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509B1 - α, ω-알킬렌 글리콜과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혼화된 배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α, ω-알킬렌 글리콜과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혼화된 배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509B1
KR910003509B1 KR1019870013212A KR870013212A KR910003509B1 KR 910003509 B1 KR910003509 B1 KR 910003509B1 KR 1019870013212 A KR1019870013212 A KR 1019870013212A KR 870013212 A KR870013212 A KR 870013212A KR 910003509 B1 KR910003509 B1 KR 910003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ther
carbon atoms
alkylene glycol
amine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3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6320A (ko
Inventor
카즈웰 로버트
Original Assignee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리차드 지. 워터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리차드 지. 워터맨 filed Critical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Publication of KR880006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6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5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6Compounds of groups C08G18/42,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66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7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polyamines of C08G18/38
    • C08G18/6681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polyamines of C08G18/38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C08G18/3271 and/or polyamines of C08G18/38
    • C08G18/6688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polyamines of C08G18/38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C08G18/3271 and/or polyamines of C08G18/38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71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18Catalysts containing secondary or tertiary amines or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05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5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 C08G18/2865Compounds having only one primary or secondary amino group; Ammoni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05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5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 C08G18/2875Monohydroxy compounds containing tertiary amin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6Compounds of groups C08G18/42,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66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7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polyamines of C08G18/38
    • C08G18/6674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polyamines of C08G18/38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0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20/00Compositions for reaction injection moulding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30/00Compositions of compatibilising agents used in mixtures of 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other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α,ω-알킬렌 글리콜과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혼화된 배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혼화제를 함유하는, 폴리에테르 폴리올과 α,ω-알킬렌 글리콜과의 배합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반응 사출성형(RIM) 방법을 이용하여 폴리우레탄 탄성중합체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비교적 고당량의 폴리에테르와 저당량의 쇄 연장제 화합물의 혼합물을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킨다. 폴리에테르와 쇄연장제를 유리하게는 서로 배합하고 동시에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킨다.
여러가지 이유로 인해, 폴리에테르와 쇄연장제의 혼합물이 가능한한 균질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배합된 폴리에테르 및 쇄연장제를 이동시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합물을 제조하여 즉시 사용하거나, 또는 연속교반 저장 용기에 넣어두면 이들 성분의 상 분리가 필요하다. 상 분리는 또한 배합물의 상이한 부분이 상이한 조성을 갖도록 한다. 따라서, 배합물의 상이한 부분으로부터 제조된 부분은 상이한 특성을 갖는다. 물론, 이들 부분중 많은 것이 본 명세서의 범주밖에 있다.
알킬렌 글리콜 쇄 연장제는 탄성중합체의 적용에 요구되는 양의 폴리에테르 폴리올과 혼화되지 않는다는 것이 널리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폴리에테르와 알킬렌 글리콜은 사용하기 바로 직전에 배합하거나, 알킬렌 글리콜과 폴리에테르를 혼화시키는 일부의 추가 성분을 사용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미 사용되는 화합물 중에 페닐렌 디에탄올아민, 우레아 및 치환된 우레아가 있다.
혼화제는 여러가지의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성분과 쉽게 배합되기위해서는 액체이어야 한다.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비교적 낮은 농도에서 효과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혼화제는 또는 혼화된 폴리에테르-쇄 연장제의 배합물로부터 제조된 폴리우레탄의 특성에 대해 최소의 바람직하지 않은 효과를 가져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혼화제를 함유하는 혼화된 폴리에테르-쇄 연장제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비교적 고당량의 폴리에테르 폴리올, 혼화제의 부재하에 배합물중에 상대적 배율로 존재하는 폴리에테르 폴리올과 혼화되지 않는 α,ω-알킬렌 글리콜, 및 다음의 (a)내지 (e)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아민 혼화제의 혼화량을 함유하는 혼화된 폴리에테르-알킬렌 글리콜 배합물에 관한 것이다: (a) 4 내지 8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비치환되거나 에테르-치환된 지방족 또는 지환족 1급 모노-아민 화합물; (b) 6 내지 12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비치환되거나 에테르-치환된 지방족 또는 지환족 2급 모노아민화합물; (c) 알킬 그룹이 2 내지 8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알킬 디에탄올 아민; (d) 각 알킬 그룹이 2 내지 5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디알킬 하이드록실 아민, 및 (e)각 알킬 그룹이 2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트리알킬아민.
본 발명은 또한 비교적 고당량의 폴리에테르 폴리올, 배합물 중에 상대적 비율로 존재하는 폴리에테르 폴리올과 혼화되지 않는 α,ω-알킬렌 글리콜, 및 이미 기술된 아민 혼화제제의 혼화량을 혼합함을 특징으로 하여, 혼화된 폴리에테르-알킬렌 글리콜 배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혼화된 배합물은 이의 성분들의 심각한 분리없이 연장된 기간 동안 저장이 가능하다. 또한, 배합물은 즉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여 폴리우레탄 중합체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배합물 중의 한 성분은 비교적 고당량 폴리에테르 폴리올이다. 폴리에테르는 유리하게는 500 내지 5000, 바람직하게는 700 내지 3000,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2000의 당량을 갖는다. 이것은 또한 유리하게는 분자당 평균 1.8 내지 4,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개의 하이드록실 그룹을 함유한다. 폴리에테르는 유리하게는 C2내지 C8사이클릭 에테르(예: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틸렌 옥사이드, 스티렌 옥사이드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의 중합체이다. 에틸렌 옥사이드 및/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폴리에테르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에틸렌 옥사이드 10 내지 25중량%로 말단 캡핑된 이- 및 삼작용성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중합체이다. 필요한 경우 이작용성 및 삼작용성 폴리올의 혼합물도 사용 가능하다.
배합물은 쇄 연장제로서, 혼화제의 부재하에 배합물 중에 상대적 비율로 존재하는 폴리에테르와 혼화되지 않는 α,ω-알킬렌 글리콜을 함유한다. 적절한 알킬렌 글리콜은 2 내지 8개,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것이다. 이러한 쇄 연장제로는 에틸렌 글리콜, 1,4-부탄디올, 1,6-헥사메틸렌 글리콜 및 1,8-옥탄디올 등이 있다. 에틸렌 글리콜 및 1,4-부탄디올이 가장 바람직하다.
배합물이 안정화제의 부재하에 쇄 연장제와 폴리에테르가 혼화되지 않는 양으로 쇄 연장제를 함유할 수 있을지라도, 배합물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테르 100중량부당 쇄 연장제 5 내지 6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중량부를 함유한다. 특히 바람직한 특성을 갖는 폴리우레탄은 바람직한 또는 더욱 바람직한 범주내의 양으로 쇄 연장제를 함유하는 배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폴리에테르 및 쇄 연장제 외에, 조성물은 또한 하기에 기술되는 안정화제를 추가로 함유한다. 안정화제는 폴리에테르 중에서의 쇄 연장제의 용해도를 향상시키는데 충분한 양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안정화제는, 폴리에테르, 쇄 연장제 및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배합물을 실온에서 7일이상 동안, 더욱 바람직하게는 14일 이상 동안,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28일 이상 동안 정치시킬 때 심각하게 상-분리가 일어나지 않는 양으로 존재한다. "심각한 상-분리가 일어나지 않는"이란 뜻은 혼합물이 다수의 층으로 분리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안정화된 배합물은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혼탁하거나 유상(milky)의 배합물도 명백히 층화된 상들이 명백하지 않는 한 상 분리된 것으로 간주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쇄 연장제 부당 안정화제 0.1 내지 4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부를 사용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배합물은 폴리에테르 100부당 안정화제 1 내지 20부를 함유한다.
안정화제는 다음의 (a) 내지 (f)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아민-함유 화합물이다. (a) 4 내지 8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비치환되거나 에테르-치환된 지방족 또는 지환족 1급 모노-아민 화합물; (b) 6 내지 12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비치환되거나 에테르-치환된 지방족 또는 지환족 2급 모노-아민 화합물; (c) 알킬 그룹이 2 내지 8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알킬 디에탄올 아민; (d) 4 내지 10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디알킬 하이드록실 아민; (e) 각 알킬 그룹이 2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트리알킬 아민, 및 (f) 디에탄올아민.
서브 그룹(a)에 상응하는 안정화제의 예에는 n-부틸아민, 아밀아민, n-헥실아민, n-옥틸아민, 2급-부틸아민, 1-아미노-2-에톡시에탄, 1-아미노-1-메틸 헥산 및 사이클로헥실아민이 포함된다.
서브 그룹(b)에 상응하는 안정화제의 예에는 디-n-프로필아민, 에틸프로필아민, 디-n-부틸아민, 디-n-헥실아민 및 디-2급-부틸아민이 포함된다.
서브 그룹(c)에 상응하는 안정화제의 예에는 에틸디에탄올아민, n-프로필디에탄올아민, n-부틸디에탄올아민 및 n-헥실디에탄올아민이 포함된다.
서브 그룹(d)에 상응하는 안정화제의 예에는 디에틸하이드록실아민, 디-n-프로필하이드록실 아민 및 디-n-부틸 하이드록실 아민이 포함된다.
서브 그룹(e)에 상응하는 안정화제의 예에는 트리에틸아민, 트리(n-프로필)아민, 트리(n-부틸)아민 및 에틸 디(n-프로필)아민이 포함된다.
이들 안정화제 중에서, 4 내지 8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비치환되거나 에테르-치환된 지방족 또는 지환족 1급 모노-아민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한 것은 아밀아민, 2급-부틸아민, 2-에톡시에틸아민 및 사이클로헥실아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폴리에테르, 쇄 연장제 및 안정화제를 단순히 배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안정화제는 쇄 연장제를 폴리에테르와 혼합하기 전에 폴리에테르 또는 쇄 연장제와 먼저 배합한다. 모든 성분들을 배합한 후, 혼합물을 단시간, 즉, 5분 내지 3시간 동안 35 내지 70℃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하면 종종 혼합이 향상되어 더욱 투명한 안정화된 조성물이 얻어진다.
전술한 중요한 성분들 외에, 폴리우레탄의 제조에 유용한 다른 첨가제가 안정화된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이들 첨가제에는 촉매, 발포제, 계면활성제, 이형제, 가교결합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착색제, 미립자, 충진제, 섬유보강제 및 대전방지제가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성분은 활성수소-함유 조성물중의 다양한 활성수소-함유 물질과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의 사용되는 촉매이다. 적절한 촉매에는 유기 금속 화합물 및 3급 아민 화합물이 포함된다. 유기 금속 촉매중에서, 디메틸 주석 디라우레이트, 디부틸 주석 디라우레이트 및 주석 옥토에이트 등의 유기 주석 촉매가 바람직하다. 다른 유용한 유기 금속 촉매는, 예를들어, 미합중국 특허 제2,846,408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들에는 유기납, 유기수은, 유기비스무스 및 유기철 화합물 등이 포함된다. 적절한 3급 아민 화합물에는 트리에틸렌디아민, N-메틸 모르폴린, N-에틸 모르폴린, 디에틸에탄올 아민, N-코코 모르폴린, 1-메틸-4-디메틸아미노에틸 피페라진, 3-메톡시-N-디메틸프로필아민, N,N-디에틸-3-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민 및 디메틸벤질아민이 있다. 3급 아민과 유기 주석 촉매의 혼합물도 또한 유용하다. 유리하게는, 비교적 고당량의 폴리올 100부당 유기금속 촉매 0.01 내지 0.5중량부 및/또는 3급 아민 촉매 0.05 내지 2부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임의로 사용되는 적절한 발포제에는 물, 할로겐화 메탄(예:메틸렌 클로라이드,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트리플루오로모노클로로메탄) 및 소위 "아조"발포제 등이 포함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특히 적합한 비기포 또는 미세기포 폴리우레탄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이들 발포제의 사용은 바람직하지 않다. 밀도가 0.85(850) 내지 1.25g/cc(1250kg/m3)인 미세기포 폴리우레탄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공기 또는 질소 등의 가스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키기 전에 안정화된 배합물에 용해시키거나 분산시켜서 밀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절한 계면활성제에는 실리콘 계면활성제 및 지방산 염 등이 포함되나, 실리콘 계면활성제가 훨씬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계면활성제는 유리하게는 폴리에테르 100중량부당 0.01 내지 2부의 양으로 사용한다.
특히 유용한 이형제는 1급, 2급 또는 3급의 아민 함유 화합물과 지방산의 금속염(예:아연 스테아레이트)의 혼합물이다. 임의로, 올레오일 사르코신과 같은 유리산도 이형제에 포함된다. 1급 또는 2급 아민 그룹을 함유하는 안정화제들은 또한 1급, 2급 또는 3급 아민 함유 화합물에 대한 요구조건을 충족시킬 것이다. 그러나, 바람직한 1급,2급 또는 3급 아민-함유 화합물은 분자량이 400 내지 2000인 아민-종결된 폴리에테르이다. 이러한 내부 이형제는 계류중인 메이어(Meyer)등의 미합중국 특허원 제570,141호(1984년 1월 12일 출원)에 기술되어 있다.
적절한 충진제 및 착색제에는 탄산칼슘, 삼수화알루미늄, 카본 블랙, 이산화 티탄, 산화철, 편상 또는 분쇄 유리 등이 있다. 적절한 섬유에는 유리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흑연 섬유 및 금속 섬유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안정화된 조성물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여 폴리우레탄을 생성한다. 지방족 및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둘다 이러한 목적으로 유용하다. 적절한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에는 예를들어 m-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p-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4-및/또는 2,6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 나프탈렌-1,5-디이소시아네이트, 1-메톡시페닐-2,4-디이소시아네이트, 4,4'-비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톡시-4,4'-비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2,4'- 및/또는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MDI) 및 이들의 유도체 등이 있다.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중에서 바람직한 것은 TDI와 MDI의 이성체 및 유도체이다.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예에는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사이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화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H12MDI) 및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가 있다. 이들중에서,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H12MDI가 가장 바람직하다.
전술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예비중합체를 포함하는, 뷰렛, 우레탄, 우레아, 우레토니민 및/또는 카보디이미드 함유 유도체도 적합하다.
폴리우레탄의 제조에 있어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반응 혼합물 중에 존재하는 활성 수소-함유 그룹당 이소시아네이트 그룹 0.9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25,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5를 제공하는 양으로 사용한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보다 적은양으로 존재하면 부적절하게 경화된 중합체가 생성되는 반면, 이것이 더욱 많은 양으로 존재하면 원치않는 가교결합이 형성되는 경향이 있다.
안정화된 조성물은 유리하게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혼합한 다음 혼합물을 경화시키기 위해 적절한 주형에 도입시킴에 의해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킨다. 성분들을 혼합하여 주형에 부은 다음 가열하면 이들 성분이 경화되는 통상의 주조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더욱 반응성인 성분을 사용하는 경우에 반응사출성형(RIM) 방법을 사용하여 반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에서, 성분은 고전단 충돌 혼합시켜 즉시 밀폐된 주형에 사출시키면 경화가 일어난다. 통상의 주조 또는 RIM 기술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주형내 경화는 적어도 이형시켜 후속단계로 조작하는 동안 그의 모양을 유지할 수 있는 정도까지 일어난다. 그러나, 완전한 경화 즉, 추가의 식별가능한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지점까지의 경화는 주형내에서, 또는 이형시킨 후 수행되는 후-경화 단계에서 일어날 수 있다.
폴리우레탄의 경화는 유리하게는 30 내지 150℃에서 1분 내지 24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1분 내지 3시간 동안 수행한다.
본 발명은 특히 RIM 방법을 사용하여 탄성 중합체성 폴리우레탄을 제조하는데 유용하다. 이러한 폴리우레탄은 종종 페이셔(fascia) 및 성형된 유리 가스켓과 같은 자동차 부품을 제조하는데 뿐만 아니라 비어 바렐 스커트(beer barrel skirt)와 같은 비-자동차용 용도로도 사용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나 이의 범주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달리 지시되지 않는한, 모든 부 및 백분율은 중량 기준이다.
[실시예 1]
여러가지의 아민 화합물을, 에틸렌 글리콜(EG) 20부와 에틸렌 옥사이드-캡핑된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트리올(폴리올A) 80부의 혼합물을 혼화시킬 수 있는 이들의 능력에 대해 측정한다. 이의 측정은 혼탁한 유액이 수득될때까지 EG와 폴리올 A를 혼합하여 수행한다. 시험할 아민을 실온에서 유액 100g의 시료에 가한다. 각 경우, 아밀아민을 제외하고는, 시험할 아민 10g을 사용한다. 아밀아민은 5g만 사용한다. 아민을 가한 후에, 병에 캡을 씌운후 잘 진탕시킨다. 투명한 용액이 수득되면, 병을 실온에서 저장하여 관찰한다. 혼탁한 혼합물이 수득되면 65℃까지 가열한 후 진탕시킨다. 이어서 실온으로 냉각시킨 다음 저장하여 관찰한다. 주기적으로 28일 이상 관찰하여 장시간의 안정성을 측정한다. 시험한 아민 화합물 및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에 도시하였다.
[표 1]
Figure kpo00001
1S1.혼탁은 약간 혼탁함을 의미한다.
V.S1. 혼탁은 매우 약간 혼탁함을 의미한다.
표 1의 데이터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에틸렌 글리콜과 폴리올 A 의 혼화성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향상을 본 발명에 의해, 특히 4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1급 아민 화합물을 사용하여 달성되었다. 혼탁함 또는 분리가 관찰되는 경우에, 아민의 양을 증가시킴에 의해 혼화성이 더 향상된다. 일반적으로, 아민이 혼화된 혼합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의 반응을 촉매하기 때문에 혼화성을 얻기 위해서는 필요한 아민의 최소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2]
폴리올 A중의 1,4-부탄디올을 안정화시키는 여러 아민 화합물의 능력을 실시예 1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측정한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아민은 폴리올 A 80g중에 1,4-부탄디올 20부를 혼화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에틸-n-부틸아민 6부와 디에틸하이드록실 아민 및 디-n-프로필아민 10부를 사용한다. 다른 아민 5부를 사용한다. 결과를 하기 표 2에 도시하였다.
[표 2]
Figure kpo00002
1s1 혼탁은 약간 혼탁함을 의미한다.
v.s1 혼탁은 매우 약간 혼탁함을 의미한다.
이 데이터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들 아민 모두는 폴리올 A 중의 1,4-부탄디올을 안정화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실시예 3]
안정화된 활성 수소-함유 조성물은 하기 조성으로부터 제조한다.
폴리올 A 100 중량부
에틸렌 글리콜 30 중량부
모노아밀아민 11.5 중량부
아연 스테아레이트 2 중량부
올레오일 사르코신 2 중량부
이 제형에서, 아연 스테아레이트와 올레오일 사르코신은 내부 이형제로서 첨가한다. 이 제형에서 모노 이밀아민의 기능은 내부 이형제를 용해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폴리올 A 중의 에틸렌 글리콜을 혼화시키는 것이다.
실온에서, 활성 수소-함유 조성물을 168당량의 중합체성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충분량과 혼합하여 하이드록실 그룹 당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이 1.03(이소시아네이트 지수=103)이 되게 한다. 혼합물은, 촉매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외부열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신속하게 반응하여 자기-방출성의 견고한 균질 중합체를 형성한다.
모노아밀아민 대신에 사이클로헥실아민 12부를 사용하여 실험을 반복한다. 혼합물을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약간 더욱 느리게 반응시키면, 견고한 자기-방출성 중합체가 다시 수득된다.
[실시예 4]
폴리올 A 100부와 비스(아미노벤질)아닐린(BABA) 5부의 혼합물 중의 에틸렌 글리콜의 혼화성을 측정한다. 에틸렌 글리콜 5부 또는 10부를 사용하는 경우 투명한 혼합물이 생성되지만, 15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투명한 혼합물이 새성되지 않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모노아밀아민 4부를 첨가한 혼합물 중에 에틸렌 글리콜 15부가 혼화되었다.
에틸렌 글리콜 5부 및 10부를 함유하는 혼합물은, 실온에서 168당량의 중합체성 MDI와 혼합하면 느리게 반응하여 페이스트를 생성하는데, 이것을 밤새 경화시키면 견고한 중합체가 형성된다. 에틸렌 글리콜 15부 및 모노 아밀아민 4부를 함유하는 혼화된 혼합물은 신속하게 반응하여 견고한 중합체를 형성한다.
[실시예 5]
RIM 가공에 적합한 활성 수소-함유 조성물은, 폴리올 A 93부, 분자량 400의 1급 아민-종결된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7부, 에틸렌 글리콜 20부, 아연 옥토에이트 2부, 유기주석 촉매 0.1부, 디프로필렌 글리콜 중의 트리에틸렌 디아민 33% 용액 0.1부 및 사이클로헥실아민 4부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사이클로헥실 아민을 제외한 모든 성분들을 혼합한 다음 100℉(40℃)로 가열하면서 사이클로헥실아민을 가한다. 이어서, 생성된 안정화된 조성물을 실시예1에 기술된 바와 같이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Admiral RIM기계를 사용하여 103지수로 반응시킨다. 성형시, 모든 성분은 100℉(40℃)로 존재한다. 주형을 155 내지 160℉(68 내지 70℃)의 온도까지 미리 가열한다. 주형내의 경화가 시작된지 1분 후에, 부품들(12×14인치 (305×355mm)편평한 플라크)을 이형시킨다. 부품들은 잘 가공처리되며 뛰어난 특성을 가지게 된다.

Claims (8)

  1. 비교적 고당량의 폴리에테르 폴리올, 배합물중에 상대적 비율로 존재하는 폴리에테르 폴리올과 혼화되지 않는 α,ω-알킬렌 글리콜, 및 다음의 (a) 내지 (f)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아민 혼화제의 혼화량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혼화된 폴리에테르-알킬렌 글리콜 배합물: (a) 4 내지 8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비치환되거나 에테르-치환된 지방족 또는 지환족 1급 모노-아민 화합물; (b) 6 내지 12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비치환되거나 에테르-치환된 지방족 또는 지환족 2급 모노아민 화합물; (c) 알킬 그룹이 약2내지 약8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알킬 디에탄올 아민; (d) 각 알킬 그룹이 2 내지 5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디알킬 하이드록실 아민; (e) 각 알킬 그룹이 2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트리알킬아민, 및 (f) 디에탄올아민
  2.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에테르 폴리올이 700 내지 3000의 당량, 및 분자당 평균 2 내지 4개의 하이드록실 그룹을 가지며, 알킬렌글리콜이 2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폴리에테르-알킬렌 글리콜 배합물.
  3. 제 2 항에 있어서, 폴리에테르 폴리올 100중량부 당 쇄 연장제 10 내지 40중량부를 함유하는 폴리에테르-알킬렌 글리콜 배합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쇄 연장제 1부당 안정화제 0.2 내지 1부를 함유하는 폴리에테르-알킬렌 글리콜 배합물.
  5. 제 4 항에 있어서, 혼화제가 4 내지 약8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비치환되거나 에테르-치환된 지방족 또는 지환족 1급 모노-아민을 함유하는 폴리에테르-알킬렌 글리콜 배합물.
  6. 제 5 항에 있어서, 혼화제가 모노아밀아민 또는 사이클로헥실아민을 함유하는 폴리에테르-알킬렌 글리콜 배합물.
  7. 제 6 항에 있어서, 폴리에테르 폴리올이, 폴리에테르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에틸렌 옥사이드-캡핑 10 내지 25중량%를 함유하는 폴리에테르-알킬렌 글리콜 배합물.
  8. 비교적 고당량의 폴리에테르 폴리올, 배합물 중에 상대적 비율로 존재하는 폴리에테르 폴리올과 혼화되지 않는 α,ω-알킬렌 글리콜, 및 하기의 (a) 내지 (f)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아민 혼화제의 혼화량을 혼합함을 특징으로 하여, 혼화된 폴리에테르-알킬렌 글리콜 배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a) 4 내지 8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비치환되거나 에테르-치환된 지방족 또는 지환족 1급 모노-아민 화합물; (b) 6내지 12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비치환되거나 에테르-치환된 지방족 또는 지환족 2급 모노아민 화합물; (c) 알킬 그룹이 2 내지 8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알킬 디에탄올 아민; (d) 각 알킬 그룹이 2 내지 5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디알킬 하이드록실아민; (e) 각 알킬 그룹이 2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트리알킬아민, 및 (f) 디에탄올아민.
KR1019870013212A 1986-11-26 1987-11-24 α, ω-알킬렌 글리콜과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혼화된 배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9100035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3535686A 1986-11-26 1986-11-26
US935356 1986-1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6320A KR880006320A (ko) 1988-07-22
KR910003509B1 true KR910003509B1 (ko) 1991-06-03

Family

ID=25466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3212A KR910003509B1 (ko) 1986-11-26 1987-11-24 α, ω-알킬렌 글리콜과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혼화된 배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268906A3 (ko)
JP (1) JPS63150347A (ko)
KR (1) KR910003509B1 (ko)
AU (1) AU596457B2 (ko)
BR (1) BR8706367A (ko)
YU (1) YU214987A (ko)
ZA (1) ZA8786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6723A (en) * 1988-11-28 1990-03-06 Union Carbide Chemicals And Plastics Company Inc. Aminopolyol stabilizers
US5057543A (en) * 1989-08-25 1991-10-15 The Dow Chemical Company Blends of alkylene glycols and relatively high equivalent weight active hydrogen compounds containing additives
US5306735A (en) * 1990-11-27 1994-04-26 Kao Corporation Polyurethane,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process for producing polyurethane foam
US5223547A (en) * 1990-11-27 1993-06-29 Kao Corporation Polyurethane,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process for producing polyurethane foam
US5169996A (en) * 1991-10-09 1992-12-08 Elf Atochem North America, Inc. Stabilized 141b
US5212209A (en) * 1991-11-18 1993-05-18 The Dow Chemical Company Compatibilized internal mold release composition for preparations of foamed and fiber-reinforced polymeric articles
DE102008000243A1 (de) * 2008-02-06 2009-08-13 Evonik Goldschmidt Gmbh Neuartige Kompatibilisierungsmittel zur Verbesserung der Lagerstabilität von Polyolmischungen
WO2010108672A2 (de) * 2009-03-25 2010-09-30 Byk-Chemie Gmbh Zusammensetzung umfassend stabile polyolmischungen
JP7286912B2 (ja) * 2016-12-15 2023-06-06 東ソー株式会社 アロファネート基含有ポリイソシアネートプレポリマー
CN108250391B (zh) 2016-12-28 2021-10-22 科思创德国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制备聚氨酯的多元醇体系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06136C2 (de) * 1979-02-17 1983-12-08 Fa. Carl Freudenberg, 6940 Weinheim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iedrigschmelzenden Polyurethanen
DE3021293A1 (de) * 1980-06-06 1981-12-24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lastischen polyurethanschaumstoffen
US4585803A (en) * 1984-08-17 1986-04-29 The Dow Chemical Company Internal mold release compositions
DE3500339A1 (de) * 1985-01-08 1986-07-10 Bayer Ag, 5090 Leverkusen Stabile dispersionen von polyharnstoffen und/oder polyhydrazidicarbonamiden in hoehermolekularen, mindestens eine hydroxylgruppe aufweisenden hydroxylverbindungen, ei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polyurethankunststoffen
US4673696A (en) * 1986-07-03 1987-06-16 Ashland Oil, Inc. Thermoset molding compositions
AU602525B2 (en) * 1986-12-05 1990-10-18 Dow Chemical Company, The Process for preparing static dissipative linear segmented polyuretha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878635B (en) 1989-07-26
BR8706367A (pt) 1988-07-26
AU596457B2 (en) 1990-05-03
AU8085487A (en) 1988-06-02
JPS63150347A (ja) 1988-06-23
EP0268906A2 (en) 1988-06-01
YU214987A (en) 1988-12-31
KR880006320A (ko) 1988-07-22
EP0268906A3 (en) 1988-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95141C (fi) Nestemäisiä polyisosyanaattiseoksia, menetelmä niiden valmistamiseksi ja niiden käyttö pehmeiden polyuretaanivaahtojen valmistamiseksi
CA1282927C (en)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rigid reaction injection molded thermoset polyurethane modified polyisocyanurate compositions
US4327204A (en) Process for producing polyurethane elastomer by mixing a hardener composition with an isocyanate composition
EP0312658B1 (en)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rigid non-cellular reaction injection molded thermoset polyisocyanurate compositions
WO2000073368A1 (en) Composition for use in flexible polyurethane foams
AU718820B2 (en) Polyurethane elastomers
SE450577B (sv) Sett att framstella reaktionsformsprutade polyuretanelastomerer
CA1314640C (en) Filled polyol compositions comprising stabilizers, polyurethanes prepared therefrom and processes for preparing the same
JPS63317513A (ja) 反応射出成形エラストマー
KR910003509B1 (ko) α, ω-알킬렌 글리콜과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혼화된 배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3661885A (en) Polyurethane catalyst
PT970134E (pt) Processo para preparar espuma de poliuretano flexivel
EP0240196B1 (en) Utilisation of Polymeric polyamines for the production of polurethane/polyurea or polyurea.
US4081429A (en) Heat-stabilized polyurethane elastomer
JPS62275117A (ja) 高分子量プレポリマ−からポリウレタンエラストマ−を製造する方法及びその方法で使用する半プレポリマ−
JPH03106922A (ja) 相溶化活性水素化合物―アルキレングリコール組成物
US4912142A (en) Antistatic phase-segregated polyurethanes
US4981877A (en) Blends of alkylene glycols and relatively high equivalent weight active hydrogen compounds containing multipurpose additives
US4800058A (en)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rigid cast or transfer molded thermoset polyurethane modified polyisocyanurate compositions
US4618667A (en) Nucleation of urethane compositions
US5672635A (en) Water-blown polyurethane sealing devices and compositions for producing same
US3115481A (en) Polyurethane collapsed foam elastomer
AU594591B2 (en) Polyurethane systems incorporating alkoxylated diethyltoluenediamine
JP2000516975A (ja) 高い加熱撓み温度を有するポリウレタン―イソシアヌレート注型系
CA1255865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elastic mold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