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231B1 - 팩시밀리 장치의 듀얼톤 송출방법 및 회로 - Google Patents

팩시밀리 장치의 듀얼톤 송출방법 및 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231B1
KR0138231B1 KR1019940035960A KR19940035960A KR0138231B1 KR 0138231 B1 KR0138231 B1 KR 0138231B1 KR 1019940035960 A KR1019940035960 A KR 1019940035960A KR 19940035960 A KR19940035960 A KR 19940035960A KR 0138231 B1 KR0138231 B1 KR 0138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al tone
signal
circuit
response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5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8114A (ko
Inventor
김억규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35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231B1/ko
Publication of KR960028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8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2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04Establishing a communication with one of a facsimile and another telecommunication apparatus sharing a single line
    • H04N1/32739Generating signals
    • H04N1/32741Generating ringing or calling signals or t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04Establishing a communication with one of a facsimile and another telecommunication apparatus sharing a single line
    • H04N1/32715Detecting
    • H04N1/32723Detecting speech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04Establishing a communication with one of a facsimile and another telecommunication apparatus sharing a single line
    • H04N1/32715Detecting
    • H04N1/32726Detecting signals other than facsimile protocol signals, e.g. DTMF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3Facsimile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팩시밀리 장치에 관련된 기술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장치에서 발생되는 듀얼톤의 송출음을 스피커를 통해 들리지 않게하여 소음을 줄이기 위한 듀얼톤 송출회로 및 방법을 제공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팩시밀리 장치의 핸드셋을 통한 듀얼톤 송출회로는 상기 장치의 모뎀으로부터 상기 듀얼톤이 송출될시 트랜스 포머를 통해 상기 듀얼톤을 캐패시터와 저항소자에 의해 신호의 특성이 조정되도록 제어하기 위해 인가되는 제1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톤을 수신하는 스위칭 수단과, 상기 수신된 듀얼톤 신호를 입력하여레벨의 변환후 출력하는 음성회로와, 상기 레벨 변환된 상기 듀얼톤을 정류하기 위한 정류회로와, 상기 정류회로에서 출력되는 상기 듀얼톤을 라인으로 송출하기위해 인가되는 제2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절환되는 수단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팩시밀리 장치에 사용된다.

Description

팩시밀리 장치의 듀얼톤 송출방법 및 회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톤 송출회로도.
본 발명은 전화기를 구비하는 팩시밀리 장치의 듀얼톤 송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듀얼톤의 송출을 핸드셋을 통하여 출력할 수 있는 방법 및 그에 따른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팩시밀리 장치는 전화기와 연동되어 있으며, 상대측으로 원고를 송신시 전화선로를 통해 원고 데이타를 전송하며 상대측에서 수신되는 원고 데이타를 페이퍼상에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는 사무용기기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팩시밀리 장치에 있어, 종래의 통상적인 기술은 DTMF톤(이하 듀얼톤)의 다이알시 발생되는 듀얼톤 송출음이 장치내의 스피커를 통하여 들리게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주위 사람들은 듀얼톤의 송출음에 의한 소음으로 피해를 입어왔다.
또한, 듀얼톤 송출시에는 팩스 파트로, 대화를 위해서는 전화기 파트로 릴레이(Relay)가 자주 절체되어야 하므로, 주위로 릴레이의 절체 소리가 자주들렸다. 또한 회로적으로는 그러한 릴레이의 제어를 위한 내부 프로그램이 복잡하게되며, 잦은 절체로 기인하는 릴레이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듀얼톤 송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팩시모뎀에서 제공되는 듀얼톤이 전화기 파트의 음성 직접회로(IC)를 거쳐서 송출되게 함으로써, 듀얼톤 송출음이 핸드셋으로 들리고 릴레이를 자주 콘트롤하지 않아도 되므로 릴레이 수명을 연장시키며, 릴레이 접점소리도 외부에 자주 들리지 않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회로는, 핸드셋을 통해 듀얼톤을 송출하기 위해, 상기 장치의 모뎀으로부터 상기 듀얼톤이 송출될시 트랜스 포머를 통해 상기 듀얼톤을 캐패시터와 저항소자에 의해 신호의 특성이 조정되도록 제어하기 위해 인가되는 제1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톤을 수신하는 스위칭 수단과; 상기 수신된 듀얼톤 신호를 입력하여 레벨의 변환후 출력하는 음성회로와; 상기 레벨 변환된 상기 듀얼톤을 정류 하기 위한 정류회로와; 상기 정류회로에서 출력되는 상기 듀얼톤을 라인으로 송출하기 위해 인가되는 제2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절환되는 수단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제1,2제어신호는 시스템의 주 제어부등에서 듀얼톤의 송출시에 출력하는 하이 또는 로우논리를 가지는 신호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톤 송출방법 및 그에 따른 회로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될 것이다. 다음의 설명에서, 그러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항목들이 본 발명의 보다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자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당해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들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이러한 상세한 항목들이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또한, 잘 알려진 구조의 특징 및 기능들은 본 발명을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해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제1도를 참조하면, K1은 통상의 CML 렐레이로서 인가되는 제1제어신호 CON1에 응답하여 팩스의 라인 접속 상태를 팩스 파트 또는 전화파트로 스위칭한다. K2는 듀얼톤 송출을 위한 릴레이로서 인가되는 제2제어신호 CON2에 응답하여 팩스 듀얼톤 신호 송출시만 접속된다. 브리지 다이오드 BD는 정파정류 회로로서 라인단의 극성 반전을 위한 회로이다. 저항 R1과 캐패시터 C1은 팩스 듀얼톤 신호의 레벨 및 특성을 조정한다. 저항 R2와 캐패시터 C2는 전화기 파트의 다이얼러(DIALER)에서 송출되는 듀얼톤 신호의 레벨 및 특성을 조정한다. 상기 제1도와 같은 구성에 의해, 팩스 모뎀에서 송출되는 듀얼톤신호는 트랜스 포머 TRA를 거쳐 1차적으로 전달되고, 접속된 K2 렐레이를 통해 R1과 C1으로 전달되어 여기서 레벨 및 특성이 조정된다. 이 신호는 음성(SPEECH) IC의 듀얼톤 입력포트 DI로 들어가 음성 IC내부에서 증폭되어 출력포트 DO로 출력된 후, 브리지 다이오드 BD를 통해 릴레이 K1을 거쳐 라인으로 송출된다. 즉, 제1도에 대한 동작에 있어서, 팩스 모뎀에서 나오는 듀얼톤 신호는 바로 라인단으로 송출되는 것이 아니라 전화기 파트의 음성 IC(또는 회로)를 거쳐서 라인단으로 송출된다. 이때 전화기 파트내의 다이얼러에서 송출되는 듀얼톤 신호와의 레벨, 특성을 독립적으로 조정하기 위해 R1과 C1을 R2, C2와는 별도의 것을 사용하였다. K2 릴레이는 평상시에는 항상 열려있고 팩스 듀얼톤 송출시만 연결되어, MODEM→SPEECH→BD→K1→LINE의 경로가 형성되게 하는 것이다. 이때 듀얼톤 신호 송출 경로나 전화기 대화 경로가 동일하므로 K1 릴레이의 접점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 R1값은 충분히 높게 설정해서 전화기로 상대방과 대화시에 K2 릴레이가 연결되어 있어도 송.수화 당량등 스피치 특성에 이상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듀얼 톤의 송출시 외부의 스피커를 통해 들리던 듀얼톤의 송출음을 차단함에 의해, 주위의 정숙한 분위기 및 그에 따른 릴레이의 수명향상을 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은 도면을 중심으로 예를들어 설명되고 한정되었지만, 그 동일한 것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변화와 변형이 가능함이 본 분야의 숙련된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Claims (4)

  1. 팩시밀리 장치의 듀얼톤 송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모뎀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듀얼톤이 트랜스 포머에 의해 매칭하는 단계와;
    상기 매칭된 듀얼톤 신호가 전화기 파트내의 음성 회로를 통과하게 하는 단계와;
    상기 통과된 듀얼톤을 정류회로를 통해 라인으로 송출하는 단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팩시밀리 장치의 핸드셋을 통한 듀얼톤 송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모뎀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듀얼톤이 트랜스 포머에 의해 매칭된 후 캐패시터와 저항소자에 의해 신호의 특성이 조정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조정된 듀얼톤 신호가 전화기 파트내의 음성 회로를 통과하게 하는 단계와;
    상기 통과된 듀얼톤을 정류회로를 통해 라인으로 송출하는 단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팩시밀리 장치의 핸드셋을 통한 듀얼톤 송출회로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모뎀으로부터 상기 듀얼톤이 송출될시 트랜스 포머를 통해 상기 듀얼톤을 캐패시터와 저항소자에 의해 신호의 특성이 조정되도록 제어하기 위해 인가되는 제1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톤을 수신하는 스위칭 수단과;
    상기 수신된 듀얼톤 신호를 입력하여 레벨의 변환후 출력하는 음성회로와;
    상기 레벨 변환된 상기 듀얼톤을 정류하기 위한 정류회로와;
    상기 정류회로에서 출력되는 상기 듀얼톤을 라인으로 송출하기 위해 인가되는 제2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절환되는 수단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4. 이미지 송수신 장치의 핸드셋을 통한 디티엠에프 신호 송출회로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모뎀으로부터 상기 신호가 송출될시 트랜스 포머를 통해 상기 신호를 직렬연결된 캐패시터와 저항소자에 의해 신호의 특성이 조정되도록 제어하기 위해 인가되는 제1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스위칭 수단과;
    상기 핸드셋에 연결되며, 상기 수신된 신호를 입력하여 레벨의 변환후 출력하는 음성회로와;
    상기 레벨 변환된 상기 신호를 정류하기 위한 정류회로와;
    상기 정류회로에서 출력되는 상기 신호를 라인으로 송출하기 위해 인가되는 제2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절환되는 수단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KR1019940035960A 1994-12-22 1994-12-22 팩시밀리 장치의 듀얼톤 송출방법 및 회로 KR0138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5960A KR0138231B1 (ko) 1994-12-22 1994-12-22 팩시밀리 장치의 듀얼톤 송출방법 및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5960A KR0138231B1 (ko) 1994-12-22 1994-12-22 팩시밀리 장치의 듀얼톤 송출방법 및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114A KR960028114A (ko) 1996-07-22
KR0138231B1 true KR0138231B1 (ko) 1998-05-15

Family

ID=19402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5960A KR0138231B1 (ko) 1994-12-22 1994-12-22 팩시밀리 장치의 듀얼톤 송출방법 및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23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114A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14432A (en) Pseudo-full duplex television/telephone loudspeaker system
US4558183A (en) Opto-coupler interfacing circuit
KR0138231B1 (ko) 팩시밀리 장치의 듀얼톤 송출방법 및 회로
GB2125657A (en) Loudspeaker telephone system
US5889841A (en) Modem with noise eliminating circuit
KR100309079B1 (ko) 모뎀을구비한전화기장치
KR100357801B1 (ko) 수신신호경로에서의측음감소회로
GB2278754A (en) Telephone instrument
JPH0767131B2 (ja) 網制御回路
KR830001579B1 (ko) 확성전화기의 2선식 동시통화장치
JP2532811B2 (ja) 網制御装置
JP4134935B2 (ja) インターホン機器
JP3005438B2 (ja) スピーチネットワーク回路
KR930002039Y1 (ko) 전화수신 표시장치
KR900002476Y1 (ko) 측음방지 회로
KR920009872B1 (ko) 키폰전화기의 통화회로
JPH0311984Y2 (ko)
KR940017652A (ko) 디지탈 키폰전화기 접속회로
KR900006474B1 (ko) 릴레이 제어회로
KR950010478A (ko) 팩시밀리의 라인 접속장치
KR940008325A (ko) 키폰 시스팀과 일반전화기 또는 무선 전화기와의 접속 장치
JPS6248163A (ja) 騒音制御機能付電話装置
JPH03165155A (ja) 難聴者用電話機
KR950035235A (ko) 내선 측음기능을 갖는 디지틀 키폰의 통화회로
JPH01297965A (ja) ファクシミリ接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