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062B1 - 보일러 및 냉방기 파이프의 보온, 보냉용 단열카바 - Google Patents

보일러 및 냉방기 파이프의 보온, 보냉용 단열카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062B1
KR910005062B1 KR1019880017172A KR880017172A KR910005062B1 KR 910005062 B1 KR910005062 B1 KR 910005062B1 KR 1019880017172 A KR1019880017172 A KR 1019880017172A KR 880017172 A KR880017172 A KR 880017172A KR 910005062 B1 KR910005062 B1 KR 910005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ver
glass fiber
layers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7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0293A (ko
Inventor
최상길
Original Assignee
최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길 filed Critical 최상길
Priority to KR1019880017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5062B1/ko
Publication of KR900010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1/00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보일러 및 냉방기 파이프의 보온, 보냉용 단열카바
제1도는 단열카바의 단면구조와 절단된 접착면을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단열카바를 파이프에 설치한후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2a도는 단열카바의 접착면이 요철홈을 이루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제2b도는 단열카바의 접착면이 상하 돌출부를 이루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단열카바를 제조할 때 유리섬유층 또는 발포우레탄층을 접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인 엘보우형 파이프에 설치된 단열카바를 나타낸 사시도 및 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인 T자형 파이프에 설치된 단열카바를 나타낸 사시도 및 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6a도는 직선형태의 파이프를 단열하기 위한 카바로서 그 열결부분에서 접착제로 접착시킬 수 있도록 한 단부는 "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 홈이 형성되며, 다른 단부는 내부에 홈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다. 제6b도는 엘보우형의 단열카바로서 외부의 홈이 "가"로 표시된 홈위에 접착되도록 도시된 도면이다.
제7도는 본 발명의 단열카바를 직선형태의 파이프와 엘보우형 파이프에 서로 결합시킨 상태를 도시한 부분 절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리섬유층 또는 발포우레탄층 2, 4 : 알루미늄 박막층
3 : 발포우레탄층 또는 유리섬유층 11 : 돌출부
12 : 홈 13 : 상부돌출부
14 : 하부돌출부
본 발명은 보일러 및 냉방기의 파이프를 보온 또는 보냉하고 외부와의 단열을 위한 파이프의 카바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보일러 및 냉방기의 파이프를 효과적으로 보온하고 또는 보냉할 수 있도록 한 단열카바에 관한 것으로 직선형태의 파이프는 물론 직선형태가 아닌 연결부분의 파이프도 완벽하게 단열할 수 있는 카바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보일러 및 냉방기의 직선형태의 파이프는 물론 엘보우형, 유니온, T자형, +자형, 레듀서(reducer), 밸브, 플랜지등 직선형태가 아닌 연결부분의 파이프를 효과적으로 단열하기 위한 카바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서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단열카바를 제조함에 있어서 단열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다수층의 구조를 가지며 그 층사이에는 공기층을 형성하는 단열카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보일러는 보일러 자체와 그 보일러에 의하여 난방 또는 온수를 필요로 하는 곳까지 여러 가지 형태의 파이프로 연결되어 있고, 건축 구조상 또는 공정설계상등의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하여 직선형태의 파이프는 물론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의 연결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절기에 사용되는 냉방기 또한 냉방이나 냉수를 필요로 하는 곳까지 여러 가지 형태의 파이프로 연결되어 있고, 보일러의 경우와 유사하게 직선형태의 파이프와 이를 연결하는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보일러 및 냉방기의 모든 파이프를 보온, 보냉시킴으로서 열효율을 증가시키고 나아가서 에너지를 절약하고자하는 노력은 이 분야에서 꾸준히 행하여져 왔다.
대한민국 특허 공고 번호 제84-2205호 개시된 바와 같은 단열파이프의 발명하에서 이루어졌다.
또 각종 유체관의 단열판을 구성함에 있어서 합성수지 또는 합성고무판으로 되는 단열판상에 V형 요흠을 갖는 종돌조와 횡돌조를 간설하여 유체관의 주면에 포설시킨 다수의 단열공간이 형성된 파이프용 단열판이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고 번호 제83-733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현재 시판되고 있는 에너지관리공단 승인 경기 제8-1013-1호 제품인 두나론(Dunalon)도 상기 설명한 보일러 및 냉방기의 파이프를 보온 또는 보온시키기 위한 단열카바로는 그 단열효과면에 있어서 충분하지 못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1988년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5436호의 발명을 기초로 본 발명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특허출원 제15436호의 단열카바는 엘보우형, T자형등의 직선형태가 아닌 부분을 단열할 수 있도록 한 카바와 이를 연결하기에 편리하고 효율적인 직선형태의 카바를 개선한 발명이다.
상기의 특허출원 제15436호의 발명이 직선형태가 아닌 연결부분을 적절하게 단열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는 보다 완벽한 단열효과를 기대할수 없었다.
왜냐하면 유리섬유층, 발포우레탄층 및 알루미늄 박막층만으로 이루어진 단열카바의 구조는 여전히 상당부분의 열이 외부로 발산되거나 내부로 침투되어 보온 또는 보냉의 효과를 완벽하게 구할수 없었다. 즉, 유리섬유층이나 발포우레탄층은 단일층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완벽한 열의 차단효과를 기할수 없기 때문에, 이를 다수층의 유리섬유와 다수층의 우레탄으로 형성시키고 그 유리섬유층과 우레탄층에는 열의 차단효과가 가장 좋은 알루미늄 박막층을 형성시킴으로써 제조된 것이다. 유리섬유층이나 발포우레탄층이 단일층으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 보다 다수층의 유리섬유와 다수층의 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그 층과 층사이에 공기가 포함될 수 있어서 단열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미세한 공기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접착하는 방법도 하기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루어 질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구조는 서로 호환성을 나타낼수 있는 것으로, 발포우레탄층과 유리섬유층은 서로 그 위치가 교체될 수 있으며 한 종류의 층 즉 알루미늄 박막층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발포우레탄층만으로 또는 유리섬유층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어느 경우이든지, 다수층으로 이루어져야 함은 불변의 사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과 같이 단열효과를 더욱 양호하게 하고 나아가서 직선형태의 파이프와 연결부분을 완전히 보온 또는 보냉할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일러 및 냉방기의 파이프를 보온 또는 보냉을 완벽히 행함으로써 전체적인 열효율을 향상 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나아가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일러 및 냉방기의 열효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보온, 보냉용 단열카바의 접착을 용이하게 행할수 있도록 하고 또한 그 접착성을 향상 시킴으로써 작업상의 능률을 가져오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파이프의 직선부분과 엘보우형, T자형등의 연결부분과의 결합부분을 효과적으로 단열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열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단열카바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냉방기 및 보일러의 보냉, 보온을 위한 단열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단열카바는 파이프와 접촉하는 카바의 내부층을 유리섬유층으로 하고, 그 다음으로 알루미늄 박막층, 그 다음의 외부에는 발포우레탄층으로 하며 카바의 외부를 다시 알루미늄 박막층으로 한 구조를 이룬다. 특히 이 구조중에서 특징으로 되고 있는 것은, 상기의 유리섬유층 및 발포우레탄층이 다수층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각 층사이에는 공기가 내포될수 있도록 즉 미세한 공기층을 형성하도록 하여 단열효과를 극대화한다는 점이다. 일한 유리섬유층 및 발포우레탄층의 다수층의 층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제조방법도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단열카바는 파이프와 접촉하는 카바의 내부층을 발포우레탄층으로 하고, 그 다음으로 알루미늄 박막층, 그 다음의 외부에는 유리섬유층으로 하며 카바의 외부를 다시 알루미늄 박막층으로 한 구조를 포함 한다. 나아가서 열의 차단효과가 좋은 알루미늄 박막층을 중간에 두고 그 양쪽에 동일한 층을 형성시키는 구조도 포함한다. 즉, 파이프와 접촉하는 카바의 내부층을 발포우레탄층, 그 다음으로 알루미늄 박막층, 그 다음으로 발포우레탄층, 및 카바의 가장 외부에 알루미늄 박막층의 구조나 또는 유리섬유층, 알루미늄 박막층, 유리섬유층, 및 알루미늄 박막층의 구조를 포함한다.
이상에 열거된 본 발명의 어떠한 구체예도 유리섬유층 및 발포우레탄층이 다수층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그럼으로써 각 층사이에는 공기가 내포될 수 있도록 즉 미세한 공기층을 형성하도록 하여 단열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파이프의 직선부분을 보온, 보냉하는 단열카바는 그 카바의 축방향으로 전달되어 파이프에 설치된 후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될수 있도록 접착면을 가지며, 이 접착면의 접착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요철홈을 이루거나 또는 상하돌출부를 이루게 하는 것도 본 발명의 특징이다.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특징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적절히 달성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구체예의 보온, 보냉용 단열카바는 가장 내부에 위치하여 파이프의 외부와 접촉되는 엷은 유리섬유의 다수층으로 이루어진 유리섬유층(1), 유리섬유층(1)의 외부에 단일막으로 이루어진 알루미늄 박막층(2), 그 박막층(2)의 외부에 엷은 발포우레탄의 다수층으로 이루어진 발포우레탄층(3), 및 단열카바의 가장 외부에 단일막으로 이루어진 알루미늄 박막층(4)으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설명한 단열카바의 구조중에서, 유리섬유층(1)과 발포우레탄층(3)은 각각 여러층의 엷은 유리섬유층과 엷은 발포우레탄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유리섬유층 및 발포우레탄층이 다수층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각층 사이에는 공기가 내포될 수 있도록 즉 미세한 공기층을 형성하도록 한다. 여기서 다수층을 형성하고 유리섬유층이나 발포우레탄층은 많은 층으로 할수록 그 단열 효과가 좋다. 하지만 유리섬유층이나 우레탄층을 너무 엷게 층으로 절단한다면 찢어지는 현상이 나타나서 작업공정상 매우 불편하다. 보통 3 내지 9까지의 다수층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4 내지 7정도의 층을 서로 접착제로 접착시키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각 층사이는 제조 공정상의 편리를 위하여 서로 접착되어야 하고 또 단열카바를 파이프에 설치시킬 때 서로 접착시키지 않음으로써 분리될 수 있는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서로 접착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들 각 층의 접착은 또한 단열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각 층 사이에 공기가 내포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반되는 이 두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기 위하여 이들의 층을 서로 접착하는 방법이 제3도에 잘 나타나 있다. 즉 발포우레탄층 또는 유리섬유층의 전면을 접착제로 접착하는 것이 아니고, 설치 작업시에 서로 분리되지 않을 만큼 제3도의 "나"로 표시된 바와 같이, 극히 일부만을 접착제로써 접착시킨다. 반드시 "나"의 점선을 따를 필요가 없는 만큼 단열효과와 접착성을 서로 극대화할 수 있도록 여러가지 변형된 형태의 접착방법이 응용될 수 있지만, 어떠한 접착방법도 본 발명의 기술의 영역에 해당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아니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열카바는 어느 한 지점에 축방향을 따라 절단되어 파이프 상에 설치된 후 그 절단면을 접착제로 접착시킨다. 이절단되는 접착면은 제2a도와 같이 요철홈(11,12)을 형성하여 접착력과 단열효과를 향상시킬수 있다. 이 절단면을 통해 파이프를 삽입시킨 후 접착제로 접착시킨다. 요철홈(11,12)은 제2a도와 같이 돌출부(11)와 그 돌출부가 삽입되어 접착될수 있도록 한 홈(12)으로 이루어진다. 또 제2a도의 변형형태로서 제2b도에 도시된 상하돌출부(13,14)를 이루는 절단면도 사용된다. 직선형태가 아닌 연결부분을 단열하기 위한 카바도 각각 적절한 지점에서 절단되어 파이프를 감쌀수 있도록 하며, 이들의 단면은 상기에 설명한 제2도와 동일하다.
그리고 단열카바와 절단면을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로는 우레탄용 또는 유리섬유용 접착제가 사용되며 거진 화성 유한 회사의 제품인 상표 "뉴본드"의 접착제가 이용 가능하다. 이반적으로 보일러 또는 냉방기의 파이프에 사용되고 있는 크기로는 15ø부터 150ø(단위 mm)까지 아주 다양하다. 본 발명의 단열카바는 파이프의 크기에 맞는 것들을 제작함으로써 어떠한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엘보우형과, 15ø, 20ø, 32ø등과 같이 반경이 동일한 엘보우형과, 125ø×15ø, 125ø×20ø, 65ø×50ø등과 같이 반경이 다른 이경 엘보우형이 있으며 어떠한 크기의 엘보우형도 본 발명의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제5도에 도시된 T자형도 반경이 동일한 것과 반경이 서로다른 T자형이 있으며 15ø×15ø, 125ø×125ø, 75ø×65ø등과 같이 그 크기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엘보우형 및 T자형의 연결 부분외에도 여러 가지 종류의 연결부분이 있을 수 있다.
이 파이프의 연결부분에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는, +자형, 유니온, 레듀서, 플랜지, 밸브등이 있으며, 이들 부분을 단열하기 위한 카바도 모두 발명의 영역내이다.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엘보우형, T자형등으로부터 용이하게 +자형, 유니온, 레듀서, 플랜지, 밸브등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열카바는 일정한 길이를 갖고 있기 때문에 그 연결부분이나 또는, 예를 들어, 엘보우형과 직선부분을 연결할 때 접착력과 단열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돌출부를 이루도록 고안되었다. 전 도면을 통하여 접착시에 내부로 들어가는 하부 돌출부를 "가"로 표시하였다. 이 내부 돌출부에 접착제로 칠을 하고 외부돌출부를 접착시킴으로써 완벽한 접착력과 단열효과를 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설명한 내용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작성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구체적으로 나타내게 될 것이다.
보일러 및 냉방기의 파이프를 보온, 보냉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어떠한 변형 형태도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아니할 것이다.

Claims (2)

  1.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되는 절단 접착면을 갖는 단열 카바에 있어서, 파이프와 접촉하는 카바의 내부층이 유리섬유층(1), 그 유리섬유층(1) 외부에는 알루미늄 박막층(2)에 그 알루미늄 박막층(2)외부에는 발포우레탄층(3), 및 카바의 가장 외부에 알루미늄 박막층(4)으로 구성되며, 상기 유리섬유층(1) 및 발포우레탄층(3)이 엷은 다수층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다수층은 각 층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도록 일부분만을 접착제로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및 냉방기의 파이프를 보온, 보냉하기 위한 단열카바.
  2. 제1항에 있어서, 보일러 및 냉방기 파이프의 엘보우형, T자형, +자형, 레듀서, 밸브, 유니온, 플랜지부분을 단열하도록 직선형 단열카바와 연결되는 부위에 접착을 위한 하부돌출부(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카바.
KR1019880017172A 1988-12-22 1988-12-22 보일러 및 냉방기 파이프의 보온, 보냉용 단열카바 KR910005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7172A KR910005062B1 (ko) 1988-12-22 1988-12-22 보일러 및 냉방기 파이프의 보온, 보냉용 단열카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7172A KR910005062B1 (ko) 1988-12-22 1988-12-22 보일러 및 냉방기 파이프의 보온, 보냉용 단열카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293A KR900010293A (ko) 1990-07-07
KR910005062B1 true KR910005062B1 (ko) 1991-07-22

Family

ID=19280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7172A KR910005062B1 (ko) 1988-12-22 1988-12-22 보일러 및 냉방기 파이프의 보온, 보냉용 단열카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50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331B1 (ko) * 2011-10-26 2013-07-29 주식회사 세운티.엔.에스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291650B1 (ko) * 2011-04-22 2013-08-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파이프 보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072B1 (ko) * 2000-11-17 2004-02-2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파이프이음에서 플랜지 단열방법과 플랜지 단열재
KR102346405B1 (ko) 2021-04-21 2022-01-03 전광재 액체 이송용 배관 동결 및 동파 방지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650B1 (ko) * 2011-04-22 2013-08-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파이프 보호 장치
KR101289331B1 (ko) * 2011-10-26 2013-07-29 주식회사 세운티.엔.에스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293A (ko) 199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55601A (en) Heat insulating jacket for a conduit equipped with self-locking seam
US6978807B1 (en) Water stop for a line installation in a pre-insulated pipeline
JP4960547B2 (ja) プリフォーム型熱絶縁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部品の熱絶縁方法
US3463691A (en) Method for forming liquid heat exchange piping system
KR910005062B1 (ko) 보일러 및 냉방기 파이프의 보온, 보냉용 단열카바
US2776231A (en) Segmented insulating covering for pipes and the like
KR100915630B1 (ko) 배관용 단열커버 및 그 시공방법
CN207279146U (zh) 一种预制直埋式保温管
US3030669A (en) Modular insulation panel and use
JP2000213675A (ja) 二重管用接続継手及び該継手で接続した二重管式断熱配管
JP2756774B2 (ja) 高密度ポリスチレンフォーム製配管断熱支持具
JPH01214626A (ja) 真空二重管
KR0181199B1 (ko) 진공관식 태양열 집열관
JP2003314785A (ja) 真空断熱配管
CN219954690U (zh) 一种t型管道预制保温套
CN216078671U (zh) 一种化工专用聚氨酯保冷不锈钢管道结构
CN219389043U (zh) 一种管道预制保温套
KR102001866B1 (ko) 보냉용 배관 커버
US4349070A (en) Tube mat heat exchanger
CN220749336U (zh) 一种不锈钢管套
JP2020133753A (ja) 導管用絶縁被覆構造体、導管ユニット及び導管系形成方法
JP2005133837A (ja) 断熱用カバー部材
CN214119379U (zh) 一种嵌套式复膜保温管
JPS6225666Y2 (ko)
JP3566067B2 (ja) 空気調和機用室内機の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