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6846Y1 - 케이블관의 방수용 마감구 - Google Patents

케이블관의 방수용 마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846Y1
KR200246846Y1 KR2020010017413U KR20010017413U KR200246846Y1 KR 200246846 Y1 KR200246846 Y1 KR 200246846Y1 KR 2020010017413 U KR2020010017413 U KR 2020010017413U KR 20010017413 U KR20010017413 U KR 20010017413U KR 200246846 Y1 KR200246846 Y1 KR 2002468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finish
hole
pip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74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찬운
Original Assignee
정찬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찬운 filed Critical 정찬운
Priority to KR20200100174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8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8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846Y1/ko

Links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관의 집수정, 또는 맨홀 등의 구간에 설치된 통신용 케이블관을 마감, 방수 처리하도록 한 마감구에, 별도의 보강캡이 설치되도록 하여, 케이블관을 마감구와 보강캡으로 이중 방수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감구와 보강캡으로 케이블관 내벽에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하여, 유입, 또는 누수되는 하수 등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마감구의 팽창 시간 경과에 따른 누수를 방지하고, 케이블관의 마감구 설치 작업이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도록 한 케이블관의 방수용 마감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수관의 집수정이나 맨홀 등의 각 구간에서 케이블관을 밀봉하도록 한 마감구에 있어서,
케이블관의 단부측에 삽입, 밀봉되도록 형성하며, 중앙부에 가압구가 관통되도록 한 통공을 형성한 마감구와;
마감구의 후방에 삽입되도록 형성하며, 중앙부에 상기 가압구가 관통되도록 한 통공을 형성한 보강캡과;
마감구와 보강캡의 일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가압판과, 상기 마감구와 보강캡의 중앙부를 관통, 연결하는 볼트부와, 상기 마감구와 보강캡을 밀착, 가압하도록 한 너트를 형성한 가압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케이블관의 방수용 마감구 { Cap for water proof of cable pipe }
본 고안은 하수관에 구비된 케이블관을 마감, 방수처리하도록 한 마감구에관한 것으로, 특히 방수용 마감구의 상부에 보강캡이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관으로 누수되는 하수 등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관의 마감구 설치 작업이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도록 한 케이블관의 방수용 마감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심의 하수관에는 하수뿐만 아니라, 전화선이나 각종의 통신선등의 케이블선이 매립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하수관에 각종의 케이블선이 매립되기 위해, 별도의 케이블관을 설치하여, 케이블관으로 케이블선이 통과되도록 하였다.
상기한 하수관에 설치된 케이블관은, 집수정이나 맨홀의 각 구간마다 별도의 마감구를 이용하여 방수처리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관으로 누수되는 하수 등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마감구는 주로, 고무재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제조되어, 케이블관의 말단에 밀봉되도록 설치하거나, 케이블선이 관통되어 케이블관에 밀봉되도록 설치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케이블관의 마감구는, 마감구의 방수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케이블관을 방수처리하지 못하여, 케이블관에 하수 등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케이블관에 마감구를 방수 처리한 경우, 마감구가 일정 시간 경과 후에, 팽창되어 케이블관 내벽에 밀착되기 때문에, 밀봉한 마감구가 일정 시간 경과되기 전에는, 완벽한 방수가 어려워 누수되는 단점이 있는 실정이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수관의 집수정, 또는 맨홀 등의 구간에 설치된 통신용 케이블관의 단부 측에 보강캡이 별도로 구비된 방수용 마감구를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마감구와 보강캡으로 케이블관 내벽에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하여, 유입, 또는 누수되는 하수 등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감구의 팽창 시간 경과에 따른 누수를 방지하고, 케이블관의 마감구 설치 작업이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감구 11 : 마감구 통공
12 : 마감구 케이블관통공 20 : 보강캡
21 : 보강캡 통공 22 : 보강캡 케이블관통공
23 : 요홈 30 : 가압구
31 : 가압판 32 : 볼트부
33 : 너트
본 고안은 하수관의 집수정이나 맨홀 등의 각 구간에서 케이블관을 밀봉하도록 한 마감구에 있어서,
케이블관의 단부측에 삽입, 밀봉되도록 형성하며, 중앙부에 가압구가 관통되도록 한 통공을 형성한 마감구와;
마감구의 후방에 삽입되도록 형성하며, 중앙부에 상기 가압구가 관통되도록 한 통공을 형성한 보강캡과;
마감구와 보강캡의 일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가압판과, 상기 마감구와 보강캡의 중앙부를 관통, 연결하는 볼트부와, 상기 마감구와 보강캡을 밀착, 가압하도록 한 너트를 형성한 가압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는, 마감구를 케이블선이 관통되도록 한 케이블선 관통공이 다수 개 천공되도록 형성하고;
보강캡을 케이블선이 관통되도록 한 케이블선 관통공이 다수 개 천공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보강캡의 요홈에 상기 마감구가 요입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케이블관에 내입, 밀착되도록 마감구(10)와, 상기 마감구(10)의 상부에 내입, 보강되도록 한 보강캡(20)과, 상기 마감구(10)와 보강캡(20)을 가압하도록 한 가압구(30)로 구성된다.
상기 마감구(10)는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서, 케이블관의 단부측에 삽입, 밀봉되도록 형성하며, 중앙부에 가압구가 관통되도록 한 통공(11)을 형성한다.
상기 마감구(10)는 케이블선이 관통되도록 한 케이블선 관통공(12)을 다수 개 천공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보강캡(20)은 발포 소재로서, 상기 마감구(10)의 후방에 삽입되도록 형성하며, 중앙부에 상기 가압구(30)가 관통되도록 한 통공(21)을 형성한다.
상기 보강캡(20)은 케이블선이 관통되도록 한 케이블선 관통공(22)을 다수 개 천공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가압구(30)는 상기 마감구(10)와 보강캡(20)의 일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가압판(31)과, 상기 마감구(10)와 보강캡(20)의 중앙부를 관통, 연결하는 볼트부(32)와, 상기 마감구(10)와 보강캡(20)을 밀착, 가압하도록 한 너트(33)를 형성한다.
미설명 부호 1은 케이블관이고, 2는 케이블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관의 집수정이나 맨홀 등의 구간에 매립된 케이블관(1)을 마감, 방수처리 할 경우에, 상기 마감구(10)를 상기 케이블관(1)의 단부측에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마감구(10)의 후방측에 상기 보강캡(20)을 삽입하게 되면, 상기 케이블관(1)이 밀봉되어, 상기 마감구(10)가 팽창되어 케이블관의 내벽에 밀착되데 소요되는 시간이 경과하는 동안, 케이블관(1)을 밀봉, 방수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가압구(30)의 가압판(31)은 상기 마감구(10)와 보강캡(20)의 측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볼트부(32)가 마감구(10)와 보강캡(20)의 중앙부로 관통되어 연결되기 때문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케이블관(1)을 밀봉하여 방수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압구(30)의 너트(33)를 회전하게 되면, 상기 가압판(31)이 중앙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마감구(10)와 보강캡(20)이 상기 케이블관(1)의 내벽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방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케이블관(1)이 빈 관이 아닌 케이블선이 내재된 케이블관(1)일 경우에는, 상기 마감구(10)와 보강캡(20)에 케이블선이 관통되도록 한 케이블선 관통공(12, 22)을 천공하여, 케이블관(1)을 이중으로 밀봉, 방수 처리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보강캡(20)에 요홈(23)을 형성하여, 상기 요홈(23)에 상기 마감구(10)를 요입하게 되면, 상기 보강캡(20)이 케이블관(1)에 밀착되고,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요홈(23)에 요입된 마감구(10)가 팽창되어, 케이블관(1)을 효과적으로 밀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수관의 집수정, 또는 맨홀 등의 구간에 설치된 통신용 케이블관을 마감, 방수 처리하도록 한 마감구에, 별도의 보강캡이 설치되도록 하여, 케이블관을 마감구와 보강캡으로 이중 방수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감구와 보강캡으로 케이블관 내벽에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하여, 유입, 또는 누수되는 하수 등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마감구의 팽창 시간 경과에 따른 누수를 방지하고, 케이블관의 마감구 설치 작업이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도록 한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하수관의 집수정이나 맨홀 등의 각 구간에서 케이블관(1)을 밀봉하도록 한 마감구에 있어서,
    케이블관의 단부측에 삽입, 밀봉되도록 형성하며, 중앙부에 가압구가 관통되도록 한 통공(11)을 형성한 마감구(10)와;
    마감구(10)의 후방에 삽입되도록 형성하며, 중앙부에 상기 가압구(30)가 관통되도록 한 통공(21)을 형성한 보강캡(20)과;
    마감구(10)와 보강캡(20)의 일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가압판(31)과, 상기 마감구(10)와 보강캡(20)의 중앙부를 관통, 연결하는 볼트부(32)와, 상기 마감구(10)와 보강캡(20)을 밀착, 가압하도록 한 너트(33)를 형성한 가압구(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관의 방수용 마감구.
  2. 제 1항에 있어서,
    마감구(10)를 케이블선이 관통되도록 한 케이블선 관통공(12)이 다수 개 천공되도록 형성하고;
    보강캡(20)을 케이블선이 관통되도록 한 케이블선 관통공(22)이 다수 개 천공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관의 방수용 마감구.
  3. 제 1항에 있어서,
    보강캡(20)의 요홈(23)에 상기 마감구(10)가 요입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관의 방수용 마감구.
KR2020010017413U 2001-06-12 2001-06-12 케이블관의 방수용 마감구 KR2002468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413U KR200246846Y1 (ko) 2001-06-12 2001-06-12 케이블관의 방수용 마감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413U KR200246846Y1 (ko) 2001-06-12 2001-06-12 케이블관의 방수용 마감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6846Y1 true KR200246846Y1 (ko) 2001-10-29

Family

ID=73066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7413U KR200246846Y1 (ko) 2001-06-12 2001-06-12 케이블관의 방수용 마감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84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46846Y1 (ko) 케이블관의 방수용 마감구
KR100764878B1 (ko) 비굴착 전체보수 갱생관의 단부처리 방법 및 단부처리용슬리브
KR100617507B1 (ko) 수밀형 맨홀
KR101830851B1 (ko) 하수분기관 수밀캡
KR100680871B1 (ko) 배관 접속구 소켓 일체형 인버트 맨홀
JP4240382B2 (ja) シールドトンネルの二次覆工用管材、シールドトンネル、シールドトンネルの二次覆工方法
JPH10267782A (ja) 水圧試験機能付き管継手構造及びそのパッキング
KR200390947Y1 (ko) 배관 접속구 소켓 일체형 인버트 맨홀
KR100396347B1 (ko) 통신 및 전력 케이블 관로구 방수장치
JPH027994Y2 (ko)
CN214738598U (zh) 一种新建全外包井
KR100299941B1 (ko) 유체 주관과 분기관의 연결장치
KR20050082101A (ko) 수밀형 맨홀의 접속관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KR20060013441A (ko) 맨홀지관 연결구 밀봉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맨홀지관연결구 밀봉방법
KR200411149Y1 (ko) 맨홀연결부 틈새 밀폐구조
KR200389659Y1 (ko) 싱크대용 배수전
KR200325547Y1 (ko) 오폐수 도관의 연결부재
KR200331276Y1 (ko) 담수화설비의 밸브 피트 구조물과 파이프의 연결구조
JPH08269992A (ja) 地下構造物の躯体と管材との連結方法及び連結構造
JPS6343308Y2 (ko)
KR100637048B1 (ko) 토목공사에서의 상,하수관용 콘크리트 흄관
KR200366435Y1 (ko) 수밀형 맨홀의 접속관 결합구조
KR100948330B1 (ko) 수도용 새들 분수전
JP2001173872A (ja) パッキン
KR200339472Y1 (ko) 콘크리이트 맨홀의 흄관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