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9472Y1 - 콘크리이트 맨홀의 흄관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이트 맨홀의 흄관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9472Y1
KR200339472Y1 KR20-2003-0034199U KR20030034199U KR200339472Y1 KR 200339472 Y1 KR200339472 Y1 KR 200339472Y1 KR 20030034199 U KR20030034199 U KR 20030034199U KR 200339472 Y1 KR200339472 Y1 KR 2003394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me pipe
concrete manhole
manhole
concrete
pip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41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진용
Original Assignee
동산콘크리트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산콘크리트산업(주) filed Critical 동산콘크리트산업(주)
Priority to KR20-2003-00341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94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94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94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1Connection of sewer pipes to manhole shaf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이트 맨홀에서 유출되는 하수의 유속 및 수압에 의해 흄관 결합부의 파손을 방지시키고, 상기 콘크리이트 맨홀의 흄관 결합홀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흄관이 콘크리이트 맨홀에 가일층 견고한 상태로 지지 고정되어 연결될 수 있는 콘크리이트 맨홀의 흄관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기술적인 구성은, 콘크리이트 맨홀(110)의 흄관 결합홀(120) 주연으로 이탈 방지용홈(140)을 형성하며, 상기 콘크리이트 맨홀(110)의 흄관 결합부(150)에는 흄관 고정구(160)가 고정핀(170)을 통해 콘크리이트 맨홀(110) 벽체와 결합 고정되고, 상기 흄관(130)이 내부에 삽통되는 흄관 고정구(160)의 내부에는 상기 이탈 방지용홈(140) 내부와 일체로 콘크리이트(180)가 충진되어 고정토록 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콘크리이트 맨홀의 흄관 결합장치{A Device for Combine Hume pipe in Manhole}
본 고안은 도로 지중에 빗물등의 배수를 위하여 설치되는 맨홀의 콘크리트흄관(Hume pipe)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빗물 배수등이 유입되는 콘크리이트 맨홀의 흄관 결합홀 주연으로 이탈 방지용홈을 형성하며, 상기 콘크리이트 맨홀의 흄관 결합부에는 흄관 고정구가 고정핀을 통해 맨홀 벽체와 결합되고, 상기 흄관이 내부에 삽통되는 흄관 고정구 내부에는 상기 이탈 방지용홈과 일체로 콘크리이트가 충진되어 고정토록 됨으로써, 상기 콘크리이트 맨홀에서 유출되는 하수의 유속 및 수압에 의해 흄관 결합부의 파손을 방지시키고, 상기 콘크리이트 맨홀의 흄관 결합홀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도록한 콘크리이트 맨홀의 흄관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지중에 빗물등의 배수를 위하여 설치되는 맨홀의 흄관에 있어서는, 콘크리이트 맨홀의 양측으로 흄관 결합홀을 형성하여, 상기 흄관 결합홀내에 흄관을 관통 연결시키며, 이때 상기 흄관이 삽통되는 흄관 결합홀 주연에는 마감 콘크리이트등을 착설하여 누수를 방지시키는 것이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맨홀 흄관의 연결 구조에 있어서는 도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콘크리이트 맨홀(10)의 내부 양측으로 흄관 결합홀(20)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흄관 결합홀(20) 내부에는 흄관(30)이 각각 삽통되어 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같은 연결구조를 갖는 종래의 맨홀 흄관에 있어서는, 콘크리이트 맨홀(10)의 양측에 형성된 흄관 결합홀(20)에 흄관(30)을 각각 삽통시켜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흄관 결합홀(20)의 주연을 마감 콘크리이트(K)등으로 막아주는 작업에 의해 흄관의 결합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콘크리이트 맨홀(10)의 양측에는 흄관(30)이 단순히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콘크리이트 맨홀(10)과 흄관(30)의 결합부위에서 쉽게 누수가 발생하게 됨은 물론, 상기 누출된 물에 의해 콘크리이트 맨홀(10)의 누수부위가 침식되어 맨홀의 기울어짐이 발생하게 되며, 주위를 오염시키게 되는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콘크리이트 맨홀에서 유출되는 하수의 유속 및 수압에 의해 흄관 결합부의 파손을 방지시키고, 상기 콘크리이트 맨홀의 흄관 결합홀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흄관이 콘크리이트 맨홀에 가일층 견고한 상태로 지지 고정되어 연결될 수 있는 콘크리이트 맨홀의 흄관 결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맨홀에 연결 설치되는 흄관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정단면 구조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맨홀의 흄관 결합 구조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인 맨홀과 연결되는 흄관의 결합상태 단면 구조도.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설명*
110...콘크리이트 맨홀 120...흄관 결합홀
130...흄관 140...이탈 방지용홈
150...흄관 결합부 160...흄관 고정구
170...고정핀 180...콘크리이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빗물이 유입되는 콘크리이트 맨홀의 양측으로 흄관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흄관 결합홀에는 흄관이 각각 삽통되어 지지 고정되는 맨홀의 흄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이트 맨홀의 흄관 결합홀 주연으로 이탈 방지용홈을 형성하며,상기 콘크리이트 맨홀의 흄관 결합부에는 흄관 고정구가 고정핀을 통해 맨홀 벽체와 결합 고정되고, 상기 흄관이 내부에 삽통되는 흄관 고정구 내부에는 상기 이탈 방지용홈 내부와 일체로 콘크리이트가 충진되어 고정토록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이트 맨홀의 흄관 결합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이트 맨홀의 흄관 결합구조를 도시한 요부 개략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인 콘크리이트 맨홀 내부에 연결되는 흄관의 결합상태 단면 구조도로서, 빗물 또는 하수가 유입되는 콘크리이트 맨홀(110)의 양측으로 흄관 결합홀(120)이 형성되고, 상기 흄관 결합홀(120)에는 흄관(130)이 각각 삽통되어 연결 설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콘크리이트 맨홀(110)의 흄관 결합홀(120) 주연으로 이탈 방지용홈(140)을 형성하며, 상기 콘크리이트 맨홀(110)의 흄관 결합부(150)에는 흄관 고정구(160)가 고정핀(170)을 통해 콘크리이트 맨홀(110) 벽체와 결합 고정되고, 상기 흄관(130)이 내부에 삽통되는 흄관 고정구(160)의 내부에는 상기 이탈 방지용홈(140) 내부와 일체로 콘크리이트(180)가 충진되어 고정토록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콘크리이트 맨홀(110) 벽체와 결합 고정되는 흄관 고정구(160)는, 폴리에틸렌 수지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빗물등과 같은 하수가 유입되는 콘크리이트 맨홀(110)은 그 하부 양측으로 흄관 결합홀(120)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흄관 결합홀(120)에는 흄관(130)이 각각 연결됨으로써, 빗물등의 하수가 상기 콘크리이트 맨홀(110)을 거쳐 흄관(130)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콘크리이트 맨홀(110)의 흄관 결합홀(120)에 흄관(130)을 누수없이 가일층 견고하게 지지 고정하여 연결시킬 경우에는, 상기 콘크리이트 맨홀(110)의 흄관 결합홀(120) 주연으로 이탈 방지용홈(140)을 형성시킨 상태에서, 상기 콘크리이트 맨홀(110)의 흄관 결합부(150)에는 흄관 고정구(160)가 고정핀(170)을 통해 콘크리이트 맨홀(110)의 벽체와 결합 고정시킨다.
계속해서, 상기 흄관(130)이 내부에 삽통되는 흄관 고정구(160)의 내부에는 상기 이탈 방지용홈(140) 내부와 일체로 콘크리이트(180)를 충진시킴으로써, 상기 흄관 고정구(160) 내부의 콘크리이트(180)는, 흄관 결합홀(120) 주연의 이탈 방지용홈(140) 내부까지 깊숙하게 침투된 후 경화되어, 상기 흄관 결합홀(120) 주연에서 발생되는 누수등의 현상을 완벽하게 차단하며, 상기 콘크리이트 맨홀(110)의 벽체에 고정되는 흄관 고정구(160)의 이탈을 방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콘크리이트 맨홀(110) 벽체와 결합 고정되는 흄관 고정구(160)를 폴리에틸렌 수지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흄관 고정구(160)의 파손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흄관 고정구(160) 내부에 삽통되어 콘크리이트 맨홀(110)에 연통연결된 흄관(130)은 흄관 결합부(150)에서 유동이 방지되면서, 빛물등과 같은 하수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맨홀의 흄관 결합장치에 의하면, 콘크리이트 맨홀에서 유출되는 하수의 유속 및 수압에 의해 흄관 결합부의 파손을 방지시키고, 상기 콘크리이트 맨홀의 흄관 결합홀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게 됨은 물론, 흄관이 콘크리이트 맨홀에 가일층 견고한 상태로 지지 고정되어 연결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2)

  1. 빗물 또는 하수가 유입되는 콘크리이트 맨홀(110)의 양측으로 흄관 결합홀(120)이 형성되고, 상기 흄관 결합홀(120)에는 흄관(130)이 각각 삽통되어 연결 설치되는 콘크리트 맨홀의 흄관연결 구조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이트 맨홀(110)의 흄관 결합홀(120) 주연으로 이탈 방지용홈(140)을 형성하며, 상기 콘크리이트 맨홀(110)의 흄관 결합부(150)에는 흄관 고정구(160)가 고정핀(170)을 통해 콘크리이트 맨홀(110) 벽체와 결합 고정되고, 상기 흄관(130)이 내부에 삽통되는 흄관 고정구(160)의 내부에는 상기 이탈 방지용홈(140) 내부와 일체로 콘크리이트(180)가 충진되어 고정토록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맨홀의 흄관 결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콘크리이트 맨홀(110) 벽체와 결합 고정되는 흄관 고정구(160)는, 폴리에틸렌 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맨홀의 흄관 결합장치.
KR20-2003-0034199U 2003-10-31 2003-10-31 콘크리이트 맨홀의 흄관 결합장치 KR2003394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199U KR200339472Y1 (ko) 2003-10-31 2003-10-31 콘크리이트 맨홀의 흄관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199U KR200339472Y1 (ko) 2003-10-31 2003-10-31 콘크리이트 맨홀의 흄관 결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9472Y1 true KR200339472Y1 (ko) 2004-01-24

Family

ID=49423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199U KR200339472Y1 (ko) 2003-10-31 2003-10-31 콘크리이트 맨홀의 흄관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947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3252Y1 (ko) 하수도, 도로, 하천, 환경시설공사 등에 사용되는 맨홀누수방지구조
KR100922622B1 (ko) 확장이 용이한 저류조
KR200339472Y1 (ko) 콘크리이트 맨홀의 흄관 결합장치
JP2988647B2 (ja) 更生桝および更生下水管路
KR20140061224A (ko)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 연결방법
KR101507467B1 (ko) 팽창압력을 이용한 물돌리기용 호스 연결부재 및 이를 구비한 물돌리기 장치
KR100731173B1 (ko) 상·하수관 접속구조
KR200403877Y1 (ko) 맨홀의 관접속장치
KR200369219Y1 (ko) 관로용 비굴착식 부분 보수장치
KR100680871B1 (ko) 배관 접속구 소켓 일체형 인버트 맨홀
KR200318133Y1 (ko) 맨홀의 흄관 연결장치
JP2907369B2 (ja) 更生桝および下水管路
KR20170139377A (ko) 콘크리트 케이스 관 연결장치
JP4327026B2 (ja) コンクリ−ト製ますの補修法およびその装置
JP2578342Y2 (ja) 下水道管における既設管との接続装置
KR101069882B1 (ko) 침하 및 수밀방지용 연결부를 갖는 맨홀
KR101729734B1 (ko) 차집관거 물돌리기 공법
KR200178968Y1 (ko) 조립체 맨홀
KR100637048B1 (ko) 토목공사에서의 상,하수관용 콘크리트 흄관
KR200390947Y1 (ko) 배관 접속구 소켓 일체형 인버트 맨홀
KR20190065853A (ko) 편심 맨홀
KR200310034Y1 (ko) 맨홀과 관 사이의 밀봉구조
KR102041474B1 (ko) 흄관과 맨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KR102326135B1 (ko)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
KR101960698B1 (ko) 지하 공동구 이음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