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4680Y1 - 카 오디오 세트용 노스피스의 기능부 확장 및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카 오디오 세트용 노스피스의 기능부 확장 및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680Y1
KR910004680Y1 KR2019880016738U KR880016738U KR910004680Y1 KR 910004680 Y1 KR910004680 Y1 KR 910004680Y1 KR 2019880016738 U KR2019880016738 U KR 2019880016738U KR 880016738 U KR880016738 U KR 880016738U KR 910004680 Y1 KR910004680 Y1 KR 9100046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et
contact block
piece
north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67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9003U (ko
Inventor
신덕환
Original Assignee
남성전기산업 주식회사
윤봉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성전기산업 주식회사, 윤봉수 filed Critical 남성전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167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4680Y1/ko
Publication of KR9000090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0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46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6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Landscapes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 오디오 세트용 노스피스의 기능부 확장 및 분리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 오디오 세트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카 오디오 세트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단면도로서, 2a 도는 분리형 가능박스가 오디오 세트의 노스피스 본체와 결하된 상태의 설명도, 2b 도는 분리형 기능박스가 오디오 세트의 노스피스 본체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과정을 보인 부분 확대도, 2c도는 분리형 기능박스가 오디오 세트의 노스피스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설명도.
제 3 도는 제 2a 도의 A-A 선 단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능박스의 결합상태를 보인 카 오디오 세트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오디오세트 본체하우징 D : 대시보드
D-1 : 대시호울 10 : 노스피스 본체
11 : 통공 12 : 돌출턱
14 : 로커 14 : 걸림돌리
20 : 트림플레이트 24 : 경사지지판
25 : 걸림턱 30 : 기능박스
31 : 하우징 32 : 기능버튼
37 : 디스플레이부 33 : 인쇄회로기판
33a : 접점편 40 : 접점블록조립체
41 : 접점블록 41a : 접속핀
41b : 인쇄회로기판 41c : 플렉스블 와이어
42 : 접점블록커버 42a : 절결공
43 : 코일스프링 44 : 지지봉
본 고안은 카 오디오 세트의 콘트롤을 위한 노스피스(nosepiece)의 기능부확장 및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한된 크기를 가지고 카 오디오 세트 본체의 전방에 설치되는 카 오디오 세트의 돌출부 즉, 노스피스 부분을 기술적으로 확장하여 새로운 조정부나 기능부를 추가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확장된 기능박스 부분을 카 오디오 세트의 노스피스 본체로부터 간단히 분리 또는 결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제품의 도난방지 효과를 함께 얻을 수 있게한 카 오디도 세트의 콘트롤을 위한 노스피스의 기능부 확장 및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차량용 오디오 세트에는 차량의 대시보드(dash board)에 형성된 세트호울(set hole)의 형태 및 그 세트 호울에 장착되는 오디오 세트의 유형에 따라 장방체상으로된 카 오디오 세트 전체가 세트 호울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져 장착되는 형식(Din E Type)의 카 오디오 세트와, 전면 중앙부에 돌출설치된 노스피스의 양축에 2개의 콘트롤 샤프트를 구비하고 대시보드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끼워져 장착되는 형식(Two-Shaft Type)의 카 오디오 세트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카 오디오 세트중 노스피스를 구비한 후기의 투 샤프트 타입 카 오디오 세트의 경우에는 차량의 대시보드에 형성된 제한된 크기의 장방형 세트 호울에 오디오 세트의 전방에 설치된 일정크기(44m/m,105m/m)의 돌출부 즉, 노스피스가 삽입되고 그 세트 호울의 양축에 형성된 샤프트 호울에 노스피스 양축의 콘트롤 샤프트가 끼워지게 되어 있으므로, 이와같은 설치구조를 가지는 카 오디오 세트에 있어서는 세트 호울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노스피스의 전면에 테이프 카세트의 장착 및 인출을 위한 삽입공과 카 오디오 세트의 조작을 위한 각종 기능버튼 스위치 및 디스플레이부등과 같은 기능부를 한정적으로 수용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그러나, 점진되는 기술의 발달에 따라 여러 가지의 새로운 기능을 추가로 수용할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한 바와같은 투 샤프트 타입의 카 오디오 세트에 있어서는 제한된 규격을 갖는 노스피스의 크기가 장애요인이 되므로 그 노스피스의 전면에 다양한 기능부품을 추가로 설치하기가 어려운 단점과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근래에 이르러 카 오디오 세트의 도난이 자주 발생됨에 따라 카 오디오 세트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가 제안,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한 바와같은 설치구조를 가지는 투 샤프트 타입 카 오디오 세트의 경우에는 적절한 도난방지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에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목적은 카 오디오 세트의 설치 여건상 제한된 크기를 가질 수 밖에 없는 투 샤프트 카 오디오 세트 본체 전방의 돌출부 즉, 노스피스를 기술적으로 확장시킴으로써, 요구되는 다양한 기능부를 추가로 수용하거나 확장시킬 수 있는 카 오디오 세트용 노스피스의 기능부 확장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확장된 기능박스를 카 오디오 세트와 일체로 결합된 노스피스 본체로부터 간단히 분리하거나 결합할 수 있는 분리형 기능박스로 구성하고, 그 기능박스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카 오디오 세트의 조작 및 작동이 불가능하게 하여 카 오디오 세트의 도난 가치를 상실시킴으로써 요구되는 도난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카 오디오 세트용 노스피스의 기능부 분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카 오디오 세트용 노스피스의 기능부 확장 및 분리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차량 대시보드의 세트 호울 및 그 세트 호울의 전면주연에 부착되는 트림 플레이트(trim plate)의 통공을 통하여 노출되는 노스피스 본체의 일측 즉, 그 노스피스의 전면 주연에 부착되는 트림 플레이트 일측의 콘트롤 노브 설치부에 다수개의 기능 버튼 또는 확장된 디스플레이부가 전면에 구비된 장방체상 분리형 기능박스가 임의로 분리 결합될 수 있게 설치되고, 그 기능박스가 설치되는 노스피스 본체의 일측벽 내측과 기능 박스의 후면 일측 사이에는 결합된 기능박스 내부의 회로기판과 오디오 세트 본체에 내장된 회로기판간의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접점블록 조립체가 설치된다.
상기한 분리형 기능박스는 그 후면부가 대시보드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는 트림 플레이트의 일측 요홈부내에 형성된 경사 지지편에 접촉 지지된 상태에서 그 일측벽이 해제버튼으로 동작되는 걸림수단에 의하여 노스피스 본체와 임의로 분리될수 있게 조립 결합되고, 이와같이 결합되는 기능박스 내측 회로기판의 각 접점편은 상기 접점블록 조립체의 접점블록에 배치된 복수개의 각 접속핀에 접속된다.
이 접점블록 조립체의 접점블록은 그 선단의 접속핀이 그에 대응하는 다수의 핀공을 가지고 스프링으로 탄력 설치되는 접점블록커버로 복개되어 기능박스의 결합시 그 후면에 접촉되는 접점블록커버가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접정블록의 각 접속핀을 접정블록커버의 외측으로 노출시킴과 아울러 노출된 각 접속핀이 기능박스의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오디오 세트 본체에 내장된 회로기판과 기능박스 회로기판간의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게 되고, 기능박스의 분리시에는 내측으로 밀려 들어간 접점블록커버가 복원되어 접점블록 선단의 각 접속핀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카 오디오 세트용 노스피스의 기능부 확장 및 분리장치에 있어서는 카 오디오 세트의 자체구성 및 그 설치여건상 제한된 크기를 가지고 대시보드의 전방으로 노출 설치되는 오디오 세트의 노스피스 본체 일측에 분리형 기능박스를 기술적으로 확장시킴으로써 확장된 기능박스에 다양한 기능 버튼을 추가로 수용하거나 요구되는 각종 디시플레이를 추가 또는 확대 표시하는 한편, 기존 노스피스 본체의 디스플레이 설치부를 다양한 기능 버튼 설치부로 활용할 수가 있다.
특히, 본 고안에 의한 카 오디오 세트용 노스피스의 기능부 확장 및 분리장치는 확장된 기능박스가 노스피스 본체와 분리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차량의 주차시에는 그 기능박스만을 간단히 이탈 분리시키어 그 기능박스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오디오 세트의 조작 및 사용이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카 오디오 세트 전체의 도난가치를 상실시키어 요구되는 도난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전기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특징은 일예로서 도시한 첨부 도면에 의하여 서술되는 다음의 설명을 고려함으로써 더욱 상세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 오디오 세트용 노스피스의 기능부 확장 및 분리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제 2 도는 그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한 카 오디오 세트용 노스피스의 기능부 확장 및 분리장치는 노스피스 본체(10)가 돌출 설치된 카 오디오 세트 본체 하우징(1)의 전방 즉, 차량 대시보드(D)의 전면에 부착되는 트림플레이트(20) 일측의 요홈부(21)에 임의로 분리될 수 있게 끼워지는 대략 장방 갑체상 하우징(31)의 전면에 다수의 기능버튼(32)이 소정간격으로 배열 설치된기능박스(30)와, 그 기능박스(30) 후면 일측과 상기 트림플레이트(20) 중간부의 통공(22)을 통하여 노출되는 노스피스 본체(10)의 일측벽 사이에 설치되어 기능박스(30)의 내부에 설치된 인쇄회로기판(33)의 각 접점편(33a)과 오디오 세트 본체 하우징(1)에 내장된 인쇄회로기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간의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게 하는 접점블록 조립체(40)로 구성된다.
상기한 기능박스(30)는 상기 트림플레이트(20)의 요홈부(21)에 끼워질 수 있는 소정폭과 두께를 가지는 하우징(31)의 후면에 그 전면판(31a)과 평행한 평면부(31b)의 일측에서 외향경사 절곡된 사면부(31c)가 형성되어 있고, 그 후면 펑면부(31b) 일측의 모서리부에는 하우징(31) 내부의 회로기판(33)에 배치된 다수의 접점편(33a)이 각각 노출될 수 있는 복수개의 통공(34)이 그 모서리부를 따라 등간격으로 천공되어 있으며, 그 하우징(31)의 양측벽 상, 하에는 사아기 트림 플레이트(20)의 요홈부(21)에 삽입되는 기능박스(30)의 고정을 위한 걸림공(35)(36)이 각기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성의 기능박스(30)가 끼워지는 트림 플레이트(20) 일측의 요홈부(21)는 오디오 세트의 노스피스 본체(10)가 노출되는 중앙통공(22) 양측의 기존 콘트롤 샤프트 노출부중 그 일측 콘트롤 샤프트가 노출 설치되는 공간부를 이용한 것으로, 그 요홈부(21)의 내면 중앙부에는 오디오 세트 본체 하우징(1)과 대시보드(D) 및 트림 플레이트(20)간의 체결을 위한 고정보울트(2)가 끼워지는 통상의 보울트공(23)이 형성되어 있고, 그 보울트공(23)의 상, 하측부에는 요홈부(21)내에 끼워진 기능박스 하우징(31) 후면의 평면부(31b)와 사면부(31c) 상, 하측이 접촉지지될 수 있는 경사지지편(24)이 각기 설치되어 있으며, 그 요홈부(21)의 일측벽 상, 하측에는 상기 기능박스 하우징(31) 일측의 상,하걸림공(36)에 끼워질 수 있는 걸림턱(25)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대시보드(D)의 세트 호울에 설치되어 상기와 같은 기능박스(30) 및 트림 플레이트(20)와 결합되는 오디오 세트 본체 하우징(1)에는 그 노스피스 본체(10)의 일축에 설치되는 기존의 콘트롤 샤프트 대신에 그와 동일한 방법으로 고정 설치한 고정보울트(2)가 설치되어 있어, 오디오 세트 본체를 차량의 대시보드(D)에 장착시에는 그 고정보울트(2)와 그 반대측의 고정샤프트(3)를 대시보드(D)에 형성된 세트 호울(D1)양측의 샤프트 호울(D2)과 상기 트림 플레이트(20)의 양측에 형성된 샤프트공(26) 및 보울트공(23)을 각각 통해 전방으로 관출시킨 상태에서, 그 고정샤프트(3) 및 고정보울트(2)에 각기 체결되는 너트(4)(5)에 의해 대시보드(D) 및 트림플레이드(20)와 결합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장착되는 카 오디오 세트 본체 하우징(1) 전방의 노스피스 본체(10) 일측벽에는 일정크기의 통공(11)이 형성되어 있고, 그 통공(11)의 상, 하단 외측부에는 상기한 접점블록 조립체(40)가 설치되는 상, 하돌출턱(12)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콘트롤박스(10)의 통공(11) 외측부에는 상기 기능박스(30) 일측벽의 상, 하걸림공(35)에 대응하는 통공(13)이 각기 형성되어 있어, 이들 각 통공(13)을 통하여 노출되는 상, 하 로커(14) 선단의 걸림돌기(14a)가 상기 기능박스(30)의 상, 하 걸림공(35)에 걸리게 됨에 따라 조립된 분리형 기능박스(30)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로커(14)의 로커암(14b)은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노스피스 본체(10)의 전면 일측에 설치된 해제버튼(15)의 작동간(15a)에 연결되어 있어 그 해제버튼(15)을 누름에 따라 트림 플레이트(20)의 요홈부(21)와 기능박스(30)간의 체결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한 접점블록 조립체(40)는 상기 기능박스(30)의 회로기판(33)에 형성된 각 접점편(33a)에 접촉되는 복수개의 접속핀(41a)이자형 단면을 가지는 몸체의 선단부에 배치된 접점블록(41)과 그 접점블록(41)의 전방 및 외측에 복개되어 각 접속핀(41a)을 보호하는 접점블록 조립체(42)로 구성된다.
상기 접점블록(41)은 그 후단부 즉 접속핀(41a)의 노출부 반대측 단부가 상기 노스피스 본체(10)의 통공(11)에 인접되는 카 오디오 세트 본체 하우징(1)의 전면에 고정되어 있어 그 접점블록(41) 몸체 일측의 인쇄회로기판(41b)에 연결된 플렉시블 와이어(41c)가 상기 노스피스 본체(10)의 통공(11)을 통해 오디오 세트 본체 하우징(1)에 내장된 인쇄회로기판(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접속되어 있고, 그 접점블록(41) 선단의 각 접속핀(41a)은 상기 트림 플레이트(20) 중앙의 통공(22) 일측단부를 통하여 상기 요홈부(21)의 일측에 노출되어 있다.
이와같이 설치되는 접점블록(41)의 외측을 감싸는 접점 블록커버(42)는형으로 절곡된 몸체의 일측 모서리부에 상기 접점블록(41)의 각 접속핀(41a)이 자유로이 삽입 관출된 수 있는 절결공(42a)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몸체의 선단내면 상, 하단부에는 코일스프링(43)이 끼워진 지지봉(44)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그 지지봉(44)의 타단은 상기 노스피스 본체(10)의 일측벽 상, 하단부에 형성된 돌출턱(12)의 통공(12a)을 통하여 끼워져 있어, 그 접점블록 커버(42)를 내측으로 누름에 따라 그 지지봉(44)이 돌출턱(12)의 내부로 밀려들어가면서 접점블록커버(42) 전체가 후방으로 이동되며 그 선단 모서리부에 형성된 각 절결공(42a)을 통하여 접점블록(41)의 각 접속핀(41a)이 외부로 돌출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6호 상기 로커(14)의 힌지부를 지지하는 지지편이고, 17은 그 지지편(16)에 일단이 고정되고 그 타단이 로커암(14b)에 접촉되어 해제버튼(15)으로 작동되는 로커(14)를 복원시키는 판스프링을 보인 것이며, 3a, 3b는 오디오 세트 하우징(1) 일측의 고정 샤프트(3)의 내부 중공을 통해 트림 플레이트(20)의 외부로 노출되어 그 선단에 콘트롤 노브(5)(7)가 각기 끼워지는 내, 외 콘트롤 샤프트를 각기 보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장치의 상용방법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상기 제 2c 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리형 기능박스(30)가 차량의 대시보드(D)전면에 설치된 트림 플레이트(20)의 요홈부(21)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 이와같은 상태에서는 노스피스 본체(10)의 일측에 부설된 접점블록 조립체(40)의 접점블록커버(42)가 양 지지봉(44)에 탄력 설치된 코일 스프링(43)의 탄성으로 외측 즉,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 있다. 따라서 그 내측에 설치된 접점블록(41) 선단의 각 접속핀(41a)은 접점블록커버(42)의 각 절결공(42a)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어 그 접점블록커버(42)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게 되므로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직접적인 접촉에 따라 변형되기 쉬운 각 접속핀(41a)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또한 이와같은 기능박스(30)의 분리 상태에서는 대시보드(D)에 장착된 오디오 세트 본체는 그 조작이 불가능하게 되고 이와같은 상태의 오디오 세틀 본체만으로는 그 사용 가치를 상실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분리된 기능박스(30)만을 간단히 휴대 또는 보관함으로써 오디오 세트 전체의 도난 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오디오 세트의 사용을 위하여 분리된 기능박스(30)를 오디오 세트 본체와 결합할 경우에는 먼저, 제 2b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방으로 트여진 트림플레이트(20)의 요홈부(21)를 통해 기능박스(30)를 끼워넣게 되는 바, 이와같은 최초의 결합시에는 기능 박스(30) 후면 평면부(31b)의 모서리부에 형성된 각 통공(34) 부위가 상기 접점블록커버(42)의 각 절결공(42a)에 일치됨과 아울러, 그 반대측벽의 상,하걸림공(36)에 상기 요홈부(21)의 외측벽에 형성된 각 걸림턱(25)이 끼워지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기능박스(30)를 후방으로 가볍게 밀어넣게 되면, 상기 제 2a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 기능박스(30)와 그 모서리부 후면에 접촉된 접점블록 커버(42)가 함께 내측으로 밀려들어가게 되므로, 그 접점블록커버(42)의 각 절결공(42a) 내부에 위치하고 있던 접점블록(41) 선단의 각 접속핀(41a)이 각 절격공(42a)을 통하여 관출되면서 그 선단부가 기능박스 하우징(31)의 각 통공(34)을 통해 하우징(31)의 내부로 끼워지게 되고, 이어 내장된 인쇄회로기판(33)의 각 접점편(33a)에 접촉됨으로써 기능박스(30)와 오디오 세트 본체간의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그 기능박스(30)의 후면부 즉, 평면부(31b)와 사면부(31c)가 요홈부(21) 내면에 설치된 경사지지편(24)에 접촉지지되어 기능박스(30)의 안착이 이루어지게 되고, 또한 그 기능박스(30)의 일측벽에 형성된 상, 하절결공(35)에는 노스피스 본체(10) 일측벽의 상, 하 통공(13)을 통하여 돌출된 로커(14)의 걸림돌기(14a)가 끼워지게 되면서 분리형 기능박스(30)와 오디오 세트 본체간의 완전한 체결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안착된 기능박스(30)의 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결합된 기능박스(30)를 구비하게 되는 오디오 세트에 있어서는 제한된 규격을 가지는 기존 노스피스 본체(10)의 일측에 다수의 기능버튼(32)을 구비한 기능박스(30)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이므로, 한정된 기능의 조정부 밖에 수용할 수 없던 종래의 콘트롤박스의 기능부 및 조정부를 대폭 확장시킴으로써 요구되는 다양한 종류의 기능을 부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한편, 이와같은 카 오디오 세트의 사용 도중 차량을 주차시킬 경우 오디오 세트의 도난가치를 상실시키기 위하여 오디오 세트 본체와 결합된 기능박스를 다시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노스피스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된 해제버튼(15)을 눌러 그 작동간(15a)으로 로커안(14b)을 회전시키어 상기 제 2b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 로커(14)의 걸림돌기(14a)와 기능박스(30)의 일측 걸림공(35)간의 체결상태를 해제 시킴으로서 기능박스(30)를 간단히 분리 시킬 수가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분리형 기능박스(30)를 노스피스 본체(10)의 일측에 연장 설치한 것과 그 기능박스(30)에 다수개의 기능버튼(32)이 구비된 것을 일예로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서 그 기능박스(30)에 설치되는 기능부 또는 조작부는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능박스(30)의 전면을 확장된 디스플레이부(37)로 구성하고, 기존 노스피스 본체(10)에 설치되는 디플레이부(18)(제 1 도 참조)를 각종 기능버튼 설치부(19)로 대체하여 활용하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될 수가 있으며, 그 분리형 기능박스(30)를 노스피스 본체(10)의 양측에 각각 연장 설치하고 그 노스피스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되는 기존 콘트롤 샤프트(3a)(3b)의 기능을 분리형 기능박스에 설치되는 기능버튼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은 차량 대시보드의 세트 호울에 장착되는 설치여건상 제한된 크기의 노스피스를 갖게 되는 투 샤프트 타입의 카 오디오 세트에 있어서, 대시보드와 그 대시보드에 부착된 트림 플레이트를 통해 노출되는 노스피스의 일측에 분리형 기능박스를 연장 설칠하여 그 노스피스의 면적을 기술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게 구성한 것이므로, 그 기능박스에 새로운 기능부나 조정부를 다양하게 추가 수용하여 카 오디오 세트를 고급화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필요에 따라 그 기능박스만을 간단히 분리하여 손쉽게 휴대 보관함으로써 차량에 장착된 오디오 세트 본체의 도난기치를 상실시키어 소기의 도난방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다수의 기능버튼(32) 또는 확장된 디스플레이부(37)를 복수개의 통공(34)이 후면 모서리부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장방갑체상 하우징(31)의 전면에 구비하고 차량의 대시보드(D)에 부착되는 트림 플레이트(20) 일측의 요홈부(21)내에 임의로 분리될 수 있게 결합되는 기능박스(30)와, 노스피스 본체(10)의 일측벽과 인접되는 오디오 세트 본체 하우징(1)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기능박스(30)에 내장된 인쇄회로기판(33)의 각 접점편(33a)에 접속되는 다수의 접속핀(41a)을 선단부에 구비하여 기능박스(30)와 오디오 세트 본체간의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게 하는 접점블록 조립체(40)의 접점블록(41)과, 상기 노스피스 본체(10)의 일측벽 상, 하에 형성된 돌출턱(12)에 코일스프링(43)을 구비한 지지봉(44)으로 지지되어 내, 외로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되는 몸체의 선단에 상기 접점블록(41)의 각 접속핀(41a)이 관출되는 절결공(42a)을 구비하고 그 각 접속핀(41a)을 감쌀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접점블록조립체(40)의 접점블록커버(4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세트용 노스피스의 기능부 확장 및 분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림 플레이트(20)의 요홈부(21)에 결합되는 기능박스(30)는 그 후면부가 요홈부(21)의 내면 상, 하측에 형성된 경사지지판(24)에 접촉 지지되고, 그 하우징(31)의 양측벽에 형성된 걸림공(36)(35)에는 요홈부(21)의 일측벽에 형성된 걸림턱(25)과 노스피스 본체(10)의 전면에 설치된 해제버튼(15)으로 동작되는 로커(14)의 걸림돌기(14a)가 각기 걸려 고정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세트용 노스피스의 기능부 확장 및 분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블록(41)은 그 일면의 인쇄회로기판(41b)에 연결된 플레시블 와이어(41c)가 노스피스 본체(10)의 통공(11)을 통하여 오디오 세트 본체 하우징(1)에 내장된 인쇄회로기판에 연결 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세트용 노스피스의 기능부확장 및 분리장치.
KR2019880016738U 1988-10-12 1988-10-12 카 오디오 세트용 노스피스의 기능부 확장 및 분리장치 KR9100046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6738U KR910004680Y1 (ko) 1988-10-12 1988-10-12 카 오디오 세트용 노스피스의 기능부 확장 및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6738U KR910004680Y1 (ko) 1988-10-12 1988-10-12 카 오디오 세트용 노스피스의 기능부 확장 및 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9003U KR900009003U (ko) 1990-05-03
KR910004680Y1 true KR910004680Y1 (ko) 1991-07-01

Family

ID=19280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6738U KR910004680Y1 (ko) 1988-10-12 1988-10-12 카 오디오 세트용 노스피스의 기능부 확장 및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46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362B1 (ko) * 2001-08-27 2004-07-07 김해곤 에너지 절약형 물탱크 온수보일러 난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362B1 (ko) * 2001-08-27 2004-07-07 김해곤 에너지 절약형 물탱크 온수보일러 난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9003U (ko) 1990-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1684A (en) Detachable apparatus for automotive audio equipment
US4940414A (en) Antitheft car audio set with removable control box
US4947457A (en) Removable function box with contact block assembly
KR910004680Y1 (ko) 카 오디오 세트용 노스피스의 기능부 확장 및 분리장치
JP4070160B2 (ja) パチンコ機の基板収納ボックス
JPH11289173A (ja) 筐体構造
KR100245200B1 (ko) 보조기억장치의 도난방지장치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
EP0558331B2 (en) Detachable apparatus for automotive audio equipment
JP3300882B2 (ja) 電気機器
JP3297747B2 (ja) 車載用機器の帯電防止機構
JPH10322038A (ja) 電気機器
KR910004678Y1 (ko) 도난방지용 카 오디오 세트의 콘트롤박스 분리장치
JPH07114526B2 (ja) 電気接続箱の車体等への取付構造
KR920004452Y1 (ko) 카 오디오 세트의 기능부 절첩장치
JPH0739272Y2 (ja) 電子機器用箱体
KR910007220Y1 (ko) 도난방지용 카 오디오 세트의 콘트롤박스 분리장치
JP3276819B2 (ja) 操作釦取り付け構造
JP2001118487A (ja) 電気接続箱
JP3202663B2 (ja) 基板引き抜き防止構造
KR100246042B1 (ko) 자동차용 오디오 시스템
JP2004095437A (ja) 車載用電子機器の操作パネル装置
JP4645370B2 (ja) スイッチの取り付け構造
KR950008527Y1 (ko) 자동차용 오디오 전면 프레임
JP2528177Y2 (ja) 配線器具用プレート枠
JP2001341582A (ja) 車両用スイッチホール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