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876B1 - 원 쉬이트 필름(one sheet film) - Google Patents

원 쉬이트 필름(one sheet fil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876B1
KR910005876B1 KR1019890005653A KR890005653A KR910005876B1 KR 910005876 B1 KR910005876 B1 KR 910005876B1 KR 1019890005653 A KR1019890005653 A KR 1019890005653A KR 890005653 A KR890005653 A KR 890005653A KR 910005876 B1 KR910005876 B1 KR 910005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attached
recess
light blocking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5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6799A (ko
Inventor
나정환
Original Assignee
나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정환 filed Critical 나정환
Priority to KR1019890005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5876B1/ko
Priority to JP2115669A priority patent/JP2810900B2/ja
Publication of KR900016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6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CPHOTOSENSITIVE MATERIALS FOR PHOTOGRAPHIC PURPOSES; PHOTOGRAPHIC PROCESSES, e.g. CINE, X-RAY, COLOUR, STEREO-PHOTOGRAPHIC PROCESSES; AUXILIARY PROCESSES IN PHOTOGRAPHY
    • G03C3/00Packages of films for inserting into cameras, e.g. roll-films, film-packs; Wrapping materials for light-sensitive plates, films or papers, e.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dyes, printing inks, adhes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Cameras Including Film Mechanis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원 쉬이트 필름(ONE SHEET FILM)
제1도는 카메라에 의한 촬영원리를 나타내는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인 원 쉬이트 필름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차광보호판을 나타내는 배면사시도.
제5도는 제3도의 A-A 선 단면도.
제6도는 제3도의 B-B 선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필름의 외형을 도시한 일부 절결 확대정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필름의 촬영이후 서로 연결시킨 상태를 도시한 확대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프레임 10a, 10b : 요부
11 : 개공(화면사이즈) 12, 12' : 차광시이트
13, 13' : 필름지지부재 14, 14 : 차광판지지부재
20 : 차광판 21 : 지지보호판
30 : 필름 31 : 차광테이프
본 발명은 1장의 필름을 내장하여 촬영을 행할 수 있고 촬영이 끝난 필름은 현상한 다음에 슬라이드필름 즉, 필름마운터로 사용할 수 있게 한 원 쉬이트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진 촬영의 원리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사체(1)로부터 반사되는 빛이 렌즈(2)를 통하여 집광되고 조리개와 셔터(3)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적절한 노출량을 집광하여 초점면(필름면)(4)에 상이 맺혀지도록 필름(4)에 노광시키도록하여 촬영이 이루어지게 되어있다.
상기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하고자하는 경우엔 통상적으로 롤(ROLL) 형태의 필름을 내장하여 사용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을 행하게 된다. 이와같이 롤 형태의 필름을 내장하는 카메라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1몰에 24매 또는 36매를 찍을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24매나 36매를 모두 촬영하고 난 다음에야 현상을 하게되는 불편함과 실제로 전체매수를 촬영하지 않고 곧바로 현상을 해야만 되는 경우에는 남아있는 필름은 버려야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특히, 사용목적에 따라 ASA 값을 바꿔서 촬영하여야만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ASA 값이 다른 롤 형태의 각종 필름을 구비하여 필요시마다 교환하여 촬영하여야하므로 대부분의 필름을 버리게 되는 비경제적인 면이 있고, 그렇지 아니하면 필요시마다 ASA 값이 다르게 내장한 다수의 카메라를 구비하여 촬영하는 방법이 있겠으나 이 경우에는 휴대나 사용면에서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한 롤 형태의 필름은 기존 카메라에 있어서, 감기 및 되감기 기구가 필요하고 제1도에 있어서 정확한 초점면(4)에 일정한 위치를 자리잡게 하고자 필름을 배면으로부터 가압하여 주는 압착판이 카메라의 뒷 뚜껑부분에 설치되는바, 이대 롤 형태 필름의 특성상 항상 감겨진 상태에서 풀려지게 되어 적정이상의 텐션을 가지고 있게되므로 상기 압착판이 배면으로부터 필름을 눌러주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고 볼 수 있으나 실제적으로는 미세한 만곡 형태의 곡률을 가지게되어 정확한 초점의 형성이 힘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따라서 확대사진의 경우에는 중앙의 일부를 제외하고는 선명한 해상도를 갖는 양호한 사진을 얻을 수 없다는 근원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첫째 목적은 촬영시 프레임의 상단에 표시된 DX 코드에 의하여 필요한 ASA값을 갖는 필름을 선택하여 원하는 사진을 1대의 카메라로 곧바로 촬영을 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롤 타입의 필름을 사용하여 단지 몇장의 사진을 찍고자할 때 대부분 버려지게 되는 남은 필름의 처리에 신경을 쓰지 아니하고도 필요한 만큼의 필름만 준비하여 사용하면 되고 사용상 경제적인 이점이 있는 원 쉬이트 필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둘째목적은 촬영후 현상시엔 1장씩 또는 여러장을 한꺼번에 연결하여 이를 행할 수 있고 현상후엔 슬라이드필름, 즉 필름마운터(FILM MOUNTER)로 사용이 가능하게 이루어진 윈 쉬이트 필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셋째목적은 필름의 상태가 항상 평평한 평면을 유지하고 촬영시엔 정확한 초점이 형성되어 선명한 사진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원 쉬이트 필름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본 발명인 필름은 제2도 내지 제6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0), 이 고정프레임(10)에 끼우고 뺄 수 있게 이루어진 차광판(20) 및 필름(30)으로 이루어지되 고정프레임(10)은 상부 중간의 요부(10a)엔 개공(11)이 형성되어 개공(11)의 양측에 차광시이트(12,12')가 부착되고 상기 요부(10a)의 양단엔 필름지지부재(13,13')가 각각 설치되며 저면엔 상기 요부(10a)와 서로 직교하는 별도의 요부(10b)가 마련되어 상기 요부(10b)의 양단엔 차광판(20)을 끼우고 뺄수 있도록 차광판지지부재(14,14')가 부착 설치되는 동시에 차광판(20)은 배면에 지지보호판(21)이 부착되며 필름(30)은 통상의 35mm 필름이나 기타 별도로 제작된 필름을 사용할 수 있고 일측에 차광테이프(31)가 부착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고정프레임(10)의 상단엔 고정프레임(10) 내측에 끼워지는 필름(30)의 ASA 값에 해당하는 DX코드(22)를 부착 표시하며 필름지지부재(13,13')와 차광판지지부재(14,14')는 고정프레임(10)과 일체로 성형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필름(30)의 경우엔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양단에 요부(30a,30b)를 형성시킨후 접착제(31')를 도포하고 이면지(32,32')를 부착하여 놓은 다음 필름(30)의 촬영이후 현상 및 인화작업시에 필름(30)과 필름(30)을 양측의 이면지(32,32')를 떼어내고 서로 부착하여 한꺼번에 현상 및 인화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되어 있다.
다음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필름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한다.
제1도에 있어서 초점면(4)에 본 발명인 필름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한 카메라를 별도로 준비하여 카메라 내부에 필름을 창착하고 카메라의 베이스커버를 닫은 다음 차광판(20)을 하부로 당겨 위치시킨 후 필름(30)의 일측면이 개공(11)을 통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하여 촬영 준비상태에 있게한다.
이때 초점거리(5)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설계시에 이미 맞추어질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초점면(4)에 필름을 위치시키면 되고 DX코드(22)를 카메라에서 읽고 직정 노출값으로 산출되어 필름을 노광시키거나 아니면 촬영전에 이를 확인하여 적정노출값으로 맞춘다음 촬영하여 적정량의 빛으로 필름(30)을 노광시킨다.
셔터의 동작이 끝나면 다시 차광판(20)을 상부로 밀어올려 개공(11)을 완전히 차단하게 되면 촬영은 완전히 끝나게 된다.
촬영의 끝난필름(30)은 현상소에서 현상을 하게 되는바, 이때 1장씩하거나 아니면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러장을 한꺼번에 부착 연결하여 동시에 여러장을 행할수도 있다.
이때 고정프레임(10)에 현상된 필름(30)으로부터 차광테이프(31)를 분리시키고 고정프레임(10)에 끼운다음 차광판(20)을 분리시키면 슬라이드필름 즉, 필름마운터(FILM MOUNTER)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포지티브필름(POSITIVE FILM)일 경우에는 그대로 환등기에 사용하면 되고 네가티브필름(NEGATIVE FILM)인 경우에는 단순히 필름보존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필름을 TV의 화면으로 재생시키는 기기들에 의하면 간단히 TV를 통하여 시청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인 필름은 촬영시 프레임(10)의 상단에 표시된 DX 코드에 의하여 필요한 ASA 값을 갖는 필름을 선택하여 원하는 사진을 곧바로 촬영할 수 있고 촬영후엔 남게되는 필름이 없으므로 곧바로 현상을 행할 수 있는 편리한 점이 있으며, 경제적인 잇점과 사용상 편리성이 있고, 필름(30)이 항상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촬영시 정확한 초점이 형성되고 촬영이 이루어진 필름(30)은 1장씩 또는 여러장을 한꺼번에 현상을 행할수도 있다.
또한 차광판(20)과 차광테이프(31)를 분리시키면 고정프레임(10)내에 현상된 필름(30)이 고정된 형태로서 슬라이드 필름으로도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Claims (3)

  1. 고정프레임(10), 이 고정프레임(10)에 끼우고 뺄수 있게 이루어진 차광판(20) 및 필름(30)으로 이루어지되, 고정프레임(10)의 상부 중간의 요부(10a)엔 개공(11)이 형성되어 개공(11)의 양측에 차광시이트(12,12')가 부착되고 상기 요부(10a)의 양단엔 필름지지부재(13,13')가 각각 설치되며 저면엔 상기 요부(10a)와 서로 직교하는 별도의 요부(10b)가 마련되어 상기 요부(10b)의 양단엔 차광판(20)을 끼우고 뺄 수 있도록 차광판지지부재(14,14')가 부착 설치되는 동시에, 차광판(20)은 배면에 지지보호판(21)이 부착되며 필름(30)은 일측에 차광테이프(31)가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쉬이트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프레임(10)의 상단엔 고정프레임(10) 내측에 끼워지는 필름(30)의 ASA값에 해당하는 DX 코드(22)를 부착표시하고 필름지지부재(13,13')와 차광판지지부재(14,14')를 상기 고정프레임(10)과 일체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쉬이트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필름(30)의 양측에 요부(30a,30b)를 형성하고 접착제(31')를 도포한 후 이면지(32,32')를 부착하여 필름(30)의 현상시엔 상기 이면지(32,32')를 떼고 서로 부착연결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원 시이트 필름.
KR1019890005653A 1989-04-28 1989-04-28 원 쉬이트 필름(one sheet film) KR910005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5653A KR910005876B1 (ko) 1989-04-28 1989-04-28 원 쉬이트 필름(one sheet film)
JP2115669A JP2810900B2 (ja) 1989-04-28 1990-05-01 一枚撮りフィルム用ケー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5653A KR910005876B1 (ko) 1989-04-28 1989-04-28 원 쉬이트 필름(one sheet fil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799A KR900016799A (ko) 1990-11-14
KR910005876B1 true KR910005876B1 (ko) 1991-08-06

Family

ID=19285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5653A KR910005876B1 (ko) 1989-04-28 1989-04-28 원 쉬이트 필름(one sheet fil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810900B2 (ko)
KR (1) KR91000587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48237A (ja) 1991-03-01
JP2810900B2 (ja) 1998-10-15
KR900016799A (ko) 1990-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226629A (ja) 撮影用の照明補助装置
JP3218684B2 (ja) データ写し込み装置付カメラ
US4114172A (en) Photographic camera and film cartridge therefor
KR910005876B1 (ko) 원 쉬이트 필름(one sheet film)
US5084719A (en) Lens-fitted photographic film package
JPH0915711A (ja) カメラのデータ写し込み装置
US3185054A (en) Camera for photographic film
JP2613324B2 (ja) カメラ
US5136319A (en) Lens-fitted photographic film package
JPH03290643A (ja) フィルム及びフィルム一体型カメラ
US3741098A (en) Camera system
US7065294B2 (en) Lens-fitted photo film unit and photofinishing method
JP2627598B2 (ja) カメラ
JP3169811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3165303B2 (ja) カメラの露光画面切替え装置
KR200353705Y1 (ko) 뷰 카메라
JP3335221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用近接撮影アダプタ
JP2004354582A (ja) 接写用カメラ
KR930003861Y1 (ko) 일매촬영 필름용 케이스
JP3903088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KR100488320B1 (ko) 렌즈가 장착된 사진 필름 유니트
JPH06138584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S5921538B2 (ja) フィルム・ユニット遮光用アダプタ装置
WO2000075722A1 (en) Compact medium format bellows camera with interchangeable backs
JPH044627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