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491B1 - 협대역 가입자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협대역 가입자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491B1
KR910005491B1 KR1019880016681A KR880016681A KR910005491B1 KR 910005491 B1 KR910005491 B1 KR 910005491B1 KR 1019880016681 A KR1019880016681 A KR 1019880016681A KR 880016681 A KR880016681 A KR 880016681A KR 910005491 B1 KR910005491 B1 KR 910005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ace means
subscriber line
subscriber
wire
line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6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1198A (ko
Inventor
정희창
오의교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filed Critical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to KR1019880016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5491B1/ko
Publication of KR900011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1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Devices For Supply Of Signal Curr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terface Circuits In Exchan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협대역 가입자 접속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구조에 대한 블록다이아그램.
제2도는 SLD프레임 구조도.
제3도는 ST버스 구조도,
제4도는 C채널 및 PR정보신호 발생회로도.
제5도는 루프백 회로의 예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 절차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비작동상태 절차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유지보수상태 절차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4선 가입자 선로단부 2 : 2선 가입자 선로단부
3 : 제어부 4 : 시스템 버스 변환부
5 : 전원공급부 10 : 제1인터페이스 회로
20 : 제2인터페이스 회로
본 발명은 종합정보통신망(ISDN)의 가입자-망간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 협대역 서비스(2B+D)를 일반 가입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협대역 가입자 접속장치(Network Terminating Equipment:/NTE)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통신망이 주로 아날로그(Analog) 전용회선(2선식)으로 구성되어 향후 도래하는 정보화 사회의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종합정보통신망(ISDN)의 구축에 있어서 전체 통신망을 디지털화해야 하는 필요에 부응하지 못하고 디지털 전용회선(4선식)의 새로운 설치에 따른 기술적, 경제적 문제와 기존의 아날로그 전용회선을 디지털 데이터 전송에 이용할시 발생하는 신호의 감쇄특성, 신호의 고속화에 따른 BT(Briged Tap)의 영향, 잡음, 선로간의 누화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일반 가입자가 종합정보통신망을 통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존의 2선 선로에 디지털 전송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망측과 가입자측 사이의 기본적 접속기능을 수행하고, 유지보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새로운 제어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가입자 단말과의 접속을 위해 트랜스 포머 및 상기 트랜스 포머와 결합된 제1인터페이스 수단으로 이루어진 4선 가입자 선로단부, 교환망과의 접속을 위해 트랜스 포머 및 상기 트랜스 포머와 결합된 제2인터페이스 수단으로 이루어진 2선 가입자 선로단부, 상기 4선 가입자 선로단부 및 상기 2선 가입자 선로단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인터페이스 수단과 상기 제2인터페이스 수단을 접속하기 위해 시스템 버스를 조정하는 시스템 버스 변환부, 교환망으로부터 공급된 직류전압의 극성에 의해 극성 반전 신호를 발생시키는 극성 반전 신호 발생수단, 교환망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용 버스에 C채널 비트를 할당하고, 상기 C채널 비트의 논리(0,1)에 따라 유지보수를 위한 상태를 제어하며, 상기 극성 반전 신호 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극성 반전 신호에 따라 교환망으로부터의 작동 (Actibation)/ 비작동 (Deactivation)요구를 판독하여 수행하며, 상기 제1인터페이스 수단과는 인터럽트 방식으로 가입자 단말과의 상태를 조사하고 그에 따라 작동/비작동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1인터페이스 수단, 상기 제2인터페이스 수단, 상기 시스템 버스 변환부, 및 극성 반전 신호 발생수단과 서로 연결된 제어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다이아그램이며, 도면에서 1은 4선 가입자 선로단부를, 2는 2선 가입자 선로단부를, 3은 제어부를, 4는 시스템 버스 변환부를, 5는 전원공급부를, 10은 제1인터페이스 회로를, 20은 제2인터페이스 회로를 나타낸다. 제1도에서, 4선 가입자 선로단부(1)는 4선 금속성 케이블을 통해 가입자 단말과 연결되는 부분으로, 다중의 가입자 단말이 접속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인터페이스 수단(10)은 CCITT 권고안 1.430에 준한 전기적 특성에 따라서 개발된 고집적 소자를 사용하여 구성하였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인터페이스용 고집적 소자는 지멘스(Simeans)사의 ISAC-S(ISDN Subscriber Access Controller)PEB 2085를 사용하였다. 시스템 버스 변환부(4)는 2선 가입자 선로단부(2)의 입출력을 제1인터페이스 회로(10)에 접속시키기 위한 것으로 각 인터페이스 회로의 시스템 버스가 다르므로 이를 고려하여, 시스템 내부에서 변환되어야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2B채널을 시스템 버스간의 타임슬롯에 적절히 할당하고, 제어하는 기능을 하는 VLSI로 인텔(Intel)사의 IATC(Integrated Line Card Countroller)2952를 사용하여 2B채널의 시스템내의 버스를 구성하였고, 반면에 D채널의 시스템내의 버스를 구성하였고, 반면에 D채널은 이 VLSI를 통해 전송되지 않으므로, 외부 하드웨어의 경로를 통하여 통과되도록 하였다. 2B채널의 통로를 구성하는 상기 LATC 2852는 2선 가입자 선로단부(2)와 직접 인터페이스 되어 필요한 클럭을 공급받음으로써, 교환망의 클럭과 동기를 맞추게 되며, 이에 동기된 클럭을 제1인터페이스 회로(10)에 공급함으로써 제1인터페이스 회로의 동기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인터페이스 회로와의 신호는 SLD 버스를 통해 인터페이스 될 수 있으며 SLD버스는 한 프레임에 타임 컴프레션 멀티플렉싱(Time Compression Multiplexing) 기법을 사용하여, 송수신을 전 이중방식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버스 형태로써, 인텔사 및 지멘스사의 대표적인 ISDN용 VLSI에 사용하고 있는 방식이다. 제2도는 SLD버스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2선 가입자 선로단부(2)는 제2인터페이스 회로(20) 및 트랜스 포머(T2)로 구성되며, 기존의 전화망 가입자 선로를 통해 협대역 서비스(144 kbps)를 전 이중방식으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로서 망측의 마스터 동작에 대한 슬레이브로 동작하며, 가입자 선로의 디지털 동기를 유지하기 위한 동기신호 및 유지보수 기능을 위한 C채널 비트를 협대역 서비스의 데이터와 함께 한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전송한다. 가입자 선로를 통해 디지털 통신을 하기 위해 전송되는 정보는 선로 특성에 맞게 코우딩되어야 하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바이페이즈(biphase)코우딩한 정보를 160 kbps로 전 이중방식으로 전송한다. 또한 2선 가입자 선로단부(2)의 제2인터페이스 회로는 미텔(Mitel)사이 DNIC(Digital Network Interface Circuit) 8972를 사용하였다.
상기 마텔사의 VLSI 는 각 VLSI간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시스템 버스 형태로 ST버스라는 독특한 형태의 구조를 갖는다. ST버스는 4,096KHz의 주 클럭으로 8KHz마다 한 프레임을 구성하며, 한 프레임을 64KHz의 데이터 채널이 32채널로 멀티플렉스되어 구성된다. 프레임 신호(Fo)(8KHz)에 대해 채널 0의 비트 0,1은 16KHz의 D채널 데이터 할당에 사용되며 채널 1의 8비트는 각 VLSI를 제어하는 제어명령 및 상태표시를 나타내는 상태표시용이며, 채널 2는 B1채널 , 채널 3은 B2채널 데이터 전송용이다. 이러한 ST버스의 구조는 제3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ST버스내의 2B+D채널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CNIC가 가입자 선로상에 갖는 프레임 포맷은 제3도에 나타나 있으며, 시스템 버스의 채널1이 사용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채널로 이용되며, 이 채널은 제어 하드웨어로 입력이 구성되어 시스템 버스를 통해 입력된다. 제어채널을 통해 입력되는 C채널 정보는 가입자 선로를 통해 망측과 송, 수신되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이 C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2선 가입자 선로단부(2)의 유지보수를 위한 루프백(Loop back)설정, 해제의 요구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 DNIC의 가입자 선로 인터페이스에 사용되는 트랜스 포머는 2 : 1의 비율로 선로에 신호를 인터페이스 시키며 국급전 70v내외에 견딜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제어부(3)는 4선 가입자 선로단부(1) 및 2선 가입자 선로단부(2)의 동작상태를 조사하여 현재의 상태에 따른 다음 선택의 동작 변환으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망측의 C채널을 조사함으로써 유지보수 기능 요구에 따른 제어를 한다. 제1인터페이스 회로와는 인터럽트 방식으로 가입자와의 상태를 조사하고 그에 따른 작동(Activation)/비작동(Deactivation) 명령을 수행시킴으로써 협대역 서비스를 위한 물리적 링크를 형성시키며, 2선 가입자 선로단부와는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하여 망측의 상태 인식 및 제어를 수행한다.
망측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극성을 조사함으로써 망측의 작동/비작동 요구를 인식하고, 이를 수행하며, 현재의 상태를 제어신호로 구성하여 출력시킴으로서 외장 케이스를 통해 가입자가 외부에서 알 수 있도록 하였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프로세서는 CMOS형을 사용함으로써 전력소비를 줄이도록 하였다. 망측과 제어부간의 제어기능을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어부가 유지보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제어기능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면, 제2인터페이스 회로(20)를 통해서 발생한 클럭(4096KHz)은 2분주기를 통해 2048KHz로 변환되며 이것은 다시 256분주기를 통해 8KHz로부터 1028KHz까지 분주되며, 이중 하위 5분주 즉, 8KHz, 16KHz, 32KHz, 64KHz, 128KHz핀으로부터 출력된 펄스를 NAND 게이트를 통하게 하고 그후 인버터를 통과시킨다.
한편 상기 제2인터페이스 수단의 DSTo 핀으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는 2048KHz의 속도를 직렬/병렬 컨버터를 통해 8핀으로 변환되어 출력되며, 이 데이터 신호는 래치회로를 통해 출력된다.
이때 상기 인버터를 통해 출력된 클럭 비트를 상기 래치에서 제어 비트로 사용하도록 받아들여 C채널 비트가 포함된 프레임만을 래치가 출력시키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출력된 C채널 비트가 포함된 프레임 데이터중 C채널 비트만을 CPU에서 판독해 내어 이 비트에 CPU가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예를들어 C채널 비트가 0일 때 정상상태이고 1일 때 유지보수 기능을 위한 요구일 때 비트가 1이었다면, CPU는 이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송출하게 되며 이 송출된 제어신호에 의해 제4도에서와 같이 제1인터페이스 수단과 제2인터페이스 수단간의 버스상에 있는 스위치가 DSTo 핀쪽으로 전환되어 망측에서 나온 데이터가 망측으로 다시 되돌려 지도록 하는 루프백(Loop back) 회로를 이루도록 하였다.
다음 망측에서 제공된 직류전압의 극성에 따라 제어부에서 작동/비작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송출하도록 하였으며, 이때 사용되는 신호를 극성 반전 신호(PR)이라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서는 PR신호의 발생은 망측으로부터의 직류전압의 극성에 따라 0.1비트가 공급되도록 하였으며, 이를 전원공급부에 수행하도록 하였다.
다음은 제6도 내지 제8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능수행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작동(Activation) 절차에 대한 설명도이다. 작동명령은 가입자 단말이나 망측의 요구에 의해 수행되며, 4선 가입자 선로단부(1)는 I.430에 정의된 정보신호의 송, 수신 절차에 의해 수행되고, 2선 가입자 선로단부(2)는 극성 반전 감지회로 및 C채널 비트의 송신으로 수행된다.
도면에서 단말이 먼저 작동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①에서 시작되며, 망측이 먼저 요구되는 경우는 ②에서 시작된다. 이것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말이 작동을 요구함에 따라 본 발명 장치의 제어부(3)는 상기 요구신호(I1)를 수신한 후 망측으로 대응제어신호(C=1)를 송출한다.
망측에서는 상기 신호를 수신한 후 대응한 작동신호(PR=1,C=0)를 제어부로 송신한다. 제어부는 이러한 신호를 수신한 후, 단말과 망측에 각각 동작확인신호(I2, C=1)를 보내게 되며, 그후 동기과정(I2→I3→I4)을 거쳐 작동상태가 완료하게 된다.
제7도는 본 발명 장치의 비작동 절차에 대한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장치의 비작동(Deactivation)명령요구는 망측에 의해서만 가능하고, 단말을 요구할 수 없다. 망측의 요구에 의해 수행되는 비작동 명령요구는 망측에서 비작동 명령신호(PR=0)를 제어부(3)로 보낸후, 제어부(3)가 이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IO, C=0)를 단말과 망측에 각각 보내고, 단말은 이 응답신호(IO)에 대한 수신확인 신호를 다시 제어부에 보냄으로써 완료된다.
제8도는 유지보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절차에 대한 설명도이다.
즉, 망측으로부터 가입자 선로상의 에러를 감지하고 고정위치를 확인하고자 할 때 루프백(Loop back) 기능을 요구하면, 이에 대응하여 2B+D전 채널을 망측으로 루프백 시킴으로써, 망측이 가입자 선로를 시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망측의 유지보스 기능요구는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 아웃-오브-서비스(out-of-service)상태에서 실행되며, 망측은 시험 패턴 데이터로 루프백 기능을 시험하도록 한다.
본 발명 장치내에서는 2선 가입자 선로단부(2)를 통해 가입자 선로에서 시스템 버스로 출력되는 2B+D채널 데이터를 시스템 버스내에서 루프백시킴으로써, 2선 선로로 재전송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가 있다. 첫째, 기존의 2선 가입자 선로단에 디지탈 전송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2B+D"정보를 송, 수신 가능하게 하며, 새로운 디지털 전송회선을 설치하지 않고도 기존의 2선 선로를 이용하여 가입자와 망간의 협대역 서비스가 가능하며 사용범위가 넓고 경제적이다. 둘째, C채널 및 극성 반전 감지회로와 루프백 제어회로를 통해 망측에서 선로 상태를 시험하고 선로상의 에러를 감지하는 유지보수를 위한 제어기능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가입자 단말과의 접속을 위해 트랜스 포머(T1) 및 상기 트랜스 포머(T1)와 결합된 제1인터페이스 수단으로 이루어진 4선 가입자 선로단부(1), 교환망과의 접속을 위해 트랜스 포머(T2) 및 상기 트랜스 포머(T2)와 결합된 제2인터페이스 수단으로 이루어진 2선 가입자 선로단부(2), 상기 4선 가입자 선로단부 및 상기 2선 가입자 선로단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인터페이스 수단(10)과 상기 제2인터페이스 수단(20)을 접속하기 위해 시스템 버스를 조정하는 시스템 버스 변환부(4), 교환망으로부터 공급된 직류전압의 극성에 의해 극성 반전 신호(PR)를 발생시키는 전원공급수단(5), 교환망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용 버스에 C채널 비트를 할당하고, 상기 C채널 비트의 논리(0,1)에 따라 유지 보수를 위한 상태를 제어하며, 상기 극성 반전 신호 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극성 반전 신호에 따라 교환망으로부터의 작동(Activation)/비작동(Deactivation)요구를 판독하여 수행하며, 상기 제1인터페이스 수단과는 인터랩트 방식으로 가입자 단말과의 상태를 조사하고 그에 따라 작동/비작동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1인터페이스 수단, 상기 제2인터페이스 수단, 상기 시스템 버스 변환부 및 극성 반전 신호 발생수단과 서로 연결된 제어부(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대역 가입자 접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선 가입자 선로단부(2)의 제2인터페이스 수단(20)은 2선 전화망 선로에 디지털 전송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교환망과 "2B+D"정보를 금속성 선로를 통해 전 이중방식으로 송수신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대역 가입자 접속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인터페이스 수단(20)은 상기 시스템 버스 변환부를 통해 "2B" 채널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대역 가입자 접속장치.
KR1019880016681A 1988-12-14 1988-12-14 협대역 가입자 접속장치 KR910005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6681A KR910005491B1 (ko) 1988-12-14 1988-12-14 협대역 가입자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6681A KR910005491B1 (ko) 1988-12-14 1988-12-14 협대역 가입자 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198A KR900011198A (ko) 1990-07-11
KR910005491B1 true KR910005491B1 (ko) 1991-07-31

Family

ID=19280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6681A KR910005491B1 (ko) 1988-12-14 1988-12-14 협대역 가입자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54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1651A (ja) * 1994-06-24 1996-02-20 Harris Corp 加入者線インタフェース回路及びインピーダンス整合方法並びにハイブリッド間エコーキャンセレーショ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198A (ko) 1990-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51648A (ja) モデムプーリングシステム
JPH0451638A (ja) モデムプーリングシステム
KR930008709B1 (ko) 디지탈 전송 라인 루프 형성 방법 및 장치
US5341370A (en) Data transfer between high bit rate buses via unshielded low bit rate bus
US6111889A (en) Master-slave data communication system
US5333182A (en) Arbitrary selecting of a terminal to be called in key telephone systems
CA1248604A (en) Loop around data channel unit
US4984234A (en) Time-division switching system
KR910005491B1 (ko) 협대역 가입자 접속장치
US5140625A (en) System for testing 2B1Q telephony loopback circuits and method therefor
US5596623A (en) Testing and complaint accepting communication unit
NZ227092A (en) Digital key telephone system
US5737390A (en) Digital exchange system with function of displaying operation state of system
KR100237874B1 (ko) 광가입자전송시스팀의 기존운용시스팀 접속장치
CA2019002C (en) Data transfer between high bit rate buses via unshielded low bit rate bus
KR0154893B1 (ko) 전용회선 증배장치
JP3338197B2 (ja) インタフェース変換装置
KR0131558B1 (ko) 고속 데이터 전용회선 서비스 장치
KR0128170B1 (ko) 디지탈 키폰시스템에서 디지털 키폰전화기 접속장치 및 방법
KR960001089B1 (ko) 시스템 상태 감지 및 시험장치
KR910008758B1 (ko) 선로 종단 장치
KR100277476B1 (ko) 사설 교환기의 국선 보드 자기 진단장치 및 방법
KR100433880B1 (ko) 광전송시스템의 가입자회선 시험장치 및 방법
JPS6160054A (ja) 打合せ電話方式
KR960009466B1 (ko) Tdx-ib isdn 시스템의 isdn 기본접속 가입자 보드에 대한 시험방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7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