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4471Y1 - 세발용 브러쉬(洗髮用 brush) - Google Patents

세발용 브러쉬(洗髮用 brus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471Y1
KR910004471Y1 KR2019890001377U KR890001377U KR910004471Y1 KR 910004471 Y1 KR910004471 Y1 KR 910004471Y1 KR 2019890001377 U KR2019890001377 U KR 2019890001377U KR 890001377 U KR890001377 U KR 890001377U KR 910004471 Y1 KR910004471 Y1 KR 9100044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shampoo
brush body
shampoo liquid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13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5246U (ko
Inventor
황금택
Original Assignee
황금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금택 filed Critical 황금택
Priority to KR20198900013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4471Y1/ko
Publication of KR9000152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52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44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4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22Comb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liquids, pastes or powders
    • A45D24/24Comb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liquids, pastes or powders with provision for free supply; using wick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세발용 브러쉬(洗髮用 brush)
제 1 도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제 2 도는 동결합상태 횡단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A-A선 단면도에 관한것으로(a)도는 샴푸액 유출공이 폐방된 상태이며 (b)도는 샴푸액 유출공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샴푸액유입캡 3, 3' : 양측외주연부
4 : 중심부 5 : 오목부
6 : 유출공 7, 7' : 안내요홈
8 : 샴푸액실 9 : 파지부
11, 11' : 안내돌기 12 : 회동손잡이
13 : 주연괘지홈 14 : 결합부
15 : 괘지턱
본 고안은 통상의 브러쉬 몸체 내부에 샴푸(Shampoo)를 넣을수 있도록 샴푸액 실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샴푸세발시보다 간편하게 세발할 수 있도록 한 세발용 브러쉬(洗髮用 brush)에 관한 것이다.
좀더 상세하게로는 하부면의 양측 주여부로부터 중심부 내측으로 만곡요입부를 갖는 타원형상의 브러쉬 몸체 상측부에 샴푸유입캡을 연설하여 이를 통하여 몸체내의 샴푸액실에 샴푸를 공급할 수 있게하고, 브러쉬 상면 중앙부에 파지부가 수개 연설되고 이의 하부면에 유출공 개폐판이 연설된 회동손잡이를 결합시켜 회동손잡이를 일측으로 약간 회동시켜줌으로써 샴푸사용 세발을 보다 편리하게 행할수 있는 브러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지금까지 샴푸액을 동시에 사용할수 있는 세발용 브러쉬는 다수 제안된바 없고, 통상 세발용 브러쉬는 피부의 강한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제안된 것과 단순히 디자인의 변형정도 뿐이다.
한편 샤워기에 있어서 샤워기내에 비누를 넣어 물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정도는 제안된바 있으나, 본 고안과는 그 필요성의 목적을 달리하고 있을뿐아니라 그 구성이 복잡하고 부품수의 증가로 인해 사용상 불편하여 실용화에 근접하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와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본 고안의 주요목적은, 통상의 브러쉬 몸체내에 샴푸액 실을 마련하여, 세발시 샴푸액을 항상 동시에 사용할수 있게하고 일일이 샴푸액을 손에 따라서 머리에 바르는 번거로움을 없게함으로써 빠른 시간내에 효과적인 샴푸세발을 할수 있게한 것에 특징이 있으며,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타원형상의 브러쉬 하부면을 양측 저면외주연으로부터 중심부까지 만곡요입되는 오목부를 형성시켜줌으로써 역시 동일오목부를 갖고 입설된 피부에 밀착되는 효과를 증대시켜 마사아지(massage)효과를 실질적으로 제공하여 피부미용효과(탈모방지등)를 증대시킬수 있도록 한 브러쉬를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회동손잡이 상부면에 파지부를 설치하여 세발시 미끄러운 샴푸액으로부터 브러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되며 브러쉬 몸체 일측에 연설된 샴푸액 유입캡을 통하여 샴푸약을 보충할 수 있고 세발시 샴푸액이 직접 손에 닿지 않아 피부보호에도 한층 기여할 수 있게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달성을 위한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도면 제 1 도 내지 제 3 도를 참고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가일층 명확해질 것이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크게는 샴푸액유입캡(2)이 연설된 브러쉬 몸체(1')와 회동손잡이(12)로 구분할수 있다. 제 2 도는 동 결합상태의 횡단면도이며, 제 3 도는 제 2 도의 A-A선 단면도에 관한 것으로 이에 의하면 본고안의 전체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즉, 양측외주면부(3)(3')로부터 중심부(4)쪽으로 만곡 요입된 오목부(5)를 갖는 타원형상의 브러쉬몸체 저면부에, 통상의 빗살(1˝)이 입설된다. 또한 브러쉬 몸체 내부의 샴푸액실(8)에 샴푸액 유출공(6)이 친설되고 일측에 안내요흠(7)(7')이 마련된다. 이에, 상부면에 수개의 손가락이 삽입될 파지부(9)가 연설되고 하부면에 통공(10)을 갖는 개폐판(11)을 연설하여 브러쉬 몸체에 형성된 결합부(14)의 주연 괘지턱(15)에 회동손잡이(12)의 주연 괘지홈(13)을 유착시켜 안내요홈(7)(7')에 안내돌기(11)(11')가 항시 삽입 안착될 수 있게 결합구성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16)은 샴푸액이며(17)은 개폐상태를 표시한 표시부이다.
이와 같이 결합 구성된 본 고안은, 샴푸액유입캡(2)을 열고 샴푸액(16)을 샴푸액실(8)로 공급한후 닫고 세발시 사용자가 손가락(검지, 장지, 무명지)을 파지부(9)에 끼운후 시계방향으로 약간 회동시키게 되면 도면 제 3a, b 도에서와 같이 샴푸액실(8)의 바닥면에 천설된 유출공(6)을 폐방하고 있던 개폐관(11)이 회동손잡이(12)와 같이 회동하면서 이에 형성된 통공(10)이 유출공(6)과 일치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샴푸액(16)은 통공(10)과 유출공(6)을 통하여 브러쉬 몸체(1')하부의 오목부(5)로 흘러나오게 된다.
이때 통공(10)과 유출공(6)이 정확하게 일치되는 것은 바닥면에 형성된 안내요홈(7)(7')과 개폐관(11)저면부에 돌설된 안내돌기(11)(11')에 의하여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브러쉬 몸체(1')를 움켜쥐고 세발하게 되면 브러쉬 몸체 저면부가 오목부(5)로 이루어져 있는 관계로 인해 빗살(1'')도 역시 오목부(5)를 갖고 입설된 관계로 빗살이 둥근머리의 피부면에 효과적으로 밀착됨에 따라 마사아지 효과를 가일층 높일수가 있다.
이렇듯 본 고안은 샴푸액과 브러쉬를 항시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됨으로 사용이 간편하며 특히 브러쉬몸체 저면부가 오목하게 되어있어 머리피부면에 마사아지 효과를 가일층 높일수가 있으며, 샴푸액을 사용치 않을때는 다시 파지부에 끼움된 손가락을 시계반대방향인 원 위치로 돌리면 유출공은 개폐관에 의하여 폐쇄됨으로 샴푸액의 유출을 차단하게 되어 샴푸액이 없는 세발을 할 수가 있으며, 특히 본 고안에 의한 브러쉬는 세발작업이 많은 이미용실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브러쉬 몸체(1')의 하부면에 빗살(1'')이 다수 돌설된 통상의 세발용 브러쉬(1)에 있어서, 일측에 샴푸액유입캡(2)이 연설되고 저면부가 양측 외주연부(3)(3')를 시작으로 중심부(4)쪽으로 만곡요입되어 오목부(5)를 갖는 브러쉬몸체(1')내부에, 수개의 유출공(6)이 천설되고, 양측부에 안내요홈(7)(7')이 마련된 샴푸액실(8)을 형성하여, 이에, 상부면에 파지부(9)가 연설되고 하부면에 통공(10)을 갖는 개폐관(11)이 연설된 회동손잡이(12)의 주연괘지홈(13)이 브러쉬 몸체의 결합부(14)에 형성된 괘지턱(15)에 삽입 결합되어 안내돌기(11')(11'')가 안내요홈부에 결합안착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발용 브러쉬.
KR2019890001377U 1989-02-09 1989-02-09 세발용 브러쉬(洗髮用 brush) KR9100044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1377U KR910004471Y1 (ko) 1989-02-09 1989-02-09 세발용 브러쉬(洗髮用 brus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1377U KR910004471Y1 (ko) 1989-02-09 1989-02-09 세발용 브러쉬(洗髮用 brus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5246U KR900015246U (ko) 1990-09-01
KR910004471Y1 true KR910004471Y1 (ko) 1991-06-29

Family

ID=19283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1377U KR910004471Y1 (ko) 1989-02-09 1989-02-09 세발용 브러쉬(洗髮用 brus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447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5246U (ko) 199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5256A (en) Hand-held personal hygiene device
JPS62106710A (ja) 処理製品の施し装置
US3754548A (en) Fluid dispensing vibrator
KR910004471Y1 (ko) 세발용 브러쉬(洗髮用 brush)
US20070095780A1 (en) Scalp massaging container cap
KR200464292Y1 (ko) 물공급장치가 부착된 미용실용 두피세척 장갑
JP2533873Y2 (ja) 頭髪用液体化粧料塗布具
WO2008096960A1 (en) Tool for cleansing scalp
CN214047879U (zh) 一种梳油头用的梳子套件
US5890824A (en) Soap applicator
KR200218694Y1 (ko) 화장용크림용기
KR102559238B1 (ko) 로션 도포 장치
KR930000176Y1 (ko) 화장품용기 겸용 마사아지 용구
KR200396882Y1 (ko) 파지감을 향상시킨 마스카라 용기
JP3058540U (ja) 洗髪洗剤容器
KR930003020Y1 (ko) 머리염색용 브러쉬
JP3069235U (ja) 塗布具を備えたマスカラ容器
KR200492202Y1 (ko) 빗살과 함침부재를 가지는 두발 염색제용기
US20230404234A1 (en) Neck pad for salon bowls for rinsing the back neckline
CN211559868U (zh) 沐浴刷
CN209563684U (zh) 一种补色染发梳
JPH11165099A (ja) シャワー装置
KR200273042Y1 (ko) 세안용 장갑
KR200270382Y1 (ko) 빗 장치 구조
KR900003852Y1 (ko) 때 밀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