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844B1 - 열 교환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열 교환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844B1
KR910002844B1 KR1019880003886A KR880003886A KR910002844B1 KR 910002844 B1 KR910002844 B1 KR 910002844B1 KR 1019880003886 A KR1019880003886 A KR 1019880003886A KR 880003886 A KR880003886 A KR 880003886A KR 910002844 B1 KR910002844 B1 KR 910002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fins
hoop
cutting
ro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3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2973A (ko
Inventor
이즈미 오찌아이
유기오 기다야마
마사히로 미야지
요시오 노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80012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2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02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 B21D53/0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of both metal tubes and sheet metal
    • B21D53/085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of both metal tubes and sheet metal with fins places on zig-zag tubes or parallel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 F28D1/047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the conduits being bent in a serpentine or zig-za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35Heat exchanger or boiler making
    • Y10T29/49359Cooling apparatus making, e.g., air conditioner, refrige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열 교환기 및 그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1실시예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열 교환기에서 사용된 휜의 제조방법의 개략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열 교환기 제조 방법의 실시예의 중간공정의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에 있어서 중간 공정 상태의 부분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열 교환기의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휜의 제조방법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1실시예에 있어서 휜의 제조방법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휜의 제조 장치의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1실시예에 있어서 휜의 제조방법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또 다른 휜의 제조 장치의 도면.
제9도는 종래의 열 교환기의 사시도.
제10도는 제9도의 종래의 열 교환기를 제조하는 방법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매관 2, 3 : 휜
4 : 노치 9 : 절단선
12 : 후프 16 : 구멍
본 발명은 열 교환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리에 의한 성능 저하를 감소시키고 높은 제조 효율로 제조될 수 있는 열 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서리에 의한 성능 저하를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열 교환기가 제안되어 왔다. 이러한 열 교환기의 예가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공보 소화 50-122054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 열 교환기에서, 특히 휜(fin)의 흡입구 끝에서 두껍게 형성된 서리에 의해 생긴 기류에 대한 장애가 절감되도록 열 교환기의 공기 흡입구 측에서 휜의 폭을 지그재그로 변화시킨다.
이 종래의 열 교환기를 이 열 교환기의 지그재그 배열의 사시도인 제9도를 참조하여 다음에 기술한다. 도면에서 열 교환기는 냉매관(1)인 열 교환기 관(1)에 의해 관통된 여러개의 휜(7), (8)을 가지고 있고, 공기는 화살표(A)의 방향으로 이 열교환기에 흐른다. 특히 휜은 2가지 형태로 되어 있다. 즉, 폭(L2)이 넓어 끝면(7a)와 냉매관(1)사이의 길이가 긴 휜(7)과 폭(L3)이 좁아 끝면(8a)와 냉매관(1)사이의 길이가 짧은 휜(8)로 되어 있다.
이들 2가지 형태의 휜(7), (8)은 교대로 배열하여 냉매관(1)에 고정되어 있다.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 교환기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소화 58-110142호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 방법을 도시한 사시도인 제10도를 참조하여 이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폭이 넓은 후프(12)는 화살표(B)의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폭이 넓은 휜(7)과 좁은 휜(8)의 쌍이 나란한 형태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절단날(10), (10a)를 가지는 프레스에 의해, 절단하는 긴쪽선(9), (9a)를 따라서 절단된다. 그후 폭이 넓은 휜(7)과 폭이 좁은 휜(8)은 가로선(11)에 따라 절단날(15)에 의해 절단된다. 핀(13)을 가지고 있는 지그(14)는 각각의 휜에 형성된 냉매관 구멍(16)에 삽입된 핀(13)으로, 폭이 넓고 좁게 절단된 휜(7), (8)이 떨어지는 것을 받아서, 폭이 넓고 좁은 휜(7), (8)을 교대로 적층시킨다.
이 형태의 열 교환기에서, 서리에 의한 성능 저하는 현저히 줄게 되지만, 이 형태의 열 교환기는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이 다른 2가지 형태의 휜을 준비하여 교대로 적층하는 방법이므로 제조 효율이 낮다.
또, 상술한 제조방법은 특히 열 교환기의 휜이 제9, 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매관이 일렬로 구성되는 폭이 좁은 형태일 때, 휜(7), (8)의 냉매관 구멍에 지그(14)위의 핀(13)을 정확하게 걸리게 할 수 없어서, 생산성이 저하하므로 제조 효율이 떨어진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것은 휜(7), (8)중의 하나의 무게 중심이 구멍의 위치와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며, 휜끝과 관(구멍)사이의 거리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대로 배열된 폭이 넓은 휜과 폭이 좁은 휜을 가지는 열 교환기와 높은 효율로 이러한 열 교환기를 제조할 수 있게 하는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의하면, 서로 다른 형태의 휜이 관의 긴쪽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된 서로 폭이 다른 형태의 휜과 열 교환기 관을 가지는 열 교환기에 있어서, 각각의 휜이 양쪽의 긴쪽 끝에 근접한 위치에서 각각의 휜의 축이나 긴쪽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노치(notch)되고, 노치의 바깥쪽의 휜의 양쪽 긴쪽 끝부분에서 서로 다른 형태의 휜의 폭이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교환기가 제공된다. 이러한 열 교환기에 의해 서리에 의한 성능의 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후프나 웨브가 같은 부재에 여러개의 냉매관 구멍의 열을 형성하고, 구멍과 인접한 열 사이의 중간점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서 후프의 이송방향에 나란히 연장됨과 동시에, 얻어질 휜의 긴쪽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절단선을 형성하며, 절단선의 끝이 연장되는 후프의 위치에 후프의 이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긴쪽 축을 가지는 슬릿이나 가늘고 긴 구멍을 형성하고, 후프의 이송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인접한 슬릿이나 가늘고 긴 구멍사이의 후프 통과 영역의 이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선을 따라 후프를 절단하여 일체로 연결된 서로 다른 형태의 다수의 휜을 가지는 휜의 군을 마련하며, 연속적으로 절단된 휜의 군을 적층하고, 연속적인 군에서 관을 휜에 고정시키도록 냉매관을 휜에 있는 구멍에 삽입하여 관을 팽창시키며, 구멍과 인접한 열 사이와 슬릿이나 가늘고 긴 구멍의 영역 내부의 위치에서 적층된 연속적인 휜의 군을 절단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열 교환기의 제조 방법이 마련된다.
이러한 열교환기의 제조 방법에 의해 열교환기를 생산성이 높게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 후프는 후프의 폭이 방향으로 서로 다른 폭의 다수의 휜의 부분을 규정짓도록, 후프의 긴쪽축에 나란한 절단선을 따라 절단된다. 그러나 완성된 휜에 있는 노치에 해당하는 각각의 슬릿이나 가늘고 긴구멍의 바깥쪽에 있는 후프의 부분을 절단하지 않기 때문에 이들 휜의 부분은 일체로 연결되거나 계속 유지된다. 따라서 후프의 폭의 방향으로 연결된 다수의 휜을 가지는 휜의 군을 얻을 수 있어서 적층된 휜을 높은 효율로 마련할 수 있다.
그후 연속적인 휜의 군은 프레스를 통하여 이송되어 핀을 가지고 있는 지그위에 떨어지게 된다. 이로인해 독립된 휜이 적층될때 종래의 방법에서 제기되는 문제점, 즉, 핀과 구멍의 에지 사이의 충돌과 휜의 폭의 변화에 따라 휜의 중심이 이탈한다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휜의 군의 일체성은 휜 부분의 양쪽 긴쪽끝에 있는 접속영역에서 유지된다. 조립후, 휜의 군은 이들 접속 영역에서 절단되어 이 조립품이 다수의 열 교환기로 분리된다.
이렇게 제조된 열 교환기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두가지 형태의 휜은 이들 휜의 양쪽 긴쪽 끝 영역에서 폭의 방향으로 같은 길이를 갖는다. 그러나, 이것은 이들 영역이 매우 짧고 휜의 긴쪽끝에서만 배열되기 때문에 어떤 실질적인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열 교환기의 성능은 휜의 끝이 휜의 전체 길이에 걸쳐 공기 흡입구측에서 지그재그로 엇물린 형태로 되어 있는 종래의 열 교환기의 성능과 실질적으로 같다.
구멍으로 냉매관을 삽입하여 팽창시키는 것은 절단후에 실행하여도 되지만, 구멍과 인접한 열 사이의 위치에서 절단전에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슬릿이나 가늘고 긴 구멍의 형성은 후프의 이송방향에 나란한 연관하는 절단선의 형성전에 하여도 되지만, 후프의 이송 방향에 나란한 연관하는 절단선의 형성후에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휜의 양쪽 긴쪽 끝에서 절단되는 인접한 구멍의 열사이의 위치는 구멍의 열 사이의 중앙인 긴쪽선으로부터 어긋나게 하여도 되지만, 통상 인접한 열 사이의 실질적인 중앙인 긴쪽선상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도면에 의해서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에 기술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열 교환기의 사시도이다. 열 교환기는 냉매관(1)에 고정된 휜(2), (3)을 가지고 있다. 냉매관(1)의 끝(1a)는 단일 연속관을 형성하도록 연결된다. 공기는 열 교환기 쪽으로 화살표 A방향으로 흐른다. 휜(2)에서는 휜(2)의 끝면(2a)가 냉매관(1)로부터 공간을 두고 길게 구성되어 있고, 휜(3)에서는 휜(3)의 끝면(3a)와 냉매관(1)사이의 거리가 비교적 짧게 구성되어 있다. 휜(2), (3)은 교대로 배열된다. 열 교환기가 동작하는 동안, 서리가 휜(2), (3)의 공기 흡입구 끝에서 생긴다. 기류의 장애는 서리에 의한 것이지만, 끝면(2a)와 (3a)가 서로 엇갈리거나 지그재그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그렇게 심하지 않다.
휜(2)에는 양쪽의 긴쪽끝(2c), (2d)로부터 약간 떨어진 노치(4)가 끝면(2a)에 마련되어 있으며, 작은 절단 돌출부(5)는 휜(2)의 긴쪽 방향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노치(4)의 바깔쪽에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노치(4)는 또한 다른 형태의 휜(3)에도 형성된다. 휜(2)에서 냉매관(1)과 돌출부(5)의 단면 사이의 간격은 휜(3)에서의 간격과 같다. 인접한 휜의 돌출부 끝이 서로 근접하여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서리가 돌출부(5)의 끝에 오히려 심하게 생긴다. 그러나, 이것은 돌출부(5)가 휜(2), (3)의 긴쪽방향으로 짧은 길이만 가지고 있고 열 교환기의 상부와 하부의 제한된 부분에서만 배열되기 때문에, 열 교환기의 성능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 각각의 휜에는 긴쪽 끝(2c), (2d)와 (3c), (3d)에 근접한 위치에서 그곳의 다른쪽 끝면에 형성되는 노치(6)이 마련되고 절단 돌출부(5a), (5b)는 긴쪽 끝(2c), (2d), (3c), (3d)와 노치(6)사이에 형성된다. 돌출부(5a), (5b)를 가지고 있는 긴쪽 끝에서 측정한 휜(2), (3)의 폭은 같고, (L1)으로 표시한다(L3<L1<L2).
제1도에 도시한 열 교환기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제2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여 다음에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제조 방법의 사시도이다. 교대로 배열된 2개의 폭이 넓은 휜과 2개의 폭이 좁은 휜으로 구성되는 4개의 휜이 연속적인 후프나 금속성 웨브 같은 부재(12)로부터 연속적으로 절단된다. 따라서 휜은 절단 후에 절단돌출(5)가 되는 부분 즉, 가늘고 긴 구멍(4a)와 구멍(6a)의 외부사이의 접합부(17), (18)로 연결된다. 우선, 후프(12)내에 여러개의 구멍(16)의 열을 형성한다. 후프(12)가 화살표(B)의 방향으로 이송됨으로써, 후프(12)는 휜(2) ,(3)의 긴쪽 옆부분(2a), (2b), (3a), (3b)를 규정짓는 선(9), (9a)를 따라 절단되고, 2개의 폭이 넓은 휜(2)와 2개의 폭이 좁은 휜(3)으로 구성되는 4개의 휜은 나란히 있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폭이 넓은 휜(2)와 폭이 좁은 휜(3)이 교대로 후프의 가로 방향으로 나타나지만, 그러한 4개의 휜은 절단선(9), (9a)가 절단후에 노치(4)를 구성할 가늘고 긴 구멍(4a)을 지나서 연장되지 않기 때문에 일체로 되어 있다. 따라서 4개의 휜을 각각 가지고 있는 휜의 군은 후프(12)가 화살표(B)의 방향으로 이송되므로서 프레스나 펀칭에 의해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다음에, 절단선(9), (9a)의 끝이 연장되어야할 후프(12)의 위치에, 후프(12)의 이송방향(B)에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하는 긴쪽 축의 슬릿이나 가늘고 긴 구멍(4a)를 형성한다. 그후, 후프(12)의 이송방향(B)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연속적인 군의 두개의 인접한 가늘고 긴 구멍(4a), (4a)사이의 영역을 지나는 선(11)을 따라, 프레스 작업후의 연속적인 휜의 군은 절단날(15)에 의해 절단된다.
그러므로 후프(12)의 폭의 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된 4개의 휜(2), (3)을 각각 구성하는 휜의 독립적인 군(30)은 지그(14)위에 낙하하여 각각의 휜의 냉매관 구멍(16)이 핀(13)을 통과하게 하여 자동적으로 적층된다. 절단하기 전에 4개의 휜을 구성하는 각각의 휜의 군(30)이 폭이넓고 규칙적이며 안정되게 낙하하므로, 적층을 별 어려움 없이 완수할 수 있다. 인접한 휜의 군(30)사이의 공간은 구멍(16)둘레에 형성된 원통형 버어라이즈(burrs rise)(30a)에 의해 마련된다(제3도∼제5도, 특히 제4도를 참조).
상술한 프레스 작업에 있어서, 프레스의 한쌍의 절단날(10)과 (10a)가 교대로 작동하여 휜의 연속적인 군(30)에서 절단선(9), (9a)를 형성한다. 따라서 지그(14)위에 적층된 휜의 군(30)에서 절단선(9), (9a)의 위치는 서로 엇갈려진다. 예를 들면 가장 위에 있는 휜의 군(30)에서 절단날(10)에 의해 형성되는 절단선(9)는 아래에 있는 휜의 군(30)에서 절단날(10a)에 의해 형성되는 절단선(9a)(점선으로 도시)에 인접한 위치에 있다. 따라서 냉매관 구멍(16)과 절단선(9), (9a)에 의해 구성된 양쪽의 가늘고 긴 구멍(4a), (4a)사이의 휜의 긴쪽 측면사이의 거리는 적층되는 방향으로 교대로 변화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구멍(4a), (6a)는 절단선(9), (9a)를 형성한 후에 형성되어졌다. 절단선(9), (9a)는 구멍(4a), (6a)를 형성한 후에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2개의 다른 형태의 독립적 휜(7), (8)이 연속적이고 교대로 적층되는 종래의 방법을 도시한 제10도에 비해서, 접속부(17), (18)로 연결된 4개의 휜을 각각 구성하는 연속적인 휜의 군(30)에 의해 적층이 이루어진다. 종래의 방법에서, 적층은 다른 형태의 휜(7), (8)이 다르게 형성되는 사실때문에 방해를 받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연속적인 휜의 군(30)의 기복의 경향이 같으므로 이러한 문제점이 만약 있더라도 극복된다. 열 교환기가 단일 방향의 기류로 고안된다면, 두가지 형태의 휜의 긴쪽의 옆부분은 열 교환기의 공기 출구로 표시될 수 있다.
즉 휜(2), (3)의 출구의 옆끝(2b), (3b)와 냉매관(1)사이의 간격을 같게 하여도 좋다. 그렇기 때문에 적층에 있어서, 연속적인 휜의 군(30)의 집합부(18)의 위치는 수직으로 배열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가늘고 긴 구멍(4a)와 구멍(6a)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릿(4b), (6b)로 대체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절단선(9), (9a)는 접합부(17), (18)이 있기 때문에 절단선(11)을 가로 지르지 못하는 것을 알수 있다. 그러나, 휜의 재료인 후프(12)가 높은 기계적 강도와 견고성을 가진다면, 절단선(9), (9a)는 그 양끝중의 하나에서 절단선(11)에 까지 도달하게 하여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휜의 군(30)을 4개의 휜으로 구성하였지만, 휜의 군이나 배열(30)은 짝수의 휜, 예를 들면 둘 혹은 여섯 이상으로 적절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제7도는 후프(12)가 로울러(31)로부터 펼쳐져서 프레스(32)의 절단날(10), (10a)와 (15)에 의해 실행되는 공정에 적용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그것에 의해 휜의 연속적인 군(30)을 얻는다. 이러한 휜의 군(30)은 진공 장치나 흡입형 리프터(Lifter)(33)에 의해 연속적으로 얻어져서 휜의 구멍(16)에 지그(14)의 핀(13)이 수직 방향으로 일치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그러면 전송장치는 휜의 군(30)을 풀어 놔 주게 되어 지그(14)위에서 핀(13)을 끼우는 구멍으로 마지막 휜이 떨어지게 된다.
제8도는 후프(12)가 로울러(31)로부터 펼쳐져서 프레스(34)의 절단날(10), (10a)에 의해 실행되는 공정에 적용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소정길의 후프(12)의 선단 부분은 프로펠러 팬(36)을 가지고 있는 흡입형 리프터(33)이나 진공장치의 흡입관(35)에 의하여 유지된다. 다음에, 리프터(33)에 의해 유지된 후프의 늘어진 끝 부분은 후프(12)의 이송 방향(D)로 표시된 이송장치(37)의 아래쪽에 배치된 절단날(15)에 의해 절단되고, 그것에 의하여 휜의 군(30)이 절단된다. 한쌍의 지그(14)가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38)의 둘레를 회전운동할 수 있는 회전판 위에 설치되거나, 지그(14)가 이동 트랙(39)에 의해 이송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제3도는 지그(14)로부터 분리된 다수의 휜의 군(30)이 블럭으로 처리되어 냉매관(1)이 휜의 군(30)의 각각의 휜에 있는 구멍으로 삽입되는 조립 공정의 중간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관은 주지의 관 팽창 기술에 의해 휜에 고정된다. 팽창하는 동안 블럭을 구성하고 있는 휜의 군(30)은 그것의 한쪽 끝(19)에서 정지하여 압력을 받는다.
그러나 이들 끝면의 압력은 끝면(19)가 수직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휜의 변형이나 파손과 같은 실질적인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냉매관의 삽입, 조립과 관 팽창은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실행된다.
제4도는 구멍(16)에 고정된 냉매관(1)을 가지고 있는 휜의 군(30)의 블럭이 다수의 열 교환기를 형성하도록 절단장치에 의해 절단되는 분리 공정의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절단장치는 가늘고 긴 구멍(4a) 또는 구멍(6a)에 의해서 안내되고 그곳으로 받아들여지는 가이드 핀(20)과 절단날(21)을 가지고 있다. 절단날(21)은 화살표(C)로 표시된 아래 방향으로 이송되고, 접합부(17), (18)이 블럭의 휜의 각각의 군(30)을 정확하게 자르도록, 가이드핀(20)이 가늘고 긴 구멍(4a)의 수직 열에 의해 안내되는 것에 의해서,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도에 도시한 형태를 가지고 있는 4개의 열 교환기를 얻는다. 이 경우, 인접하는 구멍(16)의 열 사이의 중앙인 긴쪽 선상의 위치에서 접합부(17)이 절단되어,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끝부분에서 동일한 폭 L1을 갖는 휜(2), (3)이 마련된다. 또한 그 대신에, 인접하는 구멍(16)의 열 사이의 중앙인 긴쪽선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서 접합부(17)이 절단되어도 좋다. 가늘고 긴 구멍(4a)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릿에 의해 대체될 때 절단 장치의 가이드 핀(20)을 사용하지 않아도 좋다. 접속부(17)의 절단전에 관(1)을 삽입하는 것 대신에, 구멍(16)으로 냉매관(1)을 삽입하여 팽창시키기 전에 접합부(17)이 절단되어도 좋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도에 도시한 형태의 열교환기는 각각의 연속적인 휜에서 냉매관(1)로부터 일정한 거리의 절단 돌출부(5)와 노치(4)를 마련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 제조방법에 의해 안전하고도 쉽게 제조될 수 있다.

Claims (8)

  1. 적어도 1개의 열 교환기 관(1)과 폭이 다른 형태의 휜(2, 3)을 가지고 상기 다른 형태의 휜(2, 3)이 상기 관(1)의 긴쪽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는 열 교환기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휜(2, 3)이 양쪽의 긴쪽 끝에 근접한 위치에서 각각의 휜의 긴쪽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노치되고, 상기 노치(4)의 바깥쪽의 상기 휜의 양쪽의 긴쪽끝 부분에서 상기 다른 형태의 휜(2, 3)의 폭이 같은 열 교환기.
  2. 후프(12)에서 여러개의 냉매관 구멍(16)의 열을 형성하는 공정, 인접하는 구멍(16)의 열 사이의 중간점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서 상기 후프(12)의 이송방향(B)과 나란하게 연장함과 동시에 얻어질 휜(2, 3)의 긴쪽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절단선(9, 9a)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절단선(9, 9a)끝이 연장될 상기 후프(12)의 위치에, 상기 후프(12)의 이송 방항(B)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쪽의 축을 갖는 슬릿이나 가늘고 긴 구멍(4a)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후프의 이송 방향(B)으로 서로 대향하고 있는 인접한 슬릿이나 가늘고 긴 구멍(4a)사이에서 상기 후프(12)통과 영역의 이송 방향(B)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의 절단선(11)을 따라 상기 후프(12)를 절단하여 일체로 연결된 다른 형태의 다수의 휜(2, 3)을 가지는 휜의 군(30)을 절단하는 공정, 연속적으로 절단된 휜의 군(30)을 적층하는 공정, 연속적인 군에서 상기 관(1)을 상기 휜(30, 2, 3)에 고정시키도록, 냉매관(1)을 상기 휜(30, 2, 3)에 있는 구멍(16)으로 삽입하여 상기 관(1)을 팽창시키는 공정과 인접하는 상기 구멍(16)의 열 사이와 상기 슬릿이나 상기 가늘고 긴 구멍(4a)의 영역내의 위치에서 적층된 휜(30)의 연속적인 군을 절단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열 교환기의 제조방법.
  3.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구멍(16)의 열사이의 위치에서 휜(2, 3)의 긴쪽끝(17)을 절단하는 공정은 상기 냉매관(1)의 삽입과 팽창공정후에 실행되는 열 교환기의 제조방법.
  4.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구멍(16)의 열 사이의 위치에서 휜의 긴쪽 끝(17)을 절단하는 공정은 상기 냉매관(1)의 삽입과 팽창 공정전에 실행되는 열 교환기의 제조방법.
  5.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이나 가늘고 긴 구멍(4a)는 상기 후프(12)의 이송 방향(B)에 나란한 관련하는 절단선(9, 9a)의 형성전에 형성되는 열 교환기의 제조방법.
  6.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이나 가늘고 긴 구멍(4a)는 상기 후프(12)의 이송방향(B)에 나란한 관련하는 절단선(9, 9a)의 형성후에 형성되는 열 교환기의 제조방법.
  7.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에 있어서, 휜(2, 3)의 긴쪽 끝(17)에서 절단될 인접하는 구멍(16)의 열 사이의 상기 위치는 인접하는 구멍(16)의 열 사이의 중앙인 긴쪽 선상에 있는 열 교환기의 제조 방법.
  8.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에 있어서, 휜(2, 3)의 긴쪽 끝(17)에서 절단될 인접하는 구멍(16)의 열 사이의 상기 위치는 상기 구멍(16)의 열 사이의 중앙인 긴쪽선으로부터 어긋난 열 교환기의 제조방법.
KR1019880003886A 1987-04-08 1988-04-07 열 교환기 및 그 제조방법 KR9100028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4711 1987-04-08
JP62084711A JPH0746037B2 (ja) 1987-04-08 1987-04-08 熱交換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2-84711 1987-04-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2973A KR880012973A (ko) 1988-11-29
KR910002844B1 true KR910002844B1 (ko) 1991-05-06

Family

ID=13838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3886A KR910002844B1 (ko) 1987-04-08 1988-04-07 열 교환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898232A (ko)
JP (1) JPH0746037B2 (ko)
KR (1) KR9100028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8197A (en) * 1991-01-08 1993-07-20 Rheem Manufacturing Company Refrigerant coil fabrication methods
US5715889A (en) * 1996-05-06 1998-02-10 Ardco, Inc. Heat exchanger and the method for producing same
US5979041A (en) * 1997-04-29 1999-11-09 Ahaus Tool & Engineering, Inc. Apparatus for assembling heat exchangers
US6253839B1 (en) * 1999-03-10 2001-07-03 Ti Group Automotive Systems Corp. Refrigeration evaporator
US6247318B1 (en) 1999-11-02 2001-06-19 Mile High Equipment Co. Evaporator device for an ice maker and method of manufacture
JP3979118B2 (ja) * 2002-02-20 2007-09-1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熱交換器、熱交換器の製造方法及び空気調和機
US7004241B2 (en) * 2003-10-30 2006-02-28 Brazeway, Inc. Flexible tube arrangement-heat exchanger design
JP4721791B2 (ja) * 2005-07-04 2011-07-13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空気調和機、および該熱交換器の製造方法
KR101048453B1 (ko) * 2009-03-30 2011-07-12 주식회사 엠티티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전자부품 냉각장치의 히트파이프와 다양한 형상의 방열핀들과의 결합방법
US9816761B2 (en) * 2012-06-29 2017-11-1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heat exchanger
NO336628B1 (no) * 2012-12-07 2015-10-12 Sundseth Eiendom As Varmeveksler
JP2015045473A (ja) * 2013-08-29 2015-03-12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およ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並びに冷凍サイクル装置
US20150211807A1 (en) * 2014-01-29 2015-07-30 Trane International Inc. Heat Exchanger with Fluted Fin
US9987673B2 (en) 2014-03-28 2018-06-05 Hidaka Seiki Kabushiki Kaisha Manufacturing apparatus for heat exchanger fin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80799A (en) * 1972-06-26 1973-12-25 Peerless Of America Heat exchanger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3815672A (en) * 1972-11-17 1974-06-11 Singer Co Split fin heat exchange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898232A (en) 1990-02-06
KR880012973A (ko) 1988-11-29
JPS63251795A (ja) 1988-10-19
JPH0746037B2 (ja) 199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2844B1 (ko) 열 교환기 및 그 제조방법
EP1060808B1 (en) Fluid conveying tube as well as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6050328A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using same
EP0646231B1 (en) Heat exchange tubes
EP0797754B1 (en) Finned tube heat exchanger and method of manufacture
EP1941954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B-shaped folded condenser tube
US6546774B2 (en) Method of making a lanced and offset fin
US549597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flat tubes
EP10043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ll forming a plurality of heat exchanger fin strips
US3228367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heat exchanger
US3850236A (en) Heat exchangers
JP2005337606A (ja) 積層型熱交換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4581800A (en) Method of making a segmented externally finned heat exchanger tube
US6249968B1 (en) Method of making a robust gosper fin heat exchanger
US6151949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flat corrugated tube
JP4721791B2 (ja) 熱交換器、空気調和機、および該熱交換器の製造方法
US20050167088A1 (en) Fin array for heat transfer assemblie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11400510B2 (en) Device for manufacturing fin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ins
JPH02242092A (ja) 熱交換器
JP2006266611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EP0106480A2 (en) Cooling fins for heat exchanger
JPS6159850B2 (ko)
JPS5992134A (ja) 熱交換器の製作法
JPS6159852B2 (ko)
JP2024046810A (ja) スタ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02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