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285Y1 - 싱크용 배수전 - Google Patents

싱크용 배수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285Y1
KR810000285Y1 KR2019800000620U KR800000620U KR810000285Y1 KR 810000285 Y1 KR810000285 Y1 KR 810000285Y1 KR 2019800000620 U KR2019800000620 U KR 2019800000620U KR 800000620 U KR800000620 U KR 800000620U KR 810000285 Y1 KR810000285 Y1 KR 8100002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outer cylinder
sink
cylinder
inn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06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기창
Original Assignee
윤기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기창 filed Critical 윤기창
Priority to KR20198000006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2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2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2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2Odour seals combined with additional object-catch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Odour seals having housing containing dividing wall, e.g. tubu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싱크용 배수전
제1도는 본 고안의 부분 절제한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3a도, 제3b도, 제3c도는 각각 본 고안의 설치 상태를 예시한 개략 단면도.
본 고안은 일측 주면에 배수구가 천설된 외통내부에 저면이 개구된 내통을 내장하여 내통과 외통을 외통 저면에서 체결 보울트로 체착하도록 구성된 배수전에 있어서, 외통을 상하부 통체로 분할 형성하여 상호 계합시키되 그 계합부에 패킹링을 개재하여 누수를 방지하게 하고, 상하부 통체에는 각각 압수구와 배수구를 축주면에 설치하여 내통의 저면 개구부 하측에는 부력에 의하여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는 변판을 체결 보울트에 관설하여서되는 싱크용 배수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에는 그 저면에 설치되는 배수구 이외에 싱크의 상측벽에 오버 후로우용 일류수구를 설치하는바, 종래에는 이들 두 배수구에 각각 방취용 배수전을 부설해야 하는 불편이 있고, 또한 이들 두 배수전에 연결되는 배수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T자형 연결관을 사용해야 하므로 시공상의 불편함과 더불어 시공비의 상승을 초래하였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싱크 저면의 배수구에 설치하는 배수전으로 일류수구의 배수전을 겸할 수 있고 동시에 배수전 설치시에 배관 및 기타의 작업이 간단하게 된 싱크용 배수전을 얻고자 안출한 것인바, 본 고안의 구조와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측주면에 배수구(2)가 천설되고, 상단 연부에는 후렌지(3)를, 그리고 하단 연부에는 계합부(4)를 각각 형성한 상부통체(1′)와 일측주면에 입수구(5)가 천설되고, 상단 연부에는 상부통체(1′)의 계합부(4)와 계합되는 계합부(6)를 형성하고 저면 중앙에 보울트공(7)이 천설된 하부통체(1″)를 양계합부(4)(6)의 사이에 패킹링(8)을 개재시켜서 서로 계합하여 외통(1)을 구성하고, 그 외통(1)의 내부에는, 상단연부에 후렌지(9)가 형성되고 저면에 개구부(10)를 형성한 내통(11)을 내장하여 외통 저면의 보울트공(7)으로 체결보울트(12)를 끼워서 내통(11)의 개구부(10) 내측중앙에 내통(11)과 일체로 설치된 보울트 체착부(13)에 나착시켜서 내통(11)과 외통(1)을 긴착하고, 내통(11)의 개구부(10)내주면에는 환상걸림턱(14)을 둘설하는 한편 체결보울트(12)에는 물에 뜰 수 있는 재질로된 부유변판(15)을 관설하여 개구부(10)를 개폐할 수 있게한 구조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6은 내통(11)내에 삽탈 자재로 내장한 걸름통이고, 17은 싱크를 보인 것이며, 18은 일류수구이고, 19,19′는 연결호스, 20은 배수관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3a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단일 수조를 가진 싱크(17)인 경우 그 싱크(17)저면 배수구에 통상의 설치 방법대로 설치하고, 싱크(17)의 일류수구(18)와 하부통체(1″)의 입수구(5)를 연결호스(19)로 연결하고, 상부통체(1′)의 배수구(2)에는 배수관(20)을 연결하여 설치하며, 두 개의 저수조를 가진 싱크(17)의 경우에는 제3b도 또는 제3c도 표시와 같이 각 저수조의 조면 배수구에 각각 배수전을 설치한 다음 일류수구(18)와 배수전 또는 배수전과 배수전간을 연결호스(19)(19′)로 연결하여서 설치한다.
본 고안의 배수전은 내통(11)의 상면에 고무마개(도시하지 않음)을 복개하여 싱크내에 저수하고, 배수시에는 그 마개를 열면 내통(11)의 개구부(10)를 통해 수압이 작용하므로 변판(15)이 하강하면서 개구부(10)가 열려 배수구(2)를 통해 배수되며, 싱크수조의 물이 넘쳐 흐를때에는 입수구(5)로 입수되어 배수구(2)로 배수된다.
본 고안은 체결보울트(12)에 관설된 변판(15)이 항시 수중에 잠겨있고 또 그 변판(15)은 부력이 큰 재질로 되어 있어 부상하려하므로 내통(11)의 개구부(10)를 항시 폐쇄하고 있어서 수봉에 의한 방취작용과 함께 방취 기능을 더욱 철저히 할 수 있게되며, 입수구(5)로 많은 량의 물이 들어오는 경우에는 그 수압에 의하여 변판(15)은 더욱 긴밀하게 개구부(10)를 밀폐하게 되므로 내통(11)내로의 역류가 방지된다.
본 고안은 외통(1)이 상, 하부통체(1′)(1″)로 양분되어 있어서 설치시에 체결보울트(12)를 완전히 조이기 전에는 상하부통체(1′)(1″)의 회전이 자유로우므로 배수구(2) 또는 입수구(5)의 방향을 자유자재로 바꿀 수 있어 연결호스나 배수관의 연결작업이 간편 용이하고, 일단배수구(2)나 입수구(5)의 방향을 결정하여 배수관 또는 연결호스를 연결한다음 체결보울트(12)를 충분히 조이면 상하부통체(1′)(1″)는 보울트(12)의 체결력에 의하여 견고하게 계합되고 또 그 계합부(4)(6)사이에는 패킹링(8)이 개재되어 있어 상하부통체(1′)(1″)의 연결부에서의 누수의 우려는 없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어서 그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면서도 싱크바닥의 배수구와 일류수구의 방취용 배수전을 검할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각개의 방취용 배수전을 구입하여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또 배수관 연결을 위한T자형 연결관등을 사용할 필요가 없게되므로 경제적이고 설치하는 작업이 간편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도시한 바와같이 일측주면에 배수구(2)가 천설된 외통(1)내부에 내통(11)을 내장하고 외통(1)과 내통(11)을 체결 보울트(12)로 체결하도록 된 공지의 배수전에 있어서, 외통(1)을 일측주면에 배수구(2)와 입수구(5)가 각각 천설된 상하부통체(1′)(1″)로 분할 형성하여 그 양통체(1′)(1″)에 형성된 계합부(4)(6) 사이에 패킹링(8)을 개재하여 계합 연결하고 그 외통(1)내부에 내장된 내통(11)의 개구부(10)의 내주면에는 환상 걸림턱(14)을 돌설하여 그 하측에 설치한 부유변판(15)이 접지되게한 싱크용 배수전.
KR2019800000620U 1980-01-30 1980-01-30 싱크용 배수전 KR8100002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0620U KR810000285Y1 (ko) 1980-01-30 1980-01-30 싱크용 배수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0620U KR810000285Y1 (ko) 1980-01-30 1980-01-30 싱크용 배수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285Y1 true KR810000285Y1 (ko) 1981-03-24

Family

ID=19215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0620U KR810000285Y1 (ko) 1980-01-30 1980-01-30 싱크용 배수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28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2492A (en) Manhole closure with a single liquid impervious, two-way gas pressure relief valve
US20040103474A1 (en) Cap for sealling a bathtub overflow port for testing purposes
US4161043A (en) Sealing mechanism for a liquid floor drain
ES8401169A1 (es) Dispositivo hidraulico para el drenaje del agua residual procedente de una unidad de descarga en una alcantarilla.
KR810000285Y1 (ko) 싱크용 배수전
JPS6026895B2 (ja) 排水トラツプにおける水封機能維持装置
KR200226282Y1 (ko) 조립식 욕실용 보조 배수트랩
KR850002470Y1 (ko) 싱크용 배수전
KR200262328Y1 (ko) 욕조용 배수트랩
JPS6027190Y2 (ja) 排水トラツプ
CN213709740U (zh) 一种下水管组件
KR200389659Y1 (ko) 싱크대용 배수전
JPS6243033Y2 (ko)
KR200168154Y1 (ko) 배수관의 하수역류방지기
JPS6329017Y2 (ko)
JPS6243031Y2 (ko)
JPS6242129Y2 (ko)
JPH0579229U (ja) シールポット
KR200289237Y1 (ko) 배수트랩과 배수밸브 사이의 중간 연결구
US3250289A (en) Floor sinks
SU1703794A1 (ru) За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напорного оросительно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JPH027980Y2 (ko)
JP2578588Y2 (ja) 不凍給水栓の弁構造
KR0116437Y1 (ko) 분리관
KR100356546B1 (ko) 배수관 연결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