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8694Y1 - 화장용크림용기 - Google Patents

화장용크림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8694Y1
KR200218694Y1 KR2019980006308U KR19980006308U KR200218694Y1 KR 200218694 Y1 KR200218694 Y1 KR 200218694Y1 KR 2019980006308 U KR2019980006308 U KR 2019980006308U KR 19980006308 U KR19980006308 U KR 19980006308U KR 200218694 Y1 KR200218694 Y1 KR 2002186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contents
present
cream container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63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4882U (ko
Inventor
주기영
Original Assignee
주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기영 filed Critical 주기영
Priority to KR20199800063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8694Y1/ko
Publication of KR199800248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8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86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8694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을 하거나 화장을 지우거나 맛사지를 하는 데 사용하는 크림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용물이 브러시에 묻혀져 배출되도록 하여 그 브러시에 의해 화장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 화장용 크림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화장용 크림 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것으로서 상단 개구공(11)의 외벽에 나사부(12)가 형성되고 플렉시블한 재질로 된 통상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나사부(12)와 나합되도록 내면에 암나사부(21)가 형성되고, 상단에 다수의 브러시(22)가 식재되며, 상기 브러시(22)의 사이사이에 다수의 배출공(23)이 형성되며, 상단 외주부에 뚜껑(30)이 결합될 수 있도록 단턱(24)이 형성된 브러시체(20)와; 상기 브러시체(20)를 덮는 통상의 뚜껑(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용 크림용기 {FACIAL CREAM VESSEL}
본 고안은 화장을 하거나 화장을 지우거나 맛사지를 하는 데 사용하는 크림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용물이 브러시에 묻혀져 배출되도록 하여 그 브러시에 의해 화장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 화장용 크림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을 하거나 지우거나 또는 맛사지를 하거나 할 경우에는 주로 로션 등의 화장용 크림을 사용하게 되고, 이러한 반액 상태의 각종 크림은 유리병이나 합성수지재 용기 또는 튜브용기에 담겨지게 된다.
이러한 크림용기는 뚜껑을 구비한 것으로서 이에 수용된 내용물을 사용할 때에는 뚜껑을 열고 용기를 뒤집거나 눌러서 소정량의 내용물을 손이나 거즈 또는 화장지 등에 배출시킨 후, 얼굴에 직접 문지르는 것으로 화장을 하거나 지우거나 맛사지를 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크림의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은 여러 폐단이 있었다.
즉, 크림과 같은 내용물을 직접 손에 받아 사용할 경우에는 얼굴 피부와의 마찰력이 적어 미끄러지는 관계로 화장이 효과적으로 되지 못함과 함께 작업 후 손에 묻은 내용물을 씻어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었으며, 거즈나 화장지 등에 묻혀 사용할 경우에는 그 거즈나 화장지를 여러번 바꾸어가며 사용하게 되어 많은 양이 일회용으로 소모되는 것과 함께 오히려 거칠한 재질특성에 의해 얼굴피부를 손상시킬 염려를 주게 되며, 또한 그 거즈나 화장지의 입자들이 얼굴에 떨어져 묻게 되거나 특히 내용물의 배출이 일회로 그치지 않고 수회 배출시켜야 하고 내용물이 거의 소모되어 있을 경우 그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시간이 지연되어지는 등의 문제점을 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내용물이 브러시에 묻혀져 배출되도록 하여 그 브러시에 의해 화장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내용물의 배출이 용이하게 되며 화장효과가 월등히 향상되는 화장용 크림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화장용 크림 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통상의 플렉시블한 크림용기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구부에 나사조립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브러시가 식재되고 다수의 배출구멍이 형성된 브러시체와, 상기 브러시체를 덮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뚜껑을 열고 몸체를 누르게 되면 내용물이 브러시체에 형성된 다수의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어 그 주위에 식재된 브러시에 묻혀지게 됨으로써 그 내용이 묻혀진 브러시로 화장작업을 할 경우 효율적인 화장적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브러시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브러시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브러시 단일모의 상단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몸체 11: 개구공
12: 나사부 20: 브러시체
21: 암나사부 22,22': 브러시
23,23': 배출공 24: 단턱
30: 뚜껑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브러시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브러시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브러시 단일모의 상단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화장용 크림 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통상의 플렉시블한 몸체(10)와, 상기 몸체의 개구부에 나사조립되는 브러시체(20)와, 상기 브러시체를 덮는 뚜껑(3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몸체(10)는 상단 개구공(11)의 외벽에 나사부(12)가 형성되고 플렉시블한 재질로 된 통상의 구조이다.
상기 브러시체(20)는 몸체(10)의 나사부(12)와 나합되도록 내면에 암나사부(21)가 형성되고, 상단에 다수의 브러시(22)가 식재되며, 상기 브러시(22)의 사이사이에 다수의 배출공(23)이 형성되며, 상단 외주부에 뚜껑(30)이 결합될 수 있도록 단턱(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브러시체(20)에 형성되는 배출공(23')은 도 3에서와 같이 브러시(22)의 식재구멍에 동시에 형성할 수도 있게 하였다.
또한 상기 브러시체(20)에 식재되는 브러시(22')는 얼굴면과 상응하도록 전체적인 형상이 오목하게 식재할 수도 있게 하였다.
이 때 상기 브러시(22)(22')하나하나의 단일모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단이 라운드진 형상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10)나 뚜껑(30)은 불투명이거나 반투명이거나 완전투명이거나를 상관하지 않는다.
상기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사용할 경우에는 뚜껑(30)을 벗긴 후 드러나 브러시(22)를 얼굴에 댄체 몸체(10)를 누른다.
그러면 몸체(10)는 플렉시블한 재질인 까닭에 누르는 만큼 충진된 내용물을 개구부(11)로 이동시키게 되고, 개구부(11)에 이동된 내용물은 이제 브러시체(20)에 형성된 배출공(23) 또는 배출공(23')을 통해 배출되어 그 주위에 식재되어 있는 브러시(22) 또는 브러시(22')에 묻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내용물이 묻혀진 브러시(22)를 통해 얼굴에 크림을 바르거나 화장을 지우거나 맛사지 등의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적정한 양만큼씩의 내용물이 계속적으로 공급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브러시(22)의 작용에 의해 화장작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브러시(22')가 오목한 형상의 것일 경우 얼굴면에 밀착될 수 있게 되어 보다 효율적인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며, 또한 손을 오염시키거나 거즈나 화장지가 불필요하게 된다.
사용 후에는 상기 브러시체(20)에 뚜껑(30)을 다시 결합시켜 보관하게 되고, 또한 장시간 사용치 않을 경우나 수시로 사용할 경우라도 보다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나합된 브러시체(20)를 조립해제시켜 물로 세척한 후 다시 조립시켜 놓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화장용 크림 용기는, 다수의 브러시가 식재되고 다수의 배출구멍이 형성된 브러시체가 내용물이 수용되는 통상의 플렉시블한 크림용기의 몸체와 그 개구부를 덮는 뚜껑 사이에 개재 설치되는 구성에 의해, 내용물이 브러시에 묻혀져 배출되고 그 브러시에 의해 화장작업이 이루어지게 되어 화장작업시간이 단축되고, 내용물의 배출이 지속적이고도 용이하게 되며, 브러시의 작용에 의해 화장, 화장지움, 및 맛사지효과가 월등히 향상되며, 나아가 손을 오염시키지 않게 되며 크림을 묻히는 거즈나 화장지 등이 필요없게 되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몸체의 상단에 몸체내부와 관통된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으로 배출되는 내용물이 적셔지도록 브러시가 식재된 용기에 있어서,
    식재된 브러시(22)와 브러시(22) 사이사이에 다수의 배출공(23)이 형성된 브러시체(20)가 상기 몸체(10)의 상단 개구부에 결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크림 용기.
KR2019980006308U 1998-04-21 1998-04-21 화장용크림용기 KR2002186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308U KR200218694Y1 (ko) 1998-04-21 1998-04-21 화장용크림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308U KR200218694Y1 (ko) 1998-04-21 1998-04-21 화장용크림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882U KR19980024882U (ko) 1998-07-25
KR200218694Y1 true KR200218694Y1 (ko) 2001-04-02

Family

ID=69513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6308U KR200218694Y1 (ko) 1998-04-21 1998-04-21 화장용크림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869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4856A (ko) * 2001-02-03 2002-08-10 김휘화 피부 미용 및 피부 맛사지 주름 제거 화장품 용기
KR20020074929A (ko) * 2001-03-22 2002-10-04 김휘화 피부 미용 및 피부 맛사지 주름 제거 화장품 용기
KR101534840B1 (ko) * 2014-11-27 2015-07-13 서지혜 화장용 팩을 위한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882U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9283B1 (ko) 크림타입 화장품 토출용 튜브형 화장품용기
US2584735A (en) Dispensing applicator and massaging device
KR101928807B1 (ko) 간단한 구조를 갖는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100702621B1 (ko) 액상 화장품 용기
US5613506A (en) Device for removing manicure
KR200218694Y1 (ko) 화장용크림용기
KR100843642B1 (ko) 용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퍼프를 구비한 화장품용기
KR200380074Y1 (ko) 배출노즐이 구비된 프라스틱형 용기
KR200361601Y1 (ko) 겔상 립스틱 용기
KR100398162B1 (ko) 메니큐어 겸용 세척액 용기
US20030002913A1 (en) Automatic applicator brush
JP2021087530A (ja) 容器
KR200437385Y1 (ko) 샴푸마사지기구용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샴푸마사지기구
JP4808372B2 (ja) 粘性体塗布容器
JP3688343B2 (ja) 小形液体塗布容器
CN215737396U (zh) 一种能够冰凉按摩的眼霜包装瓶
JPH10313947A (ja) ヘアーブラシ
JP4294291B2 (ja) 液塗布用具
KR200260197Y1 (ko) 메니큐어 겸용 세척액 용기
KR200325777Y1 (ko) 개량형 로션Type 파스용기
CN211443390U (zh) 一种便于开启的洁面乳软管
KR101612250B1 (ko) 마사지 기능을 갖는 오버캡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WO2021111854A1 (ja) 容器
JPS6340169Y2 (ko)
KR200216919Y1 (ko) 안면용 팩 수납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