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686B1 - 강화열가소성 수지조성물 - Google Patents

강화열가소성 수지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686B1
KR910005686B1 KR1019880005926A KR880005926A KR910005686B1 KR 910005686 B1 KR910005686 B1 KR 910005686B1 KR 1019880005926 A KR1019880005926 A KR 1019880005926A KR 880005926 A KR880005926 A KR 880005926A KR 910005686 B1 KR910005686 B1 KR 910005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thylene
resin composition
gr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5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4031A (ko
Inventor
히데유끼 이도이
Original Assignee
미쓰이 세끼유 가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다께바야시 쇼오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세끼유 가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다께바야시 쇼오고 filed Critical 미쓰이 세끼유 가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14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4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6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3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by oxi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1/06Wax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강화열가소성 수지조성물
본 발명은 우수한 내충격성과 유동성을 지닌 강화열가소성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근년에 금속에 비해서 기볍고 우수한 성형성과 제조성을 지닌 플라스틱 재료가 재료 또는 자원절약과 에너지 절약의 관점에서 자동차부품등에 사용되어 왔다. 플라스릭 재료로 제조되는 그와같은 자동차부품들은 광범위한 부품이 포함되고 예를 들면 휀더, 문짝판등의 외부판재, 범퍼, 다이어훨, 기타 동등물이 있다. 그런 플라스틱에 요구되는 물성은 시도되는 용도에 크게 의존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자동차부품인 외부판재, 범퍼, 타이어 훨 및 기타 동등물에는 우수한 충격강도등 우수한 기계적인 강도를 지닌 플라스릭 재료들이 요구된다.
상술한 환경하에서 올레핀 중합체들, 무기벌크 충전제들 및 무수 카복실기를 갖는 폴리올레핀들이 내충격성을 갖는 플라스릭으로서 예를 들어 JP-A-48-97947등에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은 자동차 외부판재, 범퍼 및 타이어 휠을 위한 내충격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성형시나 자동차부품 제조시에 유동성이 충분치 못하다. 이들 문제점은 기타 플라스틱들에도 역시 존재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서의 상술한 문제점들을 제거하고 자동차 외부판재, 범퍼 및 타이어 훨로서 사용시 요구되는 물성을 만족시키는데 충분한 충격강도와 성형 및 제조시에 우수한 유동성을 갖는 강화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이점은 다음 설명으로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아래 성분을 함유하는 강화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이 제공된다.
(A) 프로필렌 중합체 100중량부, (B) 불포화 카본산 또는 그의 유도체의 그래프트량이 0.01-10중량%, X-선 측정에 의한 결정도가 0-45%, 에틸렌 함량이 30-93mol%인 적어도 부분 그래프트-변성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0-100중량부, (C) 무기 분말상 충전제 5-150중량부 및 (D) 산소함량 0.1-11중량%를 갖는 산화 폴리올레핀 왁스 0.1-15중량부.
본 발명에 의하면, 또 아래 성분으로 구성되는 강화열가소성 수지조성물도 제공된다.
(A') 5-95중량%의 프로필렌 중합체(A)와 95-5중량%의 폴리아미드(E)의 혼합물 100중량부, (B) 불포화 카본산 또는 그의 유도체의 그래프트량이 0.01-10중량%, X-선 측정에 의한 결정도가 0-45중량%, 에틸렌 함량이 30-93몰%를 갖는 적어도 부분 그래프트 변성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0-100중량부, (C) 무기분말상 충전제 5-150중량부 및 (D) 산소함량 0.1-11중량%를 갖는 산화 폴리올레핀 왁스 0.1-15중량부.
본 발명자등은 자동차 외판재, 범퍼 및 타이어 훨등에 사용될 경우에 필요한 내충격성과 플라스틱 재료의 성형시나 제조시의 유동성을 개량하는 방법을 연구한 결과 폴리프로필렌, 탈크 및 α,β-불포화 카본산 또는 그의 유도체를 에틸렌과 3개 이상의 탄소원자를 갖는 α-올레핀의 공중합체에 그래프트 중합시킴으로써 얻어지는 변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혼합물로 제조되는 또는 산화왁스를 또 선택적으로 폴리아미드를 더 첨가함으로서 제조되는 열가소성 수지가 우수한 충격강도와 유동성을 발휘함을 발견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의한 강화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을 이제 상세히 설명하겠다.
[프로필렌 폴리머(A)]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프로필렌 중합체들(A)는 용융유속(MFR)이 ASTM-D-1238L에 준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0.01-70g/10분, 더 바람직하기로는 0.1-50g/10분을 갖는 것들이고, 그와같은 프로필렌 중합체들(A)의 예로는, (1)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1-브텐 및 4-메틸-1-펜텐과 같은 50mol% 이하의 α-올레핀의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
(2) 그래프트 변성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상술한 단독중합체들 또는 0.001-10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1-5중량%의 그래프트 단량체 즉, 불포화 카본산 또는 그의 유도체를 갖는 공중합체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적으로 변성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공중합체들이며, 이들 프로필렌 중합체는 단독으로(예를 들면 (1) 또는 (2)만)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그들의 어떤 혼합물(예를 들어 (1)과 (2)의 혼합물).
프로필렌 중합체(A)의 MFR는 바람직하게는 0.01-70g/10분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1-50g/10분이어서 양호한 기계적 강도는 물론이며, 양호한 유동성과 성형성을 제공한다.
상술한 변성제 즉, 불포화 카본산 또는 그의 유도체의 예로는 아크릴산, 말레인산, 프마린산, 테트라하이드로프탄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크로토닌산, 이소크로토닌산, 나디오산(R)(즉, 엔도시스-비시크로-(2,2,1)-헵토-5-엔-2,3-디카본산)과 그 유사물 및 산할라이드, 아미드, 이미드, 무수물 및 말레닐 크로라이드, 말레이미드, 말레인무수물, 시트라콘무수물, 모노메틸마레인산염 및 그리시딜마레인산염들의 에스테르를 들수 있다. 이들 화합물들중에서 불포화 디카본산 또는 그들의 무수물 특히 마레인산 및 나디오산(R)또는 그 무수물등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특히 프로필렌 중합체와 폴리아미드가 블랜드 될 경우에 성형제품의 내충격성은 현저히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불변성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α-올레핀의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1)과 불포화 카본산 또는 그 유도체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부 변성된 상술한 변성 프로필렌 중합체(2)의 혼합물이 (1)/(2)의 혼합비가 99.5/0.5-1/99, 바람직하기로는 99/1-60/40으로 사용된다.
[변성 에틸렌 공중합체(B)]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변성 에틸렌 공중합체(B)는 X-선 측정으로 결정도가 0-45%, 바람직하기로는 0-40%,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0-30%이고, 에틸렌 함량이 30-93mol%, 바람직하기로는 40-91mol%, 불포화 카본산 또는 그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그래프트 단량체 0.01-10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1-5중량%인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b')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적으로 변성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그래프트 변성 공중합체이다. 45% 이하의 결정도와 93mol% 이하의 에틸렌 함량을 갖는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b')의 사용이 개량된 양호한 내충격성을 갖는 성형제품을 얻는 본 발명 목적에 비추어 바람직하다. 더우기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b')의 용융유속(MFR)은 0.01-20g/10분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기로는 0.05-10g/10분이다.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의 MFR가 상술한 범위내에 있을 때 거기에서 얻어지는 변성 에틸렌 공중합체(B)와 상술한 프로필렌 중합체(A)간의 융용점도의 차는 감소되려고 하고 따라서 각 성분의 분산성이 양호해지고 성형제품의 내충격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불변성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b')의 공중합 성분들은 3개 이상의 탄소원자, 특별히는 약 3-18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α-올레핀이다. 그와 같은 α-올레핀들의 예로는 프로필렌, 1-브펜, 1-헥센, 4-메틸-1-펜텐 및 1-데센을 들수 있다. 이들 α-올레핀들은 단독 또는 그들의 어떤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가 통상 에틸렌 성분으로 된다할지라도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미량치 0.5mol% 이하의 디엔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불변성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b')는 용융지수 0.01-20g/10분, 특히 0.05-10g/10분이 바람직하고 밀도는 0.870-0.900g/cm3특허 0.870-0.995g/cm3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변성 에틸렌 공중합체(B)는 X-선 측정에 의한 결정도는 0-45%, 바람직하기로는 0-40%,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0-30%이다. 에틸렌 함량은 30-93mol%, 특히 40-91mol%가 바람직하고, 불포화 카본산 또는 그 유도체의 그래프트치는 0.01-10중량%가 바람직하다.
변성 에틸렌 공중합체들(B)을 제조하는데 사용가능한 변성제들 즉, 불포화 카본산들 또는 그 유도체들은 프로필렌 중합체들(A)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이다.
불포화 카본산들 및 그 유도체들로부터 선택된 그래프트 공중합체와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를 그래프트 공중합시킴으로써 얻어지는 변성 에틸렌 공중합체(B)는 기지의 각종 방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는 용융시키고 그래프트 단량체를 가함으로써 그래프트 공중합이 행해지게 하거나 또는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를 용매에 용해시키고 그래프트 단량체를 가함으로써 그래프트 공중합이 행해지게 하거나 기타의 방법이다. 각각의 경우에 그래프트 반응은 래디칼 개시제의 존재하에 양호하게 행해져서 상술한 그래프트 단량체들을 효과적으로 그래프트 공중합시킨다. 그래프트 반응은 통상 60℃-360℃의 온도에서 행해진다. 래디칼 개시제의 양에 대한 엄격한 제한이 없다 할지라도 래디칼 개시제는 일반적으로 100중량부의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기준으로 0.001-1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그와 같은 래디칼 개시제의 예로는 유기과산화물들 및 유기과산화 에스테르들인 벤졸 퍼옥사이드, 디크로로벤조일퍼옥사이드, 디쿠밀퍼옥사이드, 디-tert-브틸퍼옥사이드, 2,3-디메틸-2, 5-디(퍼옥사이드벤조에이트)헥신-3, 1,4-비스(tert-브틸페록시이소프로필)벤젠, 라우로일퍼옥사이드, tert-브틸퍼아세테이트, 2,5-디메틸-2,5-디(tert-브틸퍼옥시)헥신-3, 2,5-디메틸-2,5-디(tert-브틸퍼옥시)헥산, tert-브틸퍼벤조에이트, tert-브틸퍼페닐 아세테이트, tert-브틸퍼이소브티레이트, tert-브틸퍼피바레이트, 쿠밀퍼피바레이트 및 tert-브틸퍼디에틸아세테이트와 아조 화합물들인 아조비스이소브티로니트릴 및 디메틸 아조이소브틸레이트등이다. 이들 래디칼 개시제들중에서 디쿠밀퍼옥사이드, 디-tert-브틸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디(tert-브틸페록시)헥신-3, 2,5-디메틸-2,5-디(tert-브틸페록시)헥산 및 1,4-비스(tert-브틸페록시이소프로필)벤젠등의 디알킬퍼옥사이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술한 변성 에틸렌 공중합체(B)는 상술한 성분(A)의 100중량부에 또는 성분(A)과 하기 폴리아미드(E)의 혼합물의 100중량부에 대해서 0-100중량부를 더 바람직하기로는 5-60중량부의 양이 충격강도, 내열성, 굽힘모듀러스의 관점에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0-45%, 바람직하기로는 0-40%, 더 바람직하기로는 0-30%의 X-선 측정에 의한 결정도와 30-93mol%, 바람직하기로는 40-91%의 에틸렌 함량을 갖는 불변성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B')가 i) 성분(A) 또는 ii) 성분(A)와 (E)의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서 0-2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100중량부 성분(B)에 더 첨가하여 사용된다. 성분(B')가 상술한 범위내에서 사용될때 성형제품의 물성, 예를 들면 유동성이 더욱 더 향상된다.
[무기분말상 충전제]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무기분말상 충전제(C)는 예를 들면 탈크, 크레이, 벤토나이트 및 아타풀기테등의 규산염들, 산화철, 알미나, 산화마그네슘 및 산화칼슘등의 산화물, 알미늄하이드록사이드, 마그네슘 하이드록사이드, 염기성탄산마그네슘, 칼슘 수산화물 산화석 수화물 및 산화질코늄수화물등의 수화금속산화물, 탄산칼슘 및 탄산마그네슘등의 탄산염들, 붕산바리움 및 붕산아연등의 붕산염들, 인산알미늄 및 소디움트리폴리포스페이트등의 인산염들, 집섬 및 아황산염등의 황산염들 및 그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이들 충전제중에서 탈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오한 내충격성을 갖는 성형제품을 얻기 위해서는 평균 직경이 5.0μm 이하, 특히 0.5-3μm의 탈크가 바람직하다.
무기 분말상 충전제(C)는 성분(A) 또는 성분(A)와 (E)의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서 5-150중량부, 더 바람직하기로는 5-100중량부,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10-80중량부의 양이 적합하게 사용되어서 양호한 탄성계수와 양호한 내충격성을 갖는 소망하는 성형제품을 얻는다.
[산화폴리올레핀 왁스(D)]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산화폴리올레핀 왁스(D)는 산소함량 0.1-11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2-8중량%를 갖는 것들이다. 산화폴리올레핀 왁스(D)의 양은 성분(A) 또는 성분 A와 성분 E의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서 0.1-15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0.5-10중량부이다.
산화올레핀 왁스(D)의 산소함량이 0.1-11중량%, 범위일 경우, 각 성분의 분산성은 현저하게 향상되고, 따라서 성형제품의 내충격성이 향상되고 성형제품의 내후성이 양호하여 실질적으로 변색되지 않으며,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다. 또한 산화폴리올레핀의 추가된 양이 0.1-15중량부의 범위일 경우 우수한 내충격성을 지닌 양호한 강도의 성형제품을 얻을 수 있다.
산화폴리올레핀 왁스(D)는 주로 폴리올레핀 왁스를 산화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산화법은 어떤 종래의 산화방법이라도 좋다. 에틸렌, 프로필렌, 1-브텐, 1-헥센, 4-메틸-1-펜텐 및 1-데센등의 α-올레핀의 단독중합체 또는 2개 이상의 α-올레핀들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이들 폴리올레핀들중에서 주성분으로 에틸렌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왁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산화폴리올레핀 왁스(D)는 135℃의 데카린 용매중에서 측정하여 0.04-0.5dl/g, 더 바람직하기로는 0.05-0.4dl/g의 극한점도를 갖는다.
폴리올레핀 왁스내에 함유된 산소는 하이드록실가, 알데하이드 또는 케톤, 등의 카보닐기, 카복실기 또는 에스테르 상태로 존재한다.
[폴리아미드(E)]
본 발명에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폴리아미드(E)는 예를 들어 헥사메틸렌등의 지방족, 지환족 방향족 디아민, 덱카메틸디아민, 도덱카메틸디아민 2,2,4- 또는 2,4,4-트리메틸 헥사메틸렌디아민, 1,3- 또는 1,4-비스(아미노메틸)시크로헥산, m- 또는 p-키실렌디아민 및 아다핀산등의 지방족, 지환족 및 방향족 디카복실산들, 수베릭신산, 세바식산 및 이소프타린산등의 축중합으로부터 얻어지는 폴리아미드를 함유한다. 또한 ε-아미노카프로익산등의 아미노카본산 및 11-아미노운데카노익산, 축합으로 얻어지는 폴리아미드들, ε-카프로락탐 및 ω-라우로락탐 축합으로 얻어지는 폴리아미드를 또는 이들 성분들의 축합으로 얻어지는 공중합아미드들이 있다. 이들 폴리아미드들은 단독으로 또는 그들의 임의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특정적으로는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610, 나일론 9, 나일론 11, 나일론 12, 나일론 6/66, 나일 66/610 및 나일론 6/11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특히 나일론 6과 나일론 66의 사용이 경성이나 내열성의 견지에서 바람직하다.
폴리아미드들의 분자량에 대한 엄격한 제한들은 없다할지라도 JIS X6810에 준하여 98%의 황산중에서 측정한 상대점도 ηr가 1.0이상, 특히 2.0 이상의 폴리아미드를 사용하는 것이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얻는 견지에서 바람직하다.
폴리아미드(E)는 상술한 성분들(A) 및 (E)의 총량에 대해서 95-5중량%, 더 바람직하기로는 80-10중량%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폴리아미드의 양이 5-95중량% 범위내로 함유될 경우에 성형물의 기계적 강도가 더욱 향상되고 물의 흡수로 인한 강도와 칫수의 변경 또는 변화는 유리하게 작다. 따라서, 상술한 범위내의 폴리아미드 성분(E)의 사용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바람직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폴리아미드(E)가 상술한 변성 프로필렌 중합체와의 그들의 블랜드로서 사용될 경우 성형제품의 내충격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제법]
강화열가소성 수지조성은 프로필렌 중합체(A), 변성 에틸렌 공중합체(B), 무기분말상 충전제(C) 및 산화폴리올레핀 왁스를 또 선택적으로 상술한 범위의 양의 폴리아미드(E)를 예를 들어 헨셀믹서, V-블렌더, 리본블렌더, 또는 텀블러 블렌더내에서 혼합시키고, 뒤이어서 단일 스크류형 압출기내에서 요융혼합 또는 혼련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들 장치들중에서도 다스크류 압출기, 혼련기 또는 반버리믹서등과 같은 우수한 혼련성능을 갖는 장치가 사용될 경우 각 성분이 내부에서 균일하게 분산되고 미립자 분말상의 고품질을 갖는 강화열가소성 수지조성을 유리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미립자화된 강화열가소성 수지조성들이 예를 들면 단일스크류 압출기, 벤트형 압출기, 쌍스크류 압출기, 원추형 쌍스크류 압출기, CO-혼련기, 플래티피케이터, 믹스트루더, 쌍원추스크류 압출기, 플래네타리윔 압출기, 기어식압출기 또는 무스크류 압출기를 사용하여 사출성형 또 회전성형될 경우에 펜더 및 문짝판등의 자동차의 외부판재, 범퍼, 훨이 유리하게 얻어질 수 있다.
또한 강화열가소성 수지조성이 선택적으로 종래의 각종 첨가제인 항산화제, V흡수제, 윤활제, 핵화제, 대전방지제, 화염지연제, 안료류, 염료류를 용도에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에 악영향을 주지않는 한도로 함유시킬 수 있다. 이들 첨가제들은 혼합 또는 혼련의 어느 공정중에 첨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강화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은 상술한 프로필렌 중합체(A), 변성 에틸렌 공중합체(B) 및 무기분말상 충전제(C) 또는 성분들(A),(B) 및 (C)에 더하여 폴리아미드(E)로 구성되고 또한 산화폴리올레핀 왁스(D)가 내충격 향상제와 수지 유동성 향상제로서 사용되므로 그들로 성형된 상술한 자동차부품(예를들어 자동차의 휀더 및 문짝판등의 외부판재, 범퍼 및 타이어 휠)은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는 것이다. 더우기 본 발명의 조성은 양호한 유동성을 발휘하여 성형과 제조공정을 용이하게 한다.
[실시예]
본 발명을 이제 더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이 결코 4답변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서 모든 부와 %는 중량부와 중량%를 나타낸다.
[실시예 1]
(i) 프로필렌 중합체(A) (상표명 Hipol X-440, 용융유속 : 3g/10분 미쓰이 세끼유 가가꾸 고오교오(주)사제) : 15%, (ii) 무수말레인산 그래프트 변성 프로필렌 중합체(A) (극한점도 : 0.4dl/g 및 말레인산 무수물량 : 3.0%) : 1%, (iii)폴리아미드(E) (NY-6A-1022HR 유니치카(주)사제) : 84% 이후 성분들(i),(ii) 및 (iii)의 100중량부에 대한 것이다. (iv) 변성 에틸렌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B) (에틸렌함량 : 81mol%, X-선에 의한 결정도 : 3%, 말레인산 무수물의 그래프트량 : 1%) : 40부, (v) 탈크(C) (Hifiller-15DS 마쓰무라상교오제, 평균입자 칫수 : 2μm) 60부 및 (vi) 산화폴리에틸렌 왁스(D) (산소함유량 : 0.58%, 극한점도 η : 0.13dl/g) : 2부.
상술한 성분들(i)-(vi)를 함께 혼합하여 턴블러 믹서내에서 교반시킨다음 45mmø 쌍스크류 압출기로 입자화시켰다. 얻어진 펠레트로부터 시료를 사출성형시켰다. 항절 모듀러스, 다아트 충격강도 및 나선 흐름길이(spiral flow length)를 측정했다. 측정결과는 아래와 같다.
Figure kpo00001
[실시예 2]
(i) 프로필렌 중합체(A) (상표명 : Hipol X-20, 미쓰이 세끼유 가가꾸 고오교오(주)사제, 용융유속 10g/10분) : 21% (ii) 폴리아미드(E) (NY-6A-1022HR 유니치카(주)사제) : 79%, 이후 성분들(i) 및 (ii) 100중량부에 대한 것이다. (iii) 변성 에틸렌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B) 실시예 1에 사용한 것 : 13부, (iv) 탈크(C), 실시예 1에 사용한 것 : 39부 및 (v) 산화 폴리에틸렌 왁스(D), 실시예 1에 사용한 것 : 2부.
성분들(i)-(v)를 함께 혼합시켜 덤블러 믹서내에서 교반시킨다음 45mmø 쌍스크류 압출기로 입자화시켰다. 얻어진 펠레트를 사출성형시켜 시료를 얻었다. 항절 모듀러스, 다아트 충격강도 및 나선 흐름길이를 측정했다. 측정결과는 아래와 같다.
Figure kpo00002
[비교예 1]
시료를 산화폴리에틸렌 왁스첨가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1와 같은 방법으로 조제했다. 항절 모듀러스, 다아트 충격강도 및 나선 흐름길이를 측정했다. 측정결과는 아래와 같다.
Figure kpo00003
[비교예 2]
시료를 산화폴리에틸렌 왁스를 사용하지 않는 것외는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조제했다. 항절 모듀러스, 다아트 충격강도 및 나선 흐름길이를 측정했다. 측정결과는 아래와 같다.
Figure kpo00004
[비교예 3]
시료를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산화폴리에틸렌 왁스 대신에 산소함량 0% 및 극한점도 {η} 0.14dl/g를 갖는 폴리에틸렌 왁스를 사용한 것외는 실시예 1와 같은 방법으로 조제했다. 항절 모듀러스, 다아트 충격강도 및 나선 흐름길이를 측정했다. 측정결과는 아래와 같다.
Figure kpo00005
상술한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의 측정 결과들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의 성형제품이 우수한 내충격성(디아트 충격강도)를 가지며, 본 발명에 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이 성형공정중에 유동성(나선 흐름길이)도 역시 우수함이 명백하다.
[실시예 3]
(i) 프로필렌 중합체(A) (상표명 : Hipol X-20, 미쓰이 세끼유 가가꾸 고오교오(주)사제, 용융유속 10g/10분) : 100부, (ii) 탈크(C), 실시예 1에 사용한 것 :43부, 및 (iii) 산화폴리에틸렌(D), 실시예 1에 사용한 것 : 2부.
성분들(i)-(iii)을 혼합하여 턴블러 믹서내에서 교반시킨 후에 45mmø 쌍스크류 압출기로 입자화시켰다. 얻어진 펠레트로부터 시료를 사출성형시켰고, 항절 모듀러스, 다아트 충격강도 및 나선 흐름길이를 측정했다. 측정결과는 아래와 같다.
Figure kpo00006
[비교예 4]
시료를 산화폴리에틸렌 첨가를 제외한 것외는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으로 조제했다. 항절 모듀러스, 다아트 충격강도 및 나선 흐름길이를 측정했다. 측정결과는 아래와 같다.
Figure kpo00007
[비교예 4]
(i) 프로필렌 중합체(A) (상표명 Hipol X-440, 용융유속 : 3g/10분, 미쓰이 세끼유 가가꾸 고오교오(주)사제) : 15%, (ii) 말레인산 무수물 그래프트 변성 프로필렌 중합체 (극한점도 η: 0.4dl/g 및 말레인산 무수물의 그래프트량 : 3.0%) : 1%, (iii)폴리아미드(E) (NY-6A-1022HR 유니치카(주)사제) : 84% 이후 성분들(i),(ii) 및 (iii) 10-100중량부에 대한 것이다. (iv) 변성 에틸렌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B) (에틸렌함량 : 81mol%, X-선에 의한 결정도 : 3%, 말레인산 무수물 그래프트량 : 1%) : 40부, (v) 에틸렌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B') (에틸렌함량 : 81mol%, X-선측정에 의한 결정도 : 3%) : 10부, (vi) 탈크(C) (Hifiller-15DS 마쓰무라 산교오사제, 평균입자 칫수 : 2μm) 60부 및 (vii) 산화폴리에틸렌 왁스(D) (산소함유량 : 0.5%, 극한점도 {η} : 0.13dl/g) : 2부.
상술한 성분들(i)-(vi)를 함께 혼합하여 턴블러 믹서로 교반시킨다음 45mmø 쌍스크류 압출기로 입자화시켰다. 얻어진 펠레트로부터 시료를 사출성형시키고 항절 모듀러스, 다아트 충격강도 및 나선 흐름길이를 측정했다. 측정결과는 아래와 같다.
Figure kpo00008

Claims (4)

  1. 프로필렌 중합체 100중량부(A) 불포화 카본산 또는 그의 유도체의 그래프트량이 0.01-10중량%, X-선 측정에 의한 결정도가 0-45%의 에틸렌 함량이 30-93mol%인 부분 그래프트-변성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0-100중량부(B), 무기분말상 충전제 5-150중량부(C) 및 0.1-11중량%의 산소함량을 갖는 산화폴리올레핀 왁스 0.1-15중량부(D)로 구성되는 강화열가소성 수지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A) 100중량부에 대해서 X-선 측정에 의한 결정도 0-45%와 에틸렌 함량 30-93몰%인 불변성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B') 0-200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강화열가소성 수지조성물.
  3. 5-95중량%의 프로필렌 중합체(A)와 95-5중량%의 폴리아미드(E)의 혼합물(A') 100중량부, 불포화 카본산 또는 그의 유도체의 그래프트량이 0.01-10중량%, X-선 측정에 의한 결정도가 0-45중량% 및 에틸렌 함량이 30-93몰%인 부분 그래프트-변성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B) 0-100중량부, 무기분말상 충전제(C) 5-150중량부 및 0.1-11중량%의 산소함량을 갖는 산화 폴리올레핀 왁스(D) 0.1-15중량부로 구성되는 강화열가소성 수지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성분(A') 100중량부에 대해서 X-선 측정에 의한 결정도 0-45%와 에틸렌 함량 30-93몰%인 불변성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를 0-200중량부, 더 포함하는 강화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19880005926A 1987-05-22 1988-05-20 강화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9100056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552287 1987-05-22
JP62-125522 1987-05-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4031A KR880014031A (ko) 1988-12-22
KR910005686B1 true KR910005686B1 (ko) 1991-08-01

Family

ID=14912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5926A KR910005686B1 (ko) 1987-05-22 1988-05-20 강화열가소성 수지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292264B1 (ko)
KR (1) KR910005686B1 (ko)
CN (1) CN88103008A (ko)
AT (1) ATE110753T1 (ko)
CA (1) CA1334697C (ko)
DE (1) DE385125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0568A (en) * 1987-01-29 1991-02-05 Copolymer Rubber & Chemical Corporation Thermoplastic polyolefin and ethylene copolymers with oxidized polyolefin
GB2226035A (en) * 1989-01-12 1990-06-20 Ici Plc Polymeric blends
AT403695B (de) * 1993-07-26 1998-04-27 Danubia Petrochem Polymere Blends aus elastomeren polypropylenen und nichtolefinischen thermoplasten
DE4439248A1 (de) * 1994-11-03 1996-05-09 Hoechst Ag Polyolefin-Formmasse mit verminderter Neigung zum Schälen
US5962573A (en) * 1998-02-13 1999-10-05 Montell North America Inc. Directly paintable thermoplastic olefin composition containing oxidized polyethylene waxes
CA2551792A1 (en) * 2003-12-31 2005-07-21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Filled olefin polymer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and scratch resistance
WO2009119536A1 (ja) 2008-03-27 2009-10-01 三井化学株式会社 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JP6019930B2 (ja) * 2011-09-02 2016-11-02 住友化学株式会社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105237884A (zh) * 2015-11-23 2016-01-13 南通容润汽车配件有限公司 增韧改性聚丙烯泡沫塑料的制备方法
WO2018221378A1 (ja) * 2017-05-30 2018-12-06 宇部興産株式会社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離型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7765A (en) * 1968-02-01 1982-03-02 Champion International Corporation Compatibilization of hydroxyl-containing fillers and thermoplastic polymers
US3822227A (en) * 1970-08-01 1974-07-02 Bayer Ag Homogeneous mixtures of polyamides and polyolefins
US4436863A (en) * 1981-05-01 1984-03-13 Allied Corporation Use of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s and oxidized high density polyethylene homopolymers as processing aids for talc filled polypropylene compounds
JPS59226041A (ja) * 1983-06-08 1984-12-19 Mitsubishi Petrochem Co Ltd フイラ−含有プロピレン重合体組成物
FR2577228B1 (fr) * 1985-02-13 1987-03-20 Seperef Compositions de resines de polypropylene chargees a resistance au choc amelioree et tubes et profiles obtenus a partir de ces compositions
US4722959A (en) * 1985-06-25 1988-02-02 Nippon Petrochemicals Co., Ltd. Flame-retardant olefin polymer composition
JPS62241941A (ja) * 1986-04-14 1987-10-22 Tonen Sekiyukagaku Kk 熱可塑性樹脂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92264A3 (en) 1990-08-29
EP0292264B1 (en) 1994-08-31
KR880014031A (ko) 1988-12-22
CA1334697C (en) 1995-03-07
DE3851256T2 (de) 1994-12-15
ATE110753T1 (de) 1994-09-15
EP0292264A2 (en) 1988-11-23
DE3851256D1 (de) 1994-10-06
CN88103008A (zh) 1988-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9164A (en) Thermoplastic polypropylene/polyamide molding composition
US7304107B2 (en) Toughen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mpositions
JPH08509772A (ja) グラフト改質した実質的に線状であるエチレンポリマー類と他の熱可塑性ポリマー類とのブレンド物
AU617482B2 (en) High-melt-flow fiber-reinforced polypropylene polymer compositions
KR910005686B1 (ko) 강화열가소성 수지조성물
JPS625186B2 (ko)
EP0364897A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H0242109B2 (ko)
US4507423A (en) Modified polyolefin composite material with improved properties
US5349027A (en) Modified polyolefin resin compositions
JPH0119814B2 (ko)
BE1009007A3 (nl) Vernette polymeersamenstelling bevattende polypropeen en polyetheen.
JP3243978B2 (ja) ポリアミド−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JP2569296B2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JPS5883043A (ja) 強化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JP2685296B2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JPH06228436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3092960B2 (ja) 成形物
JPH038382B2 (ko)
JPH0359934B2 (ko)
JP2833333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772219B2 (ja) 置換イミド変性低分子量ポリオレフィンおよび芳香族系重合体の滑性または離型性の改良用添加剤
JPH0873539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材料
JPH06322191A (ja) 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JP2685295B2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7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