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4893B1 - 전용회선 증배장치 - Google Patents

전용회선 증배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4893B1
KR0154893B1 KR1019940020310A KR19940020310A KR0154893B1 KR 0154893 B1 KR0154893 B1 KR 0154893B1 KR 1019940020310 A KR1019940020310 A KR 1019940020310A KR 19940020310 A KR19940020310 A KR 19940020310A KR 0154893 B1 KR0154893 B1 KR 0154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line
storage means
shift register
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0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5180A (ko
Inventor
이정렬
Original Assignee
서영택
주식회사장백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택, 주식회사장백정보통신 filed Critical 서영택
Priority to KR1019940020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4893B1/ko
Publication of KR950035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5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4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48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2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using different combinations of lines, e.g. phantom 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4Testing correct operation
    • H04L1/242Testing correct operation by comparing a transmitted test signal with a locally generated replica
    • H04L1/243Testing correct operation by comparing a transmitted test signal with a locally generated replica at the transmitter, using a loop-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4선을 이용하여 하나의 단말을 수용하던 데이터 전용회선을, 2선을 사용하여 하나 또는 2개의 단말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가입자 선로 다중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ISDN의 U-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2개 단말장치(4, 4')와 2선 선로(L)를 정합하는 2중 디지틀 서비스 장치(30)와, 전용망과의 통신을 매개하는 2중 데이터 포트(2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전용회선을 절약할 수 있고 선로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용회선 증배장치
제1도는 종래 전용회선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전용회선 증배장치의 구성도.
제3도는 가입자선로 다중화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2중 디지틀 서비스 유니트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2중 디지틀 서비스 유니트의 데이터 디멀티플렉싱 동작을 위한 회로 구성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라 2선선로를 통해 입력된 다중화 데이터를 단국장치와 정합하기 위한 2중 데이터포트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시스템의 유지보수를 위한 래칭 루프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단국장치 4 : 단말장치
20 : 2중 데이터 포트 25, 35 : 멀티플렉서
30 : 2중 디지털 서비스 유니트 22, 31 : 쉬프트 레지스터
23, 33 : 레지스터 34 : 비교기
35 : 멀티플렉서 36 : DSOA포맷 제어회로
37 : 데이터 로드 제어회로 38 : 전송속도 선택 제어회로
39 : U-인터페이스 드라이버
본 발명은 전용회선의 증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2선 선로를 통해 전용회선 데이터를 ISDN의 전송방식인 2B1Q 선로부호로 변환하여 양방향 디지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되는 데이터 다중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데이터 전용회선은 양방향 통신의 동시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화 2회선에 해당하는 4선식 선로를 이용하고 있다. 이와같은 통신회선을 사용하는 데이터 전송시스템은 일예로 제1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망사업자가 운용하는 단국장치(1)에 설치되는 다수의 데이터 포트(DP ; 2)와, 가입자측에 설치되는 데이터회선 종단장치(DCE)인 각각의 디지틀 서비스 유니트(DSU ; 3), 그리고 이 DSU와 연결된 가입자 단말장치(DTE ; 4)를 포함한다.
상기 4선선로(LL)를 통해 하나의 데이터 포트(DP ; 2)와 하나의 디지틀 서비스 유니트(DSU ; 3)가 연결된다. 단국장치(1)는 KD-4, KD4A, P32-T와 같은 단국장치를 지칭하며, 단말장치(4)는 컴퓨터와 입출력장치를 칭한다. 또한 디지틀 서비스 유니트(DSU)는 DTE/DEC 사이의 신호 인터페이스 조건과 전송로 측의 신호인터페이스 조건과의 상호변환을 행한다.
위와같은 데이터 전송시스템에서, 근래 정보통신분야의 현저한 발전으로 전용회선 서비스에 대한 일반 이용자들의 수요가 증가일로에 있고 특히 디지틀(부호급)회선 서비스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단국측의 용량이 충분하지만 예비선로가 부족한 경우, 또는 선로가설이 기술적으로 불가능할 때가 있으며, 통상 전용회선을 증설하기 위해서는 망사업자의 선로비용이 막대하게 들고, 회선이 적게 포설된 지역에서는 전용회선조차 이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불편을 해소하여 데이터 전용회선을 증설함이 없이 기설치된 2선 전화선로를 사용하여 2개의 동기/비동기식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여 가입자회선의 절감을 유도하고 회선 및 전송용량이 있어 증배효과를 가져오는 가입자 선로 다중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ISDN의 U-인터페이스방식을 채택하여 가입자측의 2개 단말장치와 통상의 2선전화회선을 정합하는 2중 또는 2채널 디지틀 서비스 장치(DDSU)와 전용망과 2선선로를 매개하는 2중 또는 2채널 데이터 포트(DDP)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에 한 단말기를 연결하기 위하여 4선을 필요로 하던 것을 2선의 일반회선을 사용하여 2선식 전이중방식 통신을 가능케하고 디지틀 서비스 유니트에 또 하나의 단말기를 더 연결하여 2대의 단말장치와 통신하게 할 수 있으므로 기존에 비하여 4배의 선로효율을 가져온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용회선 증배장치는 2대의 단말장치(4, 4')와 2선 선로(L)를 정합하는 2중 또는 2채널 디지틀 서비스 장치(DDSU; Dual Digital Service Unit : 30)와, 단국장치(1)와 2선 선로를 정합하는 2중 또는 2채널 데이터 포트(DDP ; Dual Data Port ; 20)로 구성된다.
2중 디지틀 서비스 장치(DDSU;30)는 2개 단말장치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선로(L)측으로 전송한다. 또한 DDSU(30)는 역으로 선로(L)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분리하여 각 단말장치(4. 4')로 분배한다.
한편, 2중 데이터포트(DDP ; 20)는 선로(L)를 통해 DDSU(30)에서 오는 신호를 분리하여 각 채널에 싣는다. 한편 단국장치(1)의 망쪽에서 오는 신로를 받아 다중화 하고 2B1Q 방식으로 변환하여 DDSU(30)로 보낸다.
상기 전용회선 증배장치의 디지틀 선로 정합은 ISDN U-인터페이스로 구현된다.
2중 디지틀 서비스 장치(DDSU : 30)에서 수행하는 데이터 다중화 방법을 제3도를 참고로 설명한다.
즉, 2중디지틀 서비스 장치(DDSU ; 30)는 데이터의 다중화를 위해 2개 단말장치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전송속도에 따라 해당되는 비트 길이만큼 저장하는 쉬프트 레지스터(31)와 전송속도별로 저장된 데이터를 DSOA포맷으로 멀티플렉싱하여 선로측으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35)와, 동기 클록신호 SUBCLK에 의해 쉬프트 레지스터(31)에서 전송속도에 따른 비트 길이만큼 데이터의 저장을 제어하는 인에이블 신호 생선회로(32)와, 소정 클록신호 CLK1에 의해 상기 멀티플렉서(35)가 전송속도별 데이터의 반복횟수를 결정하게하여 일정한 다중채널 전송속도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DSOA 멀티플렉스 포맷 제어회로(36), 소정 클록신호 CLK2에 의해 상기 멀티플랙서(35)에서 일정속도로 변환된 데이터를 ISDN U-인터페이스에 적합한 속도로 변환하게 하는 IOM2 버스변환회로(36A)와, 멀티플렉서(35)에서 출력된 2채널 디지틀 데이터를 2선선로와 정합하는 U-인터페이스 드라이버(39)를 포함한다.
상기 U-인터페이스는 알려진 바와 같이 종합정보통신망(ISDN)에서 2선의 디지틀 가입자선로를 통한 국측 접속장치(LT)와 가입자측 접속장치(NT)간의 기본 인터페이스 규격을 말한다.
한편, 2개 단말장치(4, 4')와 2중디지틀 서비스 장치(DD녀 ; 30)간의 인터페이스는 EIA의 RS-232C 규격 또는 CCITT의 V.24/V.35 규격을 사용한다.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31)는 전송속도별 요금체계에 따른 2개 단말장치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해당 전송속도에 따라 6비트 내지 8비트 단위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즉, 2.4kbps, 4.8kbps, 9.6kbps에서는 8비트, 56kbps에서는 7비트, 64kbps에서는 8비트 길이단위로 저장한다.
멀티플렉서(35)에서 수행하는 DSOA포맷 멀티플렉싱은 전송송도별로 저장된 데이터를 8KHz의 클록신호 CLK1에 동기하여 U-인터페이스 전송데이터포맷(2B+D)의 2개채널(B1, B2) 전송속도(64kbps)에 적합하도록 DSOA 포맷 제어회로(36)의 제어하에 소정회수로 반복시켜 전송시킴을 뜻한다. 즉, 2.4kbps. 4.8kbps, 9.6kbps의 속도를 갖는 데이터(6비트)는 각각 20회, 10회, 5회씩 반복하여 64kbps의 채널전송속도를 갖는 데이터로 변환하고, 56kbps의 입력데이터(7비트)는 1회반복하여 64kbps의 전송속도를 갖는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 64kbps로 변환된 데이터는 ISDN U-인터페이스에 적합하게 768kHz로 변환되어 I0M2 버스에 실린다. 이에 관련한 제어신호는 I0M2버스 변환회로(36A)에서 만들어진다.
이와같이 변환된 2채널데이터는 멀티플렉서(35)에서 출력되어 순차적으로 U-인터페이스 라인 드라이버(39)로 공급된다.
U -인터페이스 라인 드라이버(39)는 2선선로를 이용하여 전이중방식 통신을 가능하게 비트 동기 및 반향제거기능과 2B1Q 라인코딩 및 테스트 루프 스위칭동작을 수행하는 통상의 집적회로로서 예를들어 독일 지멘스사에서 제조한 모델번호 PEB-2070, PEB-2091의 것을 사용한다.
여기서 2선 전화선로를 통한 가입자측 단말장치와 국측 단말장치간의 디지틀 데이터 송수신은 상기 U-인터페이스의 라인 코딩방식인 2B1Q 방식을 이용하여 양방향 160kbps의 속도로 데이터 전송을 행한다. 2B1Q 코딩방식은 다음의 표1과 같이 4레벨 코드로 연속된 2비트를 하나의 쿼터너리 전압레벨로 변환한 것이다.
제4도는 상기 2중 디지틀 서비스 유니트(30)에서 2선선로를 통해 입력된 다중화 데이터 2B+D 중 1채널의 데이터 B1의 디멀티플렉싱 동작을 위한 회로 구성을 보인 것이다.
2중 디지틀 서비스 유니트(30)의 디멀티플렉싱회로는 입력 데이터의 임시저장을 위한 쉬프트 레지스터(31A)와 DSOA 포맷으로 다중화된 데이터중 유효데이터 만을 저장하는 레지스터(33)와,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에 저장되는 데이터에서 같은 데이터가 반복되는 값을 검출하여 신호를 레지스터(33)로 인가하는 비교기(34)와, 단말기측의 전송속도에 따라 레지스터(33)로부터 6비트 또는 7비트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순차로 출력하는 쉬프트 레지스터(31B)를 포함한다. 도면부호 37은 전송속도에 따라 상기 레지스터(33)로부터 쉬프트 레지스터(31B)로의 데이터 저장을 제어하는 데이터로드 제어회로이며, 38은 전송속도에 해당하는 비트 길이만큼의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어해 주는 전송속도 선택제어회로를 나타낸다.
DSOA 포맷으로 다중화되어 입력된 2채널 데이터는 768kHz 클록신호 CLK2에 동기되어 쉬프트 레지스터(31A)로 40비트씩 저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DSOA 포맷은 전송속도에 따라 같은 데이터가 반복되는 횟수가 다르게 되어 있으므로 그중에서 유효한 데이터 길이, 즉, 2.4kbps, 4.8kbps, 9.6kbps에서는 6비트, 56kbps에서는 7비트, 64kbps에서는 8비트 만이 레지스터(33)에 저장되게 한다.
비교기 회로(34)는 같은 데이터가 반복되는 값을 검출하였다는 신호를 레지스터(33)로 인가한다. 이에의해 레지스터(33)는 반복되는 데이터중 유효한 데이터만을 저장한다.
데이터 로드 제어회로(37)는 전송속도에 따라 레지스터(33)로부터 6비트 또는 7비트의 데이터를 쉬프트 레지스터(31B)로 저정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 쉬프트 레지스터(31B)에 저장된 데이터는 선택된 전송속도에 대응한 클록신호 CLKO(2400, 4800, 9600, 56000Hz)에 동기가 맞추어져 단말장치(4)로 출력된다.
전송속도 선택 제어회로(38)는 카운터 회로로 구성되어 8kHz 클록신호에 동기되고 사용자의 키 선택에 의해 전송속도에 해당하는 비트 길이만큼의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어해 준다.
이로써 본 발명의 2중 디지탈 서비스 유니트(30)는 입력된 다중화된 데이터를 전송속도별로 단말장치의 정합할 수 있게 된다.
제5도를 참조하면, 전술한 2중데이터 포트(20)에서 2선선로를 통해 입력되는 다중화 데이터를 단국장치(1)와 정합하기 위한 회로구성이 나타나 있다.
여기서 2중데이터 포트(20)는 각 채널의 데이터를 768kHz 클록신호에 동기하여 임시저장하는 쉬프트 레지스터(22)와, 8kHz 동기신호로 쉬프트 레지스터에 있는 데이터를 다시 저장하는 레지스터(23)와, 카운터(26)에 의해 64kHz로 분주한 속도에 맞추어 64 kbps 속도로 데이터를 단국과 정합해주는 멀티플렉서(25)로 이루어진다.
상기 U-인터페이스 구간에서 실려온 데이터(2B+D)는 768kHz의 클록신호 CLK2에 동기되어 쉬프트 레지스터(22)로 저장한다.
레지스터(23)는 8kHz의 클록에 동기를 맞추어 쉬프트 레지스터(22)에 저장된 데이터를 다시 저장한다.
멀티플렉서(25)는 카운터(26)에서 64kHz를 분주한 속도에 맞추어서 64k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출력하게 만들어 단국장치(1)와 정합시킨다.
제6도는 본 발명 다중화전송시스템의 신뢰성 유지 및 전화국의 유지 보수 차원에서 가입자영역, 선로영역 및 국영역에서의 구간별 이상개소를 찾아내기 위해 통상의 테스트 장치로부터 생성된 래칭 루프백(Latching Loop Back) 정보를 전술한 U-인터페이스 2B+D 데이터전송포맷의 D채널을 통해 단말기측으로 전송하여 해당 루프백 동작을 취하게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단국장치 LT측에서는 망으로부터 내려오는 OCU, CSU, DSU래칭 루프백 코드를 감지하여 상기 D채널에 해당 루프백 정보를 싣고, 2선선로를 통해 가입자 단말기측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OCU는 Office Channel Unit의 약자로 OCU 래칭 루프백을 단국장치의 라인 접속부 즉 데이터포트(20)내에 루프를 형성하고 소정의 루프백 코드를 인가함에 의해 단국장치 LT측에 이상이 있는지를 테스트하게 된다. 유사하게, CSU는 Channel Service Unit의 약자이며, 가입자측의 디지틀 서비스 유니트(30)내의 2선선로 접속부에 루프를 형성, 통신회선상에 이상이 있는지 검사가 가능하고, DSU는 Data Service Unit의 약자로 DDSU(30)내의 가입자 단말 접속부에 루프를 형성하여 가입자 영역에의 이상유무를 검사하게 된다.
상기 OCU, CSU, DSU 래칭 루프백 코드를 표2에 나타내었다.
가입자 영역에서 2중디지틀 서비스 유니트(30)는 수신한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래칭루프백 동작을 실행한다. 예를들어, DDSU(30)에서 D채널을 통하여 수신한 코드값이 01 일때 OCU 루프백 상태를 표시하고, 02 일때 CSU 래칭 루프백 동작을 취하며, 03 일때 DSU래칭 루프백 동작을 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용회선 증배장치는 2선선로를 사용하여 2채널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통신선로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지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용회선증배장치는 기존의 전용망 장치인 DSU 및 DP와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우기 본 발명 장치에 의하여 종합정보통신망(ISDN)에서 종단장치로 되는 디지틀 서비스장치(DSU)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향후 전송망시스템 변경시 별도의 DSU가 필요없다고 하는 편리성이 있다.

Claims (5)

  1. 2개 단말장치(DTE)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전송속도를 따라 해당되는 유효데이터 비트 길이만큼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전송속도별로 저장된 데이터를 DSOA포맷으로 다중화하고 2개 채널의 일정속도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멀티플렉서와, 동기신호에 의해 전송속도에 따라 유효비트 길이만큼 데이터의 저장을 제어하는 인에이블 신호 생성회로와, 소정 클록신호에 의해 상기 멀티플렉서가 전송속도별 데이터의 반복횟수를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DSOA 멀티플렉스 포맷 제어회로와, 소정 클록신호에 의해 상기 멀티플렉서에서 일정속도로 변환된 데이터를 U-인터페이스에 적합한 속도로 변환하게 하는 IOM2 버스 변환회로와, 그리고, 멀티플렉서에서 출력된 2채널 디지틀 데이터를 2선선로와 정합하는 ISDN U-인터페이스 드라이버로 이루어진 2중 디지틀 서비스 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은 입력 데이터를 충분히 저장할 수 있는 크기의 쉬프트 레지스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2중 디지틀 서비스 유니트.
  3. 2선선로를 통해 입력된 다중화 데이터를 임시저장하는 저장수단과, DSOA 포맷으로 다중화된 데이터중 유효데이터만을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상기 임시저장수단에 저장되는 데이터에서 같은 데이터가 반복되는 값을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유효데이터 저장수단으로 인가하는 비교기와, 단말장치의 설정된 전송속도에 따라 유효데이터 저장수단으로부터 6비트 또는 7비트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 데이터를 단말장치측으로 순차로 출력하는 쉬프트 레지스터와, 전송속도에 따라 상기 유효데이터 저장수단으로부터 쉬프트 레지스터의 데이터 저장을 제어하는 데이터 로드 제어회로와,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가 전송속도에 해당하는 비트 길이만큼의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전송속도 선택 제어회로로 이루어진 2중 디지틀 서비스 유니트.
  4. U 인터페이스 구간을 통해 들어온 각 채널의 데이터를 소정 클록신호에 동기하여 임시저장하는 쉬프트 레지스터와, 8kHz 동기신호에 따리 쉬프트 레지스터에 있는 데이터를 다시 저장하는 레지스터와, 카운터에 의해 64kHz로 분주한 속도에 맞추어 64kbps 속도로 데이터를 단국과 정합해주는 멀티플렉서로 구성되는 2중 데이터 포트.
  5. ISDN의 U-인터페이스를 이용한 가입자 선로 다중화 전송시스템의 유지보수를 위해 가입자영역, 선로영역 및 국영역에서의 구간별 이상개소를 검사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국장치측의 통상의 테스트 장치로부터 생성되어 망으로부터 내려오는 OCU, CSU, DSU 래칭 루프백 코드를 2중 데이터포트가 감지하여 ISDN U-인터페이스 데이터전송포맷의 D채널에 해당 루프백 정보를 실어 2선선로를 통해 가입자 단말기측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가입자 영역의 2중디지틀 서비스 유니트에서 상기 D체널을 통하여 수신한 루프백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래칭 루프백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전용회선 증배장치의 래칭 루프백 방법.
KR1019940020310A 1994-05-25 1994-08-17 전용회선 증배장치 KR0154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0310A KR0154893B1 (ko) 1994-05-25 1994-08-17 전용회선 증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40011434 1994-05-25
KR94-11434 1994-05-25
KR1019940020310A KR0154893B1 (ko) 1994-05-25 1994-08-17 전용회선 증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5180A KR950035180A (ko) 1995-12-30
KR0154893B1 true KR0154893B1 (ko) 1998-11-16

Family

ID=66700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0310A KR0154893B1 (ko) 1994-05-25 1994-08-17 전용회선 증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48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797A (ko) * 1999-05-10 1999-08-05 서보권 교환기를 이용한 중계전송구간 디지탈망 접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5180A (ko) 199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0922A (en) Voice plus 4-wire DDS multiplexer
US5668814A (en) Dual DDS data multiplexer
US4768188A (en) Optical demand assigned local loop communication system
US4949355A (en) Test access system for a digital loop carrier system
US4494231A (en) Time division switching system for circuit mode and packet mode channels
EP0135342A2 (en) Exchange system
US5920608A (en) Measurement device for communication
JP2847138B2 (ja) プログラム可能タイムスロット割当器マルチプレクサおよびその同期方法
US5333182A (en) Arbitrary selecting of a terminal to be called in key telephone systems
JPH0626383B2 (ja) チャネル ユニットにおけるディジタル伝送回線の折り返しの方法および装置
US5341418A (en) ISDN terminal adapter for access from analog signal equipment of four-wire full duplex type to ISDN
US4805171A (en) Unitary PCM rate converter and multiframe buffer
KR0154893B1 (ko) 전용회선 증배장치
US5691718A (en) Dual 4-wire analog data multiplexer
US6052409A (en)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detecting tones in a digital data communications device
US20020018491A1 (en) Plug-in multiplexer
GB2357016A (en) Architecture for increasing the number of digital channels which can be processed in a channel bank
JPH05136758A (ja) 多重速度変換装置
KR0131558B1 (ko) 고속 데이터 전용회선 서비스 장치
AU7003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enlargement of the range of the transmission channel between functional groups of an ISDN-user interface
JP2594615B2 (ja) Isdn端末アダプタ装置
KR910005491B1 (ko) 협대역 가입자 접속장치
KR100303301B1 (ko) 이더넷 데이터 통신장치를 가지는 컴퓨터-전화 복합시스템
KR100216070B1 (ko) 종합정보통신망 기능을 수행하는 가입자 전송장치
KR100270442B1 (ko) 종합정보통신망 접속채널 선택기능을 구비한 중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