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9872B1 - 키폰전화기의 통화회로 - Google Patents

키폰전화기의 통화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9872B1
KR920009872B1 KR1019900004388A KR900004388A KR920009872B1 KR 920009872 B1 KR920009872 B1 KR 920009872B1 KR 1019900004388 A KR1019900004388 A KR 1019900004388A KR 900004388 A KR900004388 A KR 900004388A KR 920009872 B1 KR920009872 B1 KR 920009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lifier
resistor
cpu
control unit
g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4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7819A (ko
Inventor
이규택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04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9872B1/ko
Publication of KR910017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7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9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08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n the transmitter circu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45076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03F3/45475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using IC block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05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amplifiers suitable for low-frequencies, e.g. audio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1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n the receiver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키폰전화기의 통화회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키폰전화기의 통화회로의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의 상세회로도.
제3도는 제1도의 작동설명을 위한 플로우 챠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2송신증폭기 2 : 이득제어부
3 : 제1송신증폭부 4 : 뮤트제어부
5 : 측음제어부 6 : 수신증폭부
T : 송화기 R : 수화기
7 : CPU
본 발명은 키폰전화기의 통화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화, 수화 및 측음에 따른 이득제어를 CPU로 할 수 있도록 한 키폰전화기의 통화회로에 관한 것이다.
키폰시스템은 주장치와 키폰 전용전화기로 구성된 간이 교환장치로서, 주장치에서 생기는 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릴레이를 사용하였으나 이는 가격이 비싸고 면적을 많이 차지하여 외관이 커질뿐 아니라 릴레이 동작이 소음으로 들러서 조용한 분위기를 해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최근에는 릴레이 대용으로 반도체 소자를 사용하여 박형(SLIM SIZE)형태로 제조되나, 반도체 소자에서는 약 2-3dB의 이득손실이 발생하므로 키폰전화기의 송화 및 수화이득을 올려야 손실이 보상된다. 그러나 송화 및 수화이득을 올리면 자동적으로 측음(본인의 음성이 자신의 귀로 들리는 음)이 커지게 되어 양호한 통화를 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송화음, 수화음 및 측음의 이득을 CPU로 제어할 수 있게하여 상기한 단점을 해소시킬 수 있는 키폰전화기의 통화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키폰전화기의 통화회로에 의하면, 송화기(T)로부터 제1송신증폭부(3), 이득제어부(2), 제2송신증폭부(1) 및 주장치와 접속되는 트렌스 T1이 종속집속되되, 상기 이득제어부(2)는 CPU(7)와 연동되어 이득이 제어되도록 접속되고, 상기 CPU(7)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송화기(T)의 출력신호를 통화중에 소정시간 뮤트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송신증폭부(3) 및 송화기(T)간에 접속구성되는 뮤트제어부(4)와, 상기 트랜스 T1으로부터 수신증폭부(6) 및 수화기(R)가 종속접속되되, 상기 수신증폭부(6)에는 측음제어부(5)가 접속되고, 상기 측음제어부(5)는 CPU와 연동되도록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키폰전화기의 통화회로 블록도로서, CPU(7)로부터 뮤트제어부(4), 제1송신증폭부, CPU(7)와 연동되는 이득제어부(2) 및 제2송신증폭부(1)가 종속집속되며, 상기 제1송신증폭부(3) 및 뮤트제어부(4) 접속점에 한단자가 접지된 송화기(T1)가 접속된다.
또한 한단자가 접지된 수화기(R)로부터 수신증폭부(6) 및 상기 CPU(7)와 연동되는 측음제어부(6)가 종속집속되며 상기 제2송신증폭부 출력단(1)과 상기 수신증폭부(6) 출력단이 트랜스 T1을 경유해 키폰시스템의 주장치(도면에 도시않됨)에 접속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송화기(T)에서 발생되는 송화음은 상기 제1송신증폭부(3)에서 1차 증폭된 다음 상기 이득제어부(2)에서 1차증폭된 신호가 상기 CPU(7)의 제어신호에 따라 적당히 감쇄되어 제2송신증폭부(1)에서 2차 증폭되어 트랜스 T1을 경유해 키폰시스템의 주장치(도면에 도시않됨)에 입력된다.
키폰시스템의 주장치로 부터의 수신신호는 트랜스 T1을 경유해 수신증폭부(6)에서 증폭된 다음 수화기(R)에서 음성신호를 변화되어 출력된다.
한편 상기 송화기(T)의 송화음을 상기 제2송신증폭부(1)에서 증폭되어 상기 트랜스 T1을 경유해 주장치로 입력되는 동시에 상기 수신증폭부(6)에서 증폭되며 수화기(R)에서 음성으로 변환되어 출력되는데, 이를 측음이라 한다. 이 측음이 너무크면 통화하기가 곤란하므로 상기 CPU(7)와 연동되는 측음제어부(5)에 의해 적절히 조정된다.
제2도는 제1도의 상세회로도로서, CPU(7)로부터 접속된 저항 R11은 에미터 단자는 접지되며 컬렉터 단자는 저항 R10을 경유해 연산증폭기 U3의 한입력단자에 접속되는 트랜지스터 Q1의 베이스 단자에 접속된다.
상기 트랜지스터 Q1의 컬렉터 단자는 캐패시터 C3를 경유해 한단자가 접지된 송화기(T)에 접속되는 동시에 저항 R12를 경유해 Vcc 단자에 접속된다.
상기 연산증폭기 U3의 한 입력단자는 접지되며 상기 저항 R10과 접속된 입력단자는 캐패시터 C2가 병렬접속된 저항 R9를 경유해 그의 출력단자가 저항 R20을 경유해 접지되는 상기 연산증폭기 U3의 출력단자에 접속된다.
상기 연산증폭기 U3의 출력단자는 저항 R7 및 저항 R8을 각기 경유해 상기 CPU(7)로 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도록 접속되는 이득제어 IC U2에 접속되고 그의 출력단자는 한 입력단자는 접속되고 출력단자는 저항 R5를 경유해 접지되는 연산증폭기 U1의 출력단자에 캐패시터 C1이 병렬접속되는 저항 R1을 경유해 접속된다.
상기 연산증폭기 U1의 출력단자는 저항 R21 및 저항 R1을 경유해 트랜스 T1에 접속되고, 저항 R1 및 트랜스 T1 접속점은 저항 R3을 경유해 그의 출력단자가 저항 R104를 경유해 접지되는 연산증폭기 U4의 한입력 단자에 접속된다.
상기 연산증폭기 U4의 출력단자는 저항 R4를 경유해 상기 저항 R3 및 그의 한 입력단자의 집속점에 접속되고 상기 연산증폭기 U4의 나머지 입력단자는 저항 R17을 경유해 트랜스 T2에 접속되는 동시에 저항 R16을 경유해 상기 CPU(7)와 접속되어 제어되는 측음제어 IC U5의 한 단자에 접속된다.
상기 측음제어 IC U5의 다른 단자는 저항 R18을 그리고 나머지 단자는 저항 R19가 병렬접속된 캐패시터 C5를 경유해 상기 트랜스 T2 및 저항 R17 접속점에 접속되고, 이 접속점은 저항 R4를 경유해 상기 저항 R1 및 R21 접속점에 접속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산증폭기 U4의 출력단자는 캐패시터 C4 및 저항 R13을 경유해 수화기(R)의 한단자에 접속된다. 상기 수화기(R)의 나머지 단자는 다이오드 D2가 역으로 병렬접속된 다이오드 D1을 경유해 상기 캐패시터 C4 및 저항 R13의 접속점에 접속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도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송화기(T)에 음압이 가해지면 이 음압은 송화기(T)에 의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연산증폭기 U3에서 1차 증폭된다.
상기 연산증폭기 U3에서 1차 증폭된 신호는 국선통화 또는 내선통화인지가 상기 CPU(7)에서 결정되어 이득제어 IC U2에 의해 그이 이득이 적절히 조정된 다음 연산증폭기 U1에 의해 2차 증폭되어 트랜스 T1을 경유해 키폰시스템의 주장치(도면에 도시않됨)에 입력되는 동시에 연산증폭기 U4에서 증폭되어 수화기(R)에 의해 음성신호로 변환된다(이를 측음이라함). 이때 이 측음은 상기 CPU(7)에서 국선 또는 내선통화인지가 결정되어 측음제어 IC U5에 의해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CPU(7)의 제어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 Q1을 ON 동작시켜 상기 송화기 출력을 뮤트시킬 수 있다.
한편 주장치(도면에 도시않음)로 부터의 수신신호는 연산증폭기 U4에서 증폭되어 수화기(R)에서 음성신호 변환된다. 여기서 다이오드 D1 및 D2는 피크엄을 통과시켜 고막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제3도는 제1도의 작동설명을 위한 플로우 챠트도로서, 시작신호로 부터 단계(101)에서 주장치(도시않됨)부터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단계(102)로 진행되어 이 단계(102)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분석한 후 단계(103)로 진행된다.
단계(103)에서는 입력된 데이터가 통화로와 관계가 있는지를 판단하여, 없으면 작동을 종료하고, 관계가 있으면 단계(104)로 진행되어 이단계(104)에서 국선통화인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단계(104)의 판단결과 국선통화이면 단계(110)로 진행되어 이득제어부(2)에 의해 국선이득을 조절한 다음 단계(111)로 진행되어 이단계(111)에서 국선측음을 조절한 후 작동을 종료한다.
상기 단계(104)의 판단결과 국선통화가 아니면 단계(105)가 진행되어 내선통화인가를 판단하게 되는데 내선통화이면 단계(106)로 진행되어 이득제어부(2)에 의해 내선이득을 조절하고 단계(108)로 진행되어 이단계(108)에서 측음제어부(5)에 의해 내석측음을 조절한 후 작동을 종료한다.
상기 단계(105)의 판단결과 내선통화가 아니면 단계(107)로 진행되어 뮤트신호인가를 판단하게 되는데 뮤트신호가 아니면 작동을 종료하고 뮤트신호이면 단계(109)로 진행되어 뮤트제어부(4)에 의해 뮤트조절을 한다음 작동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송화음, 수화음 및 측음의 이득의 CPU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어 통화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키폰전화기의 통화회로에 있어서, 송화기(T)로 부터 제1송신증폭부(3), 이득제어부(2), 제2송신증폭부(1) 및 주장치와 접속되는 트랜스 T1이 종속접속되되, 상기 이득제어부(2)는 CPU(7)의 이득제어신호에 의하여 이득이 제어되도록 접속되고, 상기 CPU(7)의 뮤트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송화기(T)의 출력신호를 통화중에 소정시간 뮤트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송신증폭부(3) 및 송화기(T)간에 접속구성되는 뮤트제어부(4)와, 상기 트랜스T1으로부터 수신증폭부(6) 및 수화기(R)가 종속접속되되, 상기 수신증폭부(6)에는 측음제어부(5)가 접속되고, 상기 측음제어부(5)는 CPU의 측음제어신호에 의하여 측음이 제어되도록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폰전화기의 통화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송신증폭부(3)는 그의 출력단자는 저항 R20을 경유해서 접지되는 동시에 캐패시터 C2가 병렬접속되는 저항 R9를 경유해 입력단자에 접속구성되는 연산증폭기 U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폰전화기의 통화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이득제어부(2)는 상기 CPU(7)로부터 제어신호를 받고 상기 연산증폭기 U3의 출력을 입력하는 이득제어 IC U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폰전화기의 통화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송신증폭부(1)는 그의 출력단자는 저항 R5를 경유해 접지되는 동시에 캐패시터 C1이 병렬접속되는 저항 R6을 경유해 그의 입력단자에 접속되는 연산증폭기 U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폰전화기의 통화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음제어부(5)는 상기 CPU(7)로부터 제어신호를 받고 상기 연산증폭기 U1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여 상기 수신증폭부(6)의 증폭이득을 조절할 수 있는 측음제어 IC U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폰전화기의 통화회로.
  6.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증폭부(6)는 그의 출력단자는 저항 R14를 경유해 접지되는 동시에 저항 R15를 경유해 그의 한 입력단자에 접속되고 나머지 입력단자는 저항 R6를 경유해 상기 측음 제어 IC U5에 접속되는 U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폰전화기의 통화회로.
KR1019900004388A 1990-03-31 1990-03-31 키폰전화기의 통화회로 KR920009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4388A KR920009872B1 (ko) 1990-03-31 1990-03-31 키폰전화기의 통화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4388A KR920009872B1 (ko) 1990-03-31 1990-03-31 키폰전화기의 통화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7819A KR910017819A (ko) 1991-11-05
KR920009872B1 true KR920009872B1 (ko) 1992-11-02

Family

ID=19297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4388A KR920009872B1 (ko) 1990-03-31 1990-03-31 키폰전화기의 통화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987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7819A (ko) 1991-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51602A (en) Loudspeaking telephone
CA1215187A (en) Handsfree circuit for telephone instrument
US3860756A (en) Automatic voice-path switching circuit for a speaker phone telephone set
US3588360A (en) Telecommunication systems
JP2956853B2 (ja) 電話音声回路網
KR920009872B1 (ko) 키폰전화기의 통화회로
JPH11194798A (ja) 音声認識電話機
JPH11194797A (ja) 音声認識作動装置
KR100242410B1 (ko) 전화단말기에서통화시볼륨제어장치및방법
KR20000041846A (ko) 교환기에서 에코 및 측음 현상을 제거하는 회로
JP3241687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S63272254A (ja) 電話装置
KR970005262B1 (ko) 내선 측음기능을 갖는 디지틀 키폰의 통화회로
KR0121115Y1 (ko) 전화기의 송수화회로
KR940004459B1 (ko) 자동차전화기의 쌍방향 통신을 위한 핸드프리 회로 및 제어방법
KR0138231B1 (ko) 팩시밀리 장치의 듀얼톤 송출방법 및 회로
KR0131450Y1 (ko) 멀티미디어 피시의 음성 송신장치
KR0138187B1 (ko) 무선전화기의 벨소리 가변방법
KR950005585B1 (ko) 자동응답 시스템에서 아웃고잉메세지 송출시 호출자 음성메세지 수신회로 및 방법
KR920001541Y1 (ko) 4선식 도어폰 회로
JPH0358223B2 (ko)
KR920004373B1 (ko) 자동차용 전화기
KR19980072903A (ko) 전화기의 음성신호 제어장치 및 방법
KR970078276A (ko) 자동응답 전화기의 녹음 제어장치 및 방법
KR19990020119U (ko) 음성다이얼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