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052Y1 - 씽크용 배수전 - Google Patents

씽크용 배수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052Y1
KR910005052Y1 KR2019880015158U KR880015158U KR910005052Y1 KR 910005052 Y1 KR910005052 Y1 KR 910005052Y1 KR 2019880015158 U KR2019880015158 U KR 2019880015158U KR 880015158 U KR880015158 U KR 880015158U KR 910005052 Y1 KR910005052 Y1 KR 9100050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pipe
lower body
fixed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51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6766U (ko
Inventor
김정규
Original Assignee
김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규 filed Critical 김정규
Priority to KR20198800151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5052Y1/ko
Publication of KR9000067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7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0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0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2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connected to the waste-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씽크용 배수전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부 분리사시도.
제 2 도는 분 고안의 단면도.
제 3a,b 도는 본 고안의 작동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101 : 돌륜
102 : 유입관 103 : 배출관
104 : 나사부 1a : 상부몸통
1b : 하부몸통 1a, 1b : 제어돌턱
2 : 고정캡 201 : 돌륜
202 : 개구부 203 : 나사부
3, 4 : 패킹
본 고안은 씽크대용 배수전에 관한 것으로서 특징은 몸통을 상부몸통과 유입관 및 배출관을 형성한 하부몸통으로 분할하여 서로 회전자유롭게 결합하고 상,하통에는 각기 제어돌턱을 돌설하여 씽크 바닥에 뚫은 설치구멍 하방으로 관출시킨 고정캡의 나사부에 상부몸통의 나사부를 나사결합할때에는 상기 상,하부 몸통의 제어돌턱에 의하여 상부몸통이 하부몸통과 동일방향으로 만회전되게 하여 나사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제 3a 도),고정캡의 나사부와 상부몸통의 나사부를 견고히 고정시킨 후에는 하부몸통을 나사결합할 때와는 반대반향(제 3b 도의 점선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켜 하부몸통의 유입관을 씽크의 오우버플로우관(over flow)과 일직선방향으로 간단히 일치시켜 유입관과 오우버플로우관을 서로 연결하는배수관 설치작업을 매우 신속용이하게 행할수 있도록 한데 있다.
일반적으로 씽크에는 바닥에 배수설치구멍이외에 상부벽에 씽크에 물이 가득차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우버플로우관(5)을 설치하게 되고 또한 돌륜을 돌설한 고정캡은 씽크바닥의 요입부(7)에 뚫린 설치구멍 하방으로 고정캡의 나사부를 끼워 관출시킨 후에는 고정캡을 손으로 잡고 도저히 회전시킬 수 없게 되어 씽크의 저면에서 설치구멍 하방으로 관출된 고정캡의 나사부에 몸통의 나사부를 나사맞춤시킨 후 몸통을 회전시켜 씽크에 고정캡과 몸통을 견고히 고정시키게 되는바, 상기와 같이 하여 고정시킴에 있어서의 문제점은 몸통을 돌려 견고히 고정시킨 상태의 몸통의 유입관의 방향이 반드시 오우버플로우관의 방향과 일직선상에 놓여지지 않으면 몸통의 유입관과 오우버플로우관을 연결하는 배수관의 배관작업이 곤란하게 되므로 몸통의 유입관을 오우버플로우관과 일치시켜야됨이 요구된다 하겠는데 종래의 배수전은 일단 씽크에 고정시킨 후 몸통의 유입관이 제 3a 도와 같이 오우버플로우관과 일직선상에 놓여지지 않을 경우 씽크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도저히 유입관을 제 4b 도와 같이 오우버플로우관과 일직선상에 놓여지게 할 수 있는 방도가 없게 되므로 고정시킨 몸통을 다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캡의 나사부와 느슨하게 푼다음 고정캡을 좌,우로 서너번 돌려가며 몸통의 유입관을 오우버플로우관과 일직선방향에 놓이게 고정시켜 배관하여야 하게 되므로 작업자의 수고와 작업시간을 많이 요하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몸통을 각기 제어돌턱을 돌설한자유롭게 회전되는 상,하몸통으로 분할 결합하여 고정캡의 나사부와 견고하게 나사결합시에는 하부몸통의 제어돌턱이 상부몸통의 제어돌턱에 걸려 서로 동일방향으로 회전토록 하여 고정캡과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견고히 고정시킨 후에는 유입관으로 형성된 하부 몸통만을 고정캡과 결합시의 반대방향으로 돌려 오우버플로우관과 용이하게 일직선방향으로 일치시켜 배관작업을 매우 수월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씽크에 배수전의 설치작업을 신속용이하게 끝낼 수 있도록 한 씽크용 배수전을 안출하게 된 것인데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돌륜(201)과 개구부(202)를 형성한 고정캡(2)의 나사부(203)에 돌륜(101)과 유입관(102) 및 배출관(103)을 형성한 몸통(1)의 나사부(104)를 패킹(3)(4)을 게재시켜 나사결합케 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유입관(102)상부의 몸통(1)의 나사부(104)를 패킹(3)(4)을 게재시켜 나사겨합케 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유입관(102)상부의 몸통(1) 부위를 등분하여 상,하부 몸통(1a)(1b)으로 분할하고 상,하부몸통(1a)(1b)의 분할부(1c)는 ""형으로 회전되게 결합하여 상부몸통(1a) 및 하부몸통(1b)에는 제어돌턱(1a')(1b')를 돌설하여서 된 것인데,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는 제어돌턱(1a')(1b')을 생략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미설명 부호 5는 오우버플로우관이고, 6은 씽크이며, 7은 씽크(6)의 요입부이고, 8은 배수관이며, 9는 마개이고, 10은 걸름통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제 2 도와 같이 씽크(6)의요입부(7)에 뚫린 설치구명면에 패킹(3)을 접촉시키고 고정캡(2)의 나사부(103)를 하방으로 관출시킨 다음 씽크(6)의 저면에서 패킹(4)을 게재시켜 몸통(1)의 나사부(104)를 고정캡(2)의 나사부(103)와 나사맞춤시킨 후 실선화살표 방향으로 돌려 고정캡(2)과 견고히 나사결합시키게 됨은 통상의 씽크의 배수전의 설치방법과 동일한바, 이때 본원의 몸통(1)은 회전가능하게 상,하몸통(1a)(1b)으로 분할결합된 상태이므로 손으로 잡고 힘껏 회전시키기에 좋은 하부몸통(1b)의 유입관(102)부위를 손으로 잡고 하부몸통(1b)을 제 1 도의 실선화살표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하부몸통(1b)의 제어돌턱(1b')은 상부몸통(1a)의 제어돌턱(1a')에 제 1 도와 같이 접촉됨과 동시에 상부몸통(1a)은 제어돌턱(1b')의 회전력에 밀려 하부몸통(1b)과 동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부몸통(1a)에 형성된 나사부(104)는 고정캡(2)의 나사부(203)와 견고히 나사결합되어지게 되며 상기의 나사부(203)와 나사부(104)가 완전 조여진 상태에서 하부몸통(1b)의 유입관(102)이 제 3a 도와 같이 오우버플로우관(5)과 일적선방향에 놓여지지 않을 때에는, 상,하부 몸통(1a)(1b)은 서로 회전되게 결합된 상태이므로 하부몸통(1b)을 제 3b 도의 점선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켜 하부몸통(1b)의 유입관(102)을 오우버플로우관(5)과 일직선방향으로 간단히 위치시킬수 있다. 이때 상부몸통(1a)이 회전되어 고정캡(2)과의 나사결합상태가 풀릴 염려가 있다.
따라서 오우버플로우관(5)과 유입관(102)을 연결하는 배수관(8)의 연결작업을 간편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간단하고 매우 합리적으로 구성된 구조에 의하여 몸통(1)을 회전시켜 고정캡(2)과 견고히 고정시킨 상태에서 유입관(102)이 오우버플로우관(5)방향과 상이한 어느 방향에 놓여지더라도 하부 몸통(1b)을 역방향으로 돌려 오우버플로우관(5)방향과 일직선방향으로 간단히 위치시켜 서로 배수관(8)으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되어 씽크(6)에 배수전 설치작업을 신속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고정캡(2)의 나사부(203)에 몸통(1)의 나사부(104)를 패킹(3)(4)을 게재시켜 나사결합케 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유입관(102)의 상부의 몸통(1)부위를 등분하여 상,하부몸통(1a)(1b)의 분할부(1c)는 ""형으로 회전되게 결합하여 상,하부몸통(1a)(1b)에는 제어돌턱(1a')(1b')을 돌설하여서 된 씽크용 배수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하부몸통(1a)(1b)에 돌설된 제어돌턱(1a')(1b')을 없이하여서 된 씽크용 배수전.
KR2019880015158U 1988-09-13 1988-09-13 씽크용 배수전 KR9100050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5158U KR910005052Y1 (ko) 1988-09-13 1988-09-13 씽크용 배수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5158U KR910005052Y1 (ko) 1988-09-13 1988-09-13 씽크용 배수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766U KR900006766U (ko) 1990-04-03
KR910005052Y1 true KR910005052Y1 (ko) 1991-07-15

Family

ID=19279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5158U KR910005052Y1 (ko) 1988-09-13 1988-09-13 씽크용 배수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505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1100B1 (ko) * 1997-05-01 2001-11-22 하기모또 노리후미 리졸버의고정자구조체
KR101126336B1 (ko) * 2009-08-05 2012-03-21 손현미 싱크대 배수유닛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1100B1 (ko) * 1997-05-01 2001-11-22 하기모또 노리후미 리졸버의고정자구조체
KR101126336B1 (ko) * 2009-08-05 2012-03-21 손현미 싱크대 배수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766U (ko) 1990-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68792A1 (en) Cap for sealing a bathtub overflow port for testing purposes
US3744065A (en) Fitting for preformed shower pans
KR910005052Y1 (ko) 씽크용 배수전
CN209873978U (zh) 下水器
JPH0729365U (ja) 分水栓
KR200194821Y1 (ko) 연결관 조임구
KR20170127619A (ko) 하수분기관 수밀캡
KR200389659Y1 (ko) 싱크대용 배수전
KR200179406Y1 (ko) 베란다의 우수드레인
KR840001106Y1 (ko) 배관의 수압 시험용 플럭(plug)
JPH0347585Y2 (ko)
KR0137911Y1 (ko) 배수 트랩
KR910005051Y1 (ko) 씽크용 배수전
JPS629404Y2 (ko)
KR200154937Y1 (ko) 세탁기의 배수유로방향 전환장치
KR200380767Y1 (ko) 싱크대용 배수트랩 고정장치
KR200314051Y1 (ko) 물탱크용 연결관
JPH0430281Y2 (ko)
JPH0331912Y2 (ko)
JPH0717840Y2 (ja) 排水用サイフオン
KR920003849Y1 (ko) 세탁기에 있어서 급수 호스와 콕크와의 접속구
KR200226330Y1 (ko) 수세식 좌변기용 하수관 이음쇠의 조임구
JPS607673Y2 (ja) 洗濯機の排水を再使用する装置
KR810000285Y1 (ko) 싱크용 배수전
JPS5917987Y2 (ja) 吸気弁付き不凍給水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7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