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4304B1 - 건축판넬 고정설치공법 - Google Patents

건축판넬 고정설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304B1
KR910004304B1 KR8205068A KR820005068A KR910004304B1 KR 910004304 B1 KR910004304 B1 KR 910004304B1 KR 8205068 A KR8205068 A KR 8205068A KR 820005068 A KR820005068 A KR 820005068A KR 910004304 B1 KR910004304 B1 KR 910004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panel
concrete
mold
panel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5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2486A (ko
Inventor
요오지 이마이
Original Assignee
오까야마 미쓰오
기겐 핫뽀오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까야마 미쓰오, 기겐 핫뽀오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오까야마 미쓰오
Priority to KR8205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4304B1/ko
Publication of KR840002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4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건축판넬 고정설치공법
제 1a-b 도 및 제 2e-g 도는 종래의 공법을 표시하는 개략단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 고정볼트의 한가지 예를 표시하는 개략단면도.
제 4 도 내지 제 6 도는 본 발명의 공법의 한가지 예를 표시하는 개략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형틀분리기 2a : 형틀수납시이트
5 : 모르타르 6 : 건축판넬
6b : 복합판넬 8 : 삽입구멍
S : 숫나사 10 : 걸림용머리부
12 : 고정볼트 b1: 단열재
b2: 불연재
본 발명은 건축판넬의 신규한 고정설치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형틀용분리기를 이용하여 건축판넬을 고정설치하는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효율이 높고, 또한 재해방지상 안전한 건축판넬의 고정 설치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하나의 공법으로서는 제 1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먼저 베니어판등의 형틀(1)을 형틀수납시이트(2a), 축(2b), 축다리부(2c) 및 조임지그(2d)로 구성된 형틀용분리기(2)를 사용하여 고정하고, 콘크리이트(3)를 타성하여 양생하고(a도면), 이렇게 한 후에 형틀(1) 및 형틀수납시이트(2a)를 제거하고 (b 도면), 형틀수납시이트(2a)가 제거된 자리인 오목부(4)에 모르타르(5)를 충전하여 콘크리이트 표면을 평탄하게 한후(도면 c), 건축판넬(6)을 못(7) 등에 의해 콘크리이트 표면에 고정하는 (도면 d)방법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공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복잡한 작업 순서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작업능률이 아주 나쁘다고 하는 결점을 갖고 있다.
다른 공법으로서는, 제 2 도에 예시한 것과 같이, 형틀로서 직접 건축판넬(6)을 사용해서, 콘크리이트를 타설하여 양생한 후 (도면 e), 축다리부(2c)를 제거하고, 건축판넬(6)의 축다리부 삽입구멍(8)에 모르타르(5)를 채워넣어서 마무리하는 (f,g 도면) 방법이 실시되고 있다.
그런데, 이 공법에 있어서는 콘크리이트와 건축판넬이 콘크리이트 자체의 경화 고착력을 통해서만 접착되어 있음에 불과하므로, 지진이나 화재시에 건축판넬이 박리낙하하여서, 대단히 위험할 뿐 아니라, 설사 불연재판넬을 사용하였다 하더라도 불연재판넬이 박리낙하여서, 그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예의 검토한 결과, 작업성이 고도로 개선되고, 또한 지진 등의 긴급시에도 박리낙하하지 않는 건축판넬 고정설치 공법을 완성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건축판넬을 형틀겸 벽재로서 사용해서 콘크리이트를 타설하여 전기한 건축판넬과 콘크리이트를 일체화시킬 때에 콘크리이트중에 대립되어 있는 형틀용분리기의 형틀수납시이트 내의 암나사에, 건축판넬에 설치한 삽입구멍으로부터, 한쪽 끝에 숫나사를 각설하고 다른쪽 끝에 전기한 삽입구멍보다도 큰 걸림용머리부를 보유하는 고정볼트를 삽입하여 나사체결하고, 건축판넬을 콘크리이트 표면에 고정하는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통상 콘크리이트를 타설하고 양생한 후에 철거되는 형틀수납시이트를 이것을 철거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건축판넬 고정부의 일부로서 활용하는 점에 있다.
이렇게하여 본 발명에 사용하는 형틀수납시이트로서는, 형틀을 설치할 때의 축다리부 및 건축판넬을 고정할 때의 고정볼트를 나사체결하기 위한 암나사를 각설하여서 이루어진 구조의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형상에 대하여서도 특별하게 제한은 없으나, 종래의 공법에 있어서는 형틀수납시이트는 뽑혀 제거되기 때문에, 원추형의 경우는 제 1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짧은 직경쪽의 콘크리이트 내부를 향하여 설치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것과는 반대로, 탈출을 지지하기 위하여 긴 직경폭을 내부를 향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외에, 콘크리이트 중에 둘러싸여 매설되어 탈출하기 곤란한 형상이며, 또한, 축다리부의 이탈 고정볼트의 나사체결시에 유동하지 않는 형상의 것이 바람직하다.
또 재질도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고, 목재, 플라스틱제, 금속제 등의 어느 것이라도 좋으나, 내화성의 관점에서는 금속제의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볼트는 건축판넬에 뚫어서 설치한 고정볼트의 삽입구멍으로부터 삽입되어 형틀수납시이트와 나사체결되어서, 건축판넬을 고정하는 것이므로, 한쪽 끝에 숫나사를 각설하고 다른쪽 끝에 그 삽입구멍보다도 약간 큰 걸림용머리부를 보유한다.
또한, 고정볼트 전체에 숫나사를 각설한 것이어도 하등에 지장이 없다. 걸림용머리부는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형의 드라이버 홈을 설치하든지, 또는 너트모양의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하여 형틀수납시이트에의 나사체결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재질은 목재, 플라스틱제, 금속제 등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으나, 내화성의 관점에서 금속제가 적당하다. 고정볼트의 걸림용머리부는 건축판넬의 표면과 동일한 면으로 되도록, 소위 침두형(沈頭型)으로 하는 것이 좋다.
또, 금속제의 고정볼트를 사용한는 경우 등에 있어서는, 나사체결후에 그 머리부표면을 모르타르 등으로서 처리하는 것에 의하여, 녹 등에 의한 불편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법은 사전에 베니어판 등의 형틀을 사용해서 콘크리이트를 타설하여 양생한 후에 그 형틀을 떼어내고 건축판넬을 본 발명에 의하여 고정설치하여도 좋으며, 또 직접 건축판넬을 형틀겸 벽재로서 사용해서, 본 발명에 의하여 고정설치하여 한꺼번에 벽재시공을 행하여도 좋다.
건축판넬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모든 건축판넬이 사용가능하지만, 특히 불연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내화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또한 불연재와 단열재로 이루어진 복합판넬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는 단열재에 의한 방음, 차음, 보온효과 이외에 콘크리이트 표면에의 길로방지의 효과가 기대될 수 있다. 단열재로서는 폴리스티렌 발포체 등의 플라스틱발포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외벽, 내벽의 어느 쪽의 공법으로서도 이용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3 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건축판넬 고정볼트의 한가지 예를 표시한다. 한쪽 끝에 숫나사(9)가 각설되고, 다른쪽 끝에 걸림용머리부(10)가 설치되며, 그 걸림용머리부에는 드라이버홈(11)이 설치되어 있다.
제 4 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공법의 한가지예를 표시하는 것으로, 제 1a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벤어판의 형틀(1)과 형틀 분리기(2)를 사용해서 콘크리이트를 타설하여 양생한 후에, 그 형틀(1) 및 축다리부(2)를 뽑아내고, 콘크리이트 표면에 불연재판넬(6a)를 맞붙여서, 그 불연재 판넬에 설치한 삽입구멍(8)으로부터 제 3 도에 표시한 고정볼트(12)를 삽입하여 형틀 수납시이트(2a)내에 나사체결한다. 제 5 도는, 제 4 도에 있어서의 형틀수납시이트(2a)를 반대방향으로 설치한 예를 표시한다. 제 6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 형틀겸 벽재로서 단열재(b1)와 불연재(b2)를 접합하여서 이루어진 복합판넬(6b)을, 둘레면에 복수의 돌기(2e)를 돌출설치한 형틀수납시이트로 이루어진 형틀 분리기(2)를 사용하여 설치하고, 콘크리이트를 타설하여 양생한 후, 축다리부(2c)를 뽑아내서 제거하고, 그 후에 고정볼트(12)를 삽입하여 형틀수납시이트(2a)내에 나사체결한다.
나사체결한 후, 모르타르(5)를 채워서 마무리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종래에는 제거되고 있었던 형틀분리기의 형틀수납시이트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에 의하여, ① 형틀수납시이트의 자리인 오목부를 모르타르로 메꿀 필요가 없으므로, 모르타르충전공전, 건조공정을 거치지 않고 직접적으로 건축판넬을 고정설치할 수 있다. ② 콘크리이트에의 타정(打釘)이라고 하는 까다로운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단순히 고정볼트를 삽입하여 체결하는 것만으로도 좋다. ③ 타정공법에 비교하여 훨씬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긴급시에도 박리낙하하는 것이 없어서, 극히 안전하다. ④ 건축판넬을 형틀겸 벽재로서, 한꺼번에 콘크리이트타설하여서 벽재시공이 가능하므로, 종전과 같이 단순히 콘크리이트의 경화접착력만에 의한 경우에 비하여 확실하고 또한 강력하게 고정된다는 등의 우수한 잇점을 보유하여 산업상 대단히 높은 유용성을 갖고 있는 것이다.

Claims (4)

  1. 건축판넬을 형틀겸 벽재로서 사용해서 콘크리이트를 타설하여 전기한 건축판넬과 콘크리이트를 일체화시킬 때에, 콘크리이트중에 매립된 형틀용 분리기(2)의 형틀수납시이트(2a)내의 암나사에, 그 건축판넬(6)에 설치한 삽입구멍(8)으로부터, 한쪽 끝에 숫나사(9)를 각설하고, 다른쪽 끝에 전기한 삽입구멍보다도 큰 걸림용두부(10)를 보유하는 고정볼트(12)를 삽입 체결하여서, 그 건축판넬을 콘크리이트 표면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판넬 고정설치공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전기한 형틀수납용시이트(2a)가 금속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설치공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전기한 건축판넬(6)이 단열재(b1)와 불연재(b2)로서 이루어지는 복합판넬(6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판넬 고정설치공법.
  4.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볼트(12)를 체결한 후 그 볼트의 표면을 모르타르(5) 등의 마무리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건축판넬 고정설치방법.
KR8205068A 1982-11-09 1982-11-09 건축판넬 고정설치공법 KR910004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205068A KR910004304B1 (ko) 1982-11-09 1982-11-09 건축판넬 고정설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205068A KR910004304B1 (ko) 1982-11-09 1982-11-09 건축판넬 고정설치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486A KR840002486A (ko) 1984-07-02
KR910004304B1 true KR910004304B1 (ko) 1991-06-25

Family

ID=19226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5068A KR910004304B1 (ko) 1982-11-09 1982-11-09 건축판넬 고정설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430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486A (ko) 198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4304B1 (ko) 건축판넬 고정설치공법
US3328055A (en) Conduit grip and process
JPH1136234A (ja) プレキャスト埋設型枠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KR20040027856A (ko) 단열재용 인서트
JPS6316546B2 (ko)
JPH0432910B2 (ko)
CN208280964U (zh) 一种钢模台车锯齿形端头模板装置
JPS6233447B2 (ko)
JPH07224478A (ja) 永久型枠材の留め付け構造及び留め付け工法
KR200168538Y1 (ko) 앵커보울트가 부착되는 콘크리트 거푸집
KR0115315Y1 (ko) 건축물 천정시설 배관을 위한 앵글지지대 고정구
KR200347584Y1 (ko) 건축물 내, 외장용 인조석 판재
JPH0119703Y2 (ko)
JPH0119715Y2 (ko)
CN215907032U (zh) 一种建筑墙板之间固定连接结构
JPS58135262A (ja) 断熱板固定方法
KR100609309B1 (ko) 건축물 내, 외장용 인조석 판재
KR100899537B1 (ko) 옹벽용 알루미늄 폼의 복합단열재 고정구 및 이를 옹벽용 알루미늄 폼에 설치하는 방법
JPS5846162Y2 (ja) コンクリ−ト建築物用断熱外装材取付構造
KR200254708Y1 (ko) 거푸집 타이 매립형 고정구
JPS647124Y2 (ko)
JP2574191Y2 (ja) ねじ鉄筋用継手
KR970006047Y1 (ko) 인 써트 캡 앙카너트
KR200354094Y1 (ko) 거푸집 해체시 헛돌지않는 거푸집 간격유지구
JPH0130481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