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633B1 - 동력구동식 램프덮개를 가지는 차량조명장치 - Google Patents

동력구동식 램프덮개를 가지는 차량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633B1
KR910001633B1 KR1019860003183A KR860003183A KR910001633B1 KR 910001633 B1 KR910001633 B1 KR 910001633B1 KR 1019860003183 A KR1019860003183 A KR 1019860003183A KR 860003183 A KR860003183 A KR 860003183A KR 910001633 B1 KR910001633 B1 KR 910001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lamp cover
cover
switch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3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1979A (ko
Inventor
켄지 미야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고이또 세이사꾸쇼
마쯔우라 다까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고이또 세이사꾸쇼, 마쯔우라 다까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고이또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70001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retrac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동력구동식 램프덮개를 가지는 차량조명장치
제1도는 램프덮개를 구비한 안개등 및 코너링 램프의 조립체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개폐구조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안개등 및 코너링 램프의 조립체와 합체되는 램프덮개 개폐구조의 확대된 분해사시도.
제3도는 램프덮개 일부와 함께 도시된 제2도의 램프덮개 개폐구조 중요 부품의 분해평면도.
제4도는 제2도 및 제3도의 램프덮개 개폐구조에 있는 토오크 리미터의 확대된 분해사시도.
제5도는 제3도의 선 V-V를 따라서 취한 제4도의 토오크 리미너의 확대단면도.
제6도는 제2도 및 제3도의 램프덮개 개폐구조에서 전기제어회로판을 통한 특히, 회로판상에 있는 모터스위치와 램프스위치 부분의 기계적 구성을 도시한 확대단면도.
제7도는 램프덮개가 폐쇄된 상태에서의 제6도에 도시한 전기제어회로판의 평면도.
제8도는 램프덮개가 폐쇄된 상태에서의 제어회로의 개략적인 전기회로도.
제9도는 램프덮개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전기제어회로판의 평면도.
제10도는 램프덮개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제어회로의 개략적인 전기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램프조립체 12 : 램프덮개
14 : 램프덮개 개폐구조 16 : 구동조립체
18 : 구동모터 20 : 토오크 리미터
12 : 전기제어회로부 24 : 회로부 지지프레임
26 : 모터스위치 28 : 상자부
30 : 램프하우징 32 : 직사각형 렌즈
34 : 렌즈 지지프레임 36 : 제1 접시형 반사체
38 : 브라켓 40 : 볼트
42, 80, 104, 106, 112, 124 : 구멍 44 : 좌측구획부
46 : 중앙구획부 48 : 우측구획부
50 : 주요부 52 : 플랜지
54 : 사각 또는 비원형구멍 56, 58 : 이축
60 : 2방향 편향구조 62 : 크랭크아암
64 : 인장스프링 66 : 스프링 보유판
68, 69 : 스토퍼 70 : 구동조립체 하우징
72 : 기어장치 74 : 구동축
76 : 슬리이브 베어링 78 : 축평단부
82 : 회전스위치 작동부재 84 : 최종 감속기어
86 : 구동디스크 88 : 금속면판
90 : 오목부 92 : 피동디스크
94 : 돌기 96, 138 : 압축스프링
98 : 회로판 100 : 벽부
102 : 보스 108, 130 : 나사구멍
110, 132 : 나사 114 : 램프스위치
116 : 제1 모터방향스위치 118 : 제2 모터방향스위치
122 : 자루부 126 : 자루확장부
128 : 램프스위치 작동아암 134, 136 : 스프링 보유플랜지
140 : 누름부재 142 : 사각형 중간부
144, 146 : 아암 148, 150 : 회전접촉부
152, 154 : 고정접촉부 156 : 연결부
158 : 활주부 160 : 단자부
162 : 끼움부 164 : 접점
166 : 케이블 168, 172 : 전원의 양극
170 : 릴레이 174 : 램프/덮개 제어스위치
176, 178, 192 : 이동성 접촉부 180, 182 : 모터극성단자
184 : 제1 고정단자 186 : 제2 고정단자
188 : 제3고정단자 190 : 제4 고정단자
194 : 고정단자 196 : 산형부
본 발명은 전기램프와 같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모터 차량에 사용하기 위한 전기램프조립체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 램프가 켜질때 자동적으로 개방되는 램프덮개를 구비한 전기 램프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안개등 및 코너링 램프와 같은 차량조명장치들은 연속적으로 사용하기 보다는 이따금씩 매우 짧은 간격으로 커지게 된다. 그러므로, 램프를 사용하지 않을때, 먼지, 눈, 비 및 돌, 또는 다른 차량으로부터 튀겨지는 다른 물질로부터 램프 전방렌즈의 보호를 위하여 덮개를 씌워야만 한다. 이러한 램프는 차량이 달리는 동안에 운전자에 의하여 켜진다. 그러므로, 이러한 램프덮개는 램프가 켜질때 자동적으로 벗겨져야만 하고, 램프가 꺼지면 다시 씌워져야만 한다.
램프덮개와 그 개폐구조의 몇가지 형태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한 예는 일본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59-163537호와 제59-163538호를 포함한다. 이들 공지된 장치의 공통적인 문제는 전방렌즈에 덮개를 씌우고 벗기기 위하여 램프하우징상에 준비된 램프덮개가 전기역전 구동모터에 얼마간 직접적으로 연결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대기중에 노출되어 있는 램프덮개는 눈 또는 얼음에 의하여 채워지기 쉽다 램프덮개가 움직이지 못하게 되었을때 구동모터가 작동된다면, 모터나 기어장치중에 하나는 과부하로 인하여 파손된다.
본 발명은 램프덮개가 고장났을 경우에도 구동모터 또는 관련된 기어장치의 과부하 위험이 없이 광원의 점등/소등 접속에 관계해서 개방 및 폐쇄위치 사이에서 동력으로 구동될 수 있는 램프덮개를 가지는 개선된 차량조명장치를 제공한다.
간단하게 이야기해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조명장치는 램프하우징의 전방면을 통한 조명을 제공하기 위하여 램프하우징안에 광원을 가지는 램프조립체를 포함한다. 램프덮개는 램프덮개가 램프하우징의 전방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위치와, 램프하우징의 전방면을 덮는 폐쇄위치 사이를 선회운동하기 위하여 램프조립체의 램프하우징상에 설치된다. 램프하우징에 설치된 램프덮개 개폐구조는 전기역전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개방 및 폐쇄위치 사이에서 램프덮개의 선회운동을 위하여 램프덮개와 결합되는 구동축과, 램프덮개가 고장났을때 구동모터가 구동축을 독자적으로 회전시켜서 과부하로부터 구동모터를 보호하기 위하여 구동모터와 구동축 사이에 끼워지는 토오크 리미터를 포함한다. 조명장치는 램프/덮개 제어스위치에 반응하여 램프덮개 개폐구조의 작동과 광원의 점등 및 소등 제어를 하기 위한 전기제어회로부를 포함한다. 제어회로부는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램프덮개를 선회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연장부까지 램프덮개 개폐구조의 구동모터를 적정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램프/덮개 제어스위치의 작동에 반응하고,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램프덮개를 선회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연 장부까지 구동모터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램프/덮개 제어스위치의 복귀에 반응하는 제1회로수단과, 램프덮개가 개방위치에 있을때 램프조립체의 광원을 소등시키기 위하여 제1 회로수단과 관련되는 제2 회로수단을 가진다.
운전자는 램프덮개가 어떠한 이유로 움직이지 않게 되었을때, 램프덮개의 개폐와 광원을 점등 또는 소등하기 위하여 램프덮개 제어스위치를 무의식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그때, 구동모터가 필요한 방향의 회전으로 시작되었을지라도, 토오크 리미터는 램프덮개 구동축으로부터 모터를 분리시키도록 작동하여서, 모터뿐만 아니라 기어장치와 같은 관련 동력 전달수단의 파손을 방지한다. 토오크 리미터는 또한 부가적인 잇점을 제공한다. 램프덮개 개폐구조가 램프덮개를 개폐하는데 기계적이거나 전기적으로 실패하는 악기능을 할때, 이러한 램프덮개는 수동으로 쉽게 개방 또는 폐쇄될 것이다.
상기 요약된 본 발명의 조명장치에서는 램프/덮개 제어스위치가 단지 광원의 소등 및 점등과 램프덮개의개폐를 위하여 조작될 필요성이 이해되어질 것이다. 광원은 램프/덮개 제어스위치가 작동되었을때 보다는 오히려 램프덮개가 개방되었을때 켜지게 된다. 따라서, 램프덮개가 폐쇄되었을때 광원이 켜질 가능성과, 광원이 꺼져있을때 램프덮개가 개방되어 있을 가능성은 전혀 없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개방 및 폐쇄위치 사이의 램프덮개의 각도위치에 따라서 개방 또는 폐쇄위치를 향하여 램프덮개를 편심시키도록, 램프덮개상에서 작용하는 탄성수단을 가지는 2방향 편향구조(two waybiasing mechanism)에 있다. 2방향 편향구조는 램프덮개가 개방 및 폐쇄위치 사이의 정중앙에 있을때 중립되고, 램프덮개가 개방위치를 향하여 중간지점을 지나서 이동할때는 개방위치를 향하여 램프덮개를 편향시키고, 램프덮개가 폐쇄위치를 향하여 중간지점을 지나서 이동할때는 폐쇄위치를 향하여 램프덮개를 편향시킨다. 그러므로, 램프덮개가 개방 및 폐쇄위치 사이의 어떤 방향으로 이동중에 구동모터에 계속 전압을 가하도록 유지할 필요가 없다. 2방향 편향구조는 램프덮개의 두위치에서 탄성수단의 힘으로 지탱하기 위한 수단을 통합함으로써, 개방 및 폐쇄위치에서 램프덮개를 확실히 보유하는 부가적인 목적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차량조명장치는 제1도에서 참조번호(10)으로 지시된 안개등 및 코너링 램프의 결합된 조립체를 자지고 설명될 것이다. 여기에서, 램프조립체(10)는 램프덮개(12)와 램프덮개 개폐구조(14)와 함께 도시되었다. 제2도와 제3도에서 보다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덮개 개폐구조(14)는 제3도의 토오크 리미터(20)를 경유하여 램프덮개(12)에 결합되는 전기역전 구동모터(18)를 가지는 구동조립체(16)를 포함한다. 램프덮개 개폐구조(14)는 램프조립체(10)의 광원(제1 내지 제3도에 도시되지 않음)의 점등 및 소등과관계해서 구동모터(18)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기제어회로부(22)를 또한 포함한다. 전기제어회로부(22)는 회로부 지지프레임(24)을 경유하여 구동조립체(16)에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제3도에 도시된 모터스위치(26)는 제어회로부(22)에 포함되어 구동모터(18)의 작동 및 방향제어를 위하여 구동조립체(16)에 의해서 작동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조립체(16), 제어회로부(22)와 램프덮개 개폐구조(14)의 지지프레임(24)은 램프조립체(10)안에서 설치되어지는 상자부(28)안에서 모두 밀착되게 수용된다.
언급된 램프조립체(10), 램프덮개(12), 구동조립체(16), 토오크 리미터(20), 제어회로부(22) 및 모터스위치(26)는 물론 제어회로부(22)의 보다 상세한 전기적 구성의 설명은 램프덮개 개폐구조(14)의 전체적인 작동설명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제1도를 참조하면, 안개등 및 코너링 램프의 결합된 조립체(10)는 다소 긴 수평의 상자형태이고, 렌즈지지프레임(34)을 통하여 직사각형 렌즈(32)에 의하여 밀폐되는 전방면을 가진 램프하우징(30)을 포함한다. 렌즈(32)를 통하여 램프조립체(10)의 전방을 향한 광원에서 광선을 평행하게 비추기 위한 접시형 반사체(36)는 렌즈(32)뒤에 배치되어 렌즈에 단단하게 체결된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훨씬 작은 크기의 다른 접시형 반사체는 코너링 램프로서 램프조립체(10)의 사용에 있어서, 광원으로부터 광선의 일부를 차량의 어느한 측면을 향하여 비추기 위해 렌즈(32)에 고정된 소위 제1반사체(36)의 전방으로 선회하도록 설치된다. 고정된 반사체(36)는 용접 및 다른 방법으로 반사체(36)에 부착된 한쌍의 브라켓(38)을 가진다. 램프하우징의 후면으로부터 램프하우징(30)안에 있는 구멍(42)을 통하여 안으로 끼워지게 되는 한쌍의 볼트(40)를 브라켓(38)에 나사결합을 함에 의하여, 렌즈(32)와 함께 고정된 반사체(36)와 도시되지 않은 선회반사체 및 광원은 램프하우징(30)에 설치된다.
램프하우징(30)의 내부는 램프덮개 개폐구조(14)를 조정하기 위한 좌측구획부(44), 주로 고정반사체(36)를 조정하기 위한 중앙구획부(46), 도시되지 않은 선회반사체를 구동하기 위한 2방향반사체 구동구조를 주로 조정하는 우측구획부(48)로 분할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덮개(12)는 렌즈(32)와 거의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의 주요부(50)와, 주요부(50)의 양측단에 있는 한쌍의 플랜지(52)를 포함한다. 램프덮개(12)의 플랜지(52)들은 서로 동축관계로 마주보는 램프하우징(30)의 측면으로부터 회전할 수 있도록 돌출한 한쌍의 이축(trunnion, 56, 58)들을 비회전수용하기 위하여, 각 플랜지(52)에는 사각형 또는 비원형의 두구멍(54)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램프덮개(12)는 램프조립체(10)의 렌즈(32)를 완전하게 덮지 않은 제1도의 개방위치와, 램프덮개(12)의 주요부(50)로 램프덮개가 렌즈를 폐쇄한 폐쇄위치 사이에서 램프하우징(30)에 대하여 선회할 수 있다. 물론, 램프덮개(12)는 램프조립체(10)가 꺼져있을때는 폐쇄위치로 놓이고, 램프조립체가 켜질때는 개방위치로 개방된다. 그러한 램프덮개(12)의 각도변이는 램프조립체(10) 스위치가 개폐됨으로서, 램프덮개 개폐구조(14)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실행된다. 개폐위치 사이의 각도는 대략 90°이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의 이축(56)은 램프덮개 개폐구조(14)의 일부를 형성하는 램프덮개(12)의 구동축이다. 그러나, 이축(56)은 램프덮개 개폐구조(14)의 구동조립체(16)에 포함되는 구동축(74)의 한쪽 단부위로 눌러 끼워지게 되는 사각단면의 칼라(collar) 또는 슬리이브이다.
반대로, 오른쪽의 이축(58)은 램프하우징(30)의 우측구획부(48)안에 배치된 2방향 편향구조(60)와 함께 제공된다. 2방향 편향구조(60)는 우측의 이축(58)에 회전될 수 없게 결합된 인접단부를 가지며 이축(58)에서 좌측으로 연장하는 크랭크아암(62)과, 크랭크아암(62)의 끝단부와 하우징(30)의 안쪽케이스의 벽상에 있는 스프링 보유판(66) 사이에서 작용하는 나선인장스프링(64)을 포함한다. 인장스프링(64)은 우측의 이축(58)을 편향시키므로, 램프덮개(12)의 각도위치에 따라서 개방 및 폐쇄위치중 어느 한쪽을 향하여 램프덮개(12)를 편향시키고, 램프덮개(12)가 개방 및 폐쇄위치의 중앙에 있을때는 램프덮개(12)가 어느쪽으로도 편향되지 않는 중립위치에 있게 된다. 크랭크아암(62)은 인장스프링(64)의 힘으로 개방 및 폐쇄위치에서 램프덮개(12)를 확실히 유지하기 위하여 램프하우징(30)에 부착된 한쌍의 스토퍼(68, 69)들과 같이 준비된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조립체(16)는 이후에 기술될 구동조립체의 여러 부품들을 수용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상자형의 구동조립체 하우징(70)를 가진다. 그러한 부품들중 하나인 역전구동모터(18)는 기어장치(72) 및 토오크 리미터(20)를 경유하여 구동축(74)에 결합된다. 이 구동축(74)은 한쌍의 슬리이브 베어링(76)들을 통하여 구동조립체 하우징(70)을 지나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74)의 좌측단부는 구동조립체 하우징(70)의 외부를 통하여 돌출하여서, 램프덮개(12)의 플랜지(52)의 사각 또는 비원형구멍(54)에 결합되는 사각단면의 칼라 또는 슬리이브, 즉 이축(56)의 다른쪽 단부에 끼워지게 된다.
한편, 구동축(74)의 우측단부(78)는 구동조립체 하우징(70)의 외부를 향하여 돌출한다. 구동축(74)의 이쪽단부(78)는 회로부 지지프레임(24)의 구멍(80)을 통과하여 전기제어회로부(22)에 포함된 회전스위치 작동부재(82)와 결합 구동하기 위하여, 단면에 있어서 평평하거나 또는 비원형으로 만들어져 있다. 회전스위치 작동부재(82)는 모터스위치(26)뿐만 아니라 램프스위치에도 관련된다.
비록 제3도에 토오크 리미터(20)가 도시되었을지라도, 토오크 리미터(20)는 제4도 및 5도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다. 구동조립체(16)의 기어장치(72)는 실제로는 워웜기어가 될 수 있는 최종 감속기어(84)를 포함한다. 이 최종 감속기어(84)는 축선변위 및 각도변위를 위하여 구동축(74)상에 느슨하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제5도에 도시된 것처럼, 최종 감속기어(84)는 강성 플라스틱재로 성형되고, 최종 감속기어의 양측면에 부착되는 2개의 금속면판(86,88)을 가진다. 우측의 금속면판(86)은 토오크 리미터(20)의 구동디스크로서제공하게 되며 구동축(74)상에 느슨하게 설치된다. 강성 플라스틱재의 최종 감속기어(84)가 구동역전모터(18)에 의하여 강력하게 구동되어서, 구동디스크(86)는 최종 감속기어(84)에 부착된다. 구동디스크(86)는 최종 감속기어(84)와 접촉하지 않는 구동디스크면에 형성된 다수의 오목부(90)들을 가진다. 오목부(90)들은 구동축(74)의 축선을 중심으로하여 일정각도의 원으로 배치된다.
금속이며 구동축(74)상에 고정설치되는 피동디스크(92)는 구동디스크(86)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피동디스크(92)는 구동디스크(86)를 향한 피동디스크면상에 다수의 돌기(94)들을 가진다. 돌기(94)들은 구동디스크(86)의 오목부(90)와 각각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구동축(74)의 축선을 중심으로 원으로 배치된다. 그러나, 제4도와 제5도에 도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오목부(90)는 피동디스크(92)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돌기(94)는 구동디스크(86)에 형성될 수 있고, 오목부(90)와 돌기(94)는 정해진 한계까지 모터출력 토오크를전달하도록 구동 및 피동디스크(86, 92)가 상호 결합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최종 감속기어(84)의 좌측금속면판(88)은 나선압축스프링(96)의 한쪽 단부를 위한 자리로서 제공되게 된다. 압축스프링(96)의 다른 단부는 구동조립체 하우징(70)상에서 구동축(74)을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슬리이브 베어링(76)의 한쪽 단부에 기대어 안혀진다.
그러므로, 압축스프링(96)의 압축으로, 최종 감속기어(84)는 피동디스크(92)상에 있는 각각의 돌기(94)들을 수용하는 구동디스크(86)의 오목부(90)를 가지며, 구동축(74)상에 고정설치된 피동디스크(92)와 정면으로 밀착 접근하는 우측금속면 판 또는 구동디스크(86)를 가진다. 역전구동모터(18)에서 유도되는 최종 감속기어(84)의 회전은 구동디스크(86)로부터 상호 결합한 오목부(90)와 돌기(94)를 경유하여 피동디스크(92)에 전달된다. 피동디스크(92)는 구동축(74)의 회전을 야기시키며, 결과적으로 개방 및 폐쇄위치 사이에서 램프덮개(12)의 선회운동을 야기시킨다.
램프덮개(12)가 고장났을때, 즉 램프덮개(12)가 개방위치와 폐쇄위치중 어느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거나 또는 그 사이에서 움직이지 않을때, 모터에 의한 구동디스크(80)의 회전은 압축스프링(96)의 힘에 거슬리어 구동축(74)의 축선 좌측으로 이동하는 최종 감속기어(84)와 함께, 피동디스크(92)상에 있는 돌기(94)들로부터 구동디스크(86)의 오목부(90)들의 분리를 초래한다. 그때, 구동디스크(86)는 램프덮개(12)에 의한 부하를 받지 않게 되는 최종 감속기어(84)와 함께 회전할 것이다. 그러므로, 구동모터(18)와 기어장치(72)는 과부하로 인한 파손으로부터 보호될 것이다.
피동디스크(92)로부터 분리된 구동디스크(86)의 그러한 회전동안, 오목부(90)와 돌기(94)들은 연속적으로 짤칵소리를 내는 서로에 대하여 결합과 분리를 반복할 것이다. 이러한 짤칵소리들은 차량운전자에게 램프덮개(12)의 고장을 알려주는 경보음으로서 제공될 것이다.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면, 전기제어회로부(22)는 다양한 회로들을 가지는 직사각형의 회로판(98)을 포함한다. 회로판(98)은 튼튼한 구조의 지지프레임(24)에 의하여 지지된다. 지지프레임(24)은 회로판(98)을 수용하는 좌측개방부와 구동조립체(16)에 기대어 지지되는 우측의 밀폐된 벽부(100)를 가진 대체로 얇은 상자형태이다. 몇개의 보스(102)들이 회로판(98)을 벽부(100)로부터 적정거리 만큼 떨어져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로서 회로부 지지프레임(24)안에 형성되어 있다.
축(74)의 평단부(78)에 의하여 작동되는 모터스위치(26)(및 추가스위치)는 회로판(98)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회로판(98)은 지지프레임(24)을 통하여 구동조립체 하우징(70)에 고정될 수 있다. 회로판(98)은 구동조립체 하우징(70)에 있는 나사구멍(108) 및 보스(102)의 구멍(106)과 일치하는 몇개의 구멍(104)을 가진다. 나사(110)가 구멍(104, 106)들을 통하여 나사구멍(108)안으로 끼워져 결합되어서, 회로판(98)은 지지프레임(24)을 통하여 구동조립체 하우징(70)에 체결된다.
회로판(98)이 상기와 같이 구동조립체 하우징에 체결됨으로서, 축평단부(78)는 제3도와 같이 구멍(112)에 끼워지도록 벽부(100)에 있는 구멍(80)을 통과하여 회로판(98)상에 있는 회전스위치 작동부재(82)에 끝을 맞댄다. 구멍(112)은 축평단부(78)와 형상이 일치하여서, 양방향으로의 구동축(74)의 회전이 램프덮개(12)뿐만 아니라 회전스위치 작동부재(82)에도 전해진다.
서로 체결되어 있는 구동조립체(16), 전기제어회로부(22)와, 지지프레임(24)의 결합은 램프덮개 개폐구조(14)를 만들도록 상자부(28)안에 설치된다. 그렇게 밀착되어 있으므로, 램프덮개 개폐구조(14)는 램프조립체(10)의 다른 구성품들의 설치를 위한 충분한 공간을 남기도록, 램프하우징(30)의 세구획부(44, 46, 48)들중 어느 한 구획부에 설치되어질 수 있다.
모터스위치(26)의 기계적인 구성은 제3도 및 제6도를 고려하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이 도면들을 보기에 앞서, 모터스위치(26)의 기계적 구상을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회로판(98)상에 있는 회로가 제7도 내지 10도를 참조하여 간단하게 설명되어질 것이다. 모터스위치(26)와 램프스위치(114)는 회로판(98)의 구동조립체(16)를 향한 면에 설치된다. 모터스위치(26)는 구동모터(18)의 작동 및 방향제어를 위한 제1 및 제2 모터방향스위치(116, 118)들과 협응한다. 램프스위치(114)는 램프조립체(10)의 광원(120)의 점등 및소등을 제어하고, 광원은 램프조립체(10)의 렌즈(32)뒤에 배치된다. 구동축(74)에 의하여 구동되는 회전스위치 작동부재(82)는 모터스위치(26)와 램프스위치(114)를 작동시킨다.
제3도 및 제6도를 참조하면, 회전스위치 작동부재(82)는 회로판(98)에 있는 구멍(124)을 통하여 회전될수 있도록 연장하여 있는, 원통형의 자루부(122)를 포함한다. 자루부(122)의 좌측부분(126)은 구멍(124)의 지름보다 큰 지름으로 확장되고, 자루확장부(126)로부터 외부로 연장하는 램프스위치 작동아암(128)을 가진다. 램프스위치 작동아암(128)은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것처럼 램프스위치(114)를 작동하게 된다.
축평단부(78)와 결합하는 구멍(112)은 자루확장부(126)의 단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자루부(122)는 구동축(74)과 동축선상에 있어야만 한다. 자루부(122)의 우측단부는 축방향으로 나사구멍(130)을 가진다. 나사(132)는 자루부(122)에 기대어 맞닿은 스프링 보유플랜지(134)를 보유하기 위하여 이 나사구멍(130)에 결합된다. 다른 스프링 보유플랜지(136)는 자루부(122)에 끼워져 회로판(98)에 기대어 밀착하여 고정된다. 2개의 스프링 보유플랜지(134, 136)들 사이에서 위치한 압축스프링(138)은 회로판(98)상의 적소에서 회전스위치 작동부재(82)를 회전될 수 있도록 보유하기 위하여 구동조립체(1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스위치 작동부재(82)를 편향시킨다.
참조번호(140)는 탄성 금속 박판재로 만들어지고, 모터스위치(26)의 일부를 형성하는 누름부재로 인용한다. 제7도 내지 10도에 도시될 것으로서, 누름부재(140)는 회전스위치 작동부재(82)의 자루확장부(126)에서 고정되는 사각형 중간부(142)와, 사각형 중간부(142)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하고 회전접촉부(148, 150)들에서 각각 끝나는 한쌍의 아암(144,146)들을 가진다. 누름부재(140)의 사각형 중간부(142)는 구멍(112)과 구동결합하는 축평단부(78)의 통로를 위하여 구멍이 뚫려 있다. 한쌍의 아암(144, 146)들은 사각형 중간부(142)로부터 연장하여 회로판(98)을 향하여 굽혀지고, 회로판(98)상에 형성된 활모양의 두 고정접촉부(152, 154)와 회전접촉부(148, 150)들의 미끄럼 접촉을 위하여 자체적으로 누르게 된다.
회전접촉부(148, 150)들을 가진 누름부재(140)와, 고정접촉부(152, 154)들은 조합하여 모터스위치(26)를 구성한다. 제7도 내지 제10도에는 모터스위치(26)의 회전접촉부(148, 150)들을 연결하는 선이 램프스위치(114)상에서 작동하는 램프스위치 작동아암(128)과 직각인 것이 도시되었다.
제3도 내지 제6도를 다시 참조하면, 누름부재(140)의 사각형 중간부(142)는 자루부(122) 주위에 있는 활주부(158)에 누름부재(1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누름부재(140)로부터 직각으로 꺽인 연결부(156)를 가진다. 활주부(158)는 회로판(98)상에서 고정된 금속의 단자부(160)와 항상 미끄럼 접촉을 한다. 단자부(160)는 회로판(98)에 끼워지는 끼움부(162)를 가지고, 반대편쪽 회로판(98)상에 끼움부(162)의 일부가 돌출한다. 끼움부(162)의 돌출된 한 단부는 제8도와 제10도에서 도시된 전원의 양(+)극(168)에 연결되는 케이블(166)과 납땜 또는 그밖의 방법으로 접점(164)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활주부(158)는 압축스프링(138)으로 조여짐으로써 양극의 단자부(160)와 적절하게 미끄럼 접촉을 유지한다.
전기제어회로부(22)의 전기적 설명은 제7 및 9도와 함께 도시된 제8도 및 10도를 참조하여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제7도와 8도는 램프덮개(12)가 폐쇄되었을때의 제어회로 상태이며, 제9도와 10도는 램프덮개(12)가 개방되어 있을때의 제어회로 상태이다.
기계적으로 구성된 모터스위치(26)는 전원의 양극(168)에 연결되고, 누름부재(140)에서 형성되며 서로에 관계해서 전기적으로 전도하는 회전접촉부(148, 150)들을 가지는 누름부재(140)와, 누름부재(140)와 관계해서 미끄럼 접촉을 위한 고정접촉부(152, 154)들을 포함한다. 램프덮개(12)와 결합된 구동축(74)에 의하여 구동되는 누름부재(140)는 개방 및 폐쇄위치 사이에서 램프덮개(12)의 선회운동으로 대략 90°정도 회전한다.
렘프덮개(12)가 폐쇄되었을때, 모터스위치(26)의 누름부재(140)는 제1 고정접촉부(152)와 제1 회전접촉부(148)를 결합하고, 제2 고정접촉부(154)와 제2 회전접촉부(150)는 결합되어 있지 않는 제7도 및 제8도의 위치에 있다. 제1 회전접촉부(148)는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램프덮개(12)의 선회움직임 동안 제1 고정접촉부(152)와 미끄럼 접촉하여 이동하고,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덮개(12)가 개방위치에 도달하기전에 제1 고정접촉부(152)를 벗어난다.
한편, 모터스위치(26)의 제2 회전접촉부(150)는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를 향하여 상기 램프덮개(12) 행정이 시작에 따라 제2 고정접촉부(154)위로 올라가고, 램프덮개(12)가 개방될때 제2 고정접촉부(154)와 접촉 결합을 유지한다. 따라서, 제2 회전접촉부(150)는 개방위치로부터 폐쇄위치를 향하여 램프덮개의 귀환 행정동안 제2 고정접촉부(154)와 미끄럼 접촉으로 이동하고, 램프덮개가 폐쇄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제2 고정접촉부(154)를 벗어난다.
제1 및 제2 모터방향스위치(116, 118)와, 공통의 릴레이(170)에 의하여 작동되는 단극 2중 투사형태의 릴레이 접촉장치는 모터스위치(26)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제2도와 제3도를 다시 참조하면, 이러한 릴레이(170)는 구동조립체(16)와 반대편쪽의 회로판(98) 측면상에 설치된다. 제8도 및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레이(170)는 한쪽이 접지되어 있고, 다른쪽은 램프/덮개 제어스위치(174)를 경유하여 전원의 양극(170)에 연결된다. 램프/덮개 제어스위치(174)는 차량운전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는 곳에 배치된 수동스위치이다. 정상적으로, 갬프/덮개 제어스위치(174)는 광원(120)의 소등과 램프덮개(12)의 폐쇄를 유지하도록 개방을 유지하고, 램프덮개(12)의 개방과 연속하여 광원(12)의 점등을 위해서 폐쇄되어진다.
램프/덮개 제어스위치(174)의 수동조작 및 해제는 릴레이(170)에 전압을 연결 및 차단을 초래하므로, 2개의 모터 방향스위치(116, 118)들의 이동성 접촉부(176, 178)들의 연결변위를 초래한다. 이러한 이동성 접촉부(176, 178)들은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구동조립체(16)의 구동조립체 하우징(70)안에 있는 한쌍의 구동모터(18) 반극성 단자들(180, 182)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제1 모터방향스위치(116)는 접지되어 있는 제1 고정단자(184)와, 모터스위치(26)의 제1 고정접촉부(152)와 연결되어 있는 제2 고정단자(186)를 가진다. 유사하게, 제2 모터방향스위치(118)는 모터스위치(26)의 제2 고정접촉부(154)와 연결되어 있는 제3 고정단자(188)와, 접지되어 있는 제4 고정단자(190)를 가진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덮개 제어스위치(174)가 개방을 유지하는 것과 같이 릴레이(170)에 전압이 차단되었을때, 제1 모터방향스위치(116)의 이동성 접촉부(176)는 제 1고정단자(184)와 접촉하고, 제2 모터방향스위치(118)의 이동성 접촉부(178)는 제3 고정단자(188)와 접촉한다. 이동성 접촉부(176, 178)들은 램프/덮개 제어스위치(174)의 폐쇄의 결과로서 전압이 연결되었을때 제2 및 제4 고정단자(186, 190)들과 접촉한다.
램프/덮개 제어스위치(174)는 이 스위치(174)의 작동이 램프덮개(12)의 개방과 광원(120)의 점등을 초래하기 때문에 램프/덮개 제어스위치라 칭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램프/덮개 제어스위치(174)의 폐쇄는 광원(120)의 점등을 즉시 초래하지 않는다.
제8도 및 제10도에 지시된 바와 같이, 광원(120)의 점등 및 소등제어를 위한 램프스위치(114)는 램프/덮개 제어스위치(174)를 경유하여 양극의 전원(172)에 연결되어 있는 이동성 접촉부(192)와, 광원(120)을 경유하여 접지되어 있는 고정단자(194)를 가진다. 램프스위치(114)의 기계적인 구성은 제7도 및 제9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동성 접촉부(192)는 외팔보 형태를 취하여 회로판(98)상에 설치된다. 이동성 접촉부(192)는 정상적으로 고정단자(194)와 분리되어 유지하도록 자체가 경사진다. 이동성 접촉부(192)상에 있는 산형부(196)는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단자(194)와 이동성 접촉부(192)의 접촉을 위하여 램프스위치 작동아암(128)에 의하여 눌려지게 된다. 회전스위치 작동부재(82)와 일체로 형성된 램프스위치 작동아암(128)은 축(74)에 의하여 구동된다는 것이 제6도에 도시되어 있다. 램프스위치 작동아암(128)은 램프덮개(12)가 얼마간 충분히 개방되었을때 고정단자(194)와 접촉하도록 이동성 접촉부(192)를 밀어서, 광원(120)의 점등을 유발시킨다.
정상적인 램프덮개 개폐구조(14)의 전기제어회로부(22)는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하우징(30)상에서 램프덮개(12)가 폐쇄위치로 유지하는 것을 조건으로 한다. 차량운전자는 안개등 및 코너링 램프조립체(10)를 점등시키기 위하여 램프/덮개 제어스위치(174)를 조작하여 램프/덮개 제어스위치(174)를 폐쇄시킨다. 램프덮개 제어스위치(174)의 폐쇄는 모터 방향스위치(116, 118)들의 이동성 접촉부(176, 178)들의 연속적인 변위가 제1 및 제3고정단자(184, 188)와 분리하고 제2 및 제4 고정단자(186,190)와 접촉하는 것과 함께 릴레이(170)에 전압을 가한다.
전원의 양극(168), 모터스위치(26)의 누름부재(140), 누름부재상에 있는 제1 회전접촉부(148), 제1 고정접촉부(152), 제1 모터방향스위치(116)의 제2 고정단자 및 이동성 접촉부(176), 구동모터(18)의 모터극성단자(180, 182)들, 제2 모터방향스위치(118)의 이동성 접촉부(178)와 제4 고정단자(190)와, 접지를 포함하는 모터구동회로가 설치됨으로써, 그 결과 구동조립체(16)의 구동모터(18)는 적정방향으로 회전되어질 것이다.
물론, 램프덮개(12)가 고장이 나지 않은 것을 조건으로 하면, 구동모터(18)의 전방회전은 기어장치(72)와 토오크 리미터(20)를 경유하여 축(74)에 전달될 것이다. 그때, 램프덮개(12)는 램프조립체(10)의 렌즈(32)를 덮지 않게 하기 위하여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를 향하여 선회할 것이다. 구동축(74)은 한쪽 단부가 램프덮개(12)쪽으로 결합되고, 다른쪽 단부는 전기제어회로부(22)의 회전스위치 작동부재(82)와 구동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그러므로, 회전스위치 작동부재(82)와 일체로 형성된 램프스위치 작동아암(128)과, 회전스위치 작동부재(82)에 부착된 부름부재(140)는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향하는 램프덮개(12)의 선회움직임과 함께, 제7도 및 제8도의 위치로부터 제9도 및 제10도의 위치를 향하여 회전할 것이다.
따라서, 제9도와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스위치 작동아암(128)은 램프덮개(12)가 개방위치에 도달할때(또는 바람직하게는 바로전에) 램프스위치(114)의 이동성 접촉부(192)를 고정단자(194)와 접촉하도록 밀어서 접촉시킬 것이다. 그러므로, 광원(120)은 램프덮개(12)가 벗겨졌을때 또는 바로전에 점등될 것이다.
한편, 누름부재(140)상에 있는 제1회전접촉부(148)는 램프덮개(12)가 개방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구동모터의 필연적인 전압차단과 함께 제1 고정접촉부(152)를 벗어날 것이다. 그러나, 이때쯤에 2방향 편향구조(60)는 개방위치를 향하여 램프덮개(12)를 편형시키고 시작하여서, 램프덮개(12)는 구동모터(18)에 의한 구동없이 인장스프링(64)의 힘으로 개방위치로 선회할 것이다. 2방향 편향구조(60)의 크랭크아암(62)이 스토퍼(69)를 침으로써, 램프덮개(12)는 개방위치에 도달할 것이다.
누름부재(140)의 각도위치는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되어 있다.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를 향하는 램프덮개(12)의 선회움직임이 시작한 후에, 누름부재(140)상에 있는 제2 회전접촉부(150)는 제2 고정접촉부(154)위로 올라간다. 회전스위치 작동부재(82)의 회전이 제9도 및 제10도의 위치에서 정지되기 때문에, 램프스위치 작동아암(128)은 램프스위치(114)의 폐쇄와 광원(120)의 점등을 유지하도록 산형부(196)와 접촉을 유지할 것이다.
차량운전자는 램프조립체를 끄고 닫기 위해 램프/덮개 제어스위치(174)를 해제하고 개방시킬 것이다. 그러므로, 릴레이(170)의 전기차단과 함께, 모터 방향스위치(116, 118)들의 이동성 접촉부(176, 178)들은 제1 및 제3 고정단자(184, 188)과 재접촉하도록 이동할 것이다 이때, 누름부재(140)가 제2 회전접촉부(150)를 경유하여 제2 고정접촉부(154)와 접촉하기 때문에, 구동모터(18)는 전원의 양극(168), 누름부재(140), 누름부재(140)상에 있는 제2 회전접촉부(150), 제2 모터방향스위치(118)의 제3 고정탈자(188) 및 이동성 접촉부(17), 구동모터(18)의 모터극성단자(180,182)들, 제1 모터방향스위치(116)의 이동성 접촉부(176) 및 제1 고정단자(184)와, 접지를 포함하는 모터구동회로를 통하여 역회전방향으로 전압을 받게 될 것이다.
구동모터(18)의 역회전은 개방위치로부터 폐쇄위치를 향하는 램프덮개(12)은 귀환이동을 초래할 것이다. 램프스위치 작동아암(128)은 램프스위치(114)를 개방하도록 산형부(196)를 해제하므로, 램프덮개(12)가 폐쇄위치를 향하여 이동을 시작한 후 즉시 광원(120)이 꺼질 것이다. 누름부재(140)의 제2 회전접촉부(150)는 램프덮개(12)가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의 중간점을 통과하여 이동한 후에 제2 고정접촉부(154)를 벗어나고 연속적으로 구동모터(18)의 전압을 차단할 것이다. 그러므로, 2방향 편향구조(60)에 의하여 조연지는 램프덮개(12)는 2방향 편향구조(60)의 크랭크아암(62)가 스토퍼(68)에 걸림으로써, 폐쇄위치로 귀환할 것이고, 폐쇄위치에서 유지될 것이다 이때, 제어회로는 다시 제7도 및 제8도 상태로 놓일 것이다.
전기한 상세한 설명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은 첨부된 실시예에 국한되려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과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차량에서 사용하기 위한 조명장치에 있어서, 전방면을 가지는 램프하우징과, 전방면을 통하여 조명을 제공하기 위하여 램프하우징안에 있는 광원을 포함하는 램프조립체와, 램프하우징의 전방면을 램프덮개가 덮지 않는 개방위치와 램프하우징의 전방면을 램프덮개가 덮은 폐쇄위치 사이에서 선회운동을 위하여 램프조립체의 램프하우징에 설치되는 램프덮개와, (a) 전기역전 구동모터와, (b) 구동모터에 의한 구동으로 개방 및 폐쇄위치 사이에서 램프덮개를 선회시키기 위하여 램프덮개에 연결되는 구동축과, (c) 구동모터를 과부하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구동모터와 구동축 사이에 끼워지며 구동모터로 구동축을 구동시키게 하고 램프덮개가 고장났을때는 구동축만 독자적으로 회전하게 하는 토오크 리미터로 이루어지며, 램프덮개를 개방 및 폐쇄위치 사이에서 회전시키기 위하여 램프조립 체의 램프하우징에 설치되는 램프덮개 개폐구조와, (a) 램프/덮개 제어스위치와, (b) 개방위치로부터 폐쇄위치로 램프덮개를 선회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연장선까지 적정방향으로 램프덮개 개폐구조의 구동모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램프/덮개 제어스위치의 작동에 반응하고,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램프덮개를 선회시키기 위하여 필요하 연장선까지 반대방향으로 램프덮개 개폐구조의 구동모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램프/덮개 제어스위치에 반응하는 제1 회로수단과, (c) 램프덮개가 개방위치에 있을때 램프조립체의 광원을 점등시키기 위하여 제1 회로수단과 관련되는 제2 수단을 포함하는 전기제어회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구동식 램프덮개를 가지는 차량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램프덮개 개폐구조의 토오크 리미터는 (a) 구동축상에서 느슨하게 설치되고 구동모터에 의하여 강력하게 구동되기 적합한 구동디스크와, (b) 구동측에 고정설치되고 구동디스크의 맞은편에 배치되는 피동디스크와, (c) 구동디스크와 피동디스크가 서로 정면으로 접촉 유지하게 하기 위한 탄성수단과, (d) 구동 및 피동디스크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구동축의 축선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돌기들과, (e) 구동 및 피동디스크중 돌기들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에 형성되어 구동축의 축선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원형 배치되는 다수의 오목부들을 포함하며, 정상적일때 돌기와 오목부들이 탄성수단으로부터의 압축으로 구동디스크가 피동디스크를 회전시키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호 결합하고, 램프덮개가 고장일때는 구동디스크가 피동디스크를 회전시키지 않도록 탄성수단의 힘에 거슬리어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구동식 램프덮개를 가지는 차량조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램프덮개 개폐구조는 토오크 리미터를 경유하여 구동축에 구동모터의 회전을 전달시키기 위한 기어수단을 포함하고, 기어수단은 구동측에 느슨하게 설치되는 강성 플라스틱 재료의 최종 감속기어를 포함하며, 금속재로 만들어진 토오크 리미터의 구동디스크가 기어수단의 최종 감속기어에 동축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구동식 램프덮개를 가지는 차량조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램프덮개는 구동축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기 위하여 램프덮개 개폐구조의 구동축의 한단부에 연결되고, 조명장치는 개방 및 폐쇄위치 사이의 램프덮개의 각도위치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위치를 향하여 램프덮개를 편향시키기 위한 2방향 편향구조를 포함하고, 2방향 편향구조는 램프덮개가 폐쇄위치 보다는 개방위치에 보다 접근할때 램프덮개를 개방위치를 향하여 편향시키고, 램프덮개가 개방위치보다는 폐쇄위치에 보다 접근할때는 램프덮개를 폐쇄위치를 향하여 편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구동식 램프덮개를 가지는 차량조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2방향 편향구조가 (a) 램프조립 체의 램프하우징에 설치되고 구동축과 동축관계로 램프덮개의 다른쪽 단부에 회전될 수 없도록 연결되는 이축과, (b) 램프덮개의 개방 및 폐쇄위치에서 이축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램프하우징상에 있는 정지수단과, (c) 개방 및 폐쇄위치 사이에서 램프덮개의 각도위치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위치를 향하여 램프덮개를 편향시키기 위해서 이축과 램프하우징 사이에서 작용하고, 램프덮개가 개방 및 폐쇄위치 사이의 중간점에 있을때는 중립위치에 있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구동식 램프덮개를 가지는 차량조명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전기제어회로부의 제1 회로수단은 (a) 램프덮개 개폐구조의 구동축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1 및 제2 고정접촉부들을 포함하는 모터스위치와, (b) 고정접촉부들과 서로 전기전도 관계로 회로판에 형성되는 ,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를 향한 램프덮개의 선회움직임 동안 모터스위치의 제1 고정접촉부와 미끄럼 접촉으로 이동하고 램프덮개가 개방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제1 고정접촉부를 이탈하는 제1 회전접촉부 및 개방위치로부터 폐쇄위치를 향한 램프덮개의 선회움직임 동안 모터스위치의 제2 고정접촉부와 미끄럼 접촉으로 이동하고 램프덮개가 폐쇄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제2 고정접촉부를 이탈하는 제2 회전접촉부를 포함하고, 모터스위치의 일부를 형성하며, 램프덮개 폐쇄구조의 구동축과 회전 연결하기에 적합한 회전접촉부재와, (c) 모터스위치의 회전접촉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부와, (d) 모터스위치의 제1 고정접촉부와 접지부에 한쌍의 구동모터 반극성 단자들중 1개를 선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램프/덮개 제어스위치의 작동 및 비작동에 반응하는 제1 모터방향스위치와, (e) 모터스위치의 제2고정접촉부와 그 접지부에 한쌍의 구동모터 반극성 단자들중 나머지 단자를 선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램프/덮개 제어스위치의 작동 및 비작동에 또한 반응하는 제2 모터방향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구동식 램프덮개를 가지는 차량조명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전기제어회로부의 제2회로수단은(a) 램프조립 체의 광원 점등/소등을 제어하고, 광원의 점등을 유지하기 위하여 정상적으로 개방 상태인 램프스위치와, (b) 램프덮개 개폐구조의 구동축과 회전 연결할 수 있고 램프스위치를 폐쇄하기에 적합하며, 램프덮개가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선회될때 광원이 점등되도록 하는 램프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구동식 램프덮개를 가지는 차량조명장치 .
  8. 제1항에 있어서, 램프덮개 개폐구조가 전기제어회로부는 램프조립체의 램프하우징 안에서 간결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구동식 램프덮개를 가지는 차량조명장치.
KR1019860003183A 1985-08-09 1986-04-23 동력구동식 램프덮개를 가지는 차량조명장치 KR9100016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5492 1985-08-09
JP60175492A JPS6237245A (ja) 1985-08-09 1985-08-09 ランプカバ−付前照灯装置
JP60-175492 1985-08-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1979A KR870001979A (ko) 1987-03-28
KR910001633B1 true KR910001633B1 (ko) 1991-03-16

Family

ID=15996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3183A KR910001633B1 (ko) 1985-08-09 1986-04-23 동력구동식 램프덮개를 가지는 차량조명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639839A (ko)
JP (1) JPS6237245A (ko)
KR (1) KR910001633B1 (ko)
DE (1) DE3606651A1 (ko)
FR (1) FR2585990B1 (ko)
GB (1) GB2179131B (ko)
ID (1) ID818B (ko)
PH (1) PH2649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7893A (en) * 1987-08-17 1988-04-12 Chrysler Motors Corporation Headlight door actuating mechanism
FR2645291B1 (fr) * 1989-03-31 1991-07-26 Valeo Systemes Dessuyage Systeme de deploiement et rangement d'organes escamotables
JP2000021227A (ja) * 1998-04-27 2000-01-21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前照灯
US6962209B2 (en) * 2001-10-17 2005-11-08 Turfco Manufacturing Inc. Simple, durable and easy-to-use earthworking machine
DE102007049472A1 (de) * 2007-10-16 2009-04-23 Hella Kgaa Hueck & Co. Gehäuse für eine Beleuchtungseinheit eines Kraftfahrzeugs
US20170129393A1 (en) * 2015-11-06 2017-05-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lighting assembly having retractable cover providing a lighted image
CN111981343B (zh) * 2020-08-07 2022-08-16 合肥保利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旋转调节式的开放型户外大功率照明灯机构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925629A (fr) * 1945-04-23 1947-09-09 Willys Overland Motors Inc Dispositif pour masquer et démasquer les phares des automobiles
US3070687A (en) * 1960-03-07 1962-12-25 Gen Motors Corp Headlamp cover
US3449559A (en) * 1966-03-09 1969-06-10 Gen Motors Corp Headlamp actuator
US3462717A (en) * 1967-08-31 1969-08-19 Ferro Mfg Corp Reverse switching mechanism for headlight cover actuator
JPS4512972Y1 (ko) * 1968-12-11 1970-06-04
US3601594A (en) * 1969-04-17 1971-08-24 Chrysler Corp Circuit controller for concealed headlamp actuator apparatus
FR2082777A5 (ko) * 1970-03-26 1971-12-10 Peugeot & Renault
JPS5319022A (en) * 1976-08-03 1978-02-21 Minolta Camera Co Ltd Data photographing device for camera
JPS57186544A (en) * 1981-04-17 1982-11-17 Ushio Inc Auxiliary automobile headlight with cover
JPS58136531A (ja) * 1982-02-08 1983-08-13 Ushio Inc カバ−付自動車用補助前照灯
US4513385A (en) * 1983-01-31 1985-04-23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ressing side lobe response in a digitally sampled system
CH660631A5 (de) * 1983-02-28 1987-05-15 Fischer Ag Georg Verfahren zur messung von formstoffeigenschaften, ein mittel zu dessen ausfuehrung und eine anwendung des verfahrens.
JPS59163538A (ja) * 1983-03-09 1984-09-14 Oyo Chishitsu Kk 孔内液の比重測定用プロ−ブ
US4567549A (en) * 1985-02-21 1986-01-28 Blazer International Corp. Automatic takeup and overload protection device for shape memory metal actuator
US4556935A (en) * 1985-02-27 1985-12-03 Blazer International Corp. Adjustable shape memory metal actuator
US4556934A (en) * 1985-02-27 1985-12-03 Blazer International Corp. Shape memory metal actu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H26497A (en) 1992-07-27
FR2585990B1 (fr) 1990-07-13
FR2585990A1 (fr) 1987-02-13
ID818B (id) 1996-07-19
DE3606651A1 (de) 1987-02-12
US4639839A (en) 1987-01-27
GB2179131A (en) 1987-02-25
JPS6237245A (ja) 1987-02-18
DE3606651C2 (ko) 1989-11-02
GB8605063D0 (en) 1986-04-09
GB2179131B (en) 1989-08-02
KR870001979A (ko) 198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58483A (en) Remote controlled rearview mirror
US4270783A (en) Door lock actuator
KR910001633B1 (ko) 동력구동식 램프덮개를 가지는 차량조명장치
US4632525A (en) Side-mirror driving apparatus
US5504481A (en) Fail-safe stop light apparatus
US5510583A (en) Assembly for sequential switching
JP2590581Y2 (ja) ワイパ駆動装置
US6278070B1 (en) Steering column switch with microswitches that has two operating positions and one neutral position system for cleaning windscreens
GB1559705A (en) Remote controlled electrically driven rearview vehicular mirror assembly
EP0609407B1 (en) Fail safe switch
US4315170A (en) Reversible electric motor
US6408901B2 (en) Actuator with anti-pinch feature and integrated position control
EP0744078B1 (en) Safety interlock for overhead projector
EP1003068B1 (en) Shutter mechanism
US5530327A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a door mirror up to preset position
US5939683A (en) High/low beam headlamps and fog lamps switch assembly
KR960008344B1 (ko) 전동식 동력조향장치
US4366353A (en) Anti-paralleling apparatus for high-voltage gear
JPS64346Y2 (ko)
US4431883A (en) Dual action switch assembly
JPS6324849B2 (ko)
KR0139130Y1 (ko)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동력전달장치
JPH0240529B2 (ko)
JPS6240838Y2 (ko)
JPH0325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