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4161B1 - 누액센서 - Google Patents

누액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161B1
KR910004161B1 KR1019880005155A KR880005155A KR910004161B1 KR 910004161 B1 KR910004161 B1 KR 910004161B1 KR 1019880005155 A KR1019880005155 A KR 1019880005155A KR 880005155 A KR880005155 A KR 880005155A KR 910004161 B1 KR910004161 B1 KR 910004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s
insulating base
sensor
insulating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5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7070A (ko
Inventor
쵸오지 아키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중코오샤
시마무라 요시아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중코오샤, 시마무라 요시아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중코오샤
Publication of KR890007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4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누액센서
제 1 도에서 제 4 도까지의 도면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서,
제 1 도는 누액센서의 부분 단면평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중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제 3 도는 지지대 및 카버의 분해사시도.
제 4 도는 누액센서의 설치상태를 표시한 측면도이며,
제 5 도는 종래의 누액센서의 평면도.
제 6 도는 제 5 도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누액센서 2 : 센서부
10 : 절연베이스 11 : 제 1 도체
12 : 제 2 도체 11a,12a : 도체의 일단
11b,12b : 도체의 타단측 도출부 11c,12c : 노출부
16,18 : 절연몰드 21,22 : 전선
본 발명은 도전성액을 검출하기 위한 누액센서에 관한 것이다.
제 5 도,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누액센서(1')에는 판상의 지지대 (15')에 센서부(2')가 고정되어 있다. 이 센서(2')는 복수개의 선상으로된 제 1 도체(111')와 제 2 도체(12')를 상호 평행하게 함과 동시에 교호로 배치하여, 제 1 도체(11')는 이 도체끼리 그양단에 있어서 서로 접속하고, 동양으로 제도체(12')는 이 도체끼리 그양단에 있어서 서로 접속하며, 양 도체(11',12')의 일단측에 전선(21',22')을 각각 접속하고, 양 도체(11',12')의 타단측에 다른 전선(21",22")을 각각 접속하며, 상기 도체(11',12')와 전선(21',202',21",22")의 단부를 직사각형 모양의 절연베이스(10)에 매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절연베이스(10')의 일방의 가장자리까지 도출된 전선(21',22')에, 저항으로의 코넥터(30')를 접속하고, 절연베이스(10')의 타방의 가장자리에서 도출된 전선(21",22")에 검출회로로의 코넥터(30")를 접속하였다.
상기 구성의 누액센서(1')에서는, 절연베이스(10')내에 도체(11',12')의 접속부를 매입한 구성이기 때문에, 절연베이스(10')내의 배선이 아주 복잡하여 량산화를 할 수 없고 제조코스트가 높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요지는 제 1, 제 2의 도체의 각 일단이 절연베이스의 일방이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어 절연몰드로 피복되고, 각 도체의 타단이 절연베이스의 반대측의 가장자리에서 도출되어, 이 도출부와, 도출부에 접속된 전선의 단부가, 절연몰드의 중에 매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센서에 있다.
도체끼리의 접속 및 도체와 전선의 접속이 절연베이스 외부에서 되어 있기 때문에, 센서부의 제조가 용이하고 코스트를 저감시킬수 있다. 또한, 도체의 일단, 도체의 타단부 도출부 및 이 도출부에 접속되어 있는 전선의 단부가 절연베이스의 외부에 있어서도, 절연몰드로 피복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부위에서의 단락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제 1 도에서 제 4 도까지의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1 도는 누액센서(1)를 나타내고 있다. 이 누액센서(1)는 납작한 센서부(2)는 PTFE(폴리테트라휠로로에틸렌)로된 납작한 직사각형의 절연베이스(10)에, 선상으로된 제 1, 제 2의 도체(11,12)를 각각 복수본씩 매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체(11,12)는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하여 교호로 배치되어 있고, 일단(11a,12a)이 절연베이스(10)의 일방의 가장자리(10a)까지 연장되며, 타단은 절연베이스(10)의 반대측의 가장자리(10b)로 부터 도출되어 있다. 이 타단측 도출부는 도면중 11b,12b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센서부(2)는 띠모양의 절연베이스에 긴 복수개의 도체를 평행하게 매입한 플래드케이블를 적의 길이로 절단하며, 절연베이스의 일방의 가장자리를 그대로 하고, 타방의 가장자리를 스트립하여 도체를 도출시킨 것이어서 량산화가 가능하다.
제 1 도체(11)의 군은, 상기 도출부(11b)에서 상호 접속되며, 동양으로 제 2 도체(12)의 군도 도출부(12b)에서 상호 접속되어 있다.
제 1 도체(11)의 군과 제 2 도체(12)의 군의 도출부(11b,12b)는 저항(13)을 개재하여 상호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들 도출부(11b,12b)에는, 코드(20)의 각 전선(21,22)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절연베이스(10)의 일방의 표면(제 2 도에서 상측)에는 다수의 절결부(14)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절결부(14)에 의해 각 도체(11,12)가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있다. 이들 도체(11,12)의 노출부는 도면에서 11c,12c로 표시되어 있다.
센서부(2)는 절연베이스(10)의 타방의 가장자리(10b)의 근방에서, 유리섬유강화 에폭시수지로 된 지지대(15)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대(15)는 제 3 도에 상세히 표시한 바와 같이, 평면의 거의 ㄷ 자형의 판상으로 되어있고, 그 중앙부에 요부(15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요부(15a)의 후벽부에 절결부(15b)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양측부에는 취부공(15c)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베이스(10)의 가장자리(10b) 근방부는 지지대(15)의 요부(15a)에 도중까지 삽입되어 있다. 코드(20)의 단부는 절결부(15b)에 꽂아 넣어져 있다. 이 상태에서, 각 도체(11,12)의 도출부(11b,12b), 전선(21,22)의 단부 및 저항(13)이 요부(15a)내에 수납되며, 이 요부(15a)에 충진된 에폭시수지 등의 절연몰드(16)중에 매입되어 있다. 절연몰드(16)는 양측부에 취부공(17c)을 가진 카버(17)에 의해 막혀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저항(13)이 절연몰드(16)중에서, 도체(11,12) 사이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전선(21,22)과는 다른 전선을 인출하여 저항 접속용의 코넥터에 접속시켜서 마무리되어 구성이 간단하다.
다른 한편, 절연베이스(10)의 가장자리(10a) 및 그 근방부에도 에폭시수지 등의 절연몰드(18)가 형성되어 있고 그 절연몰드(18)에 의해 각 도체(11,12)의 일단(11a,12a)이 피복되어 있다.
제 4 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액센서(1)는 코드(20)를 개재하여 코넥터(30)에 접속되어 있다. 이 코넥터(30)는 사용시에 있어서 경보기능을 가진 검출장치의 코넥터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누액센서(1)는 지지대(15)와 카버(17)는 이들의 취부공(15c,17c)을 관통하는 볼트(41)와 너트(42)에 의해 경사진 부라켓트(40)에 취부되어 있다. 누액센서(1)에는 한쪽에서만 코드 (20)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취부의 태양에 제약을 받는 것이 적어, 상기와 같은 센서부(2)를 부라켓트(40)로 부터 수직한 취부태양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취부 상태에 있어서, 절연베이스(10)는 일정곡율로서 만곡되어 있다. 이 만곡상태는 도체(11,12)의 형상보지 기능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센서부(2)의 절연베이스(10)의 상면에 도전성액이 없을 때에는, 도체(11,12)는 저항(13)을 개재하여 도통상태로 된다. 부라켓트(40)의 상면으로부터 카버(17)를 경유한 물 등의 도전성액이 절연베이스(10)에 도달하면, 이 액에 의해, 제 1 도체(11)와 제 2 도체(12)의 어느 것인가의 노출부(11c,12c)끼리 액을 개재하여 도통상태로 된다. 이 도체(11,12)사이의 저항치의 변화를 검출장치로 검출함으로써, 누액을 검출하여 경보를 발생하게 된다.
절연베이스(10)상에의 도전성액이 남겨진대로 있다면, 언제 누액이 있고, 언제 누액상태가 해소되었는가를 정확히 검출할 수가 없기 때문에, 절연베이스(10)에서의 물갈림을 양호하게 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절연베이스(10)의 재료를 발수성의 PTFE로 형성한 점과, 절연베이스(10)가 지지대(15)의 근방부에서 경사되어 있고, 가장자리(10a)로 향하여 경사가 급히 되었으며, 이 가장자리(10a)에서는 거의 수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충분한 물갈라짐을 행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센서부(2)에서는 절연베이스(10)의 가장자리(10a)까지, 도체(11,12)의 일단(11a,12a)이 연장되어 있지만, 이 일단(11a,12a) 은 절연몰드(18)에 의해 피복되어 있어서, 가장자리(10a) 근방에 수직으로 남겨진 도전성액으로 양자가 도통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누액상태의 시기를 정확히 검출할 수가 있고, 누액상태가 해소되었을때에는, 사람의 힘을 요하지 않고 비검출상태로 복귀되기 때문에, 원자로 설비나, 우라늄 농축설비 등에서와 같이 방사능 레벨이 높은 장소에서의 누액검출에 적합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제약되지 않는 여러 가지의 태양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센서부의 제조가 용이하고 코스트를 저감시킬수 있다.
또한, 도체의 일단, 도체의 타단측 도출부 및 접속부가 절연베이스 외부에 있어도, 절연몰드에 의해 피복 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의 부위에서도 단락이 방지된다.

Claims (1)

  1. 절연베이스와 이 절연베이스에 매입된 일부가 절연베이스의 표면에 있어서 노출한 가느다랗고 긴 제 1, 제 2 도체로된 센서부를 구비하고, 이 센서부에서의 제 1, 제 2 도체의 노출부 사이가 액을 통하여 도통될때에, 이를 검출하는 누액센서에 있어서, 제 1, 제 2 도체의 각 일단이 절연베이스의 일방의 가장자리까지 연장하여 절연몰드로 피복되고, 각 도체의 타단이 절연베이스의 반대축의 가장자리로 부터 도출되며, 이 도출부와 도출부에 접속된 전선의 단부가 다른 절연몰드에 피복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센서.
KR1019880005155A 1987-10-16 1988-05-03 누액센서 KR9100041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259756 1987-10-16
JP87-259756 1987-10-16
JP62259756A JPH01102334A (ja) 1987-10-16 1987-10-16 漏液セン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070A KR890007070A (ko) 1989-06-17
KR910004161B1 true KR910004161B1 (ko) 1991-06-22

Family

ID=17338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5155A KR910004161B1 (ko) 1987-10-16 1988-05-03 누액센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313264B1 (ko)
JP (1) JPH01102334A (ko)
KR (1) KR910004161B1 (ko)
AT (1) ATE69880T1 (ko)
AU (1) AU596322B2 (ko)
CA (1) CA1335512C (ko)
DE (1) DE3866506D1 (ko)
GB (1) GB221133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13990A1 (de) * 1990-05-01 1991-11-07 Otto Baum Vorrichtung zur anzeige eines lecks in einem flachdach
US7084776B2 (en) * 2004-07-19 2006-08-01 Andrew Victor Tacilauskas Fluid detection apparatus and kit, and method of installation thereof
WO2019044640A1 (ja) * 2017-09-01 2019-03-07 国立研究開発法人物質・材料研究機構 乾湿応答センサー
CN110499564A (zh) * 2019-08-30 2019-11-26 盐城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信号双面输出型液体泄漏传感器织物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9232A (en) * 1980-03-19 1982-03-09 Westphal Frank C Liquid leakage detector
JPS60245900A (ja) * 1984-05-22 1985-12-05 Mitsubishi Heavy Ind Ltd パイプラインの漏水検知方法
JPH0612523Y2 (ja) * 1985-05-31 1994-03-30 株式会社潤工社 導電性液体検知センサ
JPS6219748A (ja) * 1985-07-18 1987-01-28 Junkosha Co Ltd 腐食性液検知用セ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13264B1 (en) 1991-11-27
AU596322B2 (en) 1990-04-26
JPH01102334A (ja) 1989-04-20
EP0313264A1 (en) 1989-04-26
ATE69880T1 (de) 1991-12-15
DE3866506D1 (de) 1992-01-09
KR890007070A (ko) 1989-06-17
CA1335512C (en) 1995-05-09
GB8823936D0 (en) 1988-11-16
GB2211332A (en) 1989-06-28
AU2282488A (en) 1989-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7371A (en)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ence and location of a water leak
IT8267059A0 (it) Connettore elettrico per conduttori isolati
DE3687819D1 (de) Kohlenwasserstoffsensor.
RU2004113561A (ru) Экранированный разъем для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KR910004161B1 (ko) 누액센서
DE3776614D1 (de) Niveau-messgeraet fuer elektrisch nicht leitende fluessigkeiten.
SE8402942D0 (sv) Dispositif de jonction pour liaison aero-souterraine de cables electriques a basse tension
CN112713720A (zh) 温度传感器以及具备其的配电部件、具备配电部件的电机
DE3889738D1 (de) Elektrische Verbindungsvorrichtung mit mehreren Klemmen.
US4820190A (en) Electrical component mounting and connection assembly
GB8334104D0 (en) Insulated pipe system
FR2600825B1 (fr) Contact hermaphrodite pour conducteur electrique isole et connecteur comportant de tels contacts
IT8919880A0 (it) Dispositivo di collegamento elettrico per allacciare conduttori isolati.
KR920700522A (ko)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바꾸는 장치
IT8619856A0 (it) Connettore elettrico per un cavo elettrico.
DE60227719D1 (de) Erdelektrodeneinheit für eine elektrische Vorrichtung unter Wasser
DE69015839T2 (de) Verbindervorrichtung für elektrisch isolierte Leiter in verschiedenen Höhen.
JPS59187226A (ja) 液量計
SU798643A1 (ru) Способ обнаружени обрывов от-дЕльНыХ жил МНОгОжильНыХ пРОВО-дОВ B MECTAX иХ зАдЕлКи B шТЕпСЕль-Ный РАз'ЕМ
KR930001510Y1 (ko) 전기요의 전열선 고정장치
DE3274596D1 (en) Electrical device to detect water leaks
FR2598037B1 (fr) Connecteur electrique pour temoin de validation
ATA60386A (de) Vorrichtung mit einem elektrische impulse abgebenden schaltelement zur wegstreckenmessung
RO86701A2 (ro) Dispozitiv electronic pentru verificarea temperaturii contactelor electrice
JPS6450307A (en) Anisotropic conductive she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