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321Y1 - 화재감지기 - Google Patents

화재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321Y1
KR910005321Y1 KR2019880007834U KR880007834U KR910005321Y1 KR 910005321 Y1 KR910005321 Y1 KR 910005321Y1 KR 2019880007834 U KR2019880007834 U KR 2019880007834U KR 880007834 U KR880007834 U KR 880007834U KR 910005321 Y1 KR910005321 Y1 KR 9100053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late
sensing chamber
diaphragm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78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3536U (ko
Inventor
우영석
Original Assignee
우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영석 filed Critical 우영석
Priority to KR20198800078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5321Y1/ko
Publication of KR8900235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35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3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3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재감지기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 단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조립단면도.
제 3 도는 화재감지기의 종래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감지실 2 : 하우징
3 : 고정판 12 : 다이어프램
11 : 접점판 14 : 고정접점
20 : 통공 30 : 원주벽
본 고안은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화재감지기는 제 3 도의 도시와 같이 다이어프램(A)를 보유하는 감열실(B)의 다이어프램(A)에 의해 연동하여 스위칭 온-오프되는 가동접점(C) 및 고정접점(D)를 보유하는 접점(E)로 이루어져 있다.
전기한 감열실(B)에는 1쌍의 볼트(F)가 연장되고, 이들 볼트(F)에 의해 접점판(E)감열실(B)와 일체로 조합된다. 이렇게 조합된 후에는 실내천정(G)에 부착설비된 감지기 베이스판(H)로 장착되어 화재발생기, 다이어프램(A)가 팽창할때, 가동접점(C)가 고정접점(E)로 스위칭되어 별도의 경보기를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구성의 화재감지기를 제조함에는 볼트(F)를 감열실(B)에 설치하는 공정에서 기술상의 곤란점이 있고, 조립시에 다이어프램(A)와 가동접점(C)의 올바른 배치부여를 확인할수 없어서 조립불량률이 비교적 높은 단점이 있으며, 접점판(E)는 화재시의 열에 견딜수 있는 값비싼 폴리카보네이트로 만들어져야 하므로 원가상승의 주요인이 되는 한편, 접점판(E)가 장착되는 베이스판(H)는 종류가 다른 값싼 수지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양자의 색상을 일치시킬수 없어서 외관이 불량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적으로 제조기술상의 곤란점이 없고, 조립불량 여부를 확인할수 있으며, 값비싼 재료의 사용량을 적극 억제할수 있게 한 화재감지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감지실에 다이어프램과 접점판을 일체로 부착시키고, 전기한 감지실을 링형상의 하우징과 고정판 사이에 개재시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은 첨부도면 제 1 도 및 제 2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분해상태 단면도로서, 도면의 부호(1)은 감지실, (2)는 링형상의 하우징, 그리고 (3)은 고정판을 지칭한다.
감지실(1)은 밑면에 개구(10)을 보유하며, 이 개구(10)을 통해 접점판(11)이 삽입 부착된다.
접점판(11)은 원통상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그 상방은 다이어프램(12)가 긴밀하게 피복되어 있고, 내측으로 가동접점(13)과 고정접점(14)가 설치되어 있다. 가동접점(13) 및 고정접점(14)의 구조는 종래의 화재감지기에서 사용되는 형식도 무방하지만, 본 고안에서는 보다 감도를 향상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1985-797 호를 통해 제안된바 있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접정판(11)의 하측으로는 각각 가동접점(13)과 고정접점(14)에서 연장되는 중간 터미날(15)(16)이 돌출되는 한편, 중앙에 검사공(17)이 뚫려져 있어서, 내측의 가동접점(13)이 다이어프램(12)에 올바른 위치로 자리잡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하우징(2)는 감지실(1)이 삽통될 수 있는 통공(20)을 내측상방에 형성하고 있으며, 이 통공(20)의 내주연에는 내플랜지(21)이 설치되어 있다. 또, 고정판(3)은 감지실(1)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면에 원주벽(30)을 돌출형성하고 있으며, 바닥측으로는 전기한 접점판(11)에서 연장된 1쌍의 중간터미날(15)(16)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래치편(31)(32)가 배치되는 한편, 외주변에 전기한 하우징(2)로 나삽되는 고정나사(33)(34)가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접점판(11)은 감지실(1)의 개구(10)으로 삽입되고 실리콘접착제(S)에 의해 주변측이 밀봉되어진다.
접점판(11)이 부착된 감지실(1)은 하우징(2)의 내부로 넣어져서 그 상반부가 통공(20)을 통해 노출되도록 결합된 다음, 하우징(2)의 밀면으로 고정판(3)이 장착되어 고정나사(33)(34)에 의해 고정결합 됨으로써, 감지실(1)은 하우징(2)의 내플랜지(21)과 고정판(3)의 원주벽(30)사이에서 견고하게 자리 잡는다.
접점판(11)에서 연장되는 중간터미날(15)(16)은 고정판(3)의 래치편(31)(32)와 각각 연결되고, 이들 래치편(31)(32)는 추후 실내의 천정등에 부착 비치되는 통상의 베이스판(H)가 보유하는 클램핑단자(H')로 조합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접점판(11)의 검사공(17)을 통하여 오조립유무를 확인할수 있어서 조립불량률이 0으로 되고, 접점판(11)이 감지실(1)과 일체로 부착되어 내부로 보존되기 때문에, 화재시 열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게 됨은 물론, 하측의 고정판(3)과 비접촉된 상태로 배치됨에 따라 고정판(3)의 열변형에 의한 영향도 받지 않게되어 오작동이 생기지 않게된다.
게다가 고정판(3)은 화재시 열변형을 일으키는 재질로 만들어도 무방하게 되어, 베이스판(H)와 동일 재질의 동일색상으로 제조할수 있어서, 외관이 미려해짐과 동시에, 값비싼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치 않거나 최소한 접점판(11)에 국한하여 사용되는데 불과하여, 제조원가를 대폭 절감할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Claims (1)

  1. 밀면 중심에 다이어프램(12)를 포함하여 가동접점(13) 및 고정접점(14)를 보유하는 접점판(11)이 부착밀폐된 감지실(1)과, 이 감지실(1)이 삽통되는 통공(20)을 상측 중앙에 보유하고 전기한 통공(20)이 내주연에 내플랜지(21)이 형성된 링형상의 하우징(2)와, 상면에 전기한 감지실(1)을 지지하는 원주벽(30)이 돌출 형성되고 전기한 하우징(2)의 밀면에 부착 고정되는 고정판(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
KR2019880007834U 1988-05-28 1988-05-28 화재감지기 KR9100053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7834U KR910005321Y1 (ko) 1988-05-28 1988-05-28 화재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7834U KR910005321Y1 (ko) 1988-05-28 1988-05-28 화재감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3536U KR890023536U (ko) 1989-12-02
KR910005321Y1 true KR910005321Y1 (ko) 1991-07-22

Family

ID=19275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7834U KR910005321Y1 (ko) 1988-05-28 1988-05-28 화재감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532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3536U (ko) 198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2502Y1 (ko) 볼 조인트
KR910005321Y1 (ko) 화재감지기
JP3032688B2 (ja) 煙感知器の防水構造
JP3655477B2 (ja) 火災感知器
JPS6350737Y2 (ko)
JPS6130181Y2 (ko)
JPH0434442Y2 (ko)
JP2531996Y2 (ja) 火災感知器
JPH0132971Y2 (ko)
JP2565209Y2 (ja) 輻射式火災感知器
KR950004834Y1 (ko) 로터리스토브의 감지봉 설치구조
KR850002263Y1 (ko) 차동식 스포트형 화재 감지기
JPH0428390U (ko)
KR890000352Y1 (ko) 화재감지기 베이스
JPH0542039B2 (ko)
JPS5821028Y2 (ja) 煙感知器のテスト用押圧部
KR970001215Y1 (ko) 화재 감지기
JP2561993Y2 (ja) ダクトの取付構造
KR0138598Y1 (ko) 세탁기의 자동온도조절장치 조립구조
KR200173407Y1 (ko) 화재 감지기
JPS6034896Y2 (ja) 筒型ガスバ−ナ
KR890001512Y1 (ko) 화재 감지기용 베이스
JPH0717033Y2 (ja) 空間監視型の雨滴センサ
JPS5918571Y2 (ja) パイロツトランプ取付装置
JPS5827452Y2 (ja) リモ−トコントロ−ルスイツ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7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