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680B1 - 키폰 시스템에 있어서 도어폰 인터페이스회로 - Google Patents

키폰 시스템에 있어서 도어폰 인터페이스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680B1
KR910001680B1 KR1019880004852A KR880004852A KR910001680B1 KR 910001680 B1 KR910001680 B1 KR 910001680B1 KR 1019880004852 A KR1019880004852 A KR 1019880004852A KR 880004852 A KR880004852 A KR 880004852A KR 910001680 B1 KR910001680 B1 KR 910001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ower supply
call
lin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4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6819A (ko
Inventor
이용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80004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1680B1/ko
Publication of KR890016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6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9/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not involving centralised swi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Systems, Intercoms, And Interpho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키폰 시스템에 있어서 도어폰 인터페이스회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도의 동작타이밍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이크 20 : 스피커
30, 40 : 제1, 2증폭기 50 : 하이브리드회로
60 : 크로스포인터회로 80 : 스위칭레귤레이터
70 : 인버터 Q1, Q2 : 트랜지스터
P1 : 폴리스위치 D1 : 다이오드
T1, T2 : 제1, 2트랜스포머
본 발명은 키폰 시스템에 있어서 도어폰(Door Phone) 인터페이스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폰은 가정용이나 사무실내의 근거리에서 호출 및 간단한 의사전달용 통신 시스템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 인터폰은 설치가 간단하고 저렴하여 많이 보급되어 왔으나 설치 거리에 제한이 따르며, 기능이 단순하고 통화상태가 나쁜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최근에 많이 보급되어 있는 키폰 전화기가 연결된 어느곳에서나 도어폰(인터폰)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키폰 시스템에 다양한 써비스 기능을 부가할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키폰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가 용이하도록 하며 통화상태를 양호하도록 하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도로써, 도어 유니트부(1)와, 키폰 시스템의 도어 인터페이스 유니트부(2)로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지는데, 상기 도어 유니트부(1)는 키폰 시스템으로 다소 떨어진 적절한 장소에 4선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10)를 제1증폭기(30)에 연결하며, 상대편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20)를 제2증폭기(40)에 연결하여 통화로로 형성하고, 상기 제1, 2증폭기(30, 40)를 4선을 2선으로 변환하는 하이브리드회로(50)에 연결하고 방문자의 통화에 따른 음성신호를 입출력하는 제1수단(100)과, 상기 제1수단(100)의 하이브리드회로(50)와 연결하고 상기 도어 인터페이스 유니트부(2)와의 도어폰 통화라인(L1, L2)이 연결되어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전달을 AC결합 방식으로 수행하는 제1트랜스포머(T1)와, 상기 제1트랜스포머(T1)의 2차측 코일의 중간탭으로부터 전력소비를 줄이기 위한 도어 버튼스위치(SW)를 연결하여 스위칭 레귤레이터(80)와 결합된 일측노드(81)와 결합되고 캐패시터(C1, C2)를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80)의 병렬로 양 입출력단(82, 83)에 연결되어 출력전압이 도어폰 통화라인(L1, L2)에 일정한 전압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2수단(200)과, 도어 인터페이스 유니트부(2)는 상기 도어 유니트부(1)의 도어폰 통화라인(L1, L2)이 제2트랜스포머(T2)에 연결되고 상기 제2트랜스포머(T2)의 2차측 코일(n2)의 중간탭으로 풀업저항(R4)을 연결하여 인버터(70)의 입력단에 연결하고 상기 인버터(70)의 출력이 도어폰호출 감지신호를 얻어내도록 하는 제3수단(300)과, 상기 도어 유니트부(1)의 스위칭 레귤레이터(80)의 접속노드(81, 82)로부터 노드(81)는 접지되고 상기 노드(82)가 라인(L3)을 통해 다이오드(D1)의 케소드측에 접속되며 상기 다이오드(D1)의 에노드측에 폴리(Poly)스위치(P1)를 직결하고 상기 폴리스위치(Pl)로부터 트랜지스터(Q2)를 연결하여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에 전원공급단(V+)이 연결되며 상기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저항(R2)을 통해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가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는 접지되며 상기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저항(R3)을 연결하여 도어폰 전원공급 인에이블단(72)이 접속되어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4수단(400)과, 상기 제2트랜스포머(T2)의 1차측 코일(n1)에 크로스포인트회로(60)를 연결하고 시스템(도시하지 않았음)에서 발생된 도어틱톤(Tick Tone) 공급단(61)을 상기 크로스포인트회로(60)에 연결하여 내선가입자와 통화를 이루도록 하는 제5수단(500)으로 구성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도의 동작파형도로써, (2a)는 도어 버튼스위치(SW)의 스위칭 신호 파형이고, (2b)는 인버터(70)의 출력으로 도어폰 호출 감지신호 파형이며, (2c)는 내선 전화기 호출 데이타 신호이고, (2d)는 도어폰 전원공급 인에이블단(72)의 인가 데이타 신호이며,(2e)는 도어틱톤 공급단(61)의 인가 데이타 신호이고,(2f)는 스위칭 레귤레이터(80)의 출력전원단(Vcc)의 출력상태 파형도이며,(2g)는 크로스포인트회로(60)의 가입자 통화로 형성라인(N1)의 상태 파형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 일실시예를 상술한 제1, 2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도어 유니트부(1)를 설명하면 이는 마이크(10)의 프리앰프 제1증폭기(30)의 스피커(20)의 프리앰프인 제2증폭기(40)의 4선을 2선으로 변환시키는 4-To-2 하이브리드회로(50)와 소정 필요한 전압을 발생시키는 스위칭 레귤레이터(80)로 구성되어 있고 도어 유니트부(1)가 동작할시 송화자의 음성은 제1증폭기(30)를 통하여 하이브리드회로(50)에 의하여 도어 인터페이스 유니트부(2)에 전달되는데 이 음성신호는 제1, 2트랜스포머(T1, T2)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하이브리드회로(50), 크로스포인트회로(60)를 통해 신호를 전달되도록 하면 선로에 잡음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제1, 2트랜스포머(T1, T2)를 사용한 AC결합 방식을 사용하면 양측 선로에 잡음이 인가되더라도 공통 성분이 제거되어 잡음성분이 제거된다.
또한 음성신호의 수신은 하이브리드회로(50)를 통해 입력된 신호가 제2증폭기(40)에 의해 스피커(20)를 구동하게 되는데, 4-To-2 하이브리드회로(50)는 하우링을 방지하도록 잘 조정된 연산증폭기로 구성된 회로를 사용하였으므로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해 도어 유니트부(1)의 도어 버튼스위치(SW)가 눌러지지 않을 때에는 도어 인터페이스 유니트부(2)의 도어폰 전원공급 인에이블단(72)을 통한 신호에 의해 도어 유니트부(1)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도록 한다.
이하 상기 도어 유니트부(1) 및 도어 인터페이스 유니트부(2)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어 버튼스위치(SW)가 눌려지면 도어 버튼신호(2a)는 제2트랜스포머(T2)의 중간탭을 통해 인버터(70)에 인가된다.
즉, 도어 버튼스위치(SW)가 눌러지지 않을때에는 전원단(Vcc)에 접지단(VGND)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플로팅 상태이므로 인버터(70)의 입력단자에 전원단(Vcc)의 전원모드가 걸리게 된다.
결과적으로 인버터(70)에 로우전압이 걸려 중앙처리장치는 도어 버튼스위치(SW)가 눌려져 있지 않음을 감지하고 도어폰 전원공급 인에이블단(72)를 "로우" 전압으로 만들어 트랜지스터(Q1)는 "오프"가 되어 트랜지스터(Q2)는 오프가 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2)가 오프가 되었으므로 전원은 인가되지 않는다.
그러나 도어 버튼스위치(SW)가 눌려지면 Vcc→T2→T1→SW(Short)→VGND의 루우프가 형성되어 인버터(70)의 입력단에는 VGND가 되어 출력단에는 Vcc가 걸리게 된다. 이때 중앙처리장치는 도어 버튼스위치(SW)가 눌려졌음을 감지하여 도어폰 전원공급 인에이블단(72)에 "하이"를 걸어 상기와 반대 동작이 되어 트랜지스터(Q2)가 온이 되기때문에 전원이 인가된다.
도어 버튼스위치(SW)가 눌려있지 않는 상태에서는 (2b)신호와 같이 인버터(70)의 출력이 "로우"로 되어있으나 도어 버튼스위치(SW)가 눌려지면 인버터(70)의 출력이 "하이"상태로 되고, 중앙처리장치(도시하지 않았음)는 상기 인버터(70) 출력단자를 체크함으로 도어폰 호출여부를 알 수 있다.
인버터(70)의 출력이 "하이"로 감지되면(2c) 도어 유니트부(1)의 도어 버튼스위치(SW)가 눌려진 동안 도어틱톤 공급단(61)을 연결하여 도어 버트스위치(SW)의 동작상태를 알려주기 위하여 도어폰 전원공급 인에이블단(72)의 신호(2d)를 "하이"상태로 만들어 트랜지스터(Q1, Q2)를 온하므로 다이오드(D1)와 과전류방지용 폴리스위치(P1)를 통해 도어 유니트부(1)에 전원공급단(V+) 공급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이때 도어유니트부(1)의 스위칭 레귤레이터(80)가 상기 전원공급단(V+)의 전원을 받아 전원단(Vcc)의 전원(2f)을 만들기까지 시간 지연을 주어 도어틱톤 공급단(61)을 통해 신호(2e)를 크로스포인트회로(60)를 통하여 도어유니트부(1)로 인가한다. 이 신호는 도어 유니트부(1)의 스피커(20)를 통해 나타난다.
상기 도어 호출 감지신호에 따라 내선 전화기에서 도어 유니트부(1)의 사용자와 통화를 하기 위해 도어호출 감지신호에 응답하면 중앙처리장치는 도어틱톤 신호를 공급하는 것을 중단하고(네트워크라인 N)를 통하여 (2g)와 같이 내선 가입자와 통화로를 형성시킨다.
도어 유니트부(1)와 통화로 형성이 이루어진 후 내선 가입자가 전화를 끊을때까지 도어폰의 기능이 계속 유지되고 내선 가입자가 전화를 끊으면 이때 비로소 통화로가 원상태로 돌아간다.
여기서 다이오드(D1)와 폴리스위치(P1)는 역전압 및 과전류방지용으로 사용되었으며, 트랜지스터(Q1, Q2)는 V+ 전압을 도어 유니트부(1)의 스위칭 레귤레이터(80)를 온·오프시키는데 사용되며, 캐패시터(C1, C2)는 도어 유니트부(1)의 전압 안정화용으로 사용되었다.
제2도에 도어 버튼스위치(SW)가 눌려져 틱톤이 울리고 내선 가입자가 응답하여 통화로가 형성되면 도어 버튼스위치(SW)를 계속 누르고 있더라도 통화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키폰 시스템에 전용 도어 유니트를 결합하여 음성신호를 AC결합함에 따라 시스템내의 크로스포인트회로를 통하여 쉽게 통화로를 형성시킬 수 있어 도어 유니트를 내선과 마찬가지로 다룰 수 있고, 4선으로 연결함으로 DC전원을 피딩할 필요가 없어짐으로 트랜스포머의 축소 및 음성신호의 AC결합으로 음성신호의 노이즈의 영향을 제거하고 도어 비트스위치 감지를 상기 트랜스포머의 중간탭을 이용함으로 팬텀(Phantom) 도어콜 형식이 되어 통화도중에 버튼의 온-오프에 영향을 받지 않게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중앙처리장치를 구비한 도어폰을 겸한 키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키폰 시스템으로부터 다소 떨어진 적절한 장소에 통화라인과 결합된 4라인으로 연결되며 방문자의 음성신호를 증폭하고 통화 4선을 2선으로 변환하는 제1수단(100)과, 상기 제1수단(100)의 라인 변환부와 연결되고 상기 4선라인중 통화라인과 결합되어 노이즈가 제어된 신호전달을 AC결합 방식으로 전달하는 제1트랜스포머(T1)와, 상기 제1트랜스포머(T1)의 2차측 코일의 중간탭으로부터 도어 호출시만 전력이 소모되는 도어 버튼스위치(SW)를 연결하여 상기 4선중 통화라인을 제외한 전원공급단과 연결되고 상기 전원공급단과 연결되어 통화라인과 각부 안정된 전원을 공급하는 제2수단(200)과, 상기 제1트랜스포머(T1)와 통화라인이 제2트랜스포머(T2)와 결합되어 2차측 코일 중간탭으로부터 인버터(70)를 연결하여 도어폰 호출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로 입력하는 제3수단(300)과, 상기 중앙처리장치에서 발생하는 도어폰 전원공급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제1, 2전원단(V+, VGND)을 통해 상기 제2수단(200)으로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4수단(400)과, 상기 제2트랜스포머(T2)의 일차측과 크로스포인트회로(60)와 연결되어 상기 제4수단(400)의 도어폰 호출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중앙처리장치 제어에 의해 도어틱톤 공급을 제어하고 네트워크라인을 통하여 내선 가입자와 통화로를 형성하는 제5수단(50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키폰 시스템에 있어서 도어폰 인터페이스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제1수단(100)의 4선을 2선으로 변환하는 수단이 하이브리드회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제4수단(400)이 제1, 2전원단(V+, VGND)과 분리되어 상기 제1전원단(V+)이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에 결합되고 도어폰 전원공급 인에이블단(72)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전원공급 인에이블신호에 따라 상기 트랜지스터(Q1)의 동작으로 상기 트랜지스터(Q2) 베이스에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이 제어되며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에 과전류방지용 폴리스위치(P1)와 다이오드(D1)을 직결하여 상기 제2수단(200)으로 전원이 인가 제어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KR1019880004852A 1988-04-28 1988-04-28 키폰 시스템에 있어서 도어폰 인터페이스회로 KR910001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4852A KR910001680B1 (ko) 1988-04-28 1988-04-28 키폰 시스템에 있어서 도어폰 인터페이스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4852A KR910001680B1 (ko) 1988-04-28 1988-04-28 키폰 시스템에 있어서 도어폰 인터페이스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819A KR890016819A (ko) 1989-11-30
KR910001680B1 true KR910001680B1 (ko) 1991-03-18

Family

ID=19273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4852A KR910001680B1 (ko) 1988-04-28 1988-04-28 키폰 시스템에 있어서 도어폰 인터페이스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16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6270B1 (ko) * 1997-02-28 2005-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키폰시스템에연계된도어폰가입자회로
KR100800070B1 (ko) * 2007-11-30 2008-02-01 주식회사 솔버스 비과금형 국선전환장치와 로비폰장치 및 이를 이용한국선전환방법
KR101656349B1 (ko) * 2014-12-23 2016-10-19 주식회사 오디씨 도어폰 젠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819A (ko) 1989-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25585A (en) Loudspeaking telephone station circuit
US3963876A (en) Amplifier circuit for increasing transmit and receive levels in a telephone hybrid network
JPS6074753A (ja) 電話装置用ハンドフリ−回路
US3860756A (en) Automatic voice-path switching circuit for a speaker phone telephone set
KR910001680B1 (ko) 키폰 시스템에 있어서 도어폰 인터페이스회로
EP0033744B1 (en) Voice controlled switching system
JP2956853B2 (ja) 電話音声回路網
US4640993A (en) Telephone subscribers' circuits
US3816917A (en) Telephone conference amplifier
KR960009436A (ko) 수신 신호 경로에서의 측음 감소 회로 및 방법
KR830001579B1 (ko) 확성전화기의 2선식 동시통화장치
JPS60128762A (ja) 電話機回路
KR910003391B1 (ko) 반이중 음성 송수신회로
JP3005438B2 (ja) スピーチネットワーク回路
JP3617161B2 (ja) 疑似インダクタンス回路
KR0145481B1 (ko) 전원잡음 제거기능을 갖는 전자식 교환시스템
JPH05130206A (ja) ボタン電話装置
KR940005231Y1 (ko) 무선전화기의 호출신호오동작방지회로
KR200202421Y1 (ko) 전화기용 선로 인터페이스 회로
KR100342241B1 (ko) 전화기용 선로 인터페이스 회로
KR960010060Y1 (ko) 전화통화시 자동음성뮤트회로
JP2836540B2 (ja) 2線式電話回線中継器
JPH0287753A (ja) ハイブリッド回路
JP3617160B2 (ja) 疑似インダクタンス回路
KR0138231B1 (ko) 팩시밀리 장치의 듀얼톤 송출방법 및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1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