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2470Y1 - 싱크용 배수전 - Google Patents

싱크용 배수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2470Y1
KR850002470Y1 KR2019830009386U KR830009386U KR850002470Y1 KR 850002470 Y1 KR850002470 Y1 KR 850002470Y1 KR 2019830009386 U KR2019830009386 U KR 2019830009386U KR 830009386 U KR830009386 U KR 830009386U KR 850002470 Y1 KR850002470 Y1 KR 8500024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inner cylinder
drainage
opening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93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4027U (ko
Inventor
윤기창
Original Assignee
윤기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기창 filed Critical 윤기창
Priority to KR20198300093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2470Y1/ko
Publication of KR8500040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40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24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4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2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1Odour seals using other sealants tha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8Odour seals consisting only of non-return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싱크용 배수전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분을 절개한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조립 설치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제3(a)도, 제3(b)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개략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상부통체 4' : 격리벽
8 : 하부통체 13 : 내통
15 : 입수실 18 : 변관
19 : 저면개구부
본 고안은 본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바 있는 실용신안 공번 제81-285호의 싱크용 배수전을 개량한 싱크용 배수전에 관한 것으로,
상. 하부 통제로 구성되는 외통의 주벽 상. 하측에 입수구와 배수구가 각각 형성되고 이 외통 내부에 저면이 개구된 내통을 내삽하여 내통과 외통을 하부통체의 저면에서 보울트로 체착하도록 구성된 배수전에 있어서 하부통체와 내통의 사이에 상부통체의 주벽과 일체로 되는 격리벽을 통체의 주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여 입수구와 연통되는 입수실을 형성시키고 이 입수실의 저면 개구부와 내통 저면 개구부가 내통의 하부에 관삽되어 부력에 의해 승강 자재되는 변관에 의하여 서로 반대적으로 개폐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용 배수전인 것이다.
본 원인의 선등록된 싱크용 배수전에 있어서는 상·하부 통제로 구성되는 외통의 내에 저면이 개구된 내통을 외통의 저면부와 보울트로 체착하여 내장시키고 이 내통의 저면 개구부를 변관으로 개폐되게 하여 싱크수조의 물을 내통으로 배수시에는 저면 개구부를 부력에 의하여 폐쇄시키고 있던 변관이 수압에 의하여 하강하면서 저면개구부를 개방시키어 물이 배수구로 배수되게 하고 그리고 싱크수조내에서 월류되는 물이 입수구를 통하여 들어올시에는 저면 개구부를 개방시키었던 변관은 다시 부력에 의하여 상승되면서 개구부를 폐쇄시키어 물이 내통내로 유입되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수구로 배수되게 한 것이 있으나, 많은량의 물이 저수조내에서 월류되어 배수구로 미쳐 배수되지 못하였을 경우에는 입수구측이 항시 개방되어 있어 물이 다시 수조내로 역류가 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상의폐단을 감안하여서 외통의 내에 입수구와 연통되는 입수실을 내통과 격리 형성하고 이 입수실과 내통 각각의 저면 개구부를 변관에 의하여 서로 반대적으로 개폐되게하여 수조내의 물을 내통으로 배수시에는 변관이 입수실을 폐쇄시키고 싱크수조 내에서 월류되는 물이 배수시에는 내통을 폐쇄시키게 하여 역류를 방지시킬 수 있게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일측주면에 입수구(1)가 형성되고 상단연부에는 후렌지(2)를 그리고 하단연부에는 계합부(3)를 각각 형성한 상부통체(4)와 일측주면에 배수구(5)가 형성되고 상단연부에서는 상부통체(4)의 계합부(3)와 계합되는 계합부(6)를 형성하고 저면 중앙에 보울트공(7)이 천설된 하부통체(8)를 양계합부(3), (6)의 사이에 패킹링(9)을 개재시켜서 서로 계합하여 외통(10)을 구성시키고 이외통(10)의 내부에는 상단연부에 후렌지(11)가 형성되고 저면에 개구부(10)를 형성한 내통(13)을 내장하여 외통(13)의 저면 보울트공(7)으로 보울트(14)를 끼워서 내통(13)의 개구부(12) 내측에 내통(13)과 일체로 된 보울트 체착부(13')에 나착시켜서 내통(13)과 외통(10)을 체착시키고 외통(10)의 하부통체(8)와 내통(13)의 사이에 상부통체(4)의 주벽과 동일한 크기로 하여 일체로 된 격리벽(4')을 입설하여 입수구(1)와 연통되는 입수실(15)을 외통(10)과 내통(13)의 사이에 형성하고 내통(13)의 하단부에는 내통(13)의 하단부에 관삽되는 삽통관(16)의 상측주벽에 원반형의 변관(17)이 일체로 형성된 부유변관(18)을 관삽시키어 부력에 의해 부유변관(18)이 승강자재되면서 입수실(15)의 저면 개구부(19)와 내통(13)의 저면개구부(12)를 폐쇄시키게한 구조인 것으로 미설명부호 20은 싱크이고, 21은 걸름통이며, 22는 월류수 배수구, 23은 연결관, 24는 배수관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3(a)도에서와 같이 단일 저수조를 가진 싱크(20)인 경우 그 싱크 저면의 배수공에 통상의 설치방법대로 설치하고 싱크(20)의 월류수 배수구(22)와 상부통체(4)의 입수구(1)를 연결관(23)으로 연결하고 하부통체(8)의 배수구(5)에는 배수관(24)을 연결하여 설치하며, 그리고 제3(b)도에서와 같이 양측에 두개의 저수조를 가진 싱크(20)에 설치할 경우에는 각 저수조의 배수구에 각각 배수전을 설치한 다음 상기한 바와같이 월류수 배수구(22)와 배수전, 배수전과 배수전간의 사이를 연결관(23)으로 연결하여서 설치한다.
본 고안의 배수전은 내통(13)의 상부에 고무마개(도시하지 않음)을 복개하여 싱크내에 저수하고 배수시에는 그 마개를 열면 내통(13)의 개구부(12)를 통해 배수구(5)로 직접 배수되면서 변관(18)을 수압에 의해 상승시켜 입수실(15)의 저면 개구부(19)를 긴밀히 폐쇄시키어 입수실(15)내로 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시키게 되고, 그리고 싱크 수조의 물이 넘쳐 월류될 때에는 외통(10)의 입수구(1)를 통해 입수실(15)로 유입되어 입수실(15)내에서 수압이 작용하므로 입수실(15)의 저면개구부(19)를 폐쇄시키고 있던 변관(18)이 수압에 의해 하강하면서 저면 개구부(19)가 열려 배수구(5)를 통해 배수됨과 동시에 하강된 변관(18)이 하부통체(8) 저면바닥에 긴착되어 내통(13)의 개구부(12)를 폐쇄시키게 되므로 입수구(1)를 통해 유입되어 배수되는 물이 내통(13)내로 역류가 되는 것을 방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변관(18)이 내통(13)의 하부에 관삽되어 승강자재되므로 그 승강이 원할할 뿐 아니라 개폐작용이 정확하여 따라서 배수 또는 그 역류 방지 작용 역시 원활히 이루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내통과 외통의 사이에 내통과 격리 형성되는 입수실을 형성하고 이 입수실과 내통을 변관에 의해 서로 반대적으로 개폐되게 하므로서 배수되는 물이 내통은 물론, 입수구로 역류가 되는 것을 방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입수구(1)와 배수구(5)가 각각 형성된 상. 하부통체(4), (8)로 구성되는 외통(10)의 내부에 저면이 개구된 내통(13)을 내삽하여 내통(13)과 외통(10)을 하부통체(8)의 저면에서 보울트(14)로 체착하도록 구성된 배수전에 있어서,
    하부통체(8)와 내통(13)의 사이에 상부통체(4)의 주벽과 일체로 되는 격리벽(4')을 상부통체(4)의 주벽과 동일한 크기로 입설하여 입수구(1)와 연통되는 입수실(15)을 형성시키고, 이 입수실(15)의 저면 개구부(19)와 내통(13) 저면개구부(12)를 내통(13)의 하부에 관삽시킨 변관(18)에 의해 서로 반대적으로 개폐되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용 배수전.
KR2019830009386U 1983-11-04 1983-11-04 싱크용 배수전 KR8500024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9386U KR850002470Y1 (ko) 1983-11-04 1983-11-04 싱크용 배수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9386U KR850002470Y1 (ko) 1983-11-04 1983-11-04 싱크용 배수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4027U KR850004027U (ko) 1985-07-13
KR850002470Y1 true KR850002470Y1 (ko) 1985-10-19

Family

ID=70159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9386U KR850002470Y1 (ko) 1983-11-04 1983-11-04 싱크용 배수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24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96522A1 (en) * 2001-05-26 2002-12-05 Byoung Hyouk Yoo Rotary inertial applian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96522A1 (en) * 2001-05-26 2002-12-05 Byoung Hyouk Yoo Rotary inertial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4027U (ko) 1985-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83690C2 (ru) Водяной затвор для санитарно-техниче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US3735428A (en) Combination toilet and urinal
KR850002470Y1 (ko) 싱크용 배수전
CN110106948B (zh) 一种防虹吸马桶水箱进水阀
FI75019C (fi) Avloppsroer.
CN211774273U (zh) 一种溢流装置
CN210315847U (zh) 一种防虹吸马桶水箱进水阀
CN210263268U (zh) 一种马桶水箱进水阀
CN110117978B (zh) 一种马桶水箱进水阀
JPS6026895B2 (ja) 排水トラツプにおける水封機能維持装置
JPS6046209B2 (ja) フロ−ト式逆流防止弁を内蔵した水門扉
JPS5845341Y2 (ja) ロ−タンク用吸気弁
JPS6015826Y2 (ja) 排水トラップ
KR960008515Y1 (ko) 부동전
KR810000285Y1 (ko) 싱크용 배수전
CN216973672U (zh) 浮力球地漏
CN217580508U (zh) 一种具有防逆流功能的横排地漏
JPH0218124Y2 (ko)
KR200262328Y1 (ko) 욕조용 배수트랩
CN218816891U (zh) 一种自动排水器
JPH0718713A (ja) ユニット形排水トラップ
JP3009300U (ja) 暗渠排水用水門
JPH0235879Y2 (ko)
CN210151868U (zh) 一种防漏水座便器
JPS624303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802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