 횡쪽에 걸쳐 연장하고 약 30.5길이를 가지며, 각 허리띠는 약 2.5cm의 횡방향 폭을 가진다. 각 허리띠에 사용된 탄성체 부재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와 혼합되고 턴터 처리된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이다. 각 탄성체 부재는 약 30.5cm 길이, 약 2.5cm 폭, 약 0.04mm 두께를 가지면 상층 시이트와 후면시이트 모두에 부착된다. 부착시에, 상층 시이트 및 후면 시이트는 완전히 신장된 상태로 된다.
불연속적인 초음파 접합 영역들로된 부착부의 횡방향 영역들은 각 허리띠 탄성체 부재를 상층 시이트 및 후면 시이트에 부착하는데 사용된다. 그 횡방향 영역들은 7개의 불연속적인 타원형의 초음파 접합영역들로 이루어지고, 그 타원형은 약 1.9mm의 장축과 1.0mm단축을 가지며 그 장축이 횡방향에 대하여 약 45°각도로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그 부착부의 횡방향 지역들은 각 허리띠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도고 중심간의 간격은 약 6.4mm이다. 접착성 체결 테이프가 기저귀에 접착된다.
각각 조립된 기저귀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폐쇄된 C형으로 절곡되고 그 형상으로 구속된다. 그 절곡된 기저귀는 약 68℃의 열풍으로 가열되어 탄성체 물질이 열에 안정되고 탄성의 상태로 수축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기저귀는 구속력이 제거되고 기저귀가 헐거운 "C"형 형태를 가지도록 허용된 허리띠를 따라 각기 다른 정도로 주름이 잡힌다.
유아에 착용시킨 때, 그 기저귀는 만족스럽게 기능을 이행하고 그의 허리띠는 구속되지 않은 채 열처리를 받은 유사한 기저귀보다 더 효과적으로 유아의 허리에 부착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Claims (6)

  1. 액체 투과성 상층 시이트, 이 상층 시이트에 부착된 액체 불 투과성 후면 시이트, 후면 시이트와 상층 시이트 사이에 배치된 흡수 부재, 기저귀의 측방향 연장 한계선으로부터 흡수 부재의 측방향 연장 한계선까지 늘어나는 허리띠, 상층 시이트와 후면 시이트가 겹친 영역 및 탄성 부재(여기에서, 탄성부재는 허리띠에 부착되며, 비교적 더 수축되는 중간 부분 및 중간부분과 비교하여 비교적 더 수축되는 한쌍의 추가 부분을 가지며 추가부분은 중간부분에 의해 분리된다)를 포함하는 1회용 기저귀.
  2. 제1항에 있어서, 탄성 부재가 허리띠를 불균일하게 주름잡히게 하는 1회용 기저귀.
  3. 제2항에 있어서, 탄성 부재가 허리띠를 C-형으로 주름잡히게 하는 1회용 기저귀.
  4. 제1항에 있어서, 탄성 부재가 비탄성이고 열에 불안정한 상태 및 탄성이고 열에 안정한 상태를 갖는 1회용 기저귀.
  5. 제1항에 있어서, 탄성 부재가 중간부분 및 한쌍의 추가 부분에 의하여 분리되고 이 추가 부분과 비교하여 비교적 덜 수축되는 추가의 두 개의 부분을 포함하는 1회용 기저귀.
  6. (1) 하나 이상의 허리띠와 흡수 부재를 가지고 있고, 상기 허리띠가 열에 불안정한 상태와 열에 안정한 탄성 상태를 가지는 긴 탄성체 물질로 이루어지며, 그 탄성체 물질이 열에 불안정한 상태에 있는 1회용 기저귀를 제공하고, (2) 상기 탄성체 물질에 교차하는 하나 이상의 주름부를 상기 기저귀에 제공함에 의해 미리 선택된 형상으로 상기 기저귀를 성형하고, (3) 상기 미리 선택된 형태로 상기 기저귀를 유지하고, (4) 열에 불안정한 상태로부터 열에 안정한 탄성상태로 변화되도록 하는 정도로 상기 탄성체 물질을 가열하고, (5) 상기 탄성체 물질을 냉각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제1항 내지 5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1회용 기저귀를 제조하는 방법.
KR1019840001385A 1983-03-18 1984-03-17 1회용 기저귀 KR9100059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7673483A 1983-03-18 1983-03-18
US476734 1983-03-18
US476,734 1983-03-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8113A KR840008113A (ko) 1984-12-13
KR910005920B1 true KR910005920B1 (ko) 1991-08-08

Family

ID=23893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1385A KR910005920B1 (ko) 1983-03-18 1984-03-17 1회용 기저귀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EP (1) EP0119825B1 (ko)
JP (2) JP2590054B2 (ko)
KR (1) KR910005920B1 (ko)
AT (1) ATE35607T1 (ko)
BR (1) BR8401215A (ko)
CA (1) CA1211602A (ko)
DE (1) DE3472617D1 (ko)
DK (1) DK137784D0 (ko)
EG (1) EG16321A (ko)
ES (2) ES278248Y (ko)
GB (1) GB2136677B (ko)
GR (1) GR81775B (ko)
HK (1) HK58290A (ko)
IE (1) IE55086B1 (ko)
MA (1) MA20063A1 (ko)
MX (1) MX159353A (ko)
MY (1) MY102363A (ko)
PH (1) PH25563A (ko)
SG (1) SG31989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2819A (en) * 1985-01-10 1987-02-17 Kimberly-Clark Corporation Disposable garments with multiple strand elasticized openings
US4681580A (en) * 1985-03-29 1987-07-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diapers with unitary waistshield and elastically expansible waistbands
JPS61233737A (ja) * 1985-04-10 1986-10-18 Fuji Photo Film Co Ltd 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
US5034078A (en) * 1985-05-08 1991-07-23 Exxon Chemical Patents Inc. Method of making an elastomeric film
FR2583621B1 (fr) * 1985-06-19 1990-10-05 Boussac Saint Freres Bsf Couche-culotte a jeter munie d'une ceinture elastique
FR2583620B1 (fr) * 1985-06-19 1990-10-05 Boussac Saint Freres Bsf Couche-culotte a jeter munie d'une ceinture elastique reactivee.
JPH0716506B2 (ja) * 1986-03-19 1995-03-01 ユニ・チヤ−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BR8601228A (pt) * 1986-03-19 1987-11-03 Johnson & Johnson Sa Absorvente anatomico
US4726807A (en) * 1986-04-10 1988-02-23 Weyerhaeuser Company Diaper with elastic margins
US6881207B1 (en) 1987-09-08 2005-04-19 Rhonda Tracy Disposable diaper with padded waistband and legholes
GB2216774A (en) * 1988-04-05 1989-10-18 Procter & Gamble Disposable diaper having stiffened waistbelt
US6340782B1 (en) 1989-10-04 2002-01-22 Sca Hygiene Products Aktiebolag Method of securing an elastic band and an article that includes such an elastic band
CA2024472A1 (en) * 1989-12-26 1991-06-27 Harumitsu Toyoda Disposable diapers
US5140757A (en) * 1990-10-09 1992-08-25 Terada Stanley H Elastic band heat activation system
ZA92308B (en) 1991-09-11 1992-10-28 Kimberly Clark Co Thin absorbent article having rapid uptake of liquid
EP0556749B1 (en) * 1992-02-13 1997-05-07 Japan Absorbent Technology Institute A sheet elastic complex used in sanitary products, its manufacturing process, and its usages
ES2149185T5 (es) 1992-08-13 2004-12-01 Japan Absorbent Technology Institute Articulo absorbente estirable.
US5411618A (en) * 1993-11-24 1995-05-02 Paper Converting Machin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waistband-equipped disposable diapers
JP3550054B2 (ja) 1999-06-30 2004-08-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弾性伸縮性のシート
US7481802B2 (en) 2001-12-28 2009-01-27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US7318534B2 (en) 2003-06-13 2008-01-15 S.C. Johnson Home Storage, Inc. Disposable container cover with elastic replacement
WO2007008127A1 (en) * 2005-07-14 2007-01-18 Sca Hygiene Products Ab A pant-type absorbent article having an elastic waistband
JP4994027B2 (ja) * 2006-12-28 2012-08-08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5175689B2 (ja) * 2008-11-06 2013-04-03 王子ネピア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9532908B2 (en) * 2013-09-20 2017-0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extured laminate surface, absorbent articles with textured laminate structure, and for manufacturing
EP3233005B1 (en) * 2014-12-18 2020-04-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iape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2565A (en) * 1972-01-24 1975-10-14 Fmc Corp Method of preparing shirred, elastic, flexible articles
US3828784A (en) * 1972-08-21 1974-08-13 Kendall & Co Conformable baby diaper
US3881489A (en) * 1973-08-20 1975-05-06 Procter & Gamble Breathable, liquid inpervious backsheet for absorptive devices
US4324245A (en) * 1977-12-20 1982-04-13 Johnson & Johnson Comformable disposable diapers having absorbent panel with bulged side members
BR7808292A (pt) * 1977-12-20 1979-08-07 Johnson & Johnson Fralda descartavel
BR7900459A (pt) * 1978-01-27 1979-08-21 Johnson & Johnson Fralda descartavel
US4352355A (en) * 1978-04-03 1982-10-05 Johnson & Johnson Baby Products Company Diaper with contoured panel and contoured elastic means
DE3016197A1 (de) * 1980-04-26 1981-11-05 Winkler & Dünnebier, Maschinenfabrik und Eisengießerei GmbH & Co KG, 5450 Neuwie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bschnittsweisen aufbringen elastischer streifen auf eine materialbahn zur herstellung von hoeschenwindeln o.dgl.
US4341216A (en) * 1981-02-27 1982-07-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reathable backsheet for disposable diapers
US4515595A (en) * 1982-11-26 1985-05-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ally contractible waistba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78248U (es) 1985-04-16
ES278248Y (es) 1985-11-16
EP0119825A2 (en) 1984-09-26
GB2136677B (en) 1986-12-03
HK58290A (en) 1990-08-10
EG16321A (en) 1987-09-30
IE55086B1 (en) 1990-05-23
MA20063A1 (fr) 1984-10-01
PH25563A (en) 1991-08-08
MY102363A (en) 1992-06-17
ATE35607T1 (de) 1988-07-15
ES530683A0 (es) 1984-11-16
ES8501215A1 (es) 1984-11-16
EP0119825B1 (en) 1988-07-13
IE840673L (en) 1984-09-18
MX159353A (es) 1989-05-17
GR81775B (ko) 1984-12-12
GB8406658D0 (en) 1984-04-18
EP0119825A3 (en) 1985-04-17
CA1211602A (en) 1986-09-23
JP2654350B2 (ja) 1997-09-17
GB2136677A (en) 1984-09-26
JP2590054B2 (ja) 1997-03-12
BR8401215A (pt) 1984-10-23
JPH0747097A (ja) 1995-02-21
DK137784D0 (da) 1984-02-29
DE3472617D1 (en) 1988-08-18
JPS6017101A (ja) 1985-01-29
SG31989G (en) 1989-08-11
KR840008113A (ko) 1984-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5920B1 (ko) 1회용 기저귀
KR910001476B1 (ko) 탄성 허리띠를 가진 1회용 기저귀
KR920004090B1 (ko) 비탄성 제품의 연속 탄성화 방법
US4710189A (en) Shaped disposable diapers with shaped elastically contractible waistbands
US4808252A (en) Shaped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ally contractible waistbands
KR100244610B1 (ko) 일체형 차단 커프스를 갖는 흡수 제품 및 그의 제조방법
JP3902645B2 (ja) 弾性腿部パネルを備えた動的弾性脚部を有する吸収性物品
EP0197736B1 (en) Disposable diapers with unitary waistshield and elastically expansible waistbands
CA1303794C (en) Absorbent article having floating inner cuffs
KR100203654B1 (ko) 신장성 스플리트 코어를 갖는 흡수 제품
US5026364A (en) Absorbent article having unitary waistcap and waistband
EP0219326B1 (en) An absorbent article having dual cuffs
US5558660A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 pocket cuff with a gluteal groove spacer
KR100378289B1 (ko) 탄성중합체계 일회용 흡수제품
EP0869756B1 (en) Absorbent article using extensible leg cuffs
EP0376022B1 (en) Absorbent article having unitary waistcap and waistband
JP3830545B2 (ja) 脚閉鎖部を有する吸収性製品
MXPA97002133A (en) Absorbent article that has an extendable nucleus part
PT836461E (pt) Fralda
KR20030009546A (ko) 일회용 흡수 언더팬츠
KR19990014742A (ko) 다방향 신장가능한 측면패널을 갖는 일회용 위로당김형 흡수제품
HUT71928A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n improved leg closure
CA1341413C (en) Absorbent article having dual cuffs
MXPA97004540A (en) Absorbent article that have doubles of barrierintegrales and process to make m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11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