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438B1 - 물품 보호용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물품 보호용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438B1
KR910002438B1 KR1019870002891A KR870002891A KR910002438B1 KR 910002438 B1 KR910002438 B1 KR 910002438B1 KR 1019870002891 A KR1019870002891 A KR 1019870002891A KR 870002891 A KR870002891 A KR 870002891A KR 910002438 B1 KR910002438 B1 KR 910002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er
buffer
article
hold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2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8761A (ko
Inventor
에미코 스카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와다리 스기이찌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와다리 스기이찌로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70008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8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4Applications of resilient shock-absorbing materials, e.g. foamed plastics material, honeycomb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00Frames or casing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Frames serving as machinery be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14Space fill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10T428/24322Composite web or she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물품 보호용 완충장치
제1도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인 완충장치를 나타낸 일부 단면의 평면도.
제2도 제1도의 완충체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 제1도의 완충부재를 나타낸 평면도.
제4도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완충장치의 완충체를 나타낸 측면도.
제5도 제4도에서의 완충체를 사용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완충장치를 나타낸 일부 단면의 평면도.
제6도 본 발명의 제3도의 실시예의 완충장치의 유지체를 나타낸 평면도.
제7도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의 완충장치의 완충부재를 나타낸 일부 단면의 사시도.
제8도 제7도의 단면의 측면도.
제9도 본 발명의 제5의 실시예의 완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제10도 제9도의 단면의 측면도.
제11도 본 발명의 제6의 실시예의 완충장치를 나타낸 일부 단면 평면도.
제12도 제11도의 완충체를 나타낸 단면도.
제13도 제11도의 유지체를 나타낸 정면도.
제14도 제11도의 완충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제15도 본 발명의 제7의 실시예의 완충장치에 사용되는 완충체를 나타낸 단면도.
제16도 본 발명의 제7의 실시예의 완충장치에 사용되는 유지체를 나타낸 정면도.
제17도 제7실시예의 완충장치의 완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제18도 본 발명의 제8의 실시예의 완충장치에 사용하는 완충체를 나타낸 사시도.
제19도 본 발명의 제8의 실시예의 완충장치의 완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제20도 본 발명의 제9의 실시예의 완충장치에 사용하는 완충체를 나타낸 사시도.
제21도 본 발명의 제9의 실시예의 완충장치의 완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제22도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의 완충장치에 사용하는 완충체를 나타낸 사시도.
제23도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의 완충장치의 완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제24도 본 발명의 제11의 실시예의 완충장치에 사용하는 완충체를 나타낸 사시도.
제25도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의 완충장치의 완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제26도 본 발명의 제12의 실시예의 완충장치에 사용하는 완충체를 나타낸 사시도.
제27도 본 발명의 제12의 실시예의 완충장치의 완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제28도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의 완충장치에 사용하는 완충체를 나타낸 사시도.
제29도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의 완충장치의 완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제30도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의 완충장치에 사용하는 완충체를 나타낸 사시도.
제31도 본 발명의 제14의 실시예의 완충장치에서의 완충부재를 나타낸 일부 단면의 측면도.
제32도 본 발명의 제15의 실시예의 완충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33도 제32도의 측면도.
제34도 본 발명의 제16의 실시예의 완충장치의 완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제35도 제34도의 일부 단면의 측면도.
제36도 본 발명의 제17의 실시예인 완충장치의 완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제37도 제36도의 일부 단면의 측면도.
제38도 본 발명의 제18의 실시예의 완충장치의 완충부재를 나타낸 평면도.
제39도 제38도의 완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제40도 본 발명의 제19의 실시예의 완충장치의 완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제41도 제40도의 일부 단면 측면도.
제42도 본 발명의 제20의 실시예의 완충장치에 사용하는 완충체를 나타낸 사시도.
제43도 본 발명의 제20의 실시예인 완충장치의 완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31 : 케이스본체 12,23,32,58 : 물품
13,17,21,33,41,44,47,50,53,56,62,68,71,74 : 완충부재
14,16,19,24,34,36,39,42,45,48,51,54,59,60,63,66,69,72 : 완충체
14a,19a,34b : 걸어맞추는 홈
15,20,22,38,40,43,46,49,52,55,57,61,64,67,70,73 : 유지체
15a,35a : 재봉자국부
15b,20a,22a,35b,40a,43a,46a,49a,55a,57a,70a,73a : 구멍
16a : 단부
18 : 돌기있는 구멍 18a,37a,54a : 돌기
34a,36a,39a,42a,45a : 속이빈 부분
37 : 다각형 모양 구멍 48a,51a : 속이빈 구멍
61a,64a : 요부 67a : 유지구멍
본 발명은 전자기기등의 물품을 수용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물품을 보호하기 위한 물품 보호용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전자기기등의 물품을 수용하여 보호하는 완충장치로서는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것이 알려져 있다.
종래의 물품 보호용 완충장치는 골판지를 상자모양으로 만들어서된 케이스 본체내에 물품을 수용하고 또한 물품과 케이스 본체 사이에 완충부재가 개재되어 구성되어 있다.
완충부재는 예를들면 유연성이 있는 발포폴리우레탄등의 플라스틱 발포체로 입방체 모양으로 형성된 여러개의 완충체와 이들의 완충체를 접착제로 붙일 수 있는 골판지 등으로 형성된 유지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 물품 보호용 완충장치에 케이스 본체내에 수용되어 보호되어야 할 물품이 물품과 케이스 본체의 사이에 개재된 완충부재로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운반중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물품의 포장용기에는 완충체를 유지체에 예를 들면 접착제 등을 사용해서 붙이므로 이 붙이는 작업에 비용시간 인력이 소요되며 또한 코스트가 높아진다는 난점이 있었다.
또한 물품에 완충체의 평면부분이 접촉하므로 완충성이 낮아지는, 즉 완충체의 압축량이 작아진다.
이 때문에 외부의 충격에 의한 여력이 물품에 전해지기 쉬우며 물품이 파손되어 버린다는 난점이 있었다.
또한 완충체를 유지체에 붙였으므로 완충부재를 재이용해서 다른 물품에 사용할 수 없다는 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완충 보호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미합중국 특허 제4,287,265가 공지되어 있다.
이 완충 보호장치는 포장용기(케이스 본체)의 4모퉁이 코너 부분에만 설치되는 것이다.
즉, 포장용기(케이스 본체)의 코너부의 3면에 접하는 접힌 유지체에 설치된 직사각형의 구멍에 대략 입방체의 완충체를 착탈자유롭게 설치한 것이다.
즉, 이 완충장치에 따르면 항상 포장용기 즉 수납 케이스 본체의 4모퉁이에 밖에 사용할 수 없으므로 보호 대상인 물품에 제한이 생기게 된다.
또 물품과 입장체의 완충체와의 접촉이 면접촉이기 때문에 완충성이 나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값이싸며 또한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는 물품 보호용 완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완충체를 유지체의 소정의 위치 및 임의의 위치에 착탈을 자유자재로 할 수 있는 물품 보호용 완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완충체를 적어도 물품 또는 케이스 본체에 거의 점접촉시켜서 완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물품 보호용 완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유지체에 완충체를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어서 재이용 및 임의의 위치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물품 보호용 완충자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정한 공간을 조이거나 가압하여 압축되는 여러개의 완충체와 평면적으로 넓어지는 이들의 완충체의 일부의 착탈을 자유자재로 유지하는 유지체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물품 보호용 완충장치는 피보호 물품과 이물품을 수납하는 케이스 본체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 보호장치로 복수의 유지부가 설치된 유지체와 이 유지체의 상기 각 유지부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된 완충체에 있어서, 이 완충체는 적어도 상기 피보호 물품에 대해 점접촉상태에서 면접촉상태로 압축변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상기 유지체의 유지부는 유지체에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술한 장치에 의해 간단히 구성되며 또한 완충체를 용이하게 유지체에 유지시킬 수 있으며, 그 제조코스트도 대폭 낮출수 있으며, 또한 완충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인 완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예를들면 골판지판등으로 상자 모양을 형성한 케이스 본체(11)에는 수용하고 보호할 물품(12)과 케이스 본체(11)와의 사이에 완충부재(13)가 개재되어 있다.
전술한 완충부재(13)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걸어맞추는 홈(14a)이 있는 구형상의 완충체(14)를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이들 완충체(14)가 소정의 위치에 유지되도록, 예를들면 골판지판, 베니어판, 폴라스틱판 등으로 형성되어 여러개의 구멍 형성용의 재봉자국부(15a)가 형성된 유지체(15)의 소정의 위치의 재봉자국부(15a)를 제거하고 구멍(15b)을 형성하여 이들 구멍(15b)에 완충체(14)의 걸어맞추는홈(14a)을 걸어맞추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유지체(15)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물품의 크기에 맞추어서 분리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완충체(14)는 프라스틱 발포체, 록(lock) 완충부재, 고무 코르크등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완충장치에서는 케이스 본체(11)내에 물품(12)을 수용하고 또한 이 물품(12)과 케이스 본체의 사이에 구 형상의 완충체(14)를 유지시킨 유지체(15)로 된 완충부재(13)를 개재시켜서 완충제(14)를 물품(12)에 거의 점접촉시킨 상태가 된다.
그리고 외부의 충격이 케이스 본체(11)에 가하여 졌을 때에 완충체(14)가 압축되어 점접촉에서 면접촉으로 되므로 충격이 양호하게 흡수된다.
제4도 및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인 완충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이 실시예에서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예를들면 프라스틱 발포체, 록 완충부재, 고무, 코르크 등으로 형성되어 단부(段部)(16a)가 형성된 반구 형상의 완충체(16)를 사용해서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예를들면 골판지판, 프라스틱판, 베니어판 등으로 형성된 유지체(15)의 원 모양의 구멍(15b)에 완충체(16)의 단부(16a)를 걸어맞추어서 완충부재(17)를 구성하고 케이스 본체(11)와 물품(12)과의 사이에 개재시킨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도 완충체(16)를 용이하게 유지체(15)에 유지시킬 수 있으며 완충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제6도는 본 발명에의 제3의 실시예인 완충장치에 사용되는 완충부재의 유지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예를들면 골판지 판이나 프라스틱판등으로 형성된 유지체(15)에 형성되는 재봉자국부에 예를들면 V자 모양, U자 모양등의 다각형 모양의 돌기(18a)를 형성하여 돌기가 있는 구멍(18)을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이 실시예에서는 완충체를 유지체에 확실하게 유지시킬 수가 있다.
제7도 및 제8도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인 완충장치에 사용되는 완충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완충체(19)가 예를들면 프라스틱 발포체, 록 완충부재, 고무, 코르크등으로 입방체등의 다면체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바깥주위에 완충체(19)의 장점이 양 바깥쪽을 향하여 홈(19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들면 골판지판, 프라스틱판, 베니어판 등으로 형성된 유지체(20)의 구멍(20a)을 완충체(19)의 형상에 맞추거나 혹은 임의의 형상으로 한 후에 완충체(19)를 구멍(20a)에 걸어맞추고 있다.
그리고 제8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완충체(19)가 대향하는 정점이 양 바깥 쪽을 향하도록 그 홈(19a)을 유지체(20)의 구멍(20a)에 걸어맞추어서 완충부재(21)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완충부재(21)를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 식으로 케이스 본체와 물품의 사이에 개재시켜서 사용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물품을 완충체(19)의 정점에서 지지하므로 이 완충체
(19)의 다면체 형상을 임의로 선택함으로써 임의의 완충성을 얻을수 있으며 물품에 주어지는 외력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9도 및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5의 실시예인 완충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예를들면 골판지판, 프라스틱판, 베니어판 등으로 형성된 2장의 유지체(22)사이에 물품(23)을 끼우고 유지체(22)의 대향하는 구멍(22a)에 각각 예를들면 프라스틱 발포체, 록 완충부재, 고무, 코르크 등으로 형성된 완충체(24)가 걸어맞추어서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이 실시예에서는 케이스 본체를 사용하지 않고 물품을 유지하고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물품을 유지한 유지체 및 완충체를 케이스 본체에 여러개 겹쳐 쌓아서 수용해도 좋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6의 실시예의 완충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들면 골판지판 등으로 상자 모양으로 형성된 케이스 본체(31)에는 수용하고 보호해야할 물품(32)과 케이스 본체(31)의 사이에 완충부재(33)가 개재되어 있다.
전술한 완충부재(33)는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들면 프라스틱 발포체, 록 완충부재, 고무등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구 형상의 속이빈 부분(34a)이 형성되고 바깥둘레에 걸어맞추는 홈(34b)이 형성된 구 형상의 완충체(34)를 소정의 위치에 유지하도록 예를들면 골판지판으로 형성되어 여러개의 원 모양으로된 구멍 형성용의 재봉자국부(35a)가 형성된 유지체(35)에 있는 소정의 위치의 재봉자국부(35a)를 제거해서 구멍(35b)을 형성하고 제1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이들 구멍(35b)에 완충체(34)의 걸어맞추는 홈(34a)이 걸어 맞추어져 있다.
또한 구멍(35b)은 재봉자국을 사용하지 않는 단순한 구멍이라도 좋다.
또한 완충체(34)의 속이비어 있는 부분(34a)의 크기 및 내부 기압을 변화시킴으로써 완충체(34)의 완충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속이비어 있는 부분(34a)의 안에 예를들면 완충성이 있는 겔(gel) 모양등의 액체 등의 충진물을 충진해도 좋다.
그리고 이 완충장치에는 케이스 본체(31)내에 물품(32)을 수용할 때에 이 물품(32)과 케이스 본체(31)의 사이에 속이비어 있는 부분(34a)이 있는 구 형상의 완충체(34)와 이것을 유지한 유지체(35)로된 완충부재(33)를 개재시켜서 물품(32)이 수용되어 보호된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완충부재(33)를 내부에 구 형상의 속이비어 있는 부분(34a)이 있는 완충체(34)와 이것을 유지하는 유지체(35)로 구성하였으므로 완충부재(33)의 완충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유효하게 흡수할수 있다.
또한 물품(32)의 중량이 가벼운 경우나 무거운 경우에도 완충체(34)의 속이비어 있는 부분(34a)의 크기, 형상 및 내부기압 혹은 전술한 기체, 액체등의 충진물을 변화시킴으로써 임의의 완충성을 얻을 수 있다.
제15도 내지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7의 실시예의 완충장치의 완충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예를들면 프라스틱 발포체, 록 완충체, 고무등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구 형상의 속이비어 있는 부분(36a)이 형성된 구 형상의 완충체(36)를, 제16도에 나타낸, 예를들면 골판지판, 프라스틱판, 베니어판 등으로 형성되어 V자 모양, U자 모양의 돌기(37a)가 있는 다각형 모양의 구멍(37)이 형성된 유지체(38)에 제1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유지체(38)의 구멍(37)에 완충체(36)의 바깥주위를 걸어맞추어서 유지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이 실시예에서는 완충체에 홈이나 절단홈이 없어도 완충체를 유지체에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유지시킬수 있다.
제18도 및 제19도는 본 발명의 제8의 실시예인 완충장치의 완충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완충체(39)가 예를들면 프라스틱 필름등으로 3각 송곳등의 다면체 모양의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속이비어 있는 부분(39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속이비어 있는 부분(39a)에는 예를 들면 공기등의 기체, 겔모양의 액체 또는 다른 완충체등의 고체등이 충진되어 있다.
또한, 예를들면, 골판지판, 프라스틱판, 베니어판 등으로 형성된 유지체(40)에는 구멍(40a)이 완충체(39)의 형상에 맞추거나 혹은 임의의 형상으로 해서 형성되어 있으며 제19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완충체(39)를 구멍(40a)에 걸어맞추어서 완충부재(41)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완충부재(41)를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 식으로 케이스 본체와 물품의 사이에 개재시켜서 사용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도 완충부재(41)의 완충성을 충분히 얻을수 있으며 외부로 부터의 충격을 유효하게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완충체(39)는 예를들면 취입성형기등으로 연속하여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코스트 면에서도 유리하다.
제20도 및 제21도는 본 발명의 제9의 실시예인 완충장치의 완충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20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예를들면 프라스틱 필름등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속이비어 있는 부분(42a)이 형성되며 이 속이비어 있는 부분(42a)에 예를들면 공기등의 기체, 겔모양의 액체 혹은 다른 충격체 등의 고체등이 충진된 주머니 모양으로된 원주 형상의 완충체(42)를 제2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예를들면 골판지판, 프라스틱판, 베니어판등으로 형성된 유지체(43)의 구멍(43a)에 연속적으로 삽입하여 유지시킴으로써 완충부재(44)를 구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이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각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완충부재(44)의 조립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주머니 모양의 원주 형상의 완충체(42)를 예를들면 취입성형기등으로 연속적으로 대량 제조할 수가 있으므로 코스트 면에서도 유리하게 할 수 있다.
제22도 및 제23도는 본 발명의 제10의 실시예인 완충장치의 완충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예를들면 프라스틱 발포체, 록 완충부재, 고무, 코르크 등으로 완충체(45)가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완충체(45)에는, 속이빈 구멍(45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예를들면 골판지판, 프라스틱판, 베니어판 등으로 형성된 유지체(46)의 구멍(46a)에 연속적으로 삽입해서 유지 시킴으로써 완충부재(47)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도 완충부재(47)의 완충성이 임의로 얻어지며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유효하게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완충체(45)는 예를들면 압출 성형기등으로 연속적이고 대량으로 제조할 수가 있으므로 코스트면에서도 유리하다.
제24도 및 제25도는 본 발명의 제11의 실시예인 완충장치의 완충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예를들면 프라스틱 발포체, 록 완충부재, 고무, 코르크 등으로 완충체(48)가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완충체(48)에는 여러개의 속이빈 구멍(48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예를들면 골판지판, 프라스틱판, 베니어판 등으로 형성된 유지체(49)의 구멍(49a)에 연속적으로 삽입해서 유지시킴으로써 완충부재(50)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도 완충부재(50)의 완충성이 임의로 얻어지며,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유효하게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완충체(48)는 예를들면 압출 성형기 등으로 연속적으로 대량제조할 수가 있으므모 코스트면에서도 유리하다.
제26도 및 제27도는 본 발명의 제12의 실시예인 완충장치의 완충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예를들면 프라스틱 발포체, 록 완충부재, 고무, 코르크등으로 완충체(51)가 예를들면 대략 6각형 모양등의 다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예를들면 골판지판, 프라스틱판, 베니어판 등으로 형성된 유지체(52)의 예를들면 다각형모양, 원모양으로 형성된 구멍(49a)에 연속적으로 삽입하여 우지시킴으로써 완충부재(53)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도 완충부재(53)의 완충성이 임의로 얻어지며,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유효하게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완충체(51)는 예를들면 압출 성형기 등으로 연속적이고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코스트 면에서도 유리하다.
또한 제26도 및 제27도의 제12의 실시예인 완충부재(53)의 완충체(51)는 본 발명의 제13의 실시예의 완충장치의 완충부재를 나타낸 제28도 및 제29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대략 6각형 모양등의 다각형 모양으로 형성된 완충체(51)에 속이 빈 구멍(51a)을 1개 이상 형성해도 좋다.
제30도 및 제31도는 본 발명의 제14의 실시예의 완충장치의 완충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고무, 크르크 등으로 완충체(54)가 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완충체(54)의 바깥 주위에는 예를들면 원 고리모양의 리브(rib)등의 돌기(54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3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예를들면 골판지판, 프라스틱판, 베니어판등으로 형성된 유지체(55)의 구멍(55a)에 완충체(54)를 삽입하고 유지시킴으로써 완충부재(56)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도 완충부재(56)의 완충성이 완충체(54)의 돌기(54a)에 의해서 향상되며 외부로부터 물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유효하게 흡수할 수 있다.
제32도 및 제33도는 본 발명의 제15의 실시예인 완충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예를들면 골판지판, 프라스틱판, 베니어판 등으로 형성된 여러장의 유지체(57)사이에 물품(58)을 끼우고 유지체(57)의 대향하는 구멍들(57a)에 각각 예를들면 프라스틱 발포체, 록 완충부재, 고무, 코르크등으로 형성되며 대략 구형체를 여러개 연결한 긴 경단 모양의 완충체(59)가 각각 걸어맞추어져서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이 실시예에서는 케이스 본체를 사용하지 않고 물품을 유지하며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제34도 및 제35도는 본 발명의 제16의 실시예인 완충장치의 완충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예를들면 프라스틱 발포체, 록 완충부재, 고무, 코르크등으로 완충체(60)가 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지체(61)는 예를들면 골판지, 프라스틱 발포체 등으로 형성되며 반구 형상의 요부(凹部)(6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지체(61)의 반구 형상의 요부(61a)에 완충체(60)를 삽입하여 유지시킴으로써 완충부재(62)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도 외부로부터 물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유효하게 흡수 할 수 있다.
제36도 및 제37도는 본 발명의 제17의 실시예인 완충장치의 완충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예를들면 프라스틱 발포체, 록 완충부재, 고무, 코르크 등으로 완충체(63)가 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지체(64)는 예를들면 프라스틱 발포체 등으로 입체 모양으로 형성되며 예를들면 반구 형상등의 요부(64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지체(64)의 반구 형상의 요부(64a)에 완충체(63)를 삽입하고 유지시킴으로써 완충부재(65)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도 외부로부터의 물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유효하게 흡수 할 수 있다.
또한 제34도에서 제37에 있어서의 제16 및 제17의 실시예의 유지체에 형성된 요부는 볼록부, 요철로 해도 좋다.
제38도 및 제39도는 본 발명의 제18의 실시예인 완충장치의 완충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예를들면 프라스틱 발포체, 록 완충부재, 고무, 코르크 등으로 완충체(66)가 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지체(67)는 예를들면 프라스틱, 금속, 섬유등으로 원모양, 다각모양의 그물형상으로된 유지구멍(67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물형상의 유지체(67)의 유지구멍(67a)에 완충체(66)를 삽입해서 유지시킴으로써 완충부재(68)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그물형상의 유지체(67)의 유지구멍(67a)에 구 형상의 완충체(66)를 용이하게 유지시켜서 완충부재(68)를 구성하여 외부로부터 물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유효하게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물품을 완충부재(68)로 전체를 포함하도록 해도 좋다.
제40도 및 제41도는 본 발명의 제19의 실시예인 완충장치의 완충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예를들면 프라스틱, 금속등으로 완충체(69)가 코일모양,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지체(70)는 예를들면 골판지, 프라스틱, 베니어, 금속등을 판 모양으로 형성되며 구멍(70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판 모양의 유지체(70)의 구멍(70a)에 코일 모양의 완충체(69)를 삽입해서 유지시킴으로써 완충부재(71)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판 모양의 유지체(70)의 구멍(70a)에 코일 모양의 완충체(69)를 걸어맞추어 유지시키고 완충부재(71)를 구성하고 외부로부터 물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유효하게 흡수할 수 있다.
제42도 및 제43도는 본 발명의 제20의 실시예의 완충장치의 완충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예를들면 프라스틱, 금속등으로 완충체(72)가 코일모양,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지체(73)는 예를들면 골판지, 프라스틱, 베니어, 금속등으로 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여러개의 구멍(73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판 모양의 유지체(73)의 여러개의 구멍(73a)에 코일 모양의 완충체(72)를 연속해서 삽입하여 유지시킴으로써 완충부재(74)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판 모양의 유지체(73)의 여러개의 구멍(73a)에 코일 모양의 완충체(72)를 연속적으로 삽입해서 유지시켜서 완충부재(74)를 구성하여 외부로부터 물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유효하게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는 상자모양 외에 원통형상, 구 형상등 물품의 형상에 맞춘 형상으로 해도 좋다.
또한 판 모양의 유지체는 물품의 크기에 맞추어서 분리하여 사용해도 좋으며 이와 같이 분리할 수 있으므로 재이용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완충장치는 구조가 간단하고 값싸며 또한 간단히 제조 할 수 있는 완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완충체를 유지체의 소정의 위치 및 임의의 위치에 자유롭게 착탈하여 유지시킬 수 있는 완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완충 보호장치는 대향하는 면에 완충체 및 유지체로 되는 적어도 한쌍의 완충부재를 대향시켜, 특히 완충 특성에 따라 임의의 위치에 완충체를 착탈 자유롭게 설치하여, 점접촉상태에서 면접촉상태로 완충 특성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충격에 대한 완충 특성이 우수하다.
특히 유지체는 임의의 크기로 자르거나, 구멍의 사용수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어서 완충장치로서의 범용성도 높다.
또한 완충체를 적어도 물품 또는 케이스 본체에 대략 점접촉시켜서 완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완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유지체에 완충체를 자유롭게 착탈하여 유지시켜서 재이용, 또한 임의의 위치에 사용할 수 있는 완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피보호 물품과 이물품(12)(23)(32)(58)을 수납하는 케이스 본체(11)(31)와의 사이에 개재되며, 복수의 유지부가 설치된 유지체와 이 유지체의 상기 각 유지부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된 완충체로 구성된 완충 보호장치에 있어서, 이 완충체는 적어도 상기 피보호 물품에 대해 점접촉상태에서 면접촉상태로 압축변형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호용 완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체는 봉형상의 완충체(42)(45)(48)(51)(59), 구 형상의 완충체(14)(34)(36)(54)(60)(66), 다각형 모양의 완충체(19)(39)의 어느 한 가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호용 완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체는 속이빈 완충체(34)(36) 또는 차있는 완충체(14)(54)(60)(6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호용 완충장치.
  4. 제1항 있어서, 상기 완충체는 프라스틱 발포체, 록 완충체, 고무, 프라스틱 필름의 어느 1종류 또는 여러 종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호용 완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체는 판 모양의 유지체(15)(20)(22)(35)(38)(40)(43)(46)(49)(52)(55)(57)(61) 또는 입방체 모양의 유지체(64)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호용 완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유지체는 그물, 철망, 프라스틱, 베니어, 골판지의 어느 1종류 또는 여러 종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호용 완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유지체의 유지부는 구멍(15b)(20a)(22a)(35b)(37)(40a)(43a)(46a)(49a)(55a)(57a), 돌기(37a), 그물모양의 어느 1종류 또는 여러종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호용 완충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체는 플라스틱 발포체를 구 형상으로 만들어 외부 둘레에 고리모양의 오목홈(14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호용 완충장치.
KR1019870002891A 1986-03-29 1987-03-28 물품 보호용 완충장치 KR9100024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6437 1986-03-29
JP61-46437(U) 1986-03-29
JP4643786 1986-03-29
JP61-203136 1986-08-29
JP61203136A JPS6312473A (ja) 1986-03-29 1986-08-29 物品の包装容器
JP203136 1986-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761A KR870008761A (ko) 1987-10-20
KR910002438B1 true KR910002438B1 (ko) 1991-04-22

Family

ID=12747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2891A KR910002438B1 (ko) 1986-03-29 1987-03-28 물품 보호용 완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312473A (ko)
KR (1) KR9100024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553A (zh) * 1992-11-20 1994-08-31 国家标准公司 电池电极的基质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1890A (ko) * 1973-06-30 1975-03-08
JPS5616738A (en) * 1979-07-14 1981-02-18 Iseki & Co Ltd Lift speed adjustor for front loa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761A (ko) 1987-10-20
JPS6312473A (ja) 1988-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0214A (en) Cushioning and protecting members
EP0614436B1 (en) Modular inflated supporting structure
US5738216A (en) Adjustable and reusable protective packaging system
US3701465A (en) Packaging structure
US3572574A (en) Packaging
JP2003063569A (ja) 梱包用緩衝材および梱包物
US3286825A (en) Article of manufacture and the method of packaging
GB2186253A (en) Shock absorbing wrapping or packaging sheet material
US6464079B1 (en) Suspension air packaging device
US3221872A (en) Package assembly and cushion
KR910002438B1 (ko) 물품 보호용 완충장치
US20070148400A1 (en) Flexible molded end cap cushion
US3467245A (en) Shock absorbing package and display member
GB2173174A (en) Package
GB2472434A (en) Packaging material for protecting articles
US4603780A (en) Carton for housing fragile containers
JP2594763Y2 (ja) 包装用緩衝材
JPS6240927Y2 (ko)
US20210078786A1 (en) Airbag with a hammock
KR102655656B1 (ko) 택배 배송 가능한 날계란 트레이 포장재
JP2005022701A (ja) 半導体エンボスキャリアテープ包装用梱包箱
JP2562130Y2 (ja) 板状物包装体
KR200159256Y1 (ko) 브이시알 세트등의 포장 완충구
JPS59115264A (ja) 包装用緩衝体
JPH0731662U (ja) 緩衝型ダンボール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31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