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083B1 - 슬라이딩 게이트 밸브용 밸브판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게이트 밸브용 밸브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083B1
KR910003083B1 KR1019830001335A KR830001335A KR910003083B1 KR 910003083 B1 KR910003083 B1 KR 910003083B1 KR 1019830001335 A KR1019830001335 A KR 1019830001335A KR 830001335 A KR830001335 A KR 830001335A KR 910003083 B1 KR910003083 B1 KR 910003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refractory
refractory element
orifice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1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3967A (ko
Inventor
스로우어 안소니
Original Assignee
유우에스에스 엔지니어즈 앤드 콘설탄츠 인코포레이팃드
엠 비어 라니어 2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우에스에스 엔지니어즈 앤드 콘설탄츠 인코포레이팃드, 엠 비어 라니어 2세 filed Critical 유우에스에스 엔지니어즈 앤드 콘설탄츠 인코포레이팃드
Publication of KR840003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3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37/00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pouring of molten metal from a casting melt-holding vess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22D41/22Closures sliding-gate type, i.e. having a fixed plate and a movable plate in sliding contact with each other for selective registry of their openings
    • B22D41/28Plat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22D41/22Closures sliding-gate type, i.e. having a fixed plate and a movable plate in sliding contact with each other for selective registry of their openings
    • B22D41/26Closures sliding-gate type, i.e. having a fixed plate and a movable plate in sliding contact with each other for selective registry of their openings characterised by a rotatively movable pl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718Repairing
    • Y10T29/49721Repairing with disassembling
    • Y10T29/4973Replacing of defective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 Sliding Valves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Compressor (AREA)
  • Lift Valve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슬라이딩 게이트 밸브용 밸브판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딩 판을 구비한 슬라이딩 게이트 밸브의 개략 단면도.
제2도는 판 부재의 제2내화요소의 평면도.
제3도는 판 부재의 제1내화요소의 저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슬라이딩 게이트 밸브 11 : 고정 판
12 : 슬라이딩 판 13, 14 : 오리피스
16 : 노즐 17 : 트레이
18 : 판 부재 19 : 내화 시멘트 층
20 : 제1내화요소 21 : 제2내화요소
26 : 금속 자켓 31 : 노즐 보어
본 발명은 용융 금속의 주입에 사용하기 위한 슬라이딩 게이트 밸브의 슬라이딩 판과 같은 내화성 밸브판에 관한 것이다.
용융 금속을 주입할때 그러한 슬라이딩 게이트 밸브 및 밸브 판이 접하게되는 매우 공격적인 상태는 그밸브 판에 해로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들어, 알루미나가 많이 함유된 고급, 고가의 내화물질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적은 회수의 주입 작동후, 또는, 연속 주조공장에서 용융 금속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레이들의 내용물을 비운 후에 밸브판을 깨끗이 긁어낼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열충격은 밸브 개폐시 밸브판의 파손에 영향을 주는 한가지 인자이다. 또다른 인자는, 밸브를 통한 용융금속의 흐름에 의한 화학적작용 또는 부식이다. 조절적으로 주출(teeming)하기 위해 밸브가 스로틀링(throttling) 모우드로 작동될 때, 밸브판의 열(劣化)가 가속된다.
그러한 열화는 통상 이중판 구조 밸브의 슬라이딩 판에 가장 현저하고, 삼중판 구조 밸브의 하부 고정판에서도 발생한다. 상부 고정판은 열화로 부터 완전히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나쁜 작동 조건에 잘 저항할 수 있는 내화물의 사용이 하나의 해결책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지르코니아같은 재료를 사용 한다할지라도, 이는 작동 수명을 약간 향상시키는 결과만 가져왔다. 그러한 고가의 재료를 일상적으로 사용한다는 것은 비용면에서 효과적이 아니다.
본 발명자는 밸브판의 열화가 그 판의 흐름 오리피스 주위 지역에 주로 한정되거나 슬라이딩 판의 운동방향에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아내었고, 이들 사실로 부터, 긁어내는 작업에 따르는 비용을 절감하고 밸브판의 수리를 용이하게 해주는 판 구조를 고안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용융 금속의 주입에 사용되는 슬라이딩 게이트 밸브의 밸브판으로서, 개방부가 있는 금속제의 트레이상의 내화 시멘트층에 박혀 설치되고 오리피스가 있는 내화성의 판 부재를 포함하고, 이 판 부재는 동일 평면상의 서로 끼워맞춰진 제1 및 제2내화요소들로 형성된 복합 구조물이며, 상기 제1내화요소는 제2내화요소의 구멍내에 삽입되고, 트레이의 개방부와 나란한 오리피스를 갖고 있는 기다란 또는 원형의 요소이고, 상기 제1내화요소 밑에 있는 트레이의 기부에는 제1내화요소를 위로 밀어 이 요소를 트레이에서 분리시키는 공구가 통과하기 위한 1개 이상의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는 밸브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그러한 밸브판을 구비한 슬라이딩 게이트 밸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판은 직선 작동식 및 회전 작동 밸브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직선 작동식 밸브에 있어서, 제1내화요소는 한 끝이나 중간에 오리피스가 있는 기다란 부재이다. 밸브 작동이 슬라이딩판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360°이하에 걸친 슬라이딩판의 회전 운동을 포함하는 반회전식 밸브에서, 제1내화요소는 환형의 세그먼트를 포함한 궁형 혹은 콩팥형 형태로 되어 있다. 예를들어 상이한 치수의 오리피스가 사용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판이 360°회전 운동을 하는 회전식 밸브에 있어서, 제1내화요소는 일반적으로 오리피스가 있는 원형 디스크 혹은 고리이다. 금속제의 트레이는 상기 오리피스 수만큼의 구멍을 갖고 있다.
밸브판이 주입 노즐과 일체로 되어 있는 경우, 제1내화요소와 노즐은 서로 끼워맞춰진 암수 결합부에 의해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결합부는 제1내화요소로 부터의 하향 돌출부가 노즐 보어의 취약한 상단부에 대한 보호 라이너의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슬라이딩 게이트 밸브 자체는 공지의 것이므로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들어, 영국 특허 제2,065,850A호에 직선적으로 작동하는 이중판 구조의 밸브가 기재되었으며, 유사하게 작동하는 삼중판 구조의 밸브가 B.P. 제1,590,775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밸브에서 슬라이딩 판이 밸브를 개폐할 수 있게 고정판에 대해 왕복운동을 한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또다른 유형의 슬라이딩 게이트 밸브는, 구멍이 있는 혹은 구멍이 없는 슬라이딩 판이 밸브를 개폐하기 위해 밸브의 주출축내로 연속적으로 밀고 들어가는 셔브-쓰루 밸브(shove-through valve)이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식 및 반회전식 슬라이딩 게이트 밸브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전자에 있어서는, 360°회전이 가능하며, 후자에 있어서는, 예를들어 90°내외의 작은 각도에서 회전이 가능하다. 그러한 반회전식 밸브에 있어서, 개폐는 슬라이딩 판의 전후 선회 운동에 의해 달성된다. 360°까지의 각도에서 자유롭게 전후 회전을 하는 회전식 게이트 밸브의 일예가 B.P. 제1,358,327호에 나타나 있다.
제1도는 직선적으로 작동하는 이중판 구조의 슬라이딩 게이트 밸브(10)의 주요부를 나타내고 있으며, 밸브 하우징, 골조(framework), 2개의 판, 즉 상부의 고정판(11)과 하부의 슬라이딩 판(12)을 유체가 새지않고 면접촉을 하게 밀어 붙히는 수단, 및 슬라이딩 판(12)을 왕복운동시키는 수단은 생략되었다. 제1도에서, 고정판(11)은 레이들과 같은 용융금속 주입 용기의 주출구에 누출이 일어나지 않게끔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슬라이딩 판(12)는 상기 고정판에 대하여 왕복적으로 미끄럼운동이 가능하다. 고정판(11) 및 슬라이딩 판(12)은 각각 오리피스(13), (14)를 가지고 있다. 이 슬라이딩 게이트 밸브(10)는 오리피스(13), (14)들이 완전히 일치하지 않은 흐름 정지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슬라이딩 판(12)은 금속 자켓을 가진 노즐(16)이 매달려 있는 기다란 부품이다. 그 슬라이등 판 자체는, 내화 시멘트층(19)위에 박혀있는 판 부재(18)를 가지며 얕고 개방부가 있는 금속제의 트레이(17)를 포함한다. 그 트레이는 예를들어 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판 부재(18)는 서로 밀접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내화요소(20), (21)로 이루어진 복합 구조물이다. 제1내화요소(20)는 트레이(17)의 개방부(22)와 동심으로 배치되어 있는 오리피스(14)를 갖고 있다. 제1내화요소(20)는 길게되어 있고, 그의 중앙에 오리피스(14)가 위치된다. 제2내화요소(21)는 제1내화요소(20)의 기다란 외형과 일치하는 치수 및 형상을 가진 기다란 구멍(23)을 중앙에 가지며, 이렇게 함으로써 제1내화요소(20)가 제2내화요소(21)내에 꼭 들어맞게 수용된다. 제2내화요소(21)는 트레이(17)의 주변부를 따라 배치되는 좁은 밴드 현상으로 된다.
고정 판(11)과 접촉하는 제1 및 제2내화요소(20), (21)의 노출면들은 서로 동일 평면에 있고, 트레이(17)의 기부(24)와 평행하다.
제1도와 같이, 노즐(16)의 금속 자켓(26)이 트레이(17)의 개방부(22)에 부착되어 있다. 그 금속 자켓(26)과 트레이(17)는 용접, 납땜 혹은 다른 방법으로 서로 연결된다. 이 노즐(16)은 암수 결합부(28)에 의해 제1내화요소(20)와 결합된다. 이러한 암수 결합부는 오리피스(14) 주위에서 연장한 제1내화요소(20)의 하향 돌출부(29)와, 이에 면하고 있는 노즐(16) 상단부의 요홈부(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향 돌출부(29)는 노즐 상단부를 위한 라이너(liner) 역할을 하며, 밸브를 통한 용융 금속의 흐름으로 인하여 노즐 보어(31)의 취약한 상단부가 열화(deterioration)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하향 돌출부(29)에 있는 최소한 오리피스 하단부의 횡방향 형상 및 크기는 노즐 보어(31)의 형상 및 크기와 동일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오리피스(14) 및 노즐 보어(31)는 단면이 원형이며, 전체에 걸쳐 동일한 직경으로 되어 있다.
제1내화요소(20)의 밑에 있는 트레이의 기부(24)에는 여러개의 구멍(32)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들의 용도는 뒤에 설명된다.
제1 및 제2내화요소(20), (21)로 이루어진 복합 구조물로된 판 부재(18)를 노즐(16)과 별개로 제작하므로써, 상이한 내화물들이 그들의 여러가지 유익한 성질들을 더 잘 이용할 수 있게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판 부재(18)는 실제에 있어서 당면하게 되는 특정 어려움을 고려하여, 주입될 금속에 맞추어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이런 복합구조물은 비용 효율면에서 유리하다. 예를들면, 제1내화요소(20)를 저렴한 내화 콘크리트로 만들고 제2내화요소(21)를 더 비싼 소성 내화물로 만든 다음, 제1내화요소(20)을 몇번이고 대체할 수 있다. 제2내화요소(21)는 용융 금속과 전혀 접촉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긴 수명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제2내화요소(21)는 저렴한 콘크리트로 만들어 질 수도 있다. 사용 수명이 적절히 연장될 수 있다면 제1내화요소(20)가 비싼 소성 내화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노즐(16)의 재료도 이와 유사한 일반적인 고려하에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들면, 내화점토 조성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 슬라이딩 게이트 밸브(10)의 정규 사용에 있어서, 밸브의 개폐를 위하여, 판 부재(18)는 오리피스(13), (14)들이 서로 일치하는 위치와 오리피스(14)가 오리피스(13)의 우측으로 이동하여 서로 일치하지 않게되는 위치사이에서 직선적으로 왕복한다. 오리피스(14)의 좌측에 있는 제1내화요소(20)의 상부면은, 판 부재가 왕복운동을 함에 따라 오리피스(13)내의 용융 금속에 접촉되어 점차로 열화될 것이다. 또한, 오리피스(14)의 좌측 가장자리와 상기 상부면 사이의 접속부(즉, 그 오리피스 입구의 좌측 모서리)는 이 밸브가 조여져 작동될때 마모된다. 따라서, 판 부재(18)의 유효 수명이 제한되나, 이 슬라이딩 게이트 밸브(10)에 있어서 판부재를 좌우 반대로 바꾸어 놓으므로써 그 수명이 배가될 수 있다.
금속제의 트레이(17)와 제2내화요소(21)는 이들중 어느것도 용융금속과 접촉하지 않으므로 여전히 재사용될 수 있다. 판 부재(18)를 수선할 때는 제1내화요소(20)를 제거하여 대체시킨다. 제1내화요소(20)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공기식 혹은 유압식 램(ram)과 같은 공구가 제1내화요소(20)를 트레이(17)밖으로 밀어내는데 사용되며, 이 공구는 트레이의 기부에 있는 구멍(32)을 통해 구동된다. 제1내화요소(20)를 떼어낸 후에, 트레이(17)에 남아있는 해당 시멘트층을 모두 쪼아낸다. 그리고나서, 새로운 제1내화요소(20)를 새로운 시멘트층 위에 설치하고 제2내화요소(21)와 평평하게 한다.
제2내화요소(21)를 대체하는 것이 요구될 때는 그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제2내화요소(21) 아래의 트레이(17) 기부에 수개의 구멍이 더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단 제1내화요소(20)가 제거되면, 노즐(16)이 금속 자켓(26) 밖으로 상방으로 밀려날 수 있다. 이 노즐은 제1내화요소(20)의 수명과 거의 같은 수멍을 갖고 있는 재료로 만들어 질 수 있어 보통 제1내화요소(20)와 함께 대체될 수 있다.
제1내화요소(20)의 폭은 판 부재(18)의 왕복운동시에 오리피스(13)내 용융금속에 의해 휩쓸리는 부위의 폭 보다 크다. 예를들면, 제1내화요소(20)는 오리피스(13) 직경의 약 1.4-1.5배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오리피스(14)는 제1내화요소(20) 폭방향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판 부재(18)는 주로 이중판 구조의 밸브에서는 슬라이딩 판에, 그리고 삼중판 구조의 밸브에서는 하부 고정판에 사용된다. 레이들과 같은 금속 보유 용기의 배출구 면적을 적절히 설계하므로써, 동일한 밸브판 구조가 이중판 혹은 삼중판 구조의 밸브의 상부 고정 판에도 쓰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에 도시되고 설명된 대로 반드시 양쪽으로 대칭인 밸브판으로 실시될 필요는 없다. 변형예에서, 밸브판을 관통한 주입 통로는 밸브판의 한 끝에 인접해 있을 수 있다. 그 경우, 기다란 제1내화요소(20)의 한 끝에 오리피스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회전식 밸브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슬라이딩 판이 개폐위치들 사이에서 호를 그리며 왕복운동하는 반회전 밸브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밸브판은 평면도에서 보아 부채꼴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오리피스가 있는 판 부재 요소는 궁형(환형의 세그멘트 또는 콩팥모양)으로 되어 있고, 그 오리피스는 판 부재 요소의 중간 또는 한 끝에 위치된다. 물론, 오리피스가 있는 판 부재 요소의 형상은, 밸브 작동중이 요소만이 용융금속에 의해 휩쓸리도록 결정된다.
몇몇 회전식 밸브는 상이한 흐름 단면적을 갖는 주입 통로 및 노즐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그러한 밸브에 있어서, 판 부재(18)와 대등한 판 부재는 평면도로 보아 원형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판부재의 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오리피스가 있는 여러개의 궁형 요소들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오리피스는 원형의 금속제 트레이에 마련된 대응하는 구멍들과 정렬된다. 사용시, 어떤 주입 통로들은 다른것 보다 더 빈번하게 사용될 수 있다.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주입 통로들은 다른것 보다 더 빨리 열화되므로, 위와같은 판 부재요소의 구조에 의해 해당 판 부재 요소를 선별적으로 대체할 수 있게 된다. 한개 이상의 구멍(32)이 각 궁형 판 부재 요소에 제공된다.
다른 예에 있어서는, 원형 판부재의 요소는 여러개의 오리피스들이 있는 원형 디스크 혹은 고리 모양을 취할수 있다. 다수의 구멍(32)이 상기 요소의 밑에서 트레이에 마련된다. 그 구멍의 갯수는 3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도에서는 내화 시멘트층(19)의 두께가 과장되어 도시되었으나, 실제로는 제1 및 제2내화요소(20), (21)의 두께는 트레이 깊이와 거의 비슷하다. 오리피스가 있는 제1내화요소(20)의 두께는 오리피스가 있는 부위를 제외하고는 제2내화요소(21)의 두께와 같다. 여기에 설명된 구조는, 내화물들이 콘크리트 주조방식으로 제조되는 밸브판에 특히 적합하다.
보통, 내화 시멘트층(19)은 트레이의 구멍들(32)와 일치하는 구멍들을 가지고 있어, 공구가 그 구멍들을 통해 제1내화요소(20)를 직접 밀어내어 이 내화요소를 트레이(17)에서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내화 시멘트층(19)이 얇을 때에는 그러한 구멍이 불필요할 수 있다.
[변형예]
앞의 설명에서, 내화 시멘트층(19)이 얇게 되도록 제1 및 제2내화요소(20), (21)의 두께가 트레이의 깊이와 거의 같다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최대한의 경비절감을 위하여, 시멘트층을 제1 및 제2내화요소(20), (21) 둘다는 아니더라도 최소한 제1내화요소(20) 보다 상당히 더 두껍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여기서 제2내화요소는 고가이고 높은 내화성의 소성 물질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제1내화요소(20)는 용융금속의 흐름을 위한 오리피스가 있는 얇은 소성 타일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내화 시멘트층(19)과 노즐(16)이 용융금속에 적절히 저항한다면, 제1내화요소(20)의 하향 돌출부(29)는 생략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라, 제1 및 제2내화요소(20), (21)는 특히 비용 효율면에서 소성 내화물 혹은 내화 콘크리트로 만들어질 수 있고, 노즐(16)의 재료는 유사한 고려 사항을 기초로 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이들 부품들의 재료에 있어서 몇가지 예시적인 조합은 다음과 같다.
1. 판 부재의 제1 및 제2내화요소(20), (21)와 노즐(16)은 모두 내화 시멘트층(19)에 박힌 소성 내화체이다. 제1내화요소(20)는 "타일"과 같은 것일 수 있고 제2내화요소(21)보다 약간 더 얇다. 제2내화요소(21)는 트레이(17)의 깊이와 거의 같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 3가지의 내화체는 동일 혹은 상이한 성분을 가질 수 있다.
2. 제1 및 제2내화요소(20), (21)는 상기 1항의 기재와 같을 수 있으나, 노즐(16)은 내화 콘크리트체이다. 노즐의 콘크리트는 내화 시멘트층(19)의 콘크리트와 같을 수 있으며, 상기 노즐 및 시멘트층은 단일체 성형물로 성형될 수 있다.
3. 제1내화요소(20)는 예를들면 타일과 같은 소성체일 수 있으나, 제2내화요소(21), 노즐(16) 및 내화 시멘트층(19)은 모두 내화 콘크리트로 만들어진다. 동일한 콘크리트가 이들 3개의 요소들을 형성하며, 서로 일체의 단일 성형물로 성형될 수 있다.
4. 상기 3항 기재와 유사한 구조에 있어서, 제2내화요소(21), 내화 시멘트층(19) 및 노즐(16)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성형물은 고급 및 하급 콘크리트 조성으로 이루어진다. 용융금속에 더욱 잘 저항하는 고급 콘크리트는 용융금속에 노출되는 부위(노즐 보어를 포함) 주위에 내부 슬리이브 또는 피복층을 형성한다. 따라서, 노즐은 복합 콘크리트 구조이다. 내부 슬리이브 또는 피복층은 노즐 보어의 전체 길이 혹은 대부분의 길이를 따라 연장할 수 있다.
5. 상기 2항에 기재된 구조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내화 시멘트층(19) 및 노즐 외부는 저급 콘크리트로 구성되는 한편, 노즐 내벽과 같이 용융금속에 노출되는 지역은 고급 콘크리트로 구성된다.
6. 비용 및 제조공정면에서, 하향 돌출부(29)가 없는 얇고 편평한 타일 형태의 제1내화요소(20)가 바람직하다. 내화 시멘트층(19)이 반드시 용융금속으로 부터 격리되어야만 하는 경우에, 그러한 편평한 제1내화요소(20)는 소성내화 슬리이브를 구비할 수 있다. 그 슬리이브는 그의 내경이 제1내화요소의 오리피스 직경과 같을 경우 제1내화요소(20)밑에 맞닿게 위치될 수 있다. 그와 달리, 슬리이브는 그의 끝이 제1내화요소의 오리피스의 꼭대기면과 같은 면에 있도록 그의 오리피스를 통해 연장할 수 있다. 그 슬리이브는 노즐 보어(31)의 적어도 상류측 부위를 형성하도록 연장될 수도 있다.

Claims (18)

  1. 용융 금속 주입에 사용되는 슬라이딩 게이트 밸브용 밸브판으로서, 개방부가 있는 금속제 트레이상의 시멘트 층에 박혀 배치되고 오리피스가 있는 내화성의 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판 부재는 미끄럼 표면을 형성하도록 동일 평면에서 서로 끼워 맞춰진 제1 및 제2내화요소들을 포함하는 복합 구조물이고, 상기 제1내화요소는 제2내화요소의 구멍내에 삽입되며, 트레이의 개방부와 나란한 오리피스를 갖고 있는 기다란 원형의 요소이고, 상기 제1내화요소 밑에 있는 트레이의 기부에는, 제1내화요소를 위로 밀어 이 내화요소를 제2내화요소와 트레이로 부터 분리시키는 공구가 통과하기 위한 1개 이상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 게이트 밸브용 밸브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내화요소들의 노출면들이 상기 트레이의 기부와 평행하며 동일 평면에 있는 밸브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개방부를 통해 상기 판 부재에 노즐이 매달려 있고, 상기 노즐과 제1내화요소는 암수 결합부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밸브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암수 결합부가 상기 제1내화요소의 오리피스 주위에서 연장한 하향 돌출부와, 이에 면하고 있는 노즐 단부의 요홈부로 이루어진 밸브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가 상기 하향 돌출부를 통해 뻗어 있고, 적어도 상기 노즐에서 상기 노즐 보어의 횡단면적과 같은 횡단면적을 갖는 밸브판.
  6. 제1∼5항들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이 밸브판이 직선 작동식 밸브에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제1내화요소가 기다랗고, 상기 오리피스가 상기 제1내화요소의 일단부에 위치하는 밸브판.
  7. 제1∼5항들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이 밸브판이 직선 작동식 밸브에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제1내화요소가 기다랗고, 상기 오리피스가 상기 제1내화요소의 중간에 위치하는 밸브판.
  8. 제1∼5항들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이 밸브판이 회전 작동식 밸브에 사용되는 것으로, 제1내화요소가 기다란 콩팥형태의 요소이고, 상기 오리피스가 상기 제1내화요소의 일단부나 중간에 위치하는 밸브판.
  9. 제1∼5항들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이 밸브판이 회전 작동식 밸브에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제1내화요소가 원형이나 환형이고, 트레이에 있는 다수의 상응하는 구멍들과 나란한 다수의 오리피스들을 가진 밸브판.
  10. 밸브판을 구비하고 용융 금속의 주입에 사용하는 슬라이딩 게이트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판이, 개방부가 있는 금속제 트레이상의 시멘트 층에 박혀 배치되고 오리피스를 가진 내화성의 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판 부재는 미끄럼 표면을 형성하도록 동일 평면에서 서로 끼워 맞춰진 제1 및 제2내화요소들을 포함하는 복합 구조물이고, 상기 제1내화요소는 제2내화요소의 구멍내에 삽입되며, 트레이의 개방부와 나란한 오리피스를 갖고 있는 기다란 원형의 요소이고, 상기 제1내화요소 밑에 있는 트레이의 기부에는, 제1내화요소를 위로 밀어 이 내화요소를 제2내화요소와 트레이로 부터 분리시키는 공구가 통과하기 위한 1개 이상의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게이트 밸브.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판에서 상기 제1 및 제2내화요소들의 노출면들이 트레이의 기부에 평행하고 동일 평면에 있는 슬라이딩 게이트 밸브.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판에서 상기 트레이의 개방부를 통해 상기 판 부재에 노즐이 매달려 있고, 상기 노즐과 제1내화요소가 암수 결합부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슬라이딩 게이트 밸브.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판에서 상기 암수 결합부가 상기 제1내화요소의 오리피스 주위에서 연장하는 하향 돌출부와, 이에 면하고 있는 노즐 단부의 요홈부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게이트 밸브.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밸브판에서 상기 오리피스가 상기 하향 돌출부를 통해 뻗어있고, 적어도 상기 노즐에서 상기 노즐 보어의 횡단면적과 같은 횡단면적을 갖는 슬라이딩 게이트 밸브.
  15. 제10∼14항들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판에서 상기 제1내화요소가 기다랗고, 상기 오리피스가 상기 제1내화요소의 일단부에 위치하는 직선 작동식 슬라이딩 게이트 밸브.
  16. 제10∼14항들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판에서 상기 제1내화요소가 기다랗고, 상기 오리피스가 상기 제1내화요소의 중간에 위치하는 직선 작동식 슬라이딩 게이트 밸브.
  17. 제10∼14항들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판에서 상기 제1내화요소가 기다란 콩팥형태의 요소이고, 상기 오리피스가 상기 제1내화요소의 일단부나 중간에 위치하는 회전 작동식 슬라이딩 게이트 밸브.
  18. 제10∼14항들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판에서 상기 제1내화요소가 원형이나 환형이고, 트레이에 있는 다수의 상응하는 구멍들과 나란한 다수의 오리피스들을 가진 회전 작동식 슬라이딩 게이트 밸브.
KR1019830001335A 1982-04-01 1983-03-31 슬라이딩 게이트 밸브용 밸브판 KR9100030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209663 1982-04-01
GB9663/82 1982-04-01
GB9663 1982-04-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3967A KR840003967A (ko) 1984-10-06
KR910003083B1 true KR910003083B1 (ko) 1991-05-18

Family

ID=10529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1335A KR910003083B1 (ko) 1982-04-01 1983-03-31 슬라이딩 게이트 밸브용 밸브판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4597514A (ko)
EP (1) EP0091110B1 (ko)
JP (1) JPS58218366A (ko)
KR (1) KR910003083B1 (ko)
AT (1) ATE20646T1 (ko)
AU (1) AU554191B2 (ko)
BR (1) BR8301641A (ko)
CA (1) CA1221813A (ko)
DE (1) DE3364415D1 (ko)
DK (1) DK165774C (ko)
ES (1) ES280979Y (ko)
GB (1) GB2117498B (ko)
HU (1) HU190833B (ko)
IN (1) IN159000B (ko)
NZ (1) NZ203685A (ko)
ZA (1) ZA8322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9085A (en) * 1983-03-24 1988-12-06 Flo-Con Systems, Inc. Slide gate for a sliding gate valve
US4474362A (en) * 1983-03-24 1984-10-02 Flo-Con Systems, Inc. Valve and method and components thereof
CH659872A5 (de) * 1983-09-02 1987-02-27 Stopinc Ag Verschlussplatte fuer einen schiebeverschluss.
DE3538499C1 (de) * 1985-10-30 1987-05-07 Didier Werke Ag Feuerfeste Verschleissplatte fuer Schieberverschluesse an metallurgischen Gefaessen
US5215666A (en) * 1987-01-12 1993-06-01 Lanxide Technology Company, Lp Ceramic composite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DE3831386C1 (ko) * 1988-09-15 1990-03-01 Didier-Werke Ag, 6200 Wiesbaden, De
US5000362A (en) * 1989-06-02 1991-03-19 Nuova Sanac S.P.A. Shut-off device made of refractory material for a slide-gate pouring appliance
WO1992022517A1 (en) * 1991-06-19 1992-12-23 Lanxide Technology Company Novel aluminum nitride refractory material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CH683969A5 (de) * 1991-07-12 1994-06-30 Stopinc Ag Feuerfeste Verschlussplatte am Ausguss eines Metallschmelze enthaltenden Gefässes.
WO1993025333A1 (en) * 1992-06-18 1993-12-23 Shinagawa Refractories Co., Ltd. Refractory block for continuous casting
DE4343751A1 (de) * 1993-12-21 1995-06-22 Zimmermann & Jansen Gmbh Schieberverschluß
FI120385B (fi) * 2007-07-06 2009-10-15 Indref Oy Sulkumekanismi sulan metallin annostelemiseksi ja menetelmä sulkumekanismin valmistamiseksi
FI122542B (fi) * 2009-01-15 2012-03-15 Indref Oy Liukusuljinlevyn ja alasuutiilen yhdistelmä ja menetelmä liukusuljinlevyn ja alasuutiilen yhdistelmän korjaamiseksi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1825A (en) * 1969-07-25 1974-08-27 Didier Werke Ag Sliding valve for a container of liquid smelt provided with a lip
US3685707A (en) * 1970-05-01 1972-08-22 United States Steel Corp Sliding-gate closure for bottom-pour vessel
JPS5035485B2 (ko) * 1971-11-12 1975-11-17
GB1440916A (en) * 1972-07-26 1976-06-30 Flogates Ltd Sliding gate valve assemblies
GB1490981A (en) * 1974-01-15 1977-11-09 Flogates Ltd Pouring of molten metals
GB1575601A (en) * 1976-01-22 1980-09-24 Didier Werke Ag Refractory structures for outlet valves for metallurgical vessels
GB1590775A (en) * 1977-02-17 1981-06-10 Flogates Ltd Sliding gate valves
DE2719105B2 (de) * 1977-04-29 1979-10-31 Didier-Werke Ag, 6200 Wiesbaden Feuerfeste Platte für Schieberverschlüsse an metallurgischen Gefäßen
CA1126472A (en) * 1978-06-19 1982-06-29 Flo-Con Systems, Inc. Rotary valve
GB2065278B (en) * 1979-12-14 1983-10-12 Flogates Ltd Composite moulded refractory articles amd their manufacture
GB2065850B (en) * 1979-12-19 1983-04-13 Flogates Ltd Sliding gate valve refractories
CH647966A5 (de) * 1980-05-09 1985-02-28 Stopinc Ag Verschlussplatten-einheit fuer einen schiebeverschluss fuer metallurgische schmelzegefaesse.
IT1131943B (it) * 1980-07-10 1986-06-25 Flocon Italiana Procedimento per rigenerare o modificare piastre refrattarie dei cassetti di colata delle siviere
IT1142623B (it) * 1981-12-22 1986-10-08 Flocon Italiana Procedimento per rigenerare una piastra mobile di un cassetto di colata di una sivi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80979Y (es) 1985-07-16
DK165774B (da) 1993-01-18
HU190833B (en) 1986-11-28
EP0091110A1 (en) 1983-10-12
IN159000B (ko) 1987-03-07
ATE20646T1 (de) 1986-07-15
US4597514A (en) 1986-07-01
JPH0339786B2 (ko) 1991-06-14
DK144583D0 (da) 1983-03-29
EP0091110B1 (en) 1986-07-09
GB8307457D0 (en) 1983-04-27
DK144583A (da) 1983-10-02
KR840003967A (ko) 1984-10-06
AU554191B2 (en) 1986-08-14
DK165774C (da) 1993-06-14
JPS58218366A (ja) 1983-12-19
GB2117498A (en) 1983-10-12
AU1312383A (en) 1983-10-06
GB2117498B (en) 1985-07-17
DE3364415D1 (en) 1986-08-14
BR8301641A (pt) 1983-12-13
ES280979U (es) 1985-01-16
CA1221813A (en) 1987-05-19
ZA832277B (en) 1983-12-28
NZ203685A (en) 1985-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3083B1 (ko) 슬라이딩 게이트 밸브용 밸브판
RU2039630C1 (ru) Поворотный затвор для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ой емкости
FI61239C (fi) Anordning vid ventiler med vridbar ventilkropp
US5071340A (en) Cooling arrangement for valve stem gates in hot runner injection molding machine systems
KR0144365B1 (ko) 슬라이딩 게이트 밸브용 밸브판 및 밸브
FI61419C (fi) Skjutport foer en gjutoeppning foer smaelt metall
KR960006773B1 (ko) 모울드용 분사노즐
FI72665C (fi) Tillslutningsplatta av eldfast material foer lineaer- eller vridtillslutningar.
KR960013882B1 (ko) 용융금속 주입용 개폐 조절장치
EP0243587B1 (de) Feuerfester Formkörper, insbesondere Platte für Schieberverschlüsse
IE54343B1 (en) Sanitary water-supply valve
US4932570A (en) Rotary and/or slide valve for a metallurgical vessel
US2836388A (en) Valve
EP0080248A1 (en) Refractory components
CA1255898A (en) Sliding gate valve for the outlet of a metallurgical vessel
JPH05318062A (ja) 連続鋳造時の介在物除去部材および装置
CN107131306B (zh) 一种无旋涡型水泵控制阀
AU2002350171B2 (en) Multi-hole, multi-edge control plate for linear sliding gate
KR960005885B1 (ko) 용융금속배출장치에 사용하는 불활성 가스주입용 플레이트
JPH0469468A (ja) 混合栓多穴ディスク
JPS6345907B2 (ko)
EP0400257B1 (en) Slide gate valve made of a refractory material for metallurgical vessels
JP2004278557A (ja) セラミックバルブ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バルブユニット
CS213301B2 (en) Sluice valve
KR200230184Y1 (ko) 제강용 턴디쉬의 슬래그 유출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4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