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106B1 - 리포좀 및 스핑고 지질을 함유한 피부 화장료 - Google Patents

리포좀 및 스핑고 지질을 함유한 피부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106B1
KR910003106B1 KR1019890009634A KR890009634A KR910003106B1 KR 910003106 B1 KR910003106 B1 KR 910003106B1 KR 1019890009634 A KR1019890009634 A KR 1019890009634A KR 890009634 A KR890009634 A KR 890009634A KR 910003106 B1 KR910003106 B1 KR 910003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smetic composition
cream
sphingolipid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9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2423A (ko
Inventor
김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쥬리아
고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쥬리아, 고병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쥬리아
Priority to KR1019890009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3106B1/ko
Publication of KR910002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1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리포좀 및 스핑고 지질을 함유한 피부 화장료
본 발명은 리포좀 광고 및 스핑고 지질을 함유한 피부 화장료 조성물, 특히 에몰리엔트 효과 및 보습 효과가 지속적이고 매우 우수해서 거친 피부나 노화된 피부에 개선 효과가 우수한 피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 표면은 피지선에서 분비되는 피지와 한선에서 나오는 수분이 자연적으로 잘 혼합된 피지막이 각질층을 덮고 있어서 피부를 매끄럽고 윤기 있으며 촉촉한 상태로 유지시키고 있다.
피부 표면의 각질층에는 20% 정도의 수분이 있을 때 가장 이상적이고 아름다운 상태가 되며, 만약 수분 함량이 10% 이하로 떨어지면 피부가 병적인 정도로 거칠어져서 각질이 생선 비늘처럼 떨어져 나가게 되고 이때 피부손질을 잘못하면 건피증이라는 병적인 상태가 된다. 특히 여성은 생리적으로 피지의 분비를 촉진하는 남성 호르몬의 작용이 약하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일어나기 쉽다.
또한 피지선에서 분비되는 피지는 기온이 높을 때나 남성 호르몬의 분비가 많아지는 사춘기 때에는 피지분비가 과잉이 되어 여드름 및 지루성 피부염이 발생하기 쉽고, 반대로 기온이 낮을 때에는 피지 분비가 억제되어 피부가 바삭바삭해지며 물기가 없어진다.
이처럼 피지막을 구성하는 수분과 피지중 어느 하나라도 이상이 생기면 피부에 트러블이 생겨서 피부가 거칠어지게 된다.
이런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수분의 공급 그리고 수분 자체만으로는 체온에 의해서 수분이 금방 증발해 버리기 때문에, 수분의 증발을 억제하기 위해 보습제, 예를 들면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1, 3-부틸렌 글리콜, 솔비톨, 피씨에이소다, 유산 나트륨, 아미노산 류, 콜라겐, 히아루톤 산,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을 사용함으로써 피부에 습기를 포함하는 흡습성 막을 만들어 각질층을 부드럽게 하면서 각질층의 건조를 방지하였다. 그리고 피지 성분의 보충적인 역할을 위해 에몰리엔트제인 탄화수소류,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 라놀린 및 그의 유도체, 스테롤류 및 지방알콜등의 유성 물질을 이용하여 피부 표면위에 막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보습제는 각질에 수분을 공급하는 물리적 효과에 있어서 외부 환경의 변화, 즉 습도의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그 효과도 일시적인 것에 지나지 않으며, 에몰리엔트제 또한 피부 표면상에 유막을 형성하여 수분의 증발을 방어한다는 물리적 효과가 역시 일시적인 것이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결점을 개선하기 위해 피부의 보습작용 및 에몰리엔트제의 역할에 대해 광범위한 연구를 한 결과, 리포좀이 생체막 유사 물질로 되어 있어 생체와의 친화성이 높으며 조직에 대한 선택성을 갖고 있고 생태에 대한 자극이 없다는 특성과 함께 타물질에 비해 작용 부위에 대해 지속적으로 원료를 방출하거나 약물 흡수를 촉진시킨다는 것과, 각질층 세포간 지질에서 유래된 스핑고 지질과 노화하거나 거칠어진 피부와의 관계, 즉 사람이 나이가 들어 피부가 노화하면 스핑고 지질이 점점 감소한다는 것 및 거친 피부를 가진 사람이 건강한 피부를 가진 사람에 비해 스핑고 지질이 적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사실을 근거로 하여, 리포좀과 스핑고 지질을 동시에 화장료에 사용하는 경우, 피부의 탄력을 높이고 단기간의 사용으로도 피부를 부드럽게 하고 피부 노화 및 주름 생성을 방지 또는 개선할 뿐만 아니라 젊은 피부에는 싱싱한 감촉을 부여할 수 있어 리포좀 또는 스핑고 지질 단독 사용시보다 그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발견하고, 이러한 발견을 기초로 본 발명은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리포좀과 스핑고 지질을 동시에 함유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리포좀은 발명에 역효과를 미치지 않는 한 어떠한 종류의 것도 사용될 수 있으며,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제된 대두 레시틴 2.0g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1.0g
초산 토코페롤 0.1g
레티놀 팔미테이트 0.1g
글리세릴 트리옥타노에이트 0.1g
1, 3-부틸렌 글리콜 10.0g
흉선 펩타이드 0.1g
정제수 86.6g
을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80℃ 10분간 초음파 분산시킨 후 냉각하여 리포좀 화 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스핑고 지질은 본 발명에 역효과를 미치지 않는 한 어떠한 종류의 스핑고 지질도 사용될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스핑고산을 공통 구성성분으로 함유하는 복합 지질을 총칭하는 것이며, 하기의 일반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Figure kpo00001
(식중, X는 당, 인산 또는 염기, 특히 갈락토즈, 글루코즈, 코린, 에탄올 아미드 등을 나타내며 R은 탄소수 16∼24의 알킬을 나타낸다).
즉, 스핑고 지질은 스핑고 산에 지방산이 아미드 결합한 세라미드의 말단 -OH가 여러가지 물질과 결합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스핑고 지질은 소의 뇌에서 추출한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일본 큐피사 제품인 BBS, 스위스 펜타팜사의 글리코좀 등과 같은 시판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포좀 및 스핑고 지질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은 이들 원료의 특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분, 보습제, 점증제, 유분, 방부제, 색소, 알콜, 분체 향료 등과 적절히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스핑고 지질과 리포좀의 배합량은 각각 0.01% 내지 10% 및 0.1% 내지 30%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손이나 얼굴용 제품에는 스핑고 지질 0.5% 내지 2.0% 및 리포좀 0.5% 내지 2.0%가 적당하며, 거친 피부 및 피부가 쇠퇴한 경우에 사용되는 제품에는 스핑고 지질 3% 내지 6% 및 리포좀 3% 내지 10% 이면 충분하다.
본 발명에 따른 리포좀 및 스핑고 지질을 함유한 피부 화장료 조성물은 여러가지 형태의 화장품, 예를 들면 로션, 영양 크림, 크림 화운데이션 등으로 제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화장품 조성물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되면, 이들 실시예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로션의 제조]
본 실시예에서 제조되는 로션의 원료는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에 따라 사용한다.
먼저 원료 1∼12를 75℃로 가열 용해하여 용액 A를 수득한다. 한편 원료 19에 원료 14∼16을 넣고 교반하면서 75℃까지 가온하여 완전 용해시킨 후, 원료 13을 가하고 교반 혼합하여 용액 B를 수득한다.
상기의 용액 A를 용액 B에 가하여 유화시킨 후 원료 17 및 18 즉, 리포좀과 스핑고 지질을 넣고 실온으로 냉각하여 목적하는 로션 형태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수득한다.
[비교예 1∼3]
원료를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로션으로 사용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다.
[표 1]
Figure kpo00002
[실험예 1]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즉 리포좀과 스핑고 지질을 동시에 함유한 로션(실시예 1)과 종전의 로션(비교예 1) 및 비교예 2 및 3의 로션을 비교하기 위해, 20∼40세의 여성 75명을 대상으로 20일간 판넬 시험을 수행하여 사용감, 사용 효과의 우수성 및 사용 효과의 지속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평가 방법은 5점을 만점으로 하여 하기의 등급에 의해 75명의 평균치를 내어 평가하였다.
1 : 매우 나쁘다.
2 : 나쁘다.
3 : 보통이다.
4 : 좋다.
5 : 매우 좋다.
[표 2 로션 품평 결과]
Figure kpo00003
상기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로 이루어진 로션(실시예 1)은 사용감, 사용 효과의 우수성 및 지속성이 모두 매우 만족할 만한 수준인데 반하여, 비교예 1∼3의 로션은 본 발명의 로션에 비해서는 그 효과가 떨어진다.
이와 같은 로션에 대하여 마찬가지로 부작용에 대한 판넬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평가 방법은 하기의 5등급에 따라 75명의 평균치로 평가하였다.
5 : 부작용이 많다.
4 : 부작용이 많은 편이다.
3 : 보통이다.
2 : 없는 편이다.
1 : 전혀 없다.
[표 3]
Figure kpo00004
따라서 리포좀과 스핑고 지질을 함유한 본 발명의 로션은 종래의 로션에 비해 사용감 및 사용 효과가 우수하고, 오래 지속될 뿐만 아니라 부작용도 거의 없는 우수한 화장료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영양 크림]
본 실시예에서 제조되는 영양 크림의 원료는 하기 표 4에 기재된 바에 따라 사용한다.
먼저 원료 1∼15를 75℃로 가열 용해하여 용액을 수득한다. 원료 22에 16∼18을 넣고 교반하면서 75℃까지 가온하여 용해한 후 상기 용액을 넣고 유화시킨다. 유화후에 원료 19를 넣고 혼합한 후에, 원료 20 및 21(리포좀 및 스핑고)을 넣고 실온으로 냉각시켜 본 발명의 영양 크림을 수득한다.
[비교예 4-6]
원료를 하기 표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영양 크림으로 사용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다.
[표 4]
Figure kpo00005
[실험예 2]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즉 리포좀과 스핑고 지질을 동시에 함유한 영양 크림(실시예 2)과 종전의 영양 크림(비교예 4) 및 비교예 5 및 6의 영양 크림을 비교하기 위해, 20∼40세의 여성 75명을 대상으로 20일간 판넬 시험을 수행하여 사용감, 사용 효과의 우수성 및 사용 효과의 지속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낸다.
평가 방법은 실험예 1과 동일하다.
[표 5 영양 크림 품평 결과]
Figure kpo00006
상기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양 크림(실시예 2)은 사용감, 사용 효과의 우수성 및 지속성이 모두 매우 만족할 만한 수준인데 반하여, 비교예 4∼6의 영양 크림은 그 효과가 뒤떨어진다.
이와 같은 영양 크림에 대하여 마찬가지로 부작용에 대한 판넬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낸다.
평가 방법은 실험예 1에서와 동일하다.
[표 6]
Figure kpo00007
따라서, 리포좀과 스핑고 지질을 함유한 본 발명의 크림은 종래의 크림에 비해 사용감 및 사용 효과가 우수하고, 오래 지속될 뿐만 아니라 부작용도 거의 없는 우수한 화장료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크림 화운데이션]
본 실시예에서 제조되는 크림 화운데이션의 원료는 하기 표 7에 기재된 바에 따라 사용한다.
먼저 원료 13에 원료 17을 넣고 균일하게 분산시켜 용액을 수득한다. 원료 20에 원료 12 및 원료 14∼16을 넣고 80℃로 가온한 후 상기 용액을 넣고 분산시킨 다음 80℃를 유지시킨다. 이 용액에 75℃에서 가열 용해시킨 원료 1∼11을 넣고 유화시킨 후 원료 18∼19를 넣고 혼합하여 실온으로 냉각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크림 회운데이션을 수득한다.
[비교예 7∼9]
원료를 하기 표 7에 기재한 바와 같이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크림 화운데이션을 제조한다.
[표 7]
Figure kpo00008
[실험예 3]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즉 리포좀과 스핑고 지질을 동시에 함유한 크림 화운데이션(실시예 3)과 종전의 크림 화운데이션(비교예 7) 및 비교예 8 및 9의 크림 화운데이션을 비교하기 위해 20∼40세의 여성 75명을 대상으로 20일간 판넬 시험을 수행하여 사용감, 사용 효과의 우수성 및 사용 효과의 지속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8에 나타낸다.
평가 방법은 실험예 1과 동일하다.
[표 8 크림 화운데이션 품평 결과]
Figure kpo00009
상기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크림 화운데이션(실시예 3)은 사용감, 사용 효과의 우수성 및 지속성이 모두 매우 만족한 만한 수준인데 반하여, 비교예 7∼9의 크림 화운데이션은 그 효과가 본 발명에 비해 뒤떨어진다.
이와 같은 크림 화운데이션에 대하여 마찬가지로 부작용에 대한 판넬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9에 나타낸다.
평가 방법은 실험예 1에서와 동일하다.
[표 9]
Figure kpo00010
따라서 부작용 리포좀과 스핑고 지질을 함유한 본 발명의 크림 화운데이션은 종래의 크림 화운데이션에 비해 사용감 및 사용 효과가 우수하고 오래 지속될 뿐 아니라 부작용도 거의 없는 우수한 화장품임을 알 수 있다.

Claims (4)

  1. 리포좀 0.1 내지 30.0중량% 및 생체 유래의 스핑고 지질 0.01 내지 10중량%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로션 형태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영양 크림 형태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크림 화운데이션 형태인 조성물.
KR1019890009634A 1989-07-06 1989-07-06 리포좀 및 스핑고 지질을 함유한 피부 화장료 KR910003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9634A KR910003106B1 (ko) 1989-07-06 1989-07-06 리포좀 및 스핑고 지질을 함유한 피부 화장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9634A KR910003106B1 (ko) 1989-07-06 1989-07-06 리포좀 및 스핑고 지질을 함유한 피부 화장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2423A KR910002423A (ko) 1991-02-25
KR910003106B1 true KR910003106B1 (ko) 1991-05-18

Family

ID=19287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9634A KR910003106B1 (ko) 1989-07-06 1989-07-06 리포좀 및 스핑고 지질을 함유한 피부 화장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310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2423A (ko) 199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64877C (en) Lip treatment containing live yeast cell derivative
DE69400337T2 (de) Mittel gegen Hautalterung, das gleichzeitig auf die Hautoberschichten und Tiefschichten wirkt
JPH0210803B2 (ko)
EP0522624A1 (en) Cosmetic stick
JP2002020225A (ja) 保湿組成物
JPS63275506A (ja) 皮膚化粧料
KR20130055069A (ko) 재결정 입자를 갖는 수중유 유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9481337A (zh) 一种含神经酰胺的润肤保湿乳及其制备方法
JPH03223206A (ja) 化粧料
US6284257B1 (en) Cosmetic water emulsion containing at least one vegetable oil
KR101176523B1 (ko) 성상 변화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JPS6016927A (ja) 皮脂分泌促進剤
Morganti Skin hydration
JPS60153938A (ja) 新規なリポソ−ムの作製法
JPS61152613A (ja) 皮膚化粧料
JPS624362B2 (ko)
JP6356457B2 (ja) セラミド配合外用剤組成物
JPS63150209A (ja) 皮膚化粧料
JPH0551314A (ja) 皮膚化粧料
KR910003106B1 (ko) 리포좀 및 스핑고 지질을 함유한 피부 화장료
JPS60116618A (ja) 化粧料
JPH10175843A (ja) 皮膚化粧料
JPS6281307A (ja) 皮膚化粧料
KR100616252B1 (ko) 해양생물-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조성물
KR100858626B1 (ko) 세라마이드 및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입술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27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