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0034Y1 - 맨홀과 관 사이의 밀봉구조 - Google Patents

맨홀과 관 사이의 밀봉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0034Y1
KR200310034Y1 KR20-2003-0002028U KR20030002028U KR200310034Y1 KR 200310034 Y1 KR200310034 Y1 KR 200310034Y1 KR 20030002028 U KR20030002028 U KR 20030002028U KR 200310034 Y1 KR200310034 Y1 KR 2003100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pipe
sewer pipe
sewage
open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20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숙
Original Assignee
이영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숙 filed Critical 이영숙
Priority to KR20-2003-00020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00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00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00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1Connection of sewer pipes to manhole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2005/028Sealing joints between manhole seg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맨홀과 하수관이 결합되는 결합부위를 밀봉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 하수관과 결합되는 맨홀의 양측면상에 형성되는 개구상의 유격된 공간 및 틈새를 보다 기밀하게 밀봉함으로써 하수관 내부에 흐르는 오, 폐수 등이 외부로 유출되거나, 지하지반의 하수가 맨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간편한 시공과 시공기간 및 작업인원의 감소에 따른 공사비용의 절감과 내구성, 수밀성 향상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Description

맨홀과 관 사이의 밀봉구조{seal structure between the manhole and tube}
본 고안은 맨홀과 하수관이 결합되는 결합부의 밀봉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하수관과 연결되는 맨홀의 개구상의 유격된 공간에 실링액 및 경화재를 주입하여 밀봉함으로써 맨홀과 하수관의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할뿐만 아니라, 하수관의 내부에 흐르는 오, 폐수 등이 외부로 유출되거나, 지하 지반의하수나 우수 등이 맨홀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맨홀과 관 사이의 밀봉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에 매립되는 맨홀은 하수관의 굵기 또는 물이 흐르는 방향이 바뀌는 곳이나 하수관이 교차하는 교차부에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맨홀의 양측면상으로는 개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개구상에는 오, 폐수의 이동 및 흐름을 원할하게 하기 위한 하수관이 연결설치된다.
상기 맨홀의 양측면상에 각각 형성되는 개구 내부로 삽입되는 하수관은 상기 맨홀의 개구부에 삽입 및 설치되기 위하여 개구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결합되며, 이러한 결합구조에 의하여 상기 하수관이 결합되는 맨홀의 개구상에는 직경의 차이에 의한 틈새 또는 공극 등의 유격된 공간이 발생된다.
이렇게 발생되는 유격된 공간을 통하여 하수관내에 흐르는 오, 폐수가 유출되는 것 또는 지하의 침전수나 우수 등이 맨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수관과 맨홀 사이에 발생된 틈새를 시멘트, 모르타르 등의 밀봉제를 도포하여 경화시키도록 구성한 것이 종래의 맨홀과 하수관의 밀봉구조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맨홀과 관 사이의 밀봉구조는 외부의 하중 또는 지상의 차량 이동으로 인한 진동으로 인하여 맨홀과 하수관 사이의 결합 부분, 즉 밀봉 및 경화된 부분에 크랙 등이 발생하여 하수관 및 맨홀의 내부를 흐르는 오, 폐수가 지하에 스며들어 토양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지반의 침식을 일으키며, 또한 지하에 침전수나 우수 등이 맨홀의 내부로 유입되어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하수관과 결합되는 맨홀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개구상의 틈새 및 유격된 공간을 보다 기밀하게 밀봉함으로써 맨홀과 하수관의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함과 동시에 하수관의 내부에 흐르는 오, 폐수의 누수를 차단하여 토양의 오염을 방지하고, 시공이 간편과 시공기간 및 작업인원의 감소에 따른 공사비용의 절감효과를 보장하며, 내구성 및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맨홀과 관 사이의 밀봉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맨홀과 하수관이 설치된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2는 주입기를 통하여 실링액과 경화제가 고압으로 분사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3은 분사된 실링액과 경화재가 경화된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맨홀, 11,13...개구,
20...하수관, 21...보호관,
30...주입기, 31...주입구,
33...분사노즐, 35...분사구.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정한 간극을 갖고, 외주면을 포위하는 보호관을 일체로 구비하는 하수관과 상기 하수관이 설치되는 맨홀의 개구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구조에 있어서, 상기 맨홀의 일측면상에 관통 설치되는 주입기를 통하여 분사되는 실링액과 경화재가 상기 맨홀의 외부측으로부터 상기 하수관의 보호관과 맨홀의 개구 사이의 유격된 공간 및 상기 하수관과 상기 하수관상에 일체로 구비되는 보호관 사이의 틈새로 주입되고, 경화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맨홀과 하수관이 설치된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2는 주입기를 통하여 실링액과 경화제가 고압으로 분사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3은 분사된 실링액과 경화재가 경화된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맨홀(10)의 양측면의 개구(11, 13)상에 삽입설치되는 하수관(20)은 그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하수관(20)의 외주면을 덮는 형상의 보호관(21)을 일체로 구비한다. 상기 보호관(21)은 상기 하수관(20)의 길이방향 소정위치까지 연장형성되며, 상기 보호관(21)과 상기 하수관(20)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된다.
이렇게 상기 맨홀(10) 양측면상의 개구(11, 13)에 삽입설치되는 하수관(20)은 상기 맨홀(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상기 맨홀(10)의 개구(11, 13)상에 결합설치되는 보호관(21)은 상기 맨홀의 개구(11, 13)상에 삽입설치되기 위하여 상기 개구(11, 13)의 직경보다 조금 작게 형성된다.
상기 맨홀(10)의 양측면상에 형성되는 개구(11, 13)의 주변측상에 관통설치되는 주입기(30)는 일측에 다수개의 주입구(31)를 구비하고, 그 타측에 상기 주입구(31)와 대응되는 갯수의 분사노즐(33)을 구비한다. 상기 분사노즐(33)은 상기 맨홀(10)의 외부측으로부터 상기 하수관(20)의 보호관(21)과 맨홀(10)의 개구(11, 13) 사이의 유격된 공간에 분사되기 위한 적소에 위치한다.
상기 분사노즐(33)에 형성되는 각각의 분사구(35)를 통하여 분사되는 실링액과 경화재는 액상 또는 겔상의 합성수지, 모르타르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 토사와 쉽게 혼합되어 경화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링액과 경화재는 맨홀(10)의 주변에 분포되어 있는 토사와 혼합되면서 상기 하수관(20)의 보호관(21)과 맨홀(10)의 개구(11, 13) 사이의 틈새로 주입될 뿐만 아니라, 상기 하수관(20)과 상기 하수관(20)에 일체로 구비되는보호관(21) 사이의 틈새로 주입되어 경화된다.
따라서, 상기 상기 하수관(20)과 맨홀(10)의 결합부분이 밀봉됨은 물론 견고하게 지지 및 고정됨으로써 수밀성 및 기밀성이 향상되고 결합성이 제고되어 크랙 등의 하자가 쉽게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에 의한 맨홀과 관 사이의 밀봉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굴착기로 지반을 굴착하여 지반 내부에 맨홀(10)을 설치하고, 상기 맨홀(10)의 내부벽면상에 구비되는 각각의 개구(11, 13)에 그 일측으로 보호관(21)을 구비한 하수관(20)을 삽입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맨홀(10)의 개구(11, 13)에 하수관(20)을 삽입설치한 다음, 설치된 맨홀(10)과 하수관(20)의 외부를 흙, 자갈, 잡석 등으로 매립한다.
그 다음, 상기 맨홀의 양측면상에 형성된 개구(11, 13)부의 일측에 주입기(30)를 삽입설치한다. 이때, 상기 주입기(30)의 일측에 구비되는 주입구(31)는 외부의 공사용 차량과 연결설치되며, 타측에 구비되는 분사노즐(33)은 상기 맨홀(10)의 외부측에서 맨홀(10)과 하수관(20)의 연결부위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맨홀(10)의 외부에 대기하는 공사용 차량에 의하여 상기 각각의 주입구(31)를 통하여 상기 주입기(30)내로 실링액과 경화재를 고압으로 주입시킨다. 주입된 실링액과 경화재는 상기 주입기(30)에 형성된 각각의 분사노즐(33)의 분사구(35)를 통하여 개별적으로 상기 맨홀(10)과 하수관(20)의 연결부위에 고압으로 분사된다.
고압으로 분사된 실링액과 경화재는 상기 맨홀(10)과 하수관(20)의 주변에 분포하는 토사와 혼합되어 상기 하수관(20)과 결합하는 상기 맨홀(10)의 개구(11, 13)상에 형성되는 유격된 공간으로 유입됨과 동시에 상기 맨홀(10)에 결합된 하수관(20)의 외주면 주위에 도포될 뿐만 아니라 상기 하수관(20)과 상기 하수관(20)에 일체로 연장형성된 보호관(21) 사이의 틈새 내측에 주입되면서 경화된다.
상기와 같은 작업이 완료됨과 동시에 상기 맨홀(10)의 벽면상에 결합설치된 주입기(30)를 제거함으로써 모든 작업이 완료된다.
본 고안은 하수관, 통신맨홀, 전기맨홀, 지하실 등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하수관과 결합되는 맨홀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개구상의 틈새 및 유격된 공간을 보다 기밀하게 밀봉함으로써 맨홀과 하수관의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함과 동시에 하수관의 내부에 흐르는 오, 폐수의 누수를 차단하여 토양의 오염을 방지하고, 간편한 시공과 시공기간 및 작업인원의 감소에 따른 공사비용의 절감과 내구성, 수밀성 향상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일정한 간극을 갖고, 외주면을 포위하는 보호관을 일체로 구비하는 하수관과 상기 하수관이 설치되는 맨홀의 개구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구조에 있어서,
    상기 맨홀의 일측면상에 관통 설치되는 주입기를 통하여 분사되는 실링액과 경화재가 상기 맨홀의 외부측으로부터 상기 하수관의 보호관과 맨홀의 개구 사이의 유격된 공간 및 상기 하수관과 상기 하수관상에 일체로 구비되는 보호관 사이의 틈새로 주입되고, 경화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과 관 사이의 밀봉구조.
KR20-2003-0002028U 2003-01-22 2003-01-22 맨홀과 관 사이의 밀봉구조 KR2003100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028U KR200310034Y1 (ko) 2003-01-22 2003-01-22 맨홀과 관 사이의 밀봉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028U KR200310034Y1 (ko) 2003-01-22 2003-01-22 맨홀과 관 사이의 밀봉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0034Y1 true KR200310034Y1 (ko) 2003-04-08

Family

ID=49404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028U KR200310034Y1 (ko) 2003-01-22 2003-01-22 맨홀과 관 사이의 밀봉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003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160B1 (ko) * 2006-09-29 2007-04-13 주식회사 삼안 상수도 맨홀누수 방지 시설구조
KR100849527B1 (ko) * 2007-12-24 2008-07-31 주식회사 우성 맨홀의 관 연결부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160B1 (ko) * 2006-09-29 2007-04-13 주식회사 삼안 상수도 맨홀누수 방지 시설구조
KR100849527B1 (ko) * 2007-12-24 2008-07-31 주식회사 우성 맨홀의 관 연결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3252Y1 (ko) 하수도, 도로, 하천, 환경시설공사 등에 사용되는 맨홀누수방지구조
KR200310034Y1 (ko) 맨홀과 관 사이의 밀봉구조
WO2003008715A1 (en) Manhole structure constructing method, manhole structure water-stop flexible joint and manhole structure
KR20070040498A (ko) 지수부재 결합용 피씨 암거 및 지수부재를 포함하는 피씨암거 조립체
KR100475416B1 (ko) 강관 보강 마이크로 실리카 그라우팅 공법
KR100509516B1 (ko) 맨홀과 관 사이의 밀봉방법
KR101817712B1 (ko) 암거 및 암거 시공방법
KR100617507B1 (ko) 수밀형 맨홀
KR100950956B1 (ko) 암거블록
KR100731173B1 (ko) 상·하수관 접속구조
KR100706160B1 (ko) 상수도 맨홀누수 방지 시설구조
CN216923610U (zh) 一种密封检查井系统
KR200391938Y1 (ko) 너트매입 콘크리트관
KR100680871B1 (ko) 배관 접속구 소켓 일체형 인버트 맨홀
JP3474445B2 (ja) セグメントおよびシールドトンネルの施工方法
KR100738283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벽체와 관로의 관통 연결부의 방수 구조및 그 시공 방법
KR100734227B1 (ko) 맨홀접합부의 수지보강공법 및 이를 이용한 접합구조
KR102298267B1 (ko) 지중 전력구용 프리캐스트 암거블록
KR100992693B1 (ko) 프리캐스트 구조물과 관로간의 방수용 연결구조
JP2003113616A (ja) 推進管用マンホールの継手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2203393B1 (ko) 파이프 연결구
KR200390947Y1 (ko) 배관 접속구 소켓 일체형 인버트 맨홀
KR20050082101A (ko) 수밀형 맨홀의 접속관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KR200366435Y1 (ko) 수밀형 맨홀의 접속관 결합구조
KR200358546Y1 (ko) 수밀형 맨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