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292Y1 - 물공급장치가 부착된 미용실용 두피세척 장갑 - Google Patents

물공급장치가 부착된 미용실용 두피세척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292Y1
KR200464292Y1 KR2020110008138U KR20110008138U KR200464292Y1 KR 200464292 Y1 KR200464292 Y1 KR 200464292Y1 KR 2020110008138 U KR2020110008138 U KR 2020110008138U KR 20110008138 U KR20110008138 U KR 20110008138U KR 200464292 Y1 KR200464292 Y1 KR 2004642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water supply
water
glove
pa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81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현
Original Assignee
김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현 filed Critical 김주현
Priority to KR20201100081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2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2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2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55Plastic or rubber gloves
    • A41D19/0079Plastic or rubber gloves with channels for conveying flui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041Processes for treating the hair of the scalp
    • A45D19/005Shampooing; Conditioning; Washing hair for hairdress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10Head-rests; Neck-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장갑 형상으로 형성되고, 물이 흡수되지 않음과 동시에 착용시 손을 움직일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며 손바닥에 해당되는 부위는 천공되어져 있어서 상부캡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몸체(101); 상기 몸체 중 손바닥 부위에 형성되고, 다수의 물공급구멍(210)이 일측 방향(장갑 손바닥의 수직 상방향)을 향하여 형성되는 오목한 형상의 상부캡(200); 상기 상부캡과 결합되되 상기 몸체(101) 내측에 위치하는 하부캡(201); 및 상기 상,하부캡(200,201)이 이루는 공간으로 물을 투입하기 위하여 몸체(101)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물공급관(30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하부캡(201)은, 상기 상부캡(200)의 하방으로 결합되면서 상부캡과 함께 물이 투입되는 공간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천공되어져 물공급관(300)의 말단부와는 관연결부(310) 및 물공급관 말단캡(305)에 의해 연결되는 물공급장치가 부착된 미용실용 두피세척 장갑이 제시된다.

Description

물공급장치가 부착된 미용실용 두피세척 장갑{Gloves with faucet}
본 고안은 미용실에서 머리를 감겨주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장갑의 내측을 관통하여 관을 설치하고 장갑의 손바닥 부위에 샤워기 형태의 탭을 설치함으로써, 미용실에서 머리감겨 주는 작업 및 물 공급을 한손으로도 충분히 가능하게 하는 획기적인 미용실용 두피세척 장갑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미용실에서는 고객의 머리를 감겨 주는 서비스까지 제공하며, 이러한 머리카락 세척 작업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은 양손을 사용하면서 한 손으로는 샤워기 탭 단부를 파지 하고 나머지 손으로는 머리 세척 또는 머리 행굼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미용실에서의 작업 중에는 각종 염색약, 퍼머약 기타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두피 혹은 머리카락에 도포한 뒤 이를 세척해 내는 작업이 포함되는데 미용실 근무자는 하루 종일 이러한 물질에 노출되게 되며, 특히 손으로 상기 물질들을 세척해 내기 때문에 손 피부에 매우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게 되는 등 근무자 건강을 해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현실에서는 미용실 근무자는 통상적인 머리 세척시 양손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 하므로 매우 불편하며, 염색약과 같은 유해한 물질을 직접 피부로 접촉해야 하는 좋지 않은 환경에 노출되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시급하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착상된 것으로서, 현재까지 전혀 소개되지 않았던 신개념의 미용실용 장갑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즉, 첫째 미용실에서 모발 세척과 샴푸 작업을 동시에 한손으로 수행가능한 장갑을 제시하는 것이다.
둘째 샴푸 작업을 수행해주는 사람의 피부에, 염색약 혹은 두피 세척액 등이 직접 접촉되지 않는 위생적인 모발세척 서비스가 가능한 장갑을 제공하는 것이다.
세째 샴푸 도중에 두피 안마를 위하여 소정의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동시에 안마와 샴푸 작업이 가능한 장갑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즉 장갑 형상으로 형성되고, 물이 흡수되지 않음과 동시에 착용시 손을 움직일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며 손바닥에 해당되는 부위는 천공되어져 있어서 상부캡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몸체(101);
상기 몸체 중 손바닥 부위에 형성되고, 다수의 물공급구멍(210)이 일측 방향(장갑 손바닥의 수직 상방향)을 향하여 형성되는 오목한 형상의 상부캡(200);
상기 상부캡과 결합되되 상기 몸체(101) 내측에 위치하는 하부캡(201); 및
상기 상,하부캡(200,201)이 이루는 공간으로 물을 투입하기 위하여 몸체(101)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물공급관(30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하부캡(201)은,
상기 상부캡(200)의 하방으로 결합되면서 상부캡과 함께 물이 투입되는 공간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천공되어져 물공급관(300)의 말단부와는 관연결부(310) 및 물공급관 말단캡(305)에 의해 연결되는 물공급장치가 부착된 미용실용 두피세척 장갑이 제시된다.
기타 자세한 설명은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상세히 설명토록 한다.
본 고안에 의하여 첫째 미용실에서 모발 세척과 샴푸 작업을 동시에 한손으로 수행가능한 이점이 있으며 둘째 샴푸 작업을 수행해주는 사람의 피부에, 염색약 혹은 두피 세척액 등이 직접 접촉되지 않는 위생적인 모발세척 서비스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용실 샴푸용 장갑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상,하부 캡 및 물의 공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용실 샴푸용 장갑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용실 샴푸용 장갑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 수준에서 용이 하게 변형가능한 균등 수준의 고안이라도 모두 본 고안 권리에 속함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용실 샴푸용 장갑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상,하부 캡 및 물의 공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선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장갑은 미용실용으로 주로 사용하게 되며, 한손으로 두발을 세척함과 동시에 샤워기 모양의 탭인 상부캡(200)의 물공급구멍(210)을 통하여 물이 흘러나오게 되므로 세척액 및 염색약 등을 씻어 내릴수 있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장갑 형상을 한 몸체(101)의 손바닥부(110)에는 상부캡(200)이 형성되어져 있고, 상부캡에는 물공급구멍(210)이 다수 형성되어져 있다.
장갑 형상의 몸체는 손가락 수용부(120)와 같이 벙어리 장갑 형태로 도시되어져 있지만 개별 손가락들을 모두 낄 수 있는 형상으로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몸체(101)의 재질은 샴푸 작업을 하는 미용실 근무자가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손을 비교적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우레탄, 실리콘 등 유연한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기타 재질이라도 유연성을 발휘하면서 물이 흡수되지 않는 재질이라면 채용 가능하다.
본 고안의 목적 중 하나가 샴푸 작업시 손에 염색약 등이 묻지 않도록 하는데 있기 때문이다.
물 공급관(300)은 외부로부터 연결되어져 몸체(101)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와는 달리 물공급관(301)이 몸체(101) 중 손목 부위의 개구부를 통하지 않고 장갑의 손등 외주 표면으로 연결되어져 장갑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도 있을 수 있다. 이는 도 4에서 도시되어져 있다. 이때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물공급관(301)과 몸체(101)이 만나는 부위의 구멍 주위로는 씰링(방수) 처리가 됨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부캡(201)은 상부캡(200)과 결합되어 있는데, 하부캡은 손을 장갑에 낀 상태에서는 작업자의 손바닥과 직접 맞닿는 부분이므로 두께를 매우 얇게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다.
도 2 상세도 A 및 도 3과 같이 물공급관(300)은 관연결부(310)에 의하여 물공급관 말단캡(305)으로 연결되어져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하부캡과 상부캡 사이 공간부로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관연결부와 물공급관 말단캡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 외에도 물이 공급되는 관의 위치는 다양하게 선택 적용될 수 있지만 본 고안 권리에 속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용실 샴푸용 장갑의 사시도이다.
상부캡의 표면 위로 두피안마용돌기(500)들이 형성되어져 있는데 이러한 돌기를 두피 세척을 하면서 문지르게 되면 두피에 혈액순환을 촉진하게 되어 모발 건강에 도움이 되는 등 샴푸와 안마 작업이 도 5의 실시예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100:샤워기가 부착된 미용실용 장갑
101:몸체
110:손바닥부
120:손가락수용부
200:상부캡
201:하부캡
205:캡 결합부
210:물공급구멍
300,301:물공급관
305:물공급관 말단캡
310:관연결부
500: 두피안마용 돌기

Claims (1)

  1. 장갑 형상으로 형성되고, 물이 흡수되지 않음과 동시에 착용시 손을 움직일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며 손바닥에 해당되는 부위는 천공되어져 있어서 상부캡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몸체(101);
    상기 몸체 중 손바닥 부위에 형성되고, 다수의 물공급구멍(210)이 일측 방향(장갑 손바닥의 수직 상방향)을 향하여 형성되는 오목한 형상의 상부캡(200);
    상기 상부캡과 결합되되 상기 몸체(101) 내측에 위치하는 하부캡(201); 및
    상기 상,하부캡(200,201)이 이루는 공간으로 물을 투입하기 위하여 몸체(101)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물공급관(30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하부캡(201)은,
    상기 상부캡(200)의 하방으로 결합되면서 상부캡과 함께 물이 투입되는 공간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천공되어져 물공급관(300)의 말단부와는 관연결부(310) 및 물공급관 말단캡(305)에 의해 연결되는
    물공급장치가 부착된 미용실용 두피세척 장갑.

KR2020110008138U 2011-09-07 2011-09-07 물공급장치가 부착된 미용실용 두피세척 장갑 KR2004642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138U KR200464292Y1 (ko) 2011-09-07 2011-09-07 물공급장치가 부착된 미용실용 두피세척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138U KR200464292Y1 (ko) 2011-09-07 2011-09-07 물공급장치가 부착된 미용실용 두피세척 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4292Y1 true KR200464292Y1 (ko) 2012-12-21

Family

ID=53676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8138U KR200464292Y1 (ko) 2011-09-07 2011-09-07 물공급장치가 부착된 미용실용 두피세척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29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273U (ko) 2014-12-22 2016-06-30 김서연 다기능 마사지용 장갑
KR102143719B1 (ko) 2019-03-26 2020-08-11 위샘결 탈모 및 두피 관리용 장갑
KR102260768B1 (ko) 2019-12-09 2021-06-07 박하슬 미용실용 장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273U (ko) 2014-12-22 2016-06-30 김서연 다기능 마사지용 장갑
KR102143719B1 (ko) 2019-03-26 2020-08-11 위샘결 탈모 및 두피 관리용 장갑
KR102260768B1 (ko) 2019-12-09 2021-06-07 박하슬 미용실용 장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4292Y1 (ko) 물공급장치가 부착된 미용실용 두피세척 장갑
US20190328107A1 (en) Glove for facial treatment
US20130014309A1 (en) Protective absorbent garment accessories and their methods of use
KR20160000569U (ko) 일회용 방수 마스크
US20160120243A1 (en) Massage Glove for Hairdressing
JP3204945U (ja) シャワー器の付着キャップユニット
EP3009033B1 (en) Reversible device for cleaning cosmetic brushes
KR20150059694A (ko) 애완 동물 샤워 장갑
KR101768442B1 (ko) 마사지 용구
KR101391260B1 (ko) 두피 세척 샤워기
KR20110004513U (ko) 크림 화장품용 마사지기구
KR20160121128A (ko) 장갑형 물토출장치
JP3155787U (ja) シャワーヘッドの放水飛散防止装置
KR20160002273U (ko) 다기능 마사지용 장갑
KR20130006667U (ko) 가림판부가 일체로 형성된 퍼머액 흐름방지용 헤어밴드
KR200431470Y1 (ko) 머리 세척용 의자에 부착된 얼굴 가림장치
JP3109040U (ja) フィンガーブラシ付グローブ
KR20130004603U (ko) 샤워기 헤드
CN210204568U (zh) 一种洁面仪
CN201303904Y (zh) 多功能手套
KR20120003497U (ko) 화장용 장갑
KR200273042Y1 (ko) 세안용 장갑
KR101710360B1 (ko) 기능성 빗
JP2010110583A (ja) 手袋状洗浄器具
JP3059664U (ja) 爪のトラブル、頭皮保護、マッサージ効果、タオルにもなる風 呂用手保護手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