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091Y1 -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091Y1
KR910002091Y1 KR2019870009040U KR870009040U KR910002091Y1 KR 910002091 Y1 KR910002091 Y1 KR 910002091Y1 KR 2019870009040 U KR2019870009040 U KR 2019870009040U KR 870009040 U KR870009040 U KR 870009040U KR 910002091 Y1 KR910002091 Y1 KR 9100020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main body
deodorization
deodoriz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90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9819U (ko
Inventor
스스무 호리에
Original Assignee
마루이치 가부시끼가이샤
토미오카 히로노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루이치 가부시끼가이샤, 토미오카 히로노부 filed Critical 마루이치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198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98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0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0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8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bell siph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배수장치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고안의 배수장치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제1도는 배수장치의 종단정면도.
제2도는 배수장치의 반평면도.
제3도는 방취구의 방취통과 장치 본체의 연결 상태를 표시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
제4도는 그 연결 동작 설명도.
제5도는 방취구의 방취벽체와 장치 본체의 연결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연결전의 부분 확대 사시도.
제6도는 종래의 배수장치의 종단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장치본체 2 : 물의 밀봉부
3 : 방취구 4 : 상방개구부
5 : 배수도출관 7 : 방취벽체
8 : 방취통 25 : 배수도입관
26 : 배수접지
본 고안은 배수장치의 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예컨대, 욕실의 바닥에 설치하여 욕실에서 사용한 탕수를 배수접시 부분으로 부터 배수장치 내로 흘러 버리는 동시에 욕조의 물마개 부분으로 부터 배출된 탕수는 배수장치에 마련한 배수 도입관으로 부터 배수장치를 경유하여 배출관측으로 흘러 버리도록 구성된 배수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각종 배수장치를 제조, 판매하는 산업분야에서 널리 이용되는 것이다.
종래의 배수장치는 예컨대 제6도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의 밀봉부(a)를 형성하는 바닥이 있는 방취벽체(b)와 방취통(c)이 배수장치본체(d)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배수접시(e)로 부터 유입되는 배수는 유로(f)를 경유하여 오우버플로우구(g)로 부터 배수 도출관(h)측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전술한 배수장치의 경우는 다음과 같은 폐단과 기술적 문제가 있었다.
즉, 방취벽체(b) 및 방취통(c)을 각각 개별적으로 제거할수가 없어서 본체(d)매의 청소를 할 수 없고, 특히 아파트와 같은 설치 장소의 높이가 제한되는 경우에는 제6도 표시의 틈(Y) 이 좁게 되도록 규제 받게 되기 때문에 배수장치로 부터 파이프용의 청소구를 삽입할수가 없는 문제가 있다.
또 욕조의 배수를 위하여 배수도입관(1)을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본체(d)에 접속한 경우에는 배수도입관(1)과 배출도출관(11)은 물의 밀봉부(a)를 개재시키지 않고 연통하게 되어서 하수로 부터의 방취를 달성할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방취구의 개별적 제거를 가능되게 하므로서 장치내의 청소를 충분히 할 수 있게 하고, 또 이에 의해서 배수관내의 청소구를 용이하게 삽입하게하고 나아가서는 배수도입관을 본체에 접속하여도 하수에 대한 방취기능을 발휘할수가 있는 배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채용하였다.
즉, 본 고안은 배수 도입관과 배수 도출관을 둘레 측벽에 각각 갖춘 배수장치 본체와 이 본체내에 바련된 물의 밀봉부 형성용의 방취구와 본체의 상방 개구부에 마련한 배수접시로 구성되어 있고, 전술한 방취구는 배수장치본체의 상방 개구부의 주연으로 부터 매달은 방취통과 본체내의 저부로 부터 방취통을 둘러 싸서 끼우게 세워서 마련한 방취벽체로 구성되어 있으여 이 같은 방취통과 방취벽체를 본체의 상방 개구부로 부터 출입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하는 동시에 본체에 각각 연결과 분리가 가능하게 설치하고 또한 배수도입관의 도입구를 물의 밀봉부에 연통시켜서 구성한 배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였으므로 방취벽체 및 방취통을 본체에서 제거하여 본체의 밖으로 빼낼수가 있고 따라서, 장치 본체 내부 및 배수도입관, 배수도출관을 청소함에 있어서, 청소구가 방취구에 의하여 방해되는 일이 없이 원할하게 청소할 수 있다.
또, 독자적인 태양으로 배치된 방취 벽체와 방취통으로된 방취구로 형성된 물의 밀봉부를 거쳐서 배수도입관과 배수도출관을 방취 가능되게 연통 하였으므로 예컨데 욕조 내의 탕소 배수관을 배수도입관으로서 사용한경우에도 하수로부터의 악취가 욕조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단일체의 방취구를 갖춘 배수 장치에 비하여 2개소 이상의 배수부분에 대하여 확실한 방취기능을 갖춘 배수 기능 발휘할수 있다.
이하에 본 고안을 도면에 표시한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배수장치는 장치본체(1) 중에 물의 밀봉부(2)를 형성하기 위한 방취구(3)를 내장하여 구성되어 있다. 장치 본체(1)에는 예컨대 욕실 바닥의 배수가 유입되는 배수접시를 갖춘 상방개구부(4)가 형성되어 있고, 또 그 둘레측벽에는 하수도에 통하는 배수도출관(5)이 접속되어 있으며, 또한 저부의 중앙에는 뒤에 설명할 배수 도입관과 배수 도출관(5)을 방취 가능되게 원활히 연통 시키기 위한 인입부(6)가 형성되어 있다.
방취구(3)는 상방개구부(4)보다는 지름이 작은 통상(筒犬)의 방취벽체(7)와, 걸림턱(16)을 가진 깔대기상의 방취통(8)으로 구성되어 있다.
방취벽체(7)는 본체(1) 내의 요입구(6)의 주위로 부터 연결과 분리가 가능하게 세워서 설치되어 있고, 방취통(8)은 상방개구부(4)의 주연으로 부터 방취벽체(7) 내에 배수유로(R)를 형성하기 위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매달려져 있다.
방취구(3)에 의해서 형성되는 물의 밀봉부(2)는 배수도출관(5)과 상방개구부(4)와의 연통 상태를 차단하여 하수로부티의 악취가 욕실에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뒤에 설명하는 배수도입관으로의 악취의 역류도 방지한다
9는 상방개구부(4)를 형성하는 원형의 프레임인데 프레임(9)의 외주의 숫나사부(10)를 본체(1)에 형성한 부착공(11)의 암나사부(12)에 나사 결합시켜 본체(1)에 부착되도록 하고 있다.
프레임(9)에는 받침턱(14)이 마련되고 있고, 또 그 내부측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연결부(15)가 돌설되어 있다.
방취통(8)의 상주연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이 걸림턱(16)의 상면측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피연결부(17)가 돌설되어 있으며, 걸림턱(16)의 하면측에는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피연결부(17)가 돌설되어 있으며, 걸림턱(16)의 하면측에는 전체 둘레에 걸쳐서 팩킹(18)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방취통(8)을 본체(1)에 부착시킴에 있어서는 방취통(8)의 걸림턱(16)을 프레임(9)내에 끼워 넣은후에 제4도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같이 피연결부(17)가 연결부(15)의 하부에 위치하는 곳까지 돌려서 연결하면된다.
19는 피연결부(17)의 상면에 마련된 테이퍼면인바, 연결부(15)의 하면에 테이퍼면(19)을 접촉되면서 연결이 원활 및 확실히 이루어 지고 또한 프레임(9)의 받침턱(14)에 대한 팩킹(18)의 밀착이 충분히 이루어 지는것이다.
20은 방취벽체(7)의 부착부인바, 본체(1)의 요입부(6)의 주위로 부터 본체(1)와 일체가 되어서 환상으로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또 방취벽체(7)의 하단의 외주측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소정 갯수의 연결부(22)가 돌설되어 있고, 방취벽체(7)의 부착부(20)의 내주면측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연결부(22)에 동일 갯수의 피연결부(21)가 도설되어 있으며, 방취벽체(7)의 하부를 방취벽체(7)의 부착부(20)에 끼워 넣어 돌리므로써 연결부(22)에 피연결부(21)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23은 방취벽체(7)의 외주측에 전체 둘레에 걸처서 부착된 팩킹이다.
24는 연결부(22)의 상면에 마련한 테이프면인바, 이 테이퍼면(24)에 의하여 전술한 테이퍼면(19)과 마찬가지로 피연결부(21)의 저면에 접촉되어 피연결부(21)과의 연결이 확실히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방취벽체(7)의 부착부(20)에 대한 팩킹(23)의 밀착이 충분히 이루어진다.
25는 예컨데 욕조 내의 탕수의 배수도입관인바, 본체(1)의 저부, 즉, 요입부(6)의 위치에 접속되어 있고, 그 도입구는 물의 밀봉부(2)내와 연통되고 있다.
따라서, 배수 도입관(25)는 배수 도출관(5)은 물의 밀봉부(2)에 의해 차단되어 있다.
26은 개구부(4)에 덮힌 배수접시, 25a는 예비적인 배수도입관인바, 그 도입구로 물의 밀봉부(2)내에 연통되고 있다.
27은 링상의 팩킹인바, 프레임(9)의 플렌지부(13)과 본체(1)의 부착공(1)의 가장자리부 사이에 협지되어있다.
전술한 실시에에 따르면 예컨데 이 배수장치를 욕조의 배수장치로서 사용하기 위하여 욕실의 바닥에 설치하여 그 배수접시(26)를 욕실 바닥면에 연통시키는 동시에 욕조의 물마개부(도시되어 있지 않음)와 배수도입관(25)을 배수관(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거쳐셔 수평으로 접속하면 욕실 바닥에 흘러 버려진 탕수는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배수접시(26)으로 부터 배수장치본체(1) 내에 들어가고 그 물의 밀봉부(2)의 유로(R) 및 오우버플로우부(F)를 경유하여 배수 도출관(5)으로 부터 배출된다.
또 욕조의 내의 탕수를 흘러 버리기 위해서 물마개를 뽑으면 탕수는 화살표 표시와 같이 배수도입관(25)으로부터 배수 장치내의 물의 밀봉부(2)의 유로(R)내에 유입되어 오우버플로우부(F)를 경유하열 배출도출관(5)측으로 배출된다.
또 본 배수장치는 욕조 뿐만 아니고, 세탁기, 세면기등의 배수장치로도 사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방취벽체 및 방취통을 본체로 부터 각각 별도로 분리하여 본체 밖으로 분리할수가 있고, 따라서, 본체 내부 및 배수도입, 도출관내를 청소할때에 파이프 청소구가 방취구에 의하어 방해되는 일이 없고 전술한 각 부분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수 있는 여러가지 이점이 있다.
또 배수도입관과 배수도출관을 방취구에 의하여 형성되는 물의 밀봉부를 거쳐서 연통 시켰으므로 배출 도출관측의 하수로부터의 악취의 역류방지 효과를 배수 접시쪽만아니고 배수도입관쪽에 대하여서도 달성할 수 있기때문에 단일체의 방취구를 갖춘 배수 장치에 비하여 2개소 이상의 배수분에 대하여서도 확실한 방취 기능을 갖춘 배수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는 편리성과 구조가 간단하고 유지 관리도 용이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는것이다.

Claims (1)

  1. 배수도입관(25)과 배출도출관(5)을 둘레 측벽에 각각 갖춘 배수장치 본체(1)와 이 본체(1)내에 마련된 물의 밀봉부 형성용의 방취구(3)와 본체(1)의 상방개구부(4)에 설치한 배수접시(26)로 구성된 배수장치에 있어서 방취구(3)는 배수장치본체(1)의 상방개구부(4)의 주연으로부터 매달은 방취통(8)과 이 방취통(8)이 들러지도록 본체(1)내에 형성된 부착부(20)에 방취벽체(7)을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하여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
KR2019870009040U 1987-04-20 1987-06-05 배수장치 KR91000209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7059810U JPH0426536Y2 (ko) 1987-04-20 1987-04-20
JP??????87-59810 1987-04-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9819U KR880019819U (ko) 1988-11-28
KR910002091Y1 true KR910002091Y1 (ko) 1991-04-04

Family

ID=30891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9040U KR910002091Y1 (ko) 1987-04-20 1987-06-05 배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426536Y2 (ko)
KR (1) KR91000209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081B1 (ko) * 2012-06-22 2014-04-14 (주)피피아이평화 배수관용 트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4763Y2 (ko) * 1971-08-23 1980-06-13
JPS58106473U (ja) * 1982-01-08 1983-07-20 東陶機器株式会社 排水トラツ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081B1 (ko) * 2012-06-22 2014-04-14 (주)피피아이평화 배수관용 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26536Y2 (ko) 1992-06-25
JPS63165364U (ko) 1988-10-27
KR880019819U (ko) 1988-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255028A (ja) 排水装置の取付構造
EP0084303B1 (en) Hydraulic device for the drainage of waste water
US6845527B1 (en) In-the-wall plumbing trap with integral waste and vent line
US2467547A (en) Sanitary catchall drain trap
KR910002091Y1 (ko) 배수장치
KR200223970Y1 (ko) 세면기의 배수트랩
WO2015167162A1 (ko) 세면기용 트랩일체형 배수장치
KR102090044B1 (ko) 배관 구조물
JPH03450Y2 (ko)
EP0637651B1 (en) Unit with sanitary appliance, such as sink, wash basin or bidet, and relative discharge means
JP2000291097A (ja) 浴室ユニットの排水構造
JP3569317B2 (ja) トラップ付き排水装置
CN219261287U (zh) 一种下排地漏
US3449775A (en) Kitchen sink plug
KR200262328Y1 (ko) 욕조용 배수트랩
JPH10183716A (ja) 洗面器、流し、手洗い器等の排水管構造
KR200241060Y1 (ko) 세면기용 배수밸브
JPH03191937A (ja) 浴槽洗浄装置
KR200305387Y1 (ko) 배수용 트랩
KR200166993Y1 (ko) 베란다용 하수관의 y형 연결구
JP2527337Y2 (ja) 洗濯機用排水トラップ
JPH03218716A (ja) バスタブの排水口構造
JP2850209B2 (ja) 洗濯機用防水パン
CN2336020Y (zh) 排水栓防臭分流装置
JPS622757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2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