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657Y1 - 전동지게차의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지게차의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657Y1
KR910005657Y1 KR2019880022004U KR880022004U KR910005657Y1 KR 910005657 Y1 KR910005657 Y1 KR 910005657Y1 KR 2019880022004 U KR2019880022004 U KR 2019880022004U KR 880022004 U KR880022004 U KR 880022004U KR 910005657 Y1 KR910005657 Y1 KR 9100056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lever
force
brak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220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2196U (ko
Inventor
박창희
김영국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이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이경훈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220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5657Y1/ko
Publication of KR9000121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21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6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6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5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 hydraulic system, e.g. a master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5Fork lift trucks, Industrial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동지게차의 제동장치
제 1 도는 전동지게차의 구동 및 제동장치의 개략적인 외관도.
제 2 도는 전동지게차에 사용되는 종래의 제동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제 3 도는 자동용 유압식 제동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제동장치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페달 31 : 레버
32 : 힌지핀 35 : 스프링
36 : 조정너트 37 : 마스터실린더
40 : 브레이크 43 : 조절볼트
본 고안은 전동지게차의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페달력 및 페달의 이동거리를 조정 및 제한할 수 있는 전동지게차의 유압식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지게차는 좁은 공간에 여러가지 부품을 조립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동장치를 설치하는데 공간상의 많은 제약을 받고 특히 적당한 페달력 및 페달의 이동거기를 확보하기 위하여 적절한 페달비를 가져야 한다. 현재 사용중인 제동지게차는 1개의 휘일만이 유압식 제동장치에 의해 제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페달의 이동거리가 작다. 페달의 적당한 이동거리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페달비를 증가시켜야 되므로 공간상의 제약을 받게 된다. 공간상의 문제가 해결된다 할지라도 페달비의 증가에 따른 페달력의 증가로 제동장치의 구성요소, 즉 마스터실린더, 휘일실린더, 브레이크 등의 강도상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페달의 이동거리와 페달력을 조정 및 제한할 수 있는 제동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제 1 도를 참조하여 일반적인 전동지게차의 구동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향차축(1)위에는 구동모터(2)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2)에는 제동부(3)가 결합되어 있다. 조향차축(1)의 일측하부에는 캐스터휘일(4)이 설치되어 있고, 타측 하부에는 구동모터(2)의 출력축과 결합되어 있는 감속기(5)를 통하여 구동휘일(6)이 설치되어 있다.
제 2 도를 참조하여 상기 제동부(3)에 사용되는 종래의 기계식 제동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대략 L자형의 페달(10)은 힌지핀(11)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할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페달(10)의 일측 상부에는 링크(12)가 고정되어 있고 링크(12)의 단부에는 캠(13)이 고정된 레버(14)가 설치되어 있다.
드럼(15)내에서 힌지핀(16)(16')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가능하도록 브레이크 슈우(17)(1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브레이크 슈우(17)(17')의 양단부가 캠(13)과 접촉되도록 브레이크 슈우(17)(17')사이에 스프링(18)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제동장치는 페달(10)에 작용하는 힘이 직접 캠(13)에 전달되므로 페달력과 페달의 이동거리를 조정 및 제한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제 3 도를 참조하여 자동차에 사용되는 유압식 제동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페달(20)의 대략 중앙부에는 로드(21)가 결합되어 있고 페달의 상부에는 스프링(22)이 설치되어 있다. 로드(21)에는 마스터실린더(23)가 결합되어 있고 마스터 실린더(23)에는 유압라인(24)(24')을 통하여 4개의 제동장치(25)(25')(26)(26')가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동장치는 페달비는 조정에 의해 적당한 페달력과 페달의 이동거리를 얻을 수 있으나 여러 개의 브레이크를 사용하게 되므로 가격이 높을 뿐만 아니라 공간을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전동지게차에는 적용시킬 수가 없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고안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동지게차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페달력과 페달의 이동거리를 조정할 수 있고 또한 제한할 수 있는 전동지게차의 제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목적은, 페달과, 상기 페달에 고정되어 있고 힌지핀에 피봇트되어 회동가능한 레버와, 상기 레버의 일측에 고정되어 있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에 고정되고 마스터실린더의 로드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조정너트와, 상기 마스터실린더에 접속되어 있는 유압라인을 통하여 결합되어 있는 브레이크와, 상기 레버의 수평면과 대향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조절볼트로 이루어지는 구성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도면 제 4 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전동지게차의 제동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페달(30)에는 레버(31)가 고정되어 있으며 레버(31)는 힌지핀(32)에 피봇트되어 회동할수 있게 된다. 레버(31)의 하부에는 수평면(33)이 형성되어 있으며 힌지핀(32)에 피봇트되어 있는 부분에서 절곡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절곡부(34)의 일측에는 스프링(35)이 고정되어 있고 스프링(35)은 조정너트(36)에 결합되어 있다. 조정너트(36)는 마스터 실린더(37)의 로드(38)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마스터실린더(37)에는 유압라인(39)을 접속하고 유압라인(39)은 브레이크(40)에 설치되어 있는 휘일실린더(41)와 접속된다. 지게차의 프레임(42)에는 레버(31)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조절볼트(4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동을 얻기 위해서는 페달(30)을 밟게 되며, 페달(30)에 눌러짐에 따라 레버(31)는 힌지핀(32)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레버(31)의 회전에 따라 페달측스프링(35)은 압축되기 시작하며, 페달측 스프링(35)의 압축은 브레이크(40)에 설치되어 있는 인장스프링(46)의 초기력과 같을 때까지 계속 진행된다. 페달측 스프링(35)의 압축력이 브레이크측 스프링(46)의 초기력 이상이 되면 마스터실린더(37)의 작동이 시작되어 브레이크(40)에서의 제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피봇점(45)을 중심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양쪽의 브레이크 슈우(44)는 평상시 인장 스프링(46)에 의해서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당겨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스프링력을 극복할 수 있는 정도의 힘이 휘일실린더(41)에 공급되지 않는 한 제동작용은 이루어질 수 없다. 그런데, 페달(30)을 밟으면 페달측 스프링(35)이 압축되면서 그 힘이 마스터실린더(37), 유입라인(39) 및 휘일 실린더(41)를 통해서 브레이크 슈우(44)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양쪽의 브레이크 슈우(44)는 피봇점(45)을 중심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 모멘트를 받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슈우(44)는 인장 스프링(46)에 의해서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견인되고 있으므로, 상기 회전 모멘트가 인장 스프링(46)의 견인력 보다 커져야만 브레이크 슈우(44)의 회전운동 및 그에 따른 제동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레버(31)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될 때 레버(31)의 수평면(33)이 조절볼트(43)에 접촉하게 되므로 페달(30)의 이동거리를 제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스프링(35)의 압축길이가 제한되므로 페달력도 제한할 수 있다. 페달(30)의 이동거리와 페달력을 변경시키고자 할 때에는 조절볼트(43)를 프레임(42)상에서 회전시켜 그 높이를 셋팅해 놓으면 된다. 스프링 초기력의 조정은 마스터 실린더(37)의 로드(38)에 설치되어 있는 조정 너트(36)를 로드(38)상에서 이동시켜 스프링(35)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아주 큰 힘이 페달(30)에 걸리면 필요한 스프링(35)력 이외의 힘은 조절볼트(43)를 통하여 프레임(42)에 전달되므로 브레이크(40)는 필요 이상의 힘을 받지 않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조정너트와 조절볼트에 의해서 페달력과 페달의 이동거리를 조정할수 있기 때문에 제동토오크에 대한 유연성이 좋고 정확한 제동이 이루어지는 산업상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전동식 지게차의 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동장치에 있어서, 힌지핀(32)을 중심으로 프레임(4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단부, 제2단부 및 수평면(33)을 구비하고 있는 레버(31)와, 상기 레버(31)의 제1단부에 부착된 페달(30)과, 상기 레버(31)의 제2단부에 고정된 압축코일 스프링(35)과,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35)에 연결된 로드(38)를 갖는 마스터실린더(37)와, 상기 마스터 실린더(37)에 유체적으로 접속되어서 페달(30)을 밟을 경우 브레이크 슈우(44)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동을 행할 수 있는 휘일실리더(41)와, 평상시 상기 브레이크 슈우(4)을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견인하고 있는 인장코일스프링(46)과, 상기 레버(31)의 각 운동범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프레임(42)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레버(31)가 최대로 회전하였을 때 그것의 수평면(33)과 접촉하여 더 이상의 회전운동을 규제하는 조정볼트(43)를 포함하고 있는 제동장치.
KR2019880022004U 1988-12-29 1988-12-29 전동지게차의 제동장치 KR9100056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2004U KR910005657Y1 (ko) 1988-12-29 1988-12-29 전동지게차의 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2004U KR910005657Y1 (ko) 1988-12-29 1988-12-29 전동지게차의 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2196U KR900012196U (ko) 1990-07-03
KR910005657Y1 true KR910005657Y1 (ko) 1991-07-30

Family

ID=19282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22004U KR910005657Y1 (ko) 1988-12-29 1988-12-29 전동지게차의 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565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2196U (ko) 1990-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7322B1 (ko) 자기 강화 브레이크 캘리퍼
KR20020077928A (ko) 가변 감속비를 갖는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
CA2122883C (en) Truck mounted brake apparatus
US4607729A (en) Brake unit for rail vehicles
JPH0133696B2 (ko)
SU810072A3 (ru) Передаточный механизм дл тормозногопРиВОд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910005657Y1 (ko) 전동지게차의 제동장치
JPS6298035A (ja) ドラムブレ−キ
US4152952A (en) Brake pedal linkage mechanism
US2315632A (en) Amplifying leverage for vehicle brakes
US5524732A (en) Dead man's brake for hand truck
US6122988A (en) Braking force distribution linkage for a manually actuated parking brake system
US3231295A (en) Anti-jackknifing device for tractor-trailers
US3525423A (en) Mechanical and hydraulic brake system
CN108657360B (zh) 基于涨刹制动器的锁止机构及其锁止控制方法
JPH0755670B2 (ja) 自転車用ブレーキ装置
US6155652A (en) Cam activated hydraulic braking system
JP2588882Y2 (ja) 電動車の走行制御装置
EP2567876A2 (en) Electrically operated brake
JPH0727255Y2 (ja) 車両用ブレーキ装置
CN117231649A (zh) 一种鼓式制动器、制动系统及其车辆
KR100387796B1 (ko) 주차브레이크 장치
KR100219238B1 (ko) 자동차의 드럼 브레이크
US2642960A (en) Brake safety mechanism
JPH045505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1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70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